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94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943A
KR20190098943A KR1020190099736A KR20190099736A KR20190098943A KR 20190098943 A KR20190098943 A KR 20190098943A KR 1020190099736 A KR1020190099736 A KR 1020190099736A KR 20190099736 A KR20190099736 A KR 20190099736A KR 20190098943 A KR20190098943 A KR 20190098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unit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060B1 (ko
Inventor
김근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777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479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0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투입구를 구비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과 부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드럼이 회전 가능 하도록 상기 드럼과 분리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교반부가 드럼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위에 따라 드럼의 회전여부를 결정하여 의류의 꼬임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대형 의류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많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을 수 있다. 이때,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보조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탑로트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필요에따라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량의 세탁물을 수시로 세탁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였다.
한편,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럼의 바닥면에 교반부(펄세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교반부는 어느 하나만 회전하거나, 상기 드럼과 교반부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에 강한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그런데,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되는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물과 의류의 부피비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반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가 상기 드럼과 마찰 또는 접촉되므로 의도치 않게 상기 드럼을 상기 교반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즉, 교반부가 회전할 때 드럼도 같이 따라 회전하여 의류에 충분한 물리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의류에 적합한 수류가 전달되지 않아 의류의 꼬임이 심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의류의 꼬임현상은 의류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드럼의 편심현상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탈수행정시에는 의류가 더 심각하게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의류의 손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행정에서 의류의 꼬임이 발생하면 세제가 의류 전체에 투입되지 않거나, 의류의 이물질이 이탈하지 않아 세척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드럼을 지속적으로 고정하게 되면, 상기 의류의 탈수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을 고정하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이 구성이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탑로드 의류처리장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높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구성을 설치하게 되면 그만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높이가 상승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방해하거나, 세탁용적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터브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교반부가 회전할 때 드럼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꼬임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에 물이 일정 수위 이하인 상태에서는 교반부와 드럼을 함께 회전하여 의류의 꼬임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행정에서 교반부를 회전시키더라도 드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서 탈수행정에서 교반부를 회전시킬 때 드럼을 상기 교반부와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기 드럼의 고정 및 회전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투입구를 구비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과 부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드럼이 회전 가능 하도록 상기 드럼과 분리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드럼에 부착되어도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축수용부가 결합되는 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수용부가 관통하며 상기 축고정부의 하부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축수용부가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암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바디는 상기 허브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 상기 허브, 상기 터브의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잠금바디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요철부와, 상기 허브의 하부에서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직경/형상)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부는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요철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결속부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안착부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이상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홀과,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며,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드럼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터와 연결된 축바디와, 상기 축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허브에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제1기어를 구비하는 축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허브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축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주면에 제2기어를 구비하는 허브기어를 포함하는 축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축기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축기어부와 상기 허브기어 사이에 삽입될 때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4기어를 구비하는 커플링기어와, 상기 커플링기어의 상부 또는 외주면에서 상기 허브기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기어를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링은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디스크는 상기 이동부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는 지지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 또는 공기를 상기 승강부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부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브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교반부가 회전할 때 드럼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꼬임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에 물이 일정 수위 이하인 상태에서는 교반부와 드럼을 함께 회전하여 의류의 꼬임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행정에서 교반부를 회전시키더라도 드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에서 탈수행정에서 교반부를 회전시킬 때 드럼을 상기 교반부와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터브의 수위에 따라 상기 드럼의 고정 및 회전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 교반부,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커플링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커플링이 수위에 따라 상승하고 하강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승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승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승강부가 수위에 따라 상승하고 하강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커플링 및 승강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또다른 실시예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커플링 및 승강부가 승강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승강부 및 커플링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부력발생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는 상부 또는 상부면에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12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은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드럼투입구(1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 