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863A -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863A
KR20190098863A KR1020180013353A KR20180013353A KR20190098863A KR 20190098863 A KR20190098863 A KR 20190098863A KR 1020180013353 A KR1020180013353 A KR 1020180013353A KR 20180013353 A KR20180013353 A KR 20180013353A KR 20190098863 A KR20190098863 A KR 20190098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facility
manufacturing
data
iot communication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063B1 (ko
Inventor
김문호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오토텍
Priority to KR102018001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0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에 장착되며, 장착된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IoT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제조 설비 장착 단말;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IoT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 송신하는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을 구성한다. 상술한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제조 설비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원격지의 서버로 중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수월하게 제조 설비와 공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OF COLLECTING MANUFACTURING FACILITIES DATA AND 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USING IOT COMMUNICATION WITH SMART PHONE}
본 발명은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조 설비는 제조 공정에 따른 다양한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공정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별도의 데이터 중계기를 설치하여 원격지의 관리 서버로 데이터를 중계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중계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그 관리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중계기는 보안에도 상당한 유의를 해야 한다.
이에, 제조 공정 데이터의 수집과 제조 설비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보안에도 문제가 없게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10-1736288 10-2016-0085689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에 장착되며, 장착된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IoT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제조 설비 장착 단말;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IoT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 송신하는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 중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의 원격 중계를 통해 상기 제조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에 장착된 제조 설비 장착 단말과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이 상기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이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Io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로 원격 중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의 원격 중계를 통해 해당 제조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제조 설비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원격지의 서버로 중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수월하게 제조 설비와 공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의 교대에 맞춰 관리자의 스마트 폰마다 인증키를 생성하여 제조 설비를 통해 인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제조 설비에 근접할 때마다 인증을 통해 데이터의 보안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100), 제조 설비 장착 단말(200) 및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과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 간의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10)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별도의 데이터 중계기나 서버가 없이도 스마트 폰 자체로서 하나의 제조 공정 서버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로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은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10)에 장착되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과 IoT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은 제조 설비(10)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 실시간 송신하고,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IoT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조 공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은 인증키 IoT 수신 모듈(101), 인증키 저장 모듈(102), 인증 모듈(103), 원격 제어 명령 IoT 수신 모듈(104), 원격 제어 명령 수행 모듈(105),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모듈(106), 데이터 IoT 송신 모듈(10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증키 IoT 수신 모듈(101)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IoT 통신을 통해 인증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는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이 제조 설비 관리자의 스마트 폰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다. IoT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키는 현재 작업 공정 시간을 관리하는 현재 제조 설비 관리자의 인증키와 그 다음 작업 공정 시간을 관리하는 다음 제조 설비 관리자의 인증키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저장 모듈(102)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 모듈(103)은 인증키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인증키를 해당 작업 공정 시간에 맞춰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음 작업 공정 시간의 인증키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다음 작업 공정의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100a)에서 인증키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키와 인증키 저장 모듈(102)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를 상호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 IoT 수신 모듈(104)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IoT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이 된 이후에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 수행 모듈(105)은 원격 제어 명령 IoT 수신 모듈(104)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조 설비(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모듈(106)은 제조 설비(10)의 공정에 따른 공정 데이터, 제조 설비(10) 자체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조 설비(10)의 공정별 온도, 압력, 불량률, 공정률, 공정 시간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데이터 IoT 송신 모듈(107)은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모듈(106)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제조 설비 관리자의 스마트 폰으로서,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과 IoT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로부터 제조 설비(10)에 관련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로 송신하고, 앞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로 원격 중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제조 설비 번호 데이터베이스(201), 인증키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102), 인증키 유효 기간 설정 모듈(203), 품질 관련 정보 설정 모듈(204), 인증키 생성 모듈(205), 인증키 암호화 모듈(206), 인증키 IoT 송신 모듈(207), 인증키 송신 모듈(208), 인증키 수신 모듈(209), 원격 제어 명령 생성 모듈(210), 원격 제어 명령 IoT 송신 모듈(211), 데이터 IoT 수신 모듈(212), 데이터 저장 모듈(213), 데이터 원격 송신 모듈(214), 원격 제어 명령 중계 모듈(2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설비 번호 데이터베이스(201)는 제조 설비별로 제조 설비에 대한 고유 번호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102)는 인증키를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고유값들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수표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고유 비밀번호가 이용될 수 있다.
