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581A - 현관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581A
KR20190099581A KR1020180019173A KR20180019173A KR20190099581A KR 20190099581 A KR20190099581 A KR 20190099581A KR 1020180019173 A KR1020180019173 A KR 1020180019173A KR 20180019173 A KR20180019173 A KR 20180019173A KR 20190099581 A KR20190099581 A KR 2019009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device
front door
foreign material
material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629B1 (ko
Inventor
김명상
유수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6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현관 공간에 위치하고,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이물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 청소 장치{ENTRANC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 바닥의 흙이나 먼지, 현관문을 개방 시 외부에서 현관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은 현관을 오염시키고, 실내공간으로 병균이나 오염물질이 유입시키므로 현관을 수시로 청소해야 한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201호, "현관용 흙먼지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현관용 흙먼지 흡입장치는 현관의 굽도리 부위에 설치하여 현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브러시형 흡입부재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현관의 굽도리 부위에 흡입장치를 상시 설치해 두어야 함으로써 현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고, 심플한 구성을 가지는 현관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이물 흡입부를 포함하여, 현관 공간의 바닥면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는, 이동부와 이물 흡입부를 이동시켜 현관 공간의 바닥면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하고, 이물질을 흡입한 후 이동부와 이물 흡입부를 본체부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현관 공간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 흡입부를 통해 현관 공간에 집적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를 통해 이물 흡입부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이물 흡입부를 미 사용시 이물 흡입부와 이동부를 내부에 보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물 흡입부와 이동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의 수납 공간을 통해 협소한 현관 공간에서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현관 공간에 설치되는 현관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서랍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미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현관 공간에 설치되는 현관 청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관 공간(3)은 현관문(1)과 현관 바닥(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은 사용자가 외부로 외출을 하거나, 외출 후 귀가 시 통과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관 공간(3)에는 가구(4)와 신발장(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구(4)와 상기 신발장(5) 각각에는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4)와 상기 신발장(5) 각각에는 상기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도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가구(4), 상기 신발장(5) 등 상기 현관 공간(3)에 설치되는 가구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가구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신발을 벗고 실내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은 상기 현관문(1)의 개폐에 여부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현관문(1)이 개방 시 외부로부터 상기 현관 공간(3)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통해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현관 공간(3)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현관 공간(3)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가 실내 공간에 배치될 경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구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서랍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는 서랍부(20)와, 본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기 서랍부(2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서랍부 본체(21)와, 표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는 전면부(211)와, 측면부(212)와, 배면부(213)와, 저면부(214)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는 상면이 개구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물품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상기 현관 공간(3)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도구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11)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2)는 복수개로 제공되며,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201)의 양 측면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214)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저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배면부(213)는 상기 저장 공간(201)의 배면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2)와 상기 본체부(30)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 본체(21)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저장 공간(201)에는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저장 공간(20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면부(21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보관되는 물품 중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201)에는 무선 청소기가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서랍부 본체(21)의 전면부(21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며,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22)는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 상태, 후술할 이물 흡입부(50)의 작동 상태, 이물질의 저장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서랍 삽입 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은 상기 본체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에는 상기 서랍부 본체(2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은 상기 서랍부 본체(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20)는 상기 서랍 삽입 공간(301) 내에서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이동부(40)와 이물 흡입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미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작동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는 현관 바닥(2)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높이(H)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와 상기 현관 바닥(2)의 사이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는 상기 이동부(40)의 이동과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회동을 고려하여 일정한 높이(H)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한 높이(H)는 상기 현관 바닥(2)으로부터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까지의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복수개로 제공되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는 상기 이동부(40)가 수용되는 이동 가이드(31)와,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수용되는 삽입 가이드(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선택적으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복수의 이동부(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에서 상기 현관 바닥(2)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분리하여 버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공간(3)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에서 청소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은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서랍부(20)에 수납된 청소 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를 작동하면,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된 이동부(40)가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이동 가이드(31)에 수용된 이동부(40)가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에서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40)에 연결된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와 함께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까지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40)가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가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작동되어 상기 현관 공간(3)에 비산되어 있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로부터 상기 현관 바닥(2)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관 공간(3)에 비산된 이물질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모두 흡입한 후, 상기 이물 흡입부(50) 및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이동부(40)에 대해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불 필요하게 상기 이동부(40) 및 상기 이물 흡입부(50)가 상기 현관 청소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물 흡입부(50)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유입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와 상기 이동부(40)가 연결되는 일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이물 저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분리되어,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필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상기 유입구(51)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상기 이물 저장부(5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후술할 유동 발생부(54) 및 토출구(55)로 이물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고, 필터링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유동 발생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부(54)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부(54)는 팬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팬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팬의 회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토출구(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상기 유입구(51)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는 하나 이상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커버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6)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6)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개구된 일면은 상기 이물 흡입부(50)로부터 탈착된 이물 저장부(52) 및 필터부(53)를 회수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5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이물 저장부(52) 및 상기 필터부(53)를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56)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상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개폐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유입구(51)와 상기 이물 저장부(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7)는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동작이 중단되어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흡입력이 미 발생될 경우에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7)가 폐쇄될 경우,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된 이물질은 상기 개폐부(57)에 의해 상기 유입구(51)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57)는 박막으로 제공되어, 상기 유동 발생부(54)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물 흡입부(50)는 상기 유입구(51), 상기 이물 저장부(52), 상기 필터부(53), 상기 유동 발생부(54) 및 상기 토출구(55)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공간(3) 및 상기 현관 바닥(2)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상기 유입구(51)를 통해 상기 이물 흡입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물 저장부(52)와 상기 필터부(5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53)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이물 저장부(5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3)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5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현관 청소 장치(10)에 의하면 현관 공간(3) 및 현관 바닥(2)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관 청소 장치(10)에 저장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2 현관 바닥 3 현관 공간
10 현관 청소 장치 20 서랍부
30 본체부 40 이동부
50 이물 흡입부