또는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터브(120)와 드럼(140)는 너비보다 높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20)와 드럼(140)은 높이가 직경보다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부에 메인의류처리장치 또는 다른 보조의류처리장치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개구부(11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드로워(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상기 드로워(190)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19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상기 드로워(19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90)는 상기 캐비닛(110)의 개구부(11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전방패널(191)과 상기 전방패널(191)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터브(120)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93)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93)은 상부면에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할 수 있는 개방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헹굼, 탈수 등을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92)은 상기 전방패널(19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드로워(19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92)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2a)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92b)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2a)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92a)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알림사항이 있을 때 알람을 울릴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터브(12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너비에 비해 낮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120)에 공급되는 물이나 의류, 세제가 상기 투입구(121)로 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투입구(121)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하우징(193) 또는 상기 터브(120)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은 상기 투입구(1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2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윈도우(133)와, 상기 프레임 및 윈도우가 상기 투입구(121)를 폐쇄하였을 때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5)에는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핸들(13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30)는 상기 프레임(13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투입구(121)의 폐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어바디(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160)와, 상기 터브(120)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6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1)과, 상기 급수관(161)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급수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상기 터브(130)의 하부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173)과, 상기 배수관(173)의 물을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71)와, 상기 배수펌프(171)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이 물을 캐비닛(110)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20)를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에서 지지하고, 상기 터브(1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감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0)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도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터브(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터브(1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81)와, 상기 터브(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82)와, 상기 제1지지부(181)와 상기 제2지지부(182)를 연결하는 연결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81)는 상기 제2지지부(182)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83)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18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부(18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12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81)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드로워(19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1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82)는 상기 터브(12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다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83)는 지면 또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144)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140)의 높이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83)를 포함한 지지부(18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 상기 터브(120)의 세탁용적을 더 확장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제1지지부(281)를 관통하여 안착되는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지지부(182)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제2연결부(183b)와 상기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연결부(183b)을 연결하는 연결바(18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연결부(183b)는 상기 연결바(183c)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원판, 반구 및 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183)가 상기 제1지지부(181) 및 상기 제2지지부(182)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의 일측에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S)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터브(2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센서(S)는 상기 터브(120)의 일측과 연통하여 상기 터브(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센서관(S1) 및 상기 센서관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다이오드(S2)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터브(1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위센서(S)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에 대응하는 제1수위(I)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후술하는 교반부(600)와 대응하는 제2수위(II)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위(I)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과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 사이의 수위와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위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에서 상기 교반부(600) 사이의 수위와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수위(II)는 상기 교반부(600)가 공기로 노출되는 수위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140)을 상기 터브(120)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127)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10)와, 상기 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0),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회전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14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투입구(1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의 편심을 방지하는 밸런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내주면에 상기 터브(120)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30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14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30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중공(145)으로 배출하는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바닥면(144)은 관통홀(144a)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144a)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교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140)와 별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교반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140)과 별도로 상기 드럼(14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함으로써 의류를 세탁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드럼(140) 내부에 강력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터브(120)에 