KR20190100496A -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496A
KR20190100496A KR1020180014181A KR20180014181A KR20190100496A KR 20190100496 A KR20190100496 A KR 20190100496A KR 1020180014181 A KR1020180014181 A KR 1020180014181A KR 20180014181 A KR20180014181 A KR 20180014181A KR 20190100496 A KR20190100496 A KR 2019010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tting board
menu
ingredient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혜
권태윤
김동현
정용학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496A/ko
Publication of KR2019010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마를 통해서 식재료의 무게를 확인하고 식재료의 무게/양에 적합한 메뉴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리안내 시스템은, 도마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도마는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도마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IPE}
본 발명은 식재료 무게를 감지하고 식재료 무게에 적합한 요리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리는 각종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최근 요리를 소재로 한 방송프로그램이 많아진 만큼 요리에 관심도 커지고 있다.
요리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는 보통 요리책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레시피를 기초로 요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요리에 미숙하기 때문에 레시피를 보면서 동시에 요리를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요리를 하다 보면 손에 식재료, 물, 양념 등이 묻어 있기 때문에 요리책이나 단말기 조작을 통해 레시피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요리를 위해서 식재료를 손질하고 준비하는 데에 도마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식재료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 저울이나 계량용기 등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이처럼 요리에 필요한 다양한 주방용품을 조리대에 올려놓고 사용하다 보면 공간이 부족하고 번거로워진다. 기존의 도마는 음식에 필요한 식재료를 손질하고 준비하는 데만 사용되어 왔는데, 다양한 기능 갖거나 스마트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한 효율적인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마를 통해서 요리 레시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마를 통해서 식재료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고 식재료의 무게/양에 적합한 메뉴를 안내할 수 있는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리안내 시스템은, 도마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도마는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도마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레시피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도마에 전송하는데, 상기 도마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리안내 방법은, 도마에 포함된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와;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상기 도마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레시피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요리 이력과 비교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리안내 방법은 상기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상기 도마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도마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도마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마를 통해서 식재료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고 식재료의 무게/양에 적합한 메뉴 및 해당 레시피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안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마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요리 가능한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레시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리안내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요리안내 시스템은 도마(10)와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는 모바일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PC, 노트북, 테블릿 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마(10)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서 서버(미도시)에 연결되거나 직접 서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리안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요리안내에 필요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마(10)는 무게감지센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스피커(15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10),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기 스피커(150)는 상기 도마(10)의 상판(101)의 일정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마(10)는 내부의 전자소자에 물/습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수 처리되어 있으며, 배터리와 충전단자 등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10)는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10)의 상부에 식재료가 놓여지면 그 무게를 감지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10)는 상기 상판(101)의 특정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영역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서 상기 상판(101) 아래에 로드셀을 배치하여 상기 상판(101) 전체를 무게감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버튼, 터치키(touch key), 음성인식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서 요리안내의 시작을 명령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무게감지센서(110)에 의해 무게가 감지된 식재료의 명칭/이름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 또는 서버(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식재료의 무게를 표시하는데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서 해당 식재료의 명칭이 입력되면 해당 식재료의 명칭과 무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의해 결정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레시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사용자에게 식재료의 무게 및 명칭, 요리 가능한 메뉴,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 등을 알려주기 위한 음성/음향 등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마(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70)는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30)를 제어하고, 식재료의 무게 및 명칭, 요리 가능한 메뉴,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및 상기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디스플레이부(330),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350)에서 처리되는 정보/데이터를 상기 도마(10)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도마(10) 또는 서버(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20)는 다양한 레시피 및 이를 안내하기 위한 영상 및 음성/음향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320)는 상기 도마(10)의 사용 이력, 예를 들어 상기 도마(10)로부터 전송된 식재료의 명칭 및 무게 정보, 상기 도마(10)에 제공된 요리 가능한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320)는 상기 도마(10)의 사용 이력을 근거로 일정기간 동안 요리에 사용된 식재료의 종류 및 양, 사용자의 선호하는 요리 등을 통계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도마(1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제어부(3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실행화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도마(10)로부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도마(10)의 디스플레이부(14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두 디스플레이부(14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여 요리 과정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도마(10)의 사용 이력 및 이를 통계화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320)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 이력 및 통계화된 데이터를 상기 도마(1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요리안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리안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무게감지센서(110) 상에 식재료를 올려놓으면 상기 무게감지센서(110)는 해당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고(S11), 무게 감지 전후로 사용자는 식재료의 명칭/이름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마(10)에 부착되거나 연결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된 해당 식재료의 영상을 서버의 빅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식재료의 명칭/이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식재료의 명칭/이름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서 입력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식재료의 무게와 명칭/이름이 모두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30)를 제어한다(S12).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되면, 제어부(350)는 상기 전송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판단한다(S13).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레시피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요리 이력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저장된 요리 이력에는 과거에 사용된 식재료의 명칭 및 무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마(10)에서 전송된 식재료의 명칭 및 무게 정보와 비교하여 요리 가능한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요리 가능한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두 디스플레이부(14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S14). 상기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복수개의 메뉴를 상기 도마(1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전송된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복수개의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레시피를 상기 두 디스플레이부(14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여 요리 과정을 안내한다(S15). 상기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레시피와 관련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함께 상기 도마(1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상기 스피커(150)는 상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레시피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한다. 도 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된 레시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 상기 도마(10)에 제공된 요리 가능한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등을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된 상기 도마(10)의 사용 이력 및 이를 통계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도마의 사용 전후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도마(10)의 사용 이력 및 이를 통계화한 데이터를 상기 두 디스플레이부(140, 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재료의 무게/양에 따라 요리 가능한 메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남아있는 식재료로 요리할 수 있는 메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마를 통해서도 레시피가 표시되므로 요리 과정에서 레시피의 확인 및 사용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마 30: 사용자 단말기
111: 상판 110: 무게감지센서
120: 사용자 입력부 130: 통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스피커
170: 제어부 310: 통신부
320: 메모리 330: 디스플레이부
350: 제어부

