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820A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820A
KR20190099820A KR1020180019764A KR20180019764A KR20190099820A KR 20190099820 A KR20190099820 A KR 20190099820A KR 1020180019764 A KR1020180019764 A KR 1020180019764A KR 20180019764 A KR20180019764 A KR 20180019764A KR 20190099820 A KR20190099820 A KR 2019009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key
electronic key
electronic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830B1 (ko
Inventor
이호정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30B1/ko
Priority to PCT/KR2019/002072 priority patent/WO2019164264A1/en
Priority to US16/280,952 priority patent/US11250656B2/en
Publication of KR2019009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7C9/00023
    • G07C9/0003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를 들어, 뮤직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또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또는 통화,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단순한 통신 매체에서 커뮤니케이션, 유통, 인터넷 또는 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한 기기로 진화하면서 사회, 문화, 금융, 또는 유통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어락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카드 또는 포브 형태의 전자 기기로 이행해 왔던 도어락 제어 방식에서, 전자 장치가 전자 키를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어락과 통신할 수 있으며, 도어락에 전자 키를 전송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의 전자 키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 키가 용이한 절차로 발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로 발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자 장치 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장치도 전자 키를 용이하게 발급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접근하여, 전자 키를 획득하거나 전자 키를 삭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도어락(door lock)의 제 1 전자 키(electronic key)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us)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active status)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판독 가능(computer-readable) 저장(storage) 매체(medium)는,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키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가 전자 키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키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가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비로소 전자 키를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전자 키를 사용하기 위하여, 키 정보와 크리덴셜 정보가 모두 수신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임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키를 발급받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임의의 전자 장치에 접근하여 전자 키를 획득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7에서 키 정보 등록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7 및 도 13에서 크리덴셜 정보 수신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7에서 크리덴셜 정보 이용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시도들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모션 센서),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무선 통신 회로),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200)(예: 프로그램(14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프로그램 모듈(200)에 기반하여 구동하며, 외부 장치(208)(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210)(예: 어플리케이션(146)),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220), 프레임워크(framework)(230), 시스템 추상화 계층(system abstraction layer)(240), 보안 환경 계층(secure environment layer)(250) 및 인프라 추상화 계층(infra abstraction layer)(2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되거나, 외부 장치(208)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210)은 전자 장치에서 전자 키를 시각적으로 사용 또는 관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10)은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220)는 전자 키와 관련된 모든 기능을 일괄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220)는 API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예: 운영 체제(142))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230)는 외부 장치(208)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220) 사이에 상호 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230)는 전자 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208)(예: 전자 장치(104),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추상화 계층(240)은 외부 장치(208)와 보안 환경 계층(250) 사이에 상호 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추상화 계층(240)는 전자 키의 보안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208)와 통신할 수 있다. 보안 환경 계층(250)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보안 강화된 저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인프라 추상화 계층(250)은 전자 키를 사용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가 도어락(door-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락은 건물, 방(room), 차량, 보관함 등의 도어(door)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8)는 전자 키와 관련된 서비스 및 전자 키의 보안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8)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제공자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8)는 전자 키의 보안을 위해 보안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8)는 전자 키와 관련된 서비스 및 전자 키의 보안과 관련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8)는 전자 키와 관련된 서비스를 위한 제 1 서버와 전자 키의 보안과 관련된 서비스를 위한 제 2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어락의 전자 키와 관련하여, 키 정보와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키 정보는 전자 키와 연관된 정보로서, 전자 키의 속성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는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하도록 전자 키에 부여되는 비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리덴셜 정보는 패스워드, 인증서 또는 인증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정보와 크리덴셜 정보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전자 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호에 매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크리덴셜 정보를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없다.