물과 의류가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120)에 물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하면 상기 의류가 상기 교반부(6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과 세제를 통해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수용되지 않거나,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드럼(14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심력을 발생시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를 여러 상황에 따라 상기 드럼(140)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140)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구비되면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터브(120)의 세탁용적이 축소될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어 제어부의 부하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추가적인 구성이나 별도의 제어가 필요한 구성을 생략하더라도 상기 교반부(600)와 드럼(140)의 회전의 제어가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상기 터브(12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의 회전여부가 결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 등의 구성을 생략하고, 추가적인 상기 교반부(600) 및 드럼(140)의 회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생략할 수 있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교반부(600)는 본체를 이루는 교반부바디(610)와, 상기 교반부바디의 중심에 구비되는 중심부(611)와, 상기 중심부(611)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암(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본체를 이루는 드럼바디(143)와, 상기 드럼바디(143)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드럼바닥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143)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바닥면(144)은 내주면에 전술한 관통홀(144a)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140)은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결합된다면 상기 교반부(600)와 별개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드럼(140)은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30)과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로터(320)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하는 축바디(331)와, 상기 교반부(60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축기어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축바디(331) 또는 상기 축기어부(332)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축수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 중 적어도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되,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관(341)과, 상기 수용관(34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드럼(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용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상기 드럼(140)에 직접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구동부(300)사이 또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1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링(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회전축(331)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회전축(3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강성보강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교반부(6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과정은 상기 터브(220)의 수위가 상기 제2수위(II)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의류의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은 상기 제2수위(II) 또는 상기 제1수위(I)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세탁과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탈수과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1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반부(600)의 독자적인 회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축수용부(330)가 결합되고 상기 드럼(140)의 관통홀(144a)의 둘레에 결합되는 축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스테이터(310)와 상기 로터(320)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축수용부(340)로 인해 상기 축고정부(40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에서 자유 회전하며, 상기 축고정부(400)의 허브(410) 및 상기 축관통부(41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회전축(330)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교반부(6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나,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이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드럼(140)의 관통홀(144a)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바디(143)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축고정부(400)가 정지하면 상기 드럼바디(143)가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상기 드럼(140)에 전달하며,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와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드럼(14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하고, 상기 커플링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때는 하강하여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직접 상기 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때는 상기 교반부(600)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600)만을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축고정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하부에 상기 축수용부(340)가 결합되는 허브(410)와, 상기 허브(41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에 결합되는 고정암(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축기어부(3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311)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축관통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상기 회전축(33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에 기어가 구비되는 커플링기어(5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허브(410)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상기 커플링기어(511)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제1기어(332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축기어부(3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322)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411b)를 구비하는 허브기어(4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332a)와 치합되며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511a)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기어(411b)와 치합되는 제4기어(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고, 상기 터브(120)에 물이 배수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제3기어(511a)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기 제1기어(322a)에 치합되므로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 사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서 이탈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축기어부(33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허브기어(441a)는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드럼(140)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커플링기어(511)가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접촉하면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회전축(330)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을지라도 상기 커플링(500)이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고정회전축(330)과 함께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과정 등에 있어서, 상기 드럼(140)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140) 내부의 수류가 형성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되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기어의 제4기어(551b)가 상기 허브기어의 제2기어(411b)와 치합되므로 상기 커플링(500)이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허브기어(41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허브기어(411a)를 통해 상기 축고정부(40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600)와 드럼(14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의류 꼬임 정도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커플링기어(511)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12)는 