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579A -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579A
KR20190098579A KR1020180018692A KR20180018692A KR20190098579A KR 20190098579 A KR20190098579 A KR 20190098579A KR 1020180018692 A KR1020180018692 A KR 1020180018692A KR 20180018692 A KR20180018692 A KR 20180018692A KR 20190098579 A KR20190098579 A KR 2019009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unit
user
control uni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827B1 (ko
Inventor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1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827B1/ko
Priority to PCT/KR2019/001820 priority patent/WO2019160352A1/ko
Publication of KR2019009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41Devices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41Devices for focusing
    • G02B21/245Devices for focusing using auxiliary sources, det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의 현미경 장치를 제공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위하여, 시료를 확대하여 관찰하도록 접안렌즈, 대물렌즈, 재물대 및 상기 재물대에 놓여진 시료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현미경부; 상기 현미경부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며 상기 현미경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시트부 및 시트부에 연결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판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경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스크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현미경부, 상기 체어부 및 상기 데스크부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Microscope automatic control system }
본 발명은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의 현미경 장치를 제공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학현미경은 표본에 빛을 비추어 그 표본을 통과한 빛이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실상을 맺고, 이것을 접안렌즈를 통해 재확대된 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고 함은 광학현미경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학현미경은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라고 부르는 2조의 렌즈를 조합하여 미소한 물체까지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기계로서, 대물렌즈로 확대한 물체의 실상을 접안렌즈로 더욱 확대하여 관찰한다. 전자선을 이용한 전자현미경에 대해 파장이 약 400~700nm의 가시광을 사용한다. 확대배율은 대물렌즈가 1~100배 정도이고, 접안렌즈가 5~20배 정도, 종합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한 것으로 2,000배 가량 된다.
전자현미경에 비교하여 확대배율, 분해능에서는 떨어지지만 생물을 건조시키지 않고 산 채로 관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분해능은 최소 0.2μm 정도이다. 광학현미경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현미경 외에 위상차현미경, 편광현미경, 간섭현미경, 형광현미경, 자외선현미경, 적외선현미경, 실체현미경, 암시야현미경, 도립현미경, 금속현미경 등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현미경은 의학용 시료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병원 등에서 병리검사 판독을 위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관찰 및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대부분 병원과 같은 기관의 현미경은 다수의 연구원(이하, 사용자)이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람마다 신체 구조가 다르고 선호하는 여건들이 달라서 항상 현미경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에 맞추어 수동으로 세팅을 수정한 후 현미경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의 현미경 장치를 제공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시료를 확대하여 관찰하도록 접안렌즈, 대물렌즈, 재물대 및 상기 재물대에 놓여진 시료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현미경부; 상기 현미경부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며 상기 현미경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시트부 및 시트부에 연결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판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경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스크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현미경부, 상기 체어부 및 상기 데스크부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스크부는 상기 체어부와 상기 현미경부가 위치한 일직선 상에 상기 현미경부 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현미경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체어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데스크부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접안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접안렌즈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광원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재물대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재물대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재물대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현미경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판형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등받이부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체어부와 상기 현미경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입력부는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1 사용자에 맞추어 세팅하거나, 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2 사용자에 맞추어 세팅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의 현미경 장치를 제공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현미경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데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체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은 시료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부(10), 판형 부재(22)를 포함하며 현미경부(10)가 판형 부재(22)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스크부(20), 현미경부(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체어부(30), 사용자의 정보를 통해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부(40) 및 컨트롤부(40)에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정보 입력부(50)를 포함한다.
현미경부(10)는 시료를 확대하여 관찰하도록 접안렌즈(10a), 대물렌즈(10b), 재물대(10c) 및 재물대(10c)에 올려진 시료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부재(1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현미경부(10)는 렌즈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기기로서, 아주 작거나 나안으로 보이지 않는 생물의 상을 확대시킴으로써 그들을 관찰하도록 설계된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현미경부(10)는 광학현미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전자현미경일 수도 있다.