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에 존재하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도어락 오픈(open), 클로즈(close) 또는 초기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키 정보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서 크리덴셜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에 존재하면, 전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300)(예: 프로그램(140), 프로그램 모듈(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프로그램 모듈(300)에 기반하여 구동하며, 도어락(306)(예: 전자 장치(102)) 및 외부 장치(308, 309)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8, 309)는 서버(308)(예: 서버(108), 외부 장치(208))와 외부 전자 장치(309)(예: 전자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8)는 외부 전자 장치(309)와 통신하여, 전자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9)는 도어락(306)을 제조하거나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제공자, 호텔, 렌터카 업체, 택배 고객 등 전자 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전자 장치로서, 전자 키의 크리덴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00)은 일반 영역(301)과 보안 영역(3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00)은 어플리케이션(310)(예: 어플리케이션(146), 어플리케이션(21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3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220)), 프레임워크(330)(예: 프레임워크(230)), 시스템 추상화 계층(340)(예: 시스템 추상화 계층(240)), 보안 환경 계층(350)(예: 보안 환경 계층(250)) 및 인프라 추상화 계층(360)(예: 인프라 추상화 계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1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320), 프레임워크(330) 및 시스템 추상화 계층(240)은 일반 영역(301)에 제공되고, 보안 환경 계층(350)은 보안 영역(305)에 제공될 수 있다. 인프라 추상화 계층(360)은 일반 영역(301) 또는 보안 영역(3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키 정보(303)는 일반 영역(301)에 저장될 수 있다. 키 정보(303)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 도어락(306)의 식별 정보, 전자 키의 통신 방식, 전자 키의 명칭, 제공자에 따른 전자 키의 구분자,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전자 키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통신 방식은 전자 키 사용을 위한 전자 장치와 도어락(306) 간 통신 방식으로서,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블루투스 저전력(BT/BLE),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전자 키의 명칭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악 가능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자 키의 구분자는, 예컨대 제공자의 업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는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컨대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는 전자 키의 사용 가능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컨대 도어락의 위도와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에서 전자 키에 대응하는 크리덴셜 정보의 유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컨대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330)는 전자 키 매니지먼트(331), 키 정보 매니지먼트(332), 사용자 매니지먼트(333), 전자 키 공유 매니지먼트(334), 프록시미티 디텍터(335) 및 커넥티비티 매니지먼트(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 매니지먼트(331)는 전자 키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 키 매니지먼트(331)는 전자 키 별 통신 방식, 저장 위치, 발급 완료 또는 발급 대기를 나타내는 발급 상태, 도어락 정보 등의 바인딩을 제공할 수 있다. 키 정보 매니지먼트(332)는 키 정보(303)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매니지먼트(333)는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매니지먼트(333)는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 키 공유 매니지먼트(334)는 전자 키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와 공유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 디텍터(335)는 미리 정해진 반경 이내의 도어락(306)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 디텍터(335)는 전자 장치와 도어락(306) 사이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지먼트(336)는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에 대한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지먼트(336)는 전자 장치와 도어락(306)의 연결 또는 전자 장치와 서버(308)(예: 외부 장치(208))의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추상화 계층(340)은 크리덴셜 프로비저닝 매니저(341), 크리덴셜 매니저(342), 커넥션 매니저(343), 트랜잭션 매니저(344), 스토리지 매니저(345) 및 메시지 브로커(346)를 포함할 수 있다. 크리덴셜 프로비저닝 매니저(341)는 크리덴셜 정보(357)의 보안을 위한 암호 키(358)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크리덴셜 프로비저닝 매니저(341)는 암호 키(358)를 보안 환경 계층(350)에 전달할 수 있다. 크리덴셜 매니저(342)는 크리덴셜 정보(357)를 관리할 수 있다. 크리덴셜 매니저(342)는 서버(308)로부터 크리덴셜 정보(357)를 수신하여, 보안 환경 계층(350)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션 매니저(343)는 전자 장치를 위한 연결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커넥션 매니저(343)는 도어락(306) 또는 서버(3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세션을 연결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트랜잭션 매니저(344)는 크리덴셜 정보를 사용하고 전달하는 데 대한 트랙잭션을 트레이싱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니저(345)는 보안 환경 계층(250)에서 크리덴셜 정보(357)를 관리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니저(345)는 보안 환경 계층(250)에 크리덴셜 정보(357)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크리덴셜 정보(357)를 요청할 수 있다. 메시지 브로커(346)는 시스템 추상화 계층(340)과 서버(308) 사이에 보안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 환경 계층(350)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보안 강화된 저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환경은 eSE(embedded secure element)(351),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352),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354) 또는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3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EE(355)는 크리덴셜 정보(37) 및 암호 키(358)을 보안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보안 환경 계층(350)은 전자 키의 크리덴셜 정보(357)와 암호 키(358)를 저장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357)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 및 도어락(306)을 제어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하기 위한 비밀값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 키(358)는 크리덴셜 정보(357)의 보안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인프라 추상화 계층(360)은 전자 키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락(306)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361), 블루투스/블루투스 저전력(BT/BLE)(362), UWB(ultra wide band)(363), NFC(near field communication)(364)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3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iFi(361), 블루투스/블루투스 저전력(362) 및 UWB(363)는 일반 영역(301)에 제공되고, NFC(364) 및 MST(365)는 보안 영역(305)에 제공될 수 있다.