상기 커플링기어(51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기어가 고정되는 이동판(512a)과, 상기 허브기어(411a)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이동판(512a)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이동리브(5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리브(513)와 상기 이동판(512)은 하부에 상기 허브기어(411a)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물이 유입될 수 있어,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커플링(500)을 부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12)는 상기 이동리브(512b)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512c)와 상기 연장리브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교반결합부(5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결합부(512d)와 상기 연장리브(512c)는 하부에 물과 접촉하거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플링(500)이 물에 더 잘 부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중심부(611)의 하부에 상기 커플링(500)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기어(511)를 수용하도록 상기 연장리브(512c)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리브(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커플링(500)과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달리,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회전축(33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축(330)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500)의 상기 커플링기어(511) 및 교반결합부(512d), 연장리브(512c)에 접촉되어 상기 커플링(500)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부(60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수용관(34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이 상기 축수용부(34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330)의 자유회전을 유도하는 수용베어링(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허브(4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허브(4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허브기어(41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상기 허브(410)에 결합되는 허브결합부(4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허브(410)의 형상이 복잡하므로 상기 축관통부(411)까지 한번에 성형 또는 제작하는데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커플링(500)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어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커플링(500)의 하부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커플링(500)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의 상부가 상기 교반부의 중심부(610)의 하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커플링(500)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허브기어(411)에서 이탈하였으므로 상기 축고정부(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터브(2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세탁행정이 진행된다면 상기 드럼(140)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적당한 강도로 충돌시켜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터브(2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커플링(500)의 하부에 물이 배출되므로 상기 커플링(500)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의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허브기어(411a)와 상기 축기어부(332) 사이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허브기어(411a)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500)의 교반결합부(512d)가 충분히 돌출되고, 상기 교반부(600)의 결합리브(620)가 상기 커플링(500)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면, 상기 커플링(500)은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1)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커플링기어(511), 상기 허브기어(411a)는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교반부(600)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탈수행정이 진행중이라면, 상기 드럼(140)과 상기 교반부(600)가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므로 의류의 꼬임이 완화되어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플링(500) 및 축고정부(400)로 인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II)가 되면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드럼(140)을 별도의 부재가 구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하는 관성이나, 상기 교반부(600)가 형성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 드럼(140)은 회전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교반부(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140)은 의도치 않게 상기 교반부(6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의류와 충돌로 인해 상기 교반부(600)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드럼(140)이 의도치 않게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600)로 기대할 수 있는 세탁성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이상수류의 형성으로 인해 의류의 꼬임이 심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교반부(600)가 의류를 세척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140)을 고정하고, 상기 의류를 탈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1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승강부(700)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7은 상기 승강부(7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100)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과 상기 터브(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1수위(I) 이상일 때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140)과 부착되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1수위(I) 이하일 때는 상기 드럼(140)이 회전 가능 하도록 상기 드럼(140)과 분리되는 승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공급되어 수위가 제1수위(I)이상이 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드럼의 바닥면(140)면과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127)을 결합 또는 연결하여 상기 드럼(14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되어 수위가 제1수위(I)이하가 되면 부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드럼(140)에서 분리되어 상기 드럼(140)과 상기 터브(127)의 결합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하여 상기 드럼의 바닥면(140)에 결합되면 상기 드럼(140)을 고정하여 상기 드럼(1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회전축(330)의 말단에 결합되어 회전하여도 상기 드럼(140)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으로, 상기 드럼(140)은 상기 축수용부(340)에 의해 상기 회전축(330)으로부터 동력을 받지 않도록 구비되나,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회전축(330)의 말단과 결합되거나 상기 커플링(500)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부(700)가 상기 드럼(140)에 부착되어도 상기 교반부(600)는 독자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120)에 세탁이 가능한 수위는 제1수위(I) 이상의 수위이므로 상기 세탁행정 등에서 상기 승강부(700)에 의해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할 때 상기 드럼(14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바닥면(144)에 상기 축고정부(4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부착되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축고정부(400)는 상기 드럼(14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 또는 접촉하면서 상기 드럼(140)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0)는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전술한 커플링(500)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드럼(140)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드럼(140)에 부착 또는 접촉되어 상기 드럼(140)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므로, 내구성 및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탄성재질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회전축(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바디(710)와, 상기 승강바디(7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수용부(340)가 관통하며 상기 축고정부(400)의 하부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바디(7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을 받아 승강하는 승강바디(710)와, 상기 승강바디(710)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축수용부(3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축고정부(4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는 