Claims (10)

  1. 현관 공간에 위치하고,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현관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이물 흡입부를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가 수용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물 흡입부가 수용되는 삽입 가이드가 형성되는 현관 청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흡입부를 미 작동 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이물 흡입부는 상기 이동 가이드와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에 수용되는 현관 청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흡입부를 작동 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가이드의 안내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물 흡입부는 현관 공간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하는 현관 청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흡입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포함되는 현관 청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흡입부에는, 상기 이물 흡입부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현관 청소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이물 저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이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이물질이 상기 유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부가 더 포함되는 현관 청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현관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는 현관 청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물 흡입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현관 청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 거리는 상기 일정한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청소 장치.
KR1020180019173A 2018-02-19 2018-02-19 현관 청소 장치 KR10236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73A KR102360629B1 (ko) 2018-02-19 2018-02-19 현관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173A KR102360629B1 (ko) 2018-02-19 2018-02-19 현관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581A true KR20190099581A (ko) 2019-08-28
KR102360629B1 KR102360629B1 (ko) 2022-02-09

Family

ID=6777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73A KR102360629B1 (ko) 2018-02-19 2018-02-19 현관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837A (ko) 2021-10-20 2023-04-28 주식회사 힘펠 현관 청정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5470A1 (de) * 2001-07-20 2003-02-1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Integrierter Staubsauger
US7152272B2 (en) * 2003-07-14 2006-12-26 Royal Appliance Mfg. Co. On-board vehicle vacuum cleaner
KR20100095307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JP2011027270A (ja) * 2009-07-21 2011-02-10 Sekisui Chem Co Ltd 花粉除去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30105113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5470A1 (de) * 2001-07-20 2003-02-1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Integrierter Staubsauger
US7152272B2 (en) * 2003-07-14 2006-12-26 Royal Appliance Mfg. Co. On-board vehicle vacuum cleaner
KR20100095307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JP2011027270A (ja) * 2009-07-21 2011-02-10 Sekisui Chem Co Ltd 花粉除去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30105113A (ko) * 2012-03-16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837A (ko) 2021-10-20 2023-04-28 주식회사 힘펠 현관 청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629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0954A4 (en) Cleaning apparatus
US9192272B2 (en) Robot cleaner and dust discharge station
JP6522905B2 (ja) 電気掃除機
JP6010722B2 (ja) ロボット掃除機、塵埃排出ステーション及び多段サイクロン掃除機
KR101536542B1 (ko) 청소 로봇
KR20150125223A (ko) 청소기
JP2021078685A (ja) 電気掃除機
US20230136405A1 (en) Vacuum cleaner
KR20190099581A (ko) 현관 청소 장치
CN101534692A (zh) 真空清洁方法
CN111904323B (zh) 积灰底座和具有其的清洁设备总成
JP7416733B2 (ja) 電気掃除機
JP2004351268A (ja) 電気掃除機
CN210541318U (zh) 一种垃圾桶式吸尘器
CN110123202B (zh) 一种垃圾桶式吸尘器
KR102432160B1 (ko) 현관 청소 장치
JP3584711B2 (ja) 押し入れの集塵構造
KR20150006502A (ko) 악취제거용 크린룸
KR20080001230U (ko) 보관함을 구비한 무선진공청소기
KR20060068791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