서버(308)는 전자 키 매니지먼트(371), 키 정보 매니지먼트(372), 사용자 매니지먼트(373), 전자 키 공유 매니지먼트(374), 추론 엔진(375) 및 제공자 매니지먼트(37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 매니지먼트(371)는 전자 키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 키 매니지먼트(371)는 전자 키 별 통신 방식, 저장 위치, 발급 완료 또는 발급 대기를 나타내는 발급 상태, 도어락 정보 등의 바인딩을 제공할 수 있다. 키 정보 매니지먼트(372)는 전자 키 별 키 정보(379)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매니지먼트(373)는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매니지먼트(373)는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할 수 있으며, SSO(single sign on)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키 공유 매니지먼트(374)는 전자 키를 외부 전자 장치에 공유시킬 수 있다. 전자 키 공유 매니지먼트(374)는 외부 전자 장치를 발견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전자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추론 엔진(375)은 전자 장치에 전자 키를 추천할 수 있다. 추론 엔진(375)은 전자 장치와 도어락(306)의 거리, 도어락(306)의 위치 또는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 전자 키를 추천할 수 있다. 제공자 매니지먼트(376)는 전자 키의 제공자(309)와 연관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308)는 전자 키의 사용자 정보(377), 제공자 정보(378) 및 키 정보(379)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8)는 크리덴셜 매니저 매니지먼트(381), 크리덴셜 프로비저닝 매니저(382), 보안 어플리케이션 매니지먼트(383) 및 액세스 컨트롤(384)을 포함할 수 있다. 크리덴셜 매니저 매니지먼트(381)는 전자 장치의 크리덴셜 매니저(342)를 관리할 수 있다. 크리덴셜 프로비저닝 매니저(382)는 전자 키 별 크리덴셜 정보의 보안을 위한 암호 키(385)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크리덴셜 보안 어플리케이션 매니지먼트(383)는 전자 장치의 보안 환경 계층(350)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다. 액세스 컨트롤(384)은 전자 장치를 위한 연결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액세스 컨트롤(343)은 전자 장치와 세션을 연결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서버(308)는 암호 키(385)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192)), 디스플레이와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메모리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는 스크롤링(scrolling)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정보는 제 1 도어락의 위치 데이터 또는 제 1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 카드와 연관된 제 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키에 대응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버튼의 선택을 감지하고,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키에 대응하는 노티피케이션을 표시하고, 노티피케이션의 선택을 감지하고,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요청,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401)(예: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400)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401)와 외부 장치(408)(예: 서버(108), 외부 장치(208), 서버(308))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외부 장치(408)로부터 도어락(예: 도어락(306))의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와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411 동작에서 외부 장치(408)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 없이,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와 함께,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와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413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401)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401)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401)는 415 동작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us)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417 동작에서 외부 장치(408)로부터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4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active statue)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401)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401)는 4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예: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401))의 동작 방법(500)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 1 전자 장치(501), 서버(508)(예: 외부 장치(308), 외부 장치(408)) 및 제 2 전자 장치(509)(예: 외부 전자 장치(309))가 통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서버(508)로부터 도어락(예: 도어락(306))의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와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509)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5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52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서버(508)가 523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509)와 서버(508)가 상호 협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2 전자 장치(509)가 서버(508)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제 2 전자 장치(509)의 사용자, 즉 제공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는 제 1 전자 장치(501)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가 제 2 전자 장치(509)에서 관리되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제 2 전자 장치(509)가 제 1 전자 장치(501)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는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에서 관리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제 2 전자 장치(509)가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509)가 키 정보를 등록한 다음, 서버(508)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508)가 제 2 전자 장치(509)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하여,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508)가 제 2 전자 장치(509)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8)는 제 1 전자 장치(501)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501)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501)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키 정보의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501)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고, 키 정보의 다른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501) 또는 제 2 전자 장치(509) 중 다른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에서 관리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서버(508)가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508)가 키 정보를 결정한 다음, 제 2 전자 장치(509)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509)가 서버(508)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하여,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25 동작에서 서버(508)로부터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27 동작에서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29 동작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는 제 1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 요청 또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31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는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 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전자 장치(501) 사용자의 요청, 제 2 전자 장치(509)의 요청, 제 1 전자 장치(501)와 도어락의 거리, 키 정보 내 시간 데이터 또는 키 정보 내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531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501)는 533 동작에서 제 2 전자 장치(509)에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제 2 전자 장치(509)에 직접적으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 1 전자 장치(501)는 서버(508)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509)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35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537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508)는 539 동작에서 제 1 전자 장치(501)와 제 2 전자 장치(509) 사이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2 공개 키를 교환할 수 있다. 