인증키 유효 기간 설정 모듈(203)은 인증키의 유효 기간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미리 지정된 유효 기간에 따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효 기간은 앞서 언급한 관리자별 작업 공정 시간에 맞추어 설정될 수 있다.
품질 관련 정보 설정 모듈(204)은 품질 관련 정보를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지정된 값을 이용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품질 관련 정보에는 온도, 습도, 불량 개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증키 생성 모듈(205)은 관리자별 및 작업 공정 시간별로 인증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생성 모듈(205)은 제조 설비 번호 데이터베이스(201)에서 해당 제조 설비(10)의 제조 설비 번호를 추출하고, 인증키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102)에서 현재 작업 공정 시간 및 다음 작업 공정 시간을 위한 소정의 난수 비밀 번호 등의 값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생성 모듈(205)은 제조 설비 번호, 현재 관리자의 현재 작업 공정 시간을 위한 난수 비밀 번호, 다음 관리자의 다음 작업 공정 시간을 위한 난수 비밀 번호, 인증키 유효 기간 설정 모듈(203)에서 설정된 각 작업 공정 시간의 유효 기간, 각 작업 공정 시간의 품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암호화 모듈(206)은 인증키 생성 모듈(205)에서 생성된 인증키를 암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다음 작업 공정 시간을 위한 난수 비밀 번호는 현재 관리자도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암호화할 수 있다.
인증키 IoT 송신 모듈(207)은 인증키 암호화 모듈(206)에서 암호화된 인증키를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은 이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해당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은 현재 관리자의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로부터 미리 수신한 다음 관리자의 인증키를 미리 저장한 후, 현재 작업 공정 시간의 유효 기간이 종료한 후에 다음 관리자의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a)이 근접하여 오면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a)으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 공정 시간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고, 관리자가 변경될 때마다 안전하게 인증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보안과 제조 설비(10)의 보안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인증키 송신 모듈(208)은 다음 관리자의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a)으로 다음 관리자의 작업 공정 시간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관리자는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a)에 자신의 인증키를 저장한 후, 다음 작업 공정 시간에 해당 제조 설비(10)에 근접하여 다가가면 그 제조 설비(10)의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에서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 수신 모듈(209)은 현재 관리자 이전의 관리자로부터 현재 관리자의 작업 공정 시간에 상응하는 인증키를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공정 시간이 되면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 생성 모듈(210)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설정에 따라 제조 설비(10)의 원격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 IoT 송신 모듈(211)은 원격 제어 명령 생성 모듈(210)에서 생성된 원격 제어 명령을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IoT 수신 모듈(212)은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로부터 제조 설비(10) 관련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모듈(213)은 데이터 IoT 수신 모듈(212)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은 하나의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원격 송신 모듈(214)은 데이터 저장 모듈(213)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 명령 중계 모듈(215)은 원격지의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로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는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의 원격 중계를 통해 제조 설비(10)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이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10)에 장착된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과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10)의 제조 공정을 제어한다(S101).
다음으로, 제조 설비 장착 단말(100)이 제조 설비(10)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S102).
다음으로, 제조 설비 장착 단말(200)이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100)으로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이 Io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이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로 원격 중계 송신한다(S105).
다음으로,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한다(S106).