접안렌즈(10a)는 확대경처럼 작용하는 일련의 렌즈 시스템으로서, 사람의 눈은 접안렌즈(10a)를 통해 대물렌즈(10b)에 의해 만들어진 상이 확대된 것을 볼 수 있다. 대물렌즈(10b)는 관측 대상물에서 나오는 빛을 포착하고 그 빛을 수렴함으로써 상을 반전된 상태로 확대시켜 맺히게 하는 렌즈 시스템일 수 있다. 재물대(10c)는 중간에 개구부가 있는 금속판으로서, 깔유리와 이를 고정시키는 부품이 그 위에 놓일 수 있다. 광원 부재(10d)는 빛을 관찰하는 대상물에 반사시켜 밝게 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LED램프 또는 반사경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 부재(10d)로서 LED램프를 갖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데스크부(20)는 판형 부재(22)를 포함하며, 현미경부(10)는 판형 부재(22)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미경부(10)를 통해 시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장시간 현미경을 관찰하여야 하므로, 안정적인 자세를 위하여 데스크부(20)와 후술할 체어부(30)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현미경부(10), 데스크부(20) 및 체어부(30)의 구성을 포함하여 현미경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체어부(30)는 현미경부(10)를 이용하는 관측자(이하, 사용자)가 착석하여 현미경부(10)를 관찰할 수 있는 의자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체어부(30)는 현미경부(10)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착석하는 시트부(32) 및 시트부(32)에 연결된 등받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정보 입력부(50)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부(50)는 사용자가 현미경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자신에게 맞는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정보’라고 함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거리, 폭, 높이 등의 전반적인 위치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현미경 시스템은 의학용 시료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병원 등에서 병리검사 판독을 위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관찰 및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대부분 병원과 같은 기관의 현미경 시스템은 다수의 연구원(이하, 사용자)이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람마다 신체 구조가 다르고 선호하는 여건들이 달라서 항상 현미경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에 맞추어 수동으로 세팅을 수정한 후 현미경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해두고, 해당 사용자가 현미경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입력해둔 본인의 제어 정보를 활성 시킴으로써 일일이 수동으로 세팅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요소는 컨트롤부(40)에 의해 조정된다. 컨트롤부(40)는 정보 입력부(5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를 통해 현미경부(10), 체어부(30) 및 데스크부(20)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40)는 도 1과 같이 제1 제어부(41), 제2 제어부(42) 및 제3 제어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41)는 현미경부(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제어부(42)는 데스크부(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3 제어부(43)는 체어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50)는 제1 사용자의 제1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51) 및 제2 사용자의 제2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제어 정보를 제1 저장부(51)에 입력시킬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본인이 원하는 제어 정보를 제2 저장부(52)에 입력시킬 수 있다.
제1 정보 및 제2 정보는 현미경부(10), 데스크부(20) 및 체어부(3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현미경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로써 예컨대, 접안렌즈(10a)의 초점, 접안렌즈(10a) 사이의 거리, 광원의 세기, 재물대(10c)의 높이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로써 예컨대, 현미경부(10)의 높이, 판형 부재(22)의 높이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체어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로써 체어부(30)의 각도, 체어부(30)와 데스크부(20)의 거리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제2 정보도 이와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현미경부(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제어부(41)는 현미경부(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컨트롤 할 수 있다. 제1 제어부(41)는 초점 조절부(41a), 렌즈간격 조절부(41b), 광원 조절부(41c) 및 재물대 조절부(41d)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조절부(41a)는 접안렌즈(10a)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렌즈간격 조절부(41b)는 접안렌즈(10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양안의 간격이 다르고, 관찰하는 시료에 따라 초점을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정보입력부는 이러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제어부(41)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초점 조절부(41a)는 현미경부(10)의 제1 조절 나사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접안렌즈(10a)의 초점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절 나사는 미동 나사일 수 있다.
또한, 광원 조절부(41c)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재물대 조절부(41d)는 재물대(10c)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재물대(10c)와 대물렌즈(10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시료에 따라 또는 관찰 조건에 따라 선호하는 광원의 세기를 정보 입력부(50)에 입력하면, 제1 제어부(41)를 통해 광원 부재(10d)를 제어하여 광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재물대 조절부(41d)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조절 나사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재물대(10c)와 대물렌즈(10b) 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조절 나사는 조동 나사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데스크부(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제어부(42)는 데스크부(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42)는 현미경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부(42a)는 체어부(30)에 않은 사용자의 앉은키를 중심으로 현미경부(1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현미경부(1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42)는 판형 부재(2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부(42b)는 판형 부재(22) 자체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의 체어부(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제어부(43)는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43a)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43a)는 체어부(30)의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 간의 각도에 대하여 90°에서 180°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의 각도가 있고, 이와 같은 정보를 정보 입력부(50)에 입력해두면 해당 사용자가 현미경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기 입력된 각도 정보를 출력하여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의 최적의 각도를 자동적으로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43)는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43b)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43b)는 사용자의 팔 길이에 따라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 팔 길이가 다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의 거리가 상이하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정보 입력부(50)에 입력한 후, 해당 사용자가 현미경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입력된 상기 거리 정보를 출력하여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 사이의 최적의 거리를 자동적으로 세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판상 부재를 포함하는 데스크부(20) 상에 현미경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데스크부(20) 일측에는 체어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는 일직선(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스크부(20)는 체어부(30)와 현미경부(10)가 위치한 일직선(SL) 상에 현미경부(10) 측으로 인입된 인입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20a)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으나, 사람이 일반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인입부(20a) 내에서 동선의 불편함 없이 