서버(508)는 제 1 전자 장치(501)로부터 제 1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제 2 전자 장치(509)로 제 1 공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8)는 제 2 전자 장치(509)로부터 제 2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제 1 전자 장치(501)로 제 2 공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541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9)는 서버(508)에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43 동작에서 서버(508)로부터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45 동작에서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547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501)는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는, 크리덴셜 정보가 수신되면, 발생되거나, 제 1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 요청 또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601)(예: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401))의 동작 방법(600)을 위한 신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 1 전자 장치(601), 서버(608)(예: 외부 장치(308), 외부 장치(408)) 및 제 2 전자 장치(609)(예: 외부 전자 장치(309))가 통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서버(608)로부터 도어락(예: 도어락(306))의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와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609)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6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62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서버(608)가 623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609)와 서버(608)가 상호 협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2 전자 장치(609)가 서버(608)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제 2 전자 장치(609)의 사용자, 즉 제공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는 제 1 전자 장치(601)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는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에서 관리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제 2 전자 장치(609)가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609)가 키 정보를 등록한 다음, 서버(608)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608)가 제 2 전자 장치(609)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하여,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608)가 제 2 전자 장치(609)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608)는 제 1 전자 장치(601)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601)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601)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키 정보의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601)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고, 키 정보의 다른 일부는 제 1 전자 장치(601) 또는 제 2 전자 장치(609) 중 다른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에서 관리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서버(608)가 외부 장치로부터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608)가 키 정보를 결정한 다음, 제 2 전자 장치(609)에 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609)가 서버(608)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하여,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25 동작에서 서버(608)로부터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27 동작에서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29 동작에서 제 2 전자 장치(609)에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제 2 전자 장치(609)에 직접적으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 1 전자 장치(601)는 서버(608)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609)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31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633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608)는 635 동작에서 제 1 전자 장치(601)와 제 2 전자 장치(609) 사이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2 공개 키를 교환할 수 있다. 서버(608)는 제 1 전자 장치(601)로부터 제 1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제 2 전자 장치(609)로 제 1 공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608)는 제 2 전자 장치(609)로부터 제 2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제 1 전자 장치(601)로 제 2 공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637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9)는 서버(608)에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39 동작에서 서버(608)로부터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41 동작에서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64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1)는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는, 크리덴셜 정보가 수신되면, 발생되거나, 제 1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 요청 또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의 동작 방법(7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7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1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도어락(예: 도어락(306))의 식별 정보, 전자 키의 통신 방식, 전자 키의 명칭, 제공자에 따른 전자 키의 구분자,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전자 키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통신 방식은 전자 키 사용을 위한 전자 장치와 도어락 간 통신 방식으로서, 예컨대 WiFi, 블루투스/블루투스 저전력, UWB, NFC 또는 M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키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이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3은 도 7에서 키 정보 등록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31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예: 외부 장치(408), 서버(508), 서버(608))로부터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313 동작에서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315 