Claims (9)

  1. 도마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요리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마는,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와;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도마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레시피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도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 및 상기 메뉴의 레시피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증으로 하는 요리안내 시스템.
  6. 도마에 포함된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각 식재료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와;
    무게가 감지된 하나 이상의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식재료의 무게 정보를 상기 도마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근거로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레시피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가능한 메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재료의 명칭 및 상기 무게 정보를 기저장된 요리 이력과 비교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요리 가능한 복수개의 메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상기 도마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레시피를 상기 도마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안내 방법.
KR1020180014181A 2018-02-05 2018-02-05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0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81A KR20190100496A (ko) 2018-02-05 2018-02-05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81A KR20190100496A (ko) 2018-02-05 2018-02-05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496A true KR20190100496A (ko) 2019-08-29

Family

ID=6777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81A KR20190100496A (ko) 2018-02-05 2018-02-05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4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1028A1 (ja) * 2019-06-25 2020-12-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21153952A1 (ko) * 2020-01-31 2021-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77122A (ko) * 2021-11-25 2023-06-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세척을 하기 위한 스마트 도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1028A1 (ja) * 2019-06-25 2020-12-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922690B2 (en) 2019-06-25 2024-03-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21153952A1 (ko) * 2020-01-31 2021-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77122A (ko) * 2021-11-25 2023-06-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세척을 하기 위한 스마트 도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092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lerting cooking state of electric cooker
CN105929713A (zh) 烹饪电器的控制方法、装置和烹饪电器
KR10145708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식 요리 시스템
KR20190100496A (ko) 요리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37813B1 (ko)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주 디스플레이와 같은 방에 있는 후보 동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근접 검출
US11010320B2 (en) Cooking apparatus, cooking metho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cooking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nd cooking-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090132636A (ko) 발견된 디바이스 리스트를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12419693B (zh) 设备控制方法、装置、显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605170B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CN106647532B (zh) 烹饪设备的推荐方法和装置
CN105373003A (zh) 参数修正方法及装置
JP2017538240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52408B1 (ko) 조리기기를 위한 레시피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CN104635541A (zh) 电磁炉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20150312622A1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upnp
CN105278378A (zh) 信息提示方法和装置
US20150148925A1 (e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system
CN110680201A (zh) 网络系统、服务器及信息处理方法
US9704389B2 (en) Termina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EP2919030A1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CN108694009A (zh) 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10580136A (zh) 一种显示方法、设备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20238259A1 (en) Electrica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terminal
US11206186B2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KR10235126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