잠금바디(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바디(720)는 상기 승강바디(710)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디(710) 보다 상기 축고정부(400)에 먼저 부착 또는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승강바디(710)도 상기 축고정부(400)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바디(720) 내부에 상기 회전축(3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홀(7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디(710)는 평평한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반형태로 구비되어 외주면이 하향으로 절곡지게 구비되는 절곡면(7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디(710)의 상기 절곡면(711)은 일정부피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디(710)가 부력에 의해 더 용이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력이 일정하게 상기 승강바디(710)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바디(7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고정부(400)의 상기 고정암(420)은 드럼의 바닥면(144)에 결합되고, 상기 허브(410)가 상기 축관통부(411)를 포함하며 상기 축고정부(340)가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잠금바디(720)는 상기 허브(410)에 부착, 결합 또는 접촉되어 상기 허브(41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허브(4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 또는 상기 허브(410)에 부착되더라도 상기 교반부(600)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의류와의 순간적인 충돌, 강한 수류 형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700)가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 또는 상기 허브(410)에 단순 면접촉된다면 상기 허브(410) 등 과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드럼(140)이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승강부(700)의 임의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승강부(700), 상기 허브(410),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1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7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잠금바디(7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요철부(810)와, 상기 허브(410)의 하부에서 상기 요철부(810)와 직경 또는 형상이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8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810)는 상기 잠금바디(720)의 둘레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구비된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81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상기 잠금바디(720)가 이동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잠금바디(720)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810)는 상기 잠금바디(7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요철부(811)와, 상기 잠금바디(72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2요철부(8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6과 도7은 상기 요철부(810)가 상기 제1요철부(811)와 상기 제2요철부(812)를 모두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요철부(810)가 제1요철부(811)와 상기 제2요철부(812) 중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요철부(810)가 제1요철부(81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820)는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요철부(811)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바디(72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링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820)는 상기 제1요철부(811)와 전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는 결속요철패턴(82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철부(810)가 상기 제2요철부(81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820)은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요철부(811)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바디(720)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링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하여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에 부착되면, 상기 잠금바디(720)의 상부면이 상기 결속부(720)에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요철부(810)와 상기 결속요철부(821)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40)에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요철부(810)와 상기 결속요철부(821)로 인해 상기 승강부(700)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하여 상기 요철부(810)가 상기 결속부(820)에 맞물리더라도 상기 승강부(700)가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700)의 회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810)가 상기 결속부(820)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승강부(700)가 하강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요철부(810)의 형상과 상기 결속요철부(821)의 형상이 엇갈리게 되어 상기 승강부(7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127)에 구비되어 상기 요철부(810)와 형상 또는 직경이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8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착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는 바닥면(127)에 상기 구동부(3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9)는 스테이트(310)가 장착될 수 있는 스테이터 장착부(129a)와, 상기 회전축(3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129b)가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장착부(129)가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 보다 두껍고, 상기 회전축(330)이 통과하는 부분이므로, 상기 장착부(129)의 상부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요철부(811)나 상기 제2요철부(81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도록 안착요철부(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요철부(831)의 패턴은 상기 결속부(820)에서 이탈한 잠금바디(720)가 온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요철부(821)의 패턴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820)와 상기 안착부(830)는 모두 상기 잠금바디(720)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잠금바디(7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결속부(820)는 상기 잠금바디(7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잠금바디(7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부(820)는 상기 요철부(810)의 외주면인 제1요철부(811)와 또는 내주면인 제2요철부(812)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요철부(810)의 외주면인 제1요철부(811)와 또는 내주면인 제2요철부(812)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바디(7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항상 고정하여 상기 잠금바디(720)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820)는 상기 제1요철부(811)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제2요철부(8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부(820)의 직경이 상기 안착부(8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바디(720)의 승강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잠금바디(720)의 기울어짐 또는 수평이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830)과 상기 결속부(820) 사이의 간격(A)은 상기 잠금바디(720)의 두께(B)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820)의 하단(820a)은 상기 안착부(830)의 상단(830a)보다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부(820)와 상기 안착부(83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820)의 하단(820a)은 상기 안착부(830)의 상단(830a)과 같은 높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요철부(81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안착부(830)에서 이격되면 상기 결속부(820)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에 물이 배수되어 상기 결속부(820)에서 이격되면 상기 안착부(830)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고정부(400)는 하부에 상기 승강부(700)의 과도한 승강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30)는 상기 허브(410)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30)는 상기 승강부(700)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승강부(8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8(a)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지 않거나, 상기 터브(120)의 물이 전부 배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커플링(500)은 자중에 의해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부(700)도 자중에 의해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에 안착된다.