동작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317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지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키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317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1317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1319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이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전자 장치는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71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현재 위치와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 내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현재 시간과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현재 시간이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즉 유효 기간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는 제스처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고 있지 않거나,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이 표시되거나,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제스처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스처 입력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전자 카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전자 키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 가능한 전자 키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표시 장치를 통해 사용 가능한 전자 키의 존재를 통지한 다음, 사용자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에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거나,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티피케이션에 전자 키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버튼이 선택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전자 키를 표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71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표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715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가 전자 장치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 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표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시간이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즉 유효 기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표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715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717 동작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가 비활성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의 디밍을 표시 장치에 설정된 디밍 보다 어둡게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7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71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가 7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717 동작에서 전자 키가 비활성 상태로 표시되면, 전자 장치가 7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미리 결정된 조건의 부합 여부에 따라, 전자 키를 활성화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키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의 요청,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509), 제 2 전자 장치(609))의 요청, 전자 장치와 전자 키에 대응하는 도어락의 거리,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719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화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721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는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하도록 전자 키에 부여되는 비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리덴셜 정보는 패스워드, 인증서 또는 인증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크리덴셜 정보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키 정보에 매핑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이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4는 도 7 및 도 13에서 크리덴셜 정보 수신 동작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411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직접적으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13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15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에 제 1 공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17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 2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19 동작에서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21 동작에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23 동작에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25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키 정보에 매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427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설정한 후에,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72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키와 연관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키를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키의 디밍을 표시 장치에 설정된 디밍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725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어락에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사용하는 동작이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5a는 도 7에서 크리덴셜 정보 사용 동작의 한 예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한 예로, 전자 장치와 도어락 간 통신 방식이 NFC일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가 1511 동작에서 도어락으로부터 크리덴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도어락에 태깅되면, 도어락이 전자 장치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도어락은 전자 장치의 도어락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513 동작에서 도어락에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와 도어락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전자 키가 도어락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키가 도어락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가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해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513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해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1515 동작에서 도어락에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부터 크리덴셜 정보가 수신되면, 도어락이 크리덴셜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락은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클로즈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으고, 초기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한 후에,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1511 동작에서 도어락으로부터 크리델셜 정보가 요청되지 않거나, 1513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어락에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도 15b는 도 7에서 크리덴셜 정보 사용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와 도어락 