현미경부(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체어부(30)는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는 정보 입력부(50)에 입력된 각도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 맞게 최적의 각도(A)로 자동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정보 입력부(50)에 입력된 높이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해 데스크부(20)의 판형 부재(22)의 높이(D-H)를 자동 조절할 수 있고, 체어부(30)의 시트부(32)의 높이(C_H)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판형 부재(22)의 높이(D-H) 및 시트부(32)의 높이(C_H)를 조절하기 위하여 판형 부재(22) 및 시트부(32)는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입력부(50)에 입력된 거리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해 데스크부(20)와 체어부(30) 간의 거리(C_D)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스크부(20)와 체어부(30) 간의 거리는 사용자가 체어부(30)에 앉는 자세를 고려하여, 데스크부(20)의 인입부(20a)의 가장 내측부분에서 시트부(32)와 등받이부(34)가 만나는 부분까지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데스크부(20)와 체어부(30) 간의 거리(C_D)를 조절하기 위하여 체어부(30)는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현미경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E)과 현미경부(10)의 높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5에서 현미경부(10)의 위치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현미경 시스템은 의학용 시료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병원 등에서 병리검사 판독을 위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관찰 및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대부분 병원과 같은 기관의 현미경은 다수의 연구원(이하, 사용자)이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람마다 신체 구조가 다르고 선호하는 여건들이 달라서 항상 현미경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에 맞추어 수동으로 세팅을 수정한 후 현미경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해두고, 해당 사용자가 현미경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입력해둔 본인의 제어 정보를 활성 시킴으로써 일일이 수동으로 세팅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 현미경부
20: 데스크부
20a: 인입부
22: 판형 부재
30: 체어부
32: 시트부
34: 등받이부
40: 컨트롤부
41c: 광원 조절부
41b: 렌즈간격 조절부
41d: 재물대 조절부
41: 제1 제어부
41a: 초점 조절부
42a: 제1 높이 조절부
42b: 제2 높이 조절부
42: 제2 제어부
43a: 각도 조절부
43b: 거리 조절부
43: 제3 제어부
50: 정보 입력부
51: 제1 저장부
52: 제2 저장부

Claims (12)

  1. 시료를 확대하여 관찰하도록 접안렌즈, 대물렌즈, 재물대 및 상기 재물대에 놓여진 시료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현미경부;
    상기 현미경부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며 상기 현미경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시트부 및 시트부에 연결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판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경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스크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현미경부, 상기 체어부 및 상기 데스크부 각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구비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부는 상기 체어부와 상기 현미경부가 위치한 일직선 상에 상기 현미경부 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현미경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체어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데스크부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접안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접안렌즈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광원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재물대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재물대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재물대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현미경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판형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등받이부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체어부와 상기 현미경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1 사용자에 맞추어 세팅하거나, 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2 사용자에 맞추어 세팅하는,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180018692A 2018-02-14 2018-02-14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43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92A KR102043827B1 (ko) 2018-02-14 2018-02-14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PCT/KR2019/001820 WO2019160352A1 (ko) 2018-02-14 2019-02-14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92A KR102043827B1 (ko) 2018-02-14 2018-02-14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79A true KR20190098579A (ko) 2019-08-22
KR102043827B1 KR102043827B1 (ko) 2019-11-12

Family

ID=6762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92A KR102043827B1 (ko) 2018-02-14 2018-02-14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3827B1 (ko)
WO (1) WO201916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96A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온옵틱스 현미경용 얼라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389A (ja) * 2005-09-22 2007-04-05 Xerox Corp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5372787B2 (ja) * 2010-01-14 2013-12-1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顕微鏡
KR101931967B1 (ko) 2011-09-19 2018-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현미경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206A (ko) * 2008-01-29 2009-08-03 주식회사 유비케어 일체형 치료의자
JP6009862B2 (ja) * 2012-08-24 2016-10-1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サイエンス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
KR20160097965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휴비츠 원격 제어 현미경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389A (ja) * 2005-09-22 2007-04-05 Xerox Corp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5372787B2 (ja) * 2010-01-14 2013-12-1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顕微鏡
KR101931967B1 (ko) 2011-09-19 2018-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현미경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827B1 (ko) 2019-11-12
WO2019160352A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5446A1 (en)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US11529210B2 (en) Stereoscopic visualization camera and platform
US10966798B2 (en)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JP5691026B2 (ja) 照明−および観察装置
AU2013387184B2 (en) Automatic machine settings for customized refractive surgery
JP6318249B2 (ja) 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システム
WO2016154589A1 (en)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s and displays
CN104918572A (zh) 用于外科手术的视频捕获和显示的数字系统
EP0815482B1 (de) Mikroskop, insbesondere stereomikroskop
EP3313338B1 (en) CONTROL OF IMAGE SCAN DURING VITREORETINAL SURGERY
KR102043827B1 (ko) 현미경 자동 제어 시스템
JP2019527567A (ja) 手術用顕微鏡における光学的及びデジタル可視化
Marron-Tarrazzi Fundamentals of the operating microscope
DE102020133456B4 (de) Vorrichtung zur Abbildung von Objekten und ein Operationsmikroskop
US20210100449A1 (en) Slit lamp and biomicroscope assembly
US20230329550A1 (en) Slit lamp and biomicroscope assembly
Molavi et al. Using the Microscope
CA3233469A1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with multiple fixed magnification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