상기 커플링(500)의 커플링기어(511)은 축관통부(411)에 수용되어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부(700)는 안착부(830)에 안착되어 상기 드럼(14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20)의 물이 급수되기 시작하여 제1수위(I)에 도달하기 까지 급수되면, 상기 승강부(700)는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하여 상기 축고정부(400)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상기 잠금바디(720)는 상기 결속부(820)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 터브(120)의 물이 제1수위(I) 이상으로 급수되면, 상기 잠금바디(720)에 구비된 요철부(810)가 상기 결속부(820)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바디(720)은 상기 결속부(820)에 부착 또는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바디(710)의 상부면도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바디(720)의 하부면은 상기 안착부(830)에 여전히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바디(720)는 상기 결속부(820)와 상기 안착부(83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140)은 상기 터브(120)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120)에 물이 더 공급되어 상기 제2수위(II)까지 도달하면, 상기 커플링(500)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축수용부(411)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500)은 회전축(330)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상기 축수용부(411)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게 되며, 상기 드럼(140)은 상기 승강부(700)로 인해 상기 터브(12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승강부(700) 및 위치결정부(800)의 다른 실시예이며, 이해가 용이하도록 축수용부(400), 승강부(700), 터브(120) 중 장착부(129)에 위치한 바닥면(127)이 개략적인 구성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승강부(700)와 상기 허브(410)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이상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840)와, 상기 승강부(700)와 상기 허브(410)의 바닥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홀(8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회전축(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승강바디(710)와, 상기 승강바디(7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0)이 관통되고 상기 축고정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바디(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740)는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허브(410)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740)는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접촉요철부(74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접촉요철부(7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접촉요철부(741)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착요철부(8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회전축(33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3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830)는 상기 접촉바디(740)가 상승하여 상기 허브(410)의 하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에서 상기 허브(4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830)의 자유단과 상기 허브(410) 하단의 간격은 상기 접촉바디(740)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바디(740)가 상기 승강바디(710)에 의해 상승할 때 상기 안착부(8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상기 삽입부(841)가 상기 허브(41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홀(841)이 상기 접촉바디(740)를 관통하여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840)는 상기 허브(4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841)은 상기 삽입부(840)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840)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하면, 상기 삽입홀(841)과 상기 삽입부(840)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7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700)가 하강하면, 상기 삽입홀(841)은 상기 삽입부(840)에서 이격되나 상기 안착부(830)와 상기 접촉요철부(741)로 인해 상기 승강부(7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삽입홀(841)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삽입부(840)는 상기 접촉바디(740)에 접지되는 힘을 집중시킴으로써 상기 접촉바디(7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승강바디(710)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지부(8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870)는 상기 승강부(700)가 하강하였을 때에도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과 접촉하여 상기 승강부(7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부(7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삽입홀(841)과 상기 삽입부(840)의 결합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부(800)는 전부 구비될 수 도 있지만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이상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840)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홀(841)과,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지부(87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커플링 및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커플링(500)의 상기 이동부(512)가 상기 이동판(512a) 상기 이동리브(512b)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리브(514)까지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상기 커플링(500)이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500)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질수록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커플링(500)을 수용해야 하므로, 상기 교반부(600)의 높이 또는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거나, 상기 터브(120)의 용적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상기 교반부(600)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00)의 부피에 대한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500)의 부피는 최대한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커플링(500)의 부피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상기 물에 의해 부력을 받는 면적 이나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커플링(500)의 승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500)은 부피가 작으면서도 부력을 충분히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이동부(512)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부(70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12)를 승강시키는 승강디스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700)가 상승할 때 상기 승강부(700)에 의해 밀려 올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커플링(500)을 상부로 밀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500)은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그 부피가 작게 구비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커플링(500)의 상기 이동부(512)는 커플링 기어(511)의 상부면 또는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플링기어(511) 및 상기 축수용부(411) 까지 수용할 수 있는 이동컵(512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컵(512e)은 상기 이동판(512a), 상기 이동리브(512b)가 서로 연결된 구성과 대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판(512a), 상기 이동리브(512b)가 차지하는 