간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 저전력일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521 동작에서 도어락과 통신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523 동작에서 도어락에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와 도어락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전자 키가 도어락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키가 도어락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가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해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523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해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1525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어락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1527 동작에서 도어락에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가 수신되면, 도어락이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락이 크리덴셜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락은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클로즈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으고, 초기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한 후에, 도 7로 리턴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509, 609))의 동작 방법(16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는 161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키에 대응하여,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는 전자 키의 식별 정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도어락(예: 도어락(306))의 식별 정보, 전자 키의 통신 방식, 전자 키의 명칭, 제공자에 따른 전자 키의 구분자, 전자 키의 시간 데이터, 전자 키의 위치 데이터 또는 전자 키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키의 통신 방식은 전자 키 사용을 위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와 도어락 간 통신 방식으로서, 예컨대 WiFi, 블루투스/블루투스 저전력, UWB, NFC 또는 M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키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13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크리덴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크리덴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로부터 크리덴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15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키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17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에 제 2 공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19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 1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21 동작에서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23 동작에서 암호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생성하고, 암호 키를 이용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1625 동작에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장치(예: 외부 장치(408), 서버(508), 서버(608))의 동작 방법(17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외부 장치는 1711 동작에서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1713 동작에서 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에 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키 정보에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1715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 및 제 2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공개 키를 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509), 제 2 전자 장치(609))로부터 제 2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1717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 및 제 2 공개 키를 교환시킬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에 제 2 공개 키를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제 1 공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1719 동작에서 전자 키와 관련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1721 동작에서 암호회된 크리덴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로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717 동작 또는 723 동작에서 전자 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는 제스처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키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다수개의 전자 키들, 예컨대 제 1 전자 키와 제 2 전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 1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는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 2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는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네트워크 환경(1800)(예: 네트워크 환경(100))의 한 예에 대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800)에서 전자 장치(1800)(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 서버(1808)(예: 외부 장치(408), 서버(508), 서버(608)) 및 호텔(1809)(예: 제 2 전자 장치(509), 제 2 전자 장치(609))가 통신할 수 있다. 호텔(1809)은 적어도 하나의 호텔 방(room)을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1821 동작에서 호텔(1809)에 호텔 방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원하는 체크 인 날짜, 체크 아웃 날짜, 호텔 방 구분 등에 기반하여, 호텔 방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호텔(1809)은 182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 대응하여 호텔 방 예약을 확인할 수 있다. 호텔(1809)은 전자 장치(1800)에서 원하는 체크 인 날짜, 체크 아웃 날짜, 호텔 방 구분 등에 기반하여, 호텔 방을 할당할 수 있다. 호텔(1809)은 1825 동작에서 예약된 호텔 방의 방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서버(1808)에 전송하고, 서버(1808)가 1827 동작에서 키 정보를 전자 장치(18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1829 동작에서 방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1831 동작에서 호텔(1809)에 예약된 호텔 방에 체크 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1833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하고, 호텔(1809)은 1835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가 예약된 호텔 방의 체크 인 날짜에 체크 인을 요청한 경우, 호텔(1809)이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808)는 1837 동작에서 전자 장치(1800)와 호텔(1809)의 제 1 공개 키와 제 2 공개 키를 상호에 교환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800)가 제 1 공개 키를 제 2 서버(1813)에 전송하고, 호텔(1809)이 제 2 공개 키를 서버(1808)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버(1808)가 제 2 공개 키를 전자 장치(1800)에 전송하고, 제 1 공개 키를 호텔(1809)에 전송할 수 있다. 호텔(1809)은 1839 동작에서 예약된 방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서버(1808)에 전송하고, 서버(1808)는 1841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전자 장치(1800)에 전송할 수 있다. 