다음으로,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300)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200)의 원격 중계를 통해 해당 제조 설비(10)를 원격 제어한다(S107).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조 설비 장착 단말
101: 인증키 IoT 수신 모듈
102: 인증키 저장 모듈
103: 인증 모듈
104: 원격 제어 명령 IoT 수신 모듈
105: 원격 제어 명령 수행 모듈
106: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모듈
107: 데이터 IoT 송신 모듈
200: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
201: 제조 설비 번호 데이터베이스
202: 인증키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203: 인증키 유효 기간 설정 모듈
204: 품질 관련 정보 설정 모듈
205: 인증키 생성 모듈
206: 인증키 암호화 모듈
207: 인증키 IoT 송신 모듈
208: 인증키 송신 모듈
209: 인증키 수신 모듈
210: 원격 제어 명령 생성 모듈
211: 원격 제어 명령 IoT 송신 모듈
212: 데이터 IoT 수신 모듈
213: 데이터 저장 모듈
214: 데이터 원격 송신 모듈
215: 원격 제어 명령 중계 모듈
200a: 타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
300: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

Claims (4)

  1.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에 장착되며, 장착된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IoT 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제조 설비 장착 단말;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IoT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로 송신하는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 중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의 원격 중계를 통해 상기 제조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
  3.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소정의 제조 설비(manufacturing facilities)에 장착된 제조 설비 장착 단말과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이 상기 제조 설비의 제조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장착 단말이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Io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이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로 원격 중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데이터를 원격 중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제조 설비 관리자 스마트 폰의 원격 중계를 통해 해당 제조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방법.
KR1020180013353A 2018-02-02 2018-02-02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6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53A KR102062063B1 (ko) 2018-02-02 2018-02-02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53A KR102062063B1 (ko) 2018-02-02 2018-02-02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63A true KR20190098863A (ko) 2019-08-23
KR102062063B1 KR102062063B1 (ko) 2020-01-03

Family

ID=6776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53A KR102062063B1 (ko) 2018-02-02 2018-02-02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676B1 (ko) 2020-12-04 2021-04-21 주식회사 주빅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게이트웨이 원격관리시스템
KR102398285B1 (ko)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89A (ko) 2015-01-08 2016-07-18 더 보잉 컴파니 공장 생산을 관리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36288B1 (ko)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P2017102627A (ja) * 2015-11-30 2017-06-08 康之 荒井 IoTデバイスのネットワー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89A (ko) 2015-01-08 2016-07-18 더 보잉 컴파니 공장 생산을 관리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7102627A (ja) * 2015-11-30 2017-06-08 康之 荒井 IoTデバイスのネットワーク
KR101736288B1 (ko)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063B1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1533B (zh) 用于在过程控制系统中使用的方法和设备
EP2859705B1 (de) Autorisierung eines nutzers durch ein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US10431031B2 (en) Remote electronic physical layer access control using an automated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US201401014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between networked devices
US111655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ely operating a field device
CN109272617B (zh) 开锁验证方法、服务器、门锁、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00077451A1 (en) Mobile terminal, working device, data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N100571470C (zh) 一种修改终端配置的方法,网络侧管理单元、终端和系统
CN110070650A (zh) 一种智能配电箱的智能开锁方法及系统
JP5041257B2 (ja) フィールド通信システムおよびフィールド通信方法
CN108966216B (zh) 一种应用于配电网的移动通信方法及系统
CN103067211A (zh) 一种无源光网络设备License管理认证方法及系统
CN104580235A (zh) 用于设备连接的认证方法和认证系统
CN106127888A (zh) 智能锁操作方法和智能锁操作系统
KR102062063B1 (ko) 스마트 폰과의 IoT 통신을 이용한 제조 설비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N113872940A (zh) 基于NC-Link的访问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3152326A (zh) 一种分布式认证方法及认证系统
CN110602133B (zh) 智能合约处理方法、区块链管理设备及存储介质
CN105071939A (zh) 一种用户信息认证方法及系统
CN105553675A (zh) 登录路由器的方法及装置
CN110138737A (zh) 权限控制方法、权限控制设备、用户设备及系统
JP5030528B2 (ja) 運用保守管理装置
CN105763518A (zh) 一种基于b/s架构的远程数据加密方法
CN109519162A (zh) 钻井现场数字通信指挥方法和装置、系统、存储介质
CN111049655B (zh) 一种远程在线授权维护密码机的方法以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