부피와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컵(512e)은 상기 축기어부(322)가 상기 교반부(600)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부면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컵(512e)은 상부면이 상기 축기어부(332)의 직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기어(511)의 제3기어(511a)는 상기 축기어부(322)의 제1기어(322a)와 마찬가지로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승강부(700)에 의해 상승하지만, 상기 이동컵(512e)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적절한 부력도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컵(512e)보다 직경이 큰 판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링(500) 전체의 부피를 축소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자체두께 외에 별도의 부피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이동컵(512e)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이동컵(512e) 내부에 구비된 커플링기어(511)의 제4기어(511b)와 상기 축수용부(411)의 제2기어(411b)가 용이하게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디스크(540)와 상기 이동컵(512)은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이동컵(512e)을 동일한 힘과 방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회전축(330)이 관통할 수 있는 간섭방지홀(5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컵(512e)은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상부에서 기울어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섭방지홀(54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링(516)과, 상기 안착링(516)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간섭방지홀(54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안착리브(5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컵(512e)과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접촉력 또는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이동부(512)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부(70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42)는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하부면에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허브(41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542)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관통홀(41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700)는 상기 지지관통홀(411d)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542)를 가압하는 가압부(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850)는 상기 잠금바디(720)의 상부 또는 상기 승강바디(7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542)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850)는 상기 지지관통홀(411d)에 삽입되므로 상기 승강부(7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위치결정부(800)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커플링(500)과 상기 승강부(700)가 물에 수위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1(a)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이동컵(512e)은 자중에 의해 상기 커플링기어(511)가 상기 축수용부(411)에 안착되어 상기 커플링기어(511)가 상기 제2기어어(411b)에 치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하여 축기어부(322)가 회전하면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축수용부(411)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140)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700)도 자중에 의해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디크스(540)도 자중에 의해 상기 허브(410)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42)는 상기 지지관통홀(411d)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850)는 상기 지지관통홀(411d)에서 이탈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40)은 상기 터브(120)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가능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탈수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에 물이 제1수위(I)까지 공급되면 상기 승강부(700)는 승강하여 상기 허브(41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700)의 상기 가압부(850)는 상기 지지관통홀(411d)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지지부(542)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승강디스크(540)는 상승하여 상기 이동컵(512e)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커플링기어(511)는 상기 축수용부(411)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기어(511)의 제4기어(511a)와 상기 축수용부(411)의 제2기어(411d)가 분리되므로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은 상기 축수용부(411)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터브(120)에 물이 제2수위(II)까지 공급되면 전술한 상황과 동일하나, 상기 제1수위(I)까지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승강부(700)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커플링(500)까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700)와 상기 커플링(500)이 동시에 승강하게 되므로 오작동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12는 상기 승강부(700)와 상기 이동컵(512e) 및 상기 승강디스크(540)의 부피 또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결정부(800)는 상기 허브 (410)와 상기 고정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승강바디(71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바디(710)의 상부에 홈으로 구비되는 허브안착부(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디(710)는 상기 허브안착부(860)가 상기 고정암(420) 및 허브(4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허브안착부(860)를 구비하여 임의회전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허브(410) 또는 상기 고정암(420)이 안착되는 깊이만큼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부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승강디스크(540)는 상기 승강부(700)로 인해 부력을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면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크관통홀(5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컵(512e)도 부력을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일면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컵 관통부(512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승강디스크(540) 및 이동컵(512e)의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어 용이하게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터브(12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상기 터브(120)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상기 승강부(700)가 원활하게 승강하지 않을 때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부력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력조절부(900)는 상기 터브(120)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을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 또는 공기를 상기 승강부(700)의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절부(900)는 상기 터브(120) 내부의 물과 공기를 흡수하여, 상기 승강부(700)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력펌프(910)와, 상기 터브(120)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을 연통하되 상기 부력펌프(910)와 연결되어 상기 물과 공기를 이동시키는 부력관(9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절부(900)는 상기 승강부(700)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터브(120)의 물이 제1수위(I)이하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상기 승강부(7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드럼(140) 및 상기 교반부(600)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부력펌프(91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확장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터브(120)이 하부에서 상기 구동부(300)가 차지하는 높이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조절부(9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제어부(192C)로 인해 상기 승강부(700)을 물리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11 제1개구부