호텔(1809)은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1843 동작에서 방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0)는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19는 네트워크 환경(1900)(예: 네트워크 환경(100))의 다른 예에 대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900)에서 전자 장치(1900)(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 서버(1908)(예: 외부 장치(408), 서버(508), 서버(608)) 및 렌터 카 업체(1909)(예: 제 2 전자 장치(509), 제 2 전자 장치(609))가 통신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적어도 하나의 렌터 카를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1921 동작에서 렌터 카 업체(1909)에 렌터 카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원하는 렌트 개시일, 렌트 종료일, 차종 등에 기반하여, 렌터 카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192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 대응하여 렌터 카 예약을 확인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전자 장치(1900)에서 원하는 렌트 개시일, 렌트 종료일, 차종 등에 기반하여, 렌터 카를 할당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1925 동작에서 예약된 렌터 카의 차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서버(1908)에 전송하고, 서버(1908)가 1927 동작에서 키 정보를 전자 장치(19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1929 동작에서 차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1931 동작에서 렌터 카 업체(1909)에 예약된 차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1933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하고, 렌터 카 업체(1909)는 1935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가 예약된 렌터 카의 렌트 개시일에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한 경우, 렌터 카 업체(1909)가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908)는 1937 동작에서 전자 장치(1900)와 렌터 카 업체(1909)의 제 1 공개 키와 제 2 공개 키를 상호에 교환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900)가 제 1 공개 키를 서버(1908)에 전송하고, 렌터 카 업체(1909)는 제 2 공개 키를 서버(1908)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버(1908)가 제 2 공개 키를 전자 장치(1900)에 전송하고, 제 1 공개 키를 렌터 카 업체(1909)에 전송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1939 동작에서 예약된 차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서버(1908)에 전송하고, 서버(1908)는 1941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전자 장치(1900)에 전송할 수 있다. 렌터 카 업체(1909)는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1943 동작에서 방(room)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20은 네트워크 환경(2000)(예: 네트워크 환경(100))의 다른 예에 대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0)에서 전자 장치(2000)(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 서버(2008)(예: 외부 장치(408), 서버(508), 서버(608)) 및 택배 고객(2009)(예: 제 2 전자 장치(509), 제 2 전자 장치(609))가 통신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은 미리 택배 업체에 택배의 수거 및 배송을 의뢰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은 자택, 사무실 등의 택배 보관 장소에 택배를 보관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은 원하는 택배 수거일, 택배 배송일, 택배 보관 장소의 주소, 택배 물품 종류 등에 기반하여, 택배의 수거 및 배송을 의뢰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2021 동작에서 택배 고객(2009)에 택배 수거를 위한 방문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는 202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 대응하여 방문 예약을 확인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는 2025 동작에서 예약된 택배 보관 장소의 전자 키와 연관된 키 정보를 서버(2008)에 전송하고, 서버(2008)가 2027 동작에서 키 정보를 전자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2029 동작에서 전자 키를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2031 동작에서 택배 고객(2009)에 예약된 택배 보관 장소의 도어락 오픈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2033 동작에서 제 1 공개 키와 제 1 비밀 키를 생성하고, 택배 고객(2009)은 2035 동작에서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가 예약된 택배 보관 장소의 택배 수거일에 도어락 오픈을 요청한 경우, 택배 고객(2009)이 제 2 공개 키와 제 2 비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8)는 2037 동작에서 전자 장치(2000)와 택배 고객(2009)의 제 1 공개 키와 제 2 공개 키를 상호에 교환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0)가 제 1 공개 키를 서버(2008)에 전송하고, 택배 고객(2009)이 제 2 공개 키를 서버(2008)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버(2008)가 제 2 공개 키를 전자 장치(2000)에 전송하고, 제 1 공개 키를 택배 고객(2009)에 전송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은 2039 동작에서 예약된 전자 키와 관련된 크리덴셜 정보를 서버(2008)에 전송하고, 서버(2008)는 2041 동작에서 크리덴셜 정보를 전자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택배 고객(2009)은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2 비밀 키에 기반하여, 크리덴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2043 동작에서 방 키를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공개 키, 제 2 공개 키 및 제 1 비밀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된 크리덴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 제 1 전자 장치(501), 제 1 전자 장치(601))의 동작 방법은,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에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정보는 제 1 도어락의 위치 데이터 또는 제 1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판독 가능(computer-readable) 저장(storage) 매체(medium)는,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그램들은,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그램들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또는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도어락(door lock)의 제 1 전자 키(electronic key)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us)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active status)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gesture input)을 수신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는 스크롤링(scrolling)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도어락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 카드와 연관된 제 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에 대응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의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에 대응하는 노티피케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노티피케이션의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요청,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도어락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도어락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전자 키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 또는 시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판독 가능(computer-readable) 저장(storage) 매체(medium)에 있어서,
    제 1 도어락의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전자 키와 연관된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전자 키와 관련된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들은,
    제 2 도어락의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키의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키와 연관된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크리덴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 전자 키의 활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실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들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제스처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상기 제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스크롤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실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80019764A 2018-02-20 2018-02-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64A KR102483830B1 (ko) 2018-02-20 2018-02-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CT/KR2019/002072 WO2019164264A1 (en) 2018-02-20 2019-02-20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6/280,952 US11250656B2 (en) 2018-02-20 2019-02-20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64A KR102483830B1 (ko) 2018-02-20 2018-02-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20A true KR20190099820A (ko) 2019-08-28
KR102483830B1 KR102483830B1 (ko) 2023-01-03

Family

ID=6761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64A KR102483830B1 (ko) 2018-02-20 2018-02-20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0656B2 (ko)
KR (1) KR102483830B1 (ko)
WO (1) WO20191642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64A (ko) * 2019-11-27 2021-06-04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보안 모듈을 이용한 모바일 출입 인증용 크리덴셜 관리 시스템
KR20230010333A (ko) * 2021-07-12 2023-01-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초광대역 센서 기반 항만 물류 컨테이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530B1 (ko) * 2019-01-02 2022-10-11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170591B2 (en) * 2019-11-19 2021-11-09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unlocking a lock associated with an enclosed space within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3111A1 (en) * 2013-06-17 2014-12-18 Yale Security Inc. Virtual key ring
KR20160050936A (ko) * 2014-10-31 2016-05-11 류운선 도어락을 개폐제어하는 임차인용 키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US20170103647A1 (en) * 2015-10-10 2017-04-13 Videx, In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an access credential in an access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2314A1 (en) * 2012-06-22 2013-12-26 Gun Chen Smart lock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51534B2 (en) * 2013-03-15 2017-09-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state
JP6303797B2 (ja) 2014-05-15 2018-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
US9773364B2 (en) * 2014-07-28 2017-09-26 Dan Kerning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audio/video analytics and access control authentication
KR101834337B1 (ko) * 2015-06-15 2018-03-05 김범수 이중 인증 기반의 전자 키 및 전자식 잠금장치
KR20160147340A (ko)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726356B1 (ko) 2015-11-17 2017-04-12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모바일 앱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8415A (ko) 2015-12-29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231234B (zh) * 2016-03-25 2020-06-0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身份注册方法及装置
US10574660B2 (en) * 2016-06-23 2020-02-25 Airwatch, Llc Continuous sensitive content authentication
KR102652180B1 (ko) 2016-12-27 2024-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 잠금 장치 해제 방법
KR20180105819A (ko) 2017-03-16 201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룰을 이용한 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2191B1 (ko) 2017-03-16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3111A1 (en) * 2013-06-17 2014-12-18 Yale Security Inc. Virtual key ring
KR20160050936A (ko) * 2014-10-31 2016-05-11 류운선 도어락을 개폐제어하는 임차인용 키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US20170103647A1 (en) * 2015-10-10 2017-04-13 Videx, In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an access credential in an access control system
US9847020B2 (en) * 2015-10-10 2017-12-19 Videx, In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an access credential in an access contro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64A (ko) * 2019-11-27 2021-06-04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보안 모듈을 이용한 모바일 출입 인증용 크리덴셜 관리 시스템
KR20230010333A (ko) * 2021-07-12 2023-01-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초광대역 센서 기반 항만 물류 컨테이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0656B2 (en) 2022-02-15
WO2019164264A1 (en) 2019-08-29
KR102483830B1 (ko) 2023-01-03
US20190259233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8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key thereof
CN108595970B (zh) 处理组件的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192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KR20190134922A (ko) 허브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를 서버에 연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8383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0580B1 (ko) 다른 전자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1512618B (zh) 发送和接收包括表情符号的消息的电子设备以其控制方法
CN110597924B (zh) 基于区块链的用户标识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805293B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80066786A (ko)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EP4262146A1 (en) Iot device and method for onboarding iot device to server
KR102501245B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94534B2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key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1032099B2 (en)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00068068A (ko) IoT 장치를 등록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KR20190091080A (ko) 상점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243231B1 (ko)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관리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인증 시스템
KR20220091970A (ko)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서버
CN118102295A (zh) 一种通信方法以及电子设备
KR20190044815A (ko) 보안 서비스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868721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90089542A (ko) 외부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6076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50047920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의 잠금 제어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