190 드로워 191 전면패널 192 컨트롤패널 193 드로워바디
120 터브 130 도어
140 제2드럼 141 드럼투입구 142 밸런서 143 드럼바디
144 드럼바닥면 144a 드럼관통홀 145 통공
160 급수부 161 급수관 162 급수밸브
170 배수부 171 배수펌프 172 배수관
180 지지부 181 제1지지부 282 제2지지부 183 연결부
300 구동부 310 스테이터 320 로터
330 회전축 331 축바디, 332 축기어부 332a 제1기어
340 축수용부 341 수용관 342 수용고정부 343 수용베어링
400 축고정부 410 허브 420 고정암
700 승강부 710 승강바디
500 커플링 511 커플링기어 511a 제3기어 511b 제4기어
512 이동부 512a 이동판 512b 이동리브 512c 이동컵
514 하우징리브 516 안착링 517 안착돌기
520 연장리브 530 교반수용부
540 승강디스크 543 디스크바디 541 간섭방지홀 542 지지부 544 디스크관통홀
600 교반부 610 교반부바디 611 중심부 612 교반암 620 결합리브
800 위치결정부 810 요철부 811 내측요철부 812 외측요철부
820 결속부 821 결속요철부 830 안착부 831 안착요철부
840 삽입부 841 삽입홀 850 가압부 860 허브안착부
870 접지부
900 부력조절부 910 부력펌프 920 부력관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투입구를 구비하고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과 부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드럼이 회전 가능 하도록 상기 드럼과 분리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드럼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며,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드럼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드럼에 부착되어도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축수용부가 결합되는 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1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수용부가 관통하며 상기 축고정부의 하부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축수용부가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암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바디는 상기 허브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 상기 허브, 상기 터브의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잠금바디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요철부와,
    상기 허브의 하부에서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직경/형상)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요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결속부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안착부와 즉시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이상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부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허브의 바닥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홀과,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터브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드럼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터와 연결된 축바디와, 상기 축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허브에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제1기어를 구비하는 축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허브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축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주면에 제2기어를 구비하는 허브기어를 포함하는 축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축기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축기어부와 상기 허브기어 사이에 삽입될 때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4기어를 구비하는 커플링기어와,
    상기 커플링기어의 상부 또는 외주면에서 상기 허브기어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기어를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디스크는 상기 이동부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는 지지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 또는 공기를 상기 승강부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부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99736A 2017-12-22 2019-08-14 의류처리장치 KR10234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36A KR102340060B1 (ko) 2017-12-22 2019-08-1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91A KR102014798B1 (ko) 2017-12-22 2017-12-22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99736A KR102340060B1 (ko) 2017-12-22 2019-08-14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791A Division KR102014798B1 (ko) 2017-12-22 2017-12-2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943A true KR20190098943A (ko) 2019-08-23
KR102340060B1 KR102340060B1 (ko) 2021-12-16

Family

ID=7903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736A KR102340060B1 (ko) 2017-12-22 2019-08-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95A1 (en) * 2021-01-29 2022-08-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730A (ko) * 2012-04-18 2013-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16686A (ko) * 2015-08-04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730A (ko) * 2012-04-18 2013-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16686A (ko) * 2015-08-04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95A1 (en) * 2021-01-29 2022-08-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60B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5279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088377B (zh) 衣物处理装置
EP2252734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JP3502039B2 (ja) バランサーを備える洗濯機
US20060016229A1 (en) Basket for washing machine, washer-drier, drier, and the like
US20130287374A1 (e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KR102014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98943A (ko) 의류처리장치
US8555676B2 (e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KR20110051017A (ko) 세탁기
KR100985293B1 (ko) 세탁물을 바구니에 내장하고 세탁하는 전자동세탁기
CN107675421B (zh) 一种环保节水型洗衣机的进水量控制方法
CN101158097A (zh) 一种具有衣物翻动功能的浸泡搓揉式洗衣机
KR102072585B1 (ko) 의류처리장치
US101192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KR201901216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CN214694729U (zh) 一种工业及家用洗衣机
KR101604691B1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WO2010133510A1 (en)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KR2019010688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7062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3529B1 (ko) 세탁기
KR20000055203A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