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13A - 모바일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13A
KR20190097913A KR1020180017921A KR20180017921A KR20190097913A KR 20190097913 A KR20190097913 A KR 20190097913A KR 1020180017921 A KR1020180017921 A KR 1020180017921A KR 20180017921 A KR20180017921 A KR 20180017921A KR 20190097913 A KR20190097913 A KR 2019009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amount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340B1 (ko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변성현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기기로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실제 체내로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함으로써,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고, 개인 맞춤형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ELECTRO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의 오염 및 미세먼지 유입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문제와 호흡기 질환 등 건강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의 오염 및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은 대기 중 독성을 지닌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이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와 결합하여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바로 침투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실외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는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지역별 실시간 정보를 받아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실시간 정보는 넓은 범위의 지역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이므로, 개인이 위치하는 실내외 장소 등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이 자신의 생활 환경에서의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측정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미세먼지측정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4112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실내에 주 측정부재, 실외에 부 측정부재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동시에 측정된 실내외 미세먼지농도를 비교 판단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연동된 스마트 기기로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넓은 범위의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외에 개인의 생활 환경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개인이 위치한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개인 생활 환경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으로 실제 개인이 호흡기를 통해 흡입한 미세먼지량의 정확한 측정은 불가하다.
따라서, 종래의 미세먼지측정장치로 개인의 생활 환경 및 위치한 지역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실제 체내로 흡입된 미세먼지량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그러므로, 실제 개인이 흡입한 미세먼지량이 얼마만큼인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411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먼지 농도와 호흡량으로 실제 체내로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함으로써,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고, 개인 맞춤형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및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에 공기 호흡량을 곱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속도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부는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근거하여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제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이동성이 좋은 형태로 착용 또는 소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산한 미세먼지 흡입량에 근거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함으로써,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위중한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측정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참고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행동 대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동하면서 실체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즉시 수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내로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대한 위험성을 각성하게 하고, 개인의 건강을 위한 노력을 실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를 인체에 소지및 착용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제어부, 미세먼지 측정부, 속도 센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미세먼지 흡입량 계산에 활용되는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 및 아동의 호흡량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표시부가 표시하는 미세먼지 흡입량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워치형(watch type) 디바이스, 목걸이형 디바이스, 벨트형(belt type) 디바이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인체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호흡량'은 '공기 호흡량'과 동일한 의미로, 모바일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호흡할 때, 폐에 들어가는 공기량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를 인체에 소지 및 착용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제어부, 미세먼지 측정부, 속도 센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미세먼지 흡입량 계산에 활용되는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 및 아동의 호흡량을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표시부가 표시하는 미세먼지 흡입량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1)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2)와,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 제어부(4),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기기(1)는 휴대폰(1a), 스마트폰(1b), 웨어러블 디바이스(1c)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c)는 워치형 디바이스(1c), 목걸이형 디바이스(1c), 벨트형 디바이스(1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인체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모바일 전자기기(1)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기기(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c)의 경우, 휴대폰(1a) 또는 스마트폰(1b)과 연동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c)일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c)에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c)는 휴대폰(1a) 또는 스마트폰(1b)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분리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및 속도 등과 같은 측정 데이터를 휴대폰(1a) 또는 스마트폰(1b)으로 이동할 수 있고,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부(2)는 미세먼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모바일 전자기기(1)는 제어부(4)에서 미세먼지 측정부(2)로부터 측정한 미세먼지의 농도에 공기 호흡량을 곱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한다.
또한, 모바일 전자기기(1)는 속도 센서(3)를 더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는 미세먼지 측정부(2)로부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와 속도 센서(3)로부터 측정한 속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속도 센서(3)는 모바일 전자기기(1)에 구비되어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따른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속도 센서(3)가 측정하는 속도는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의 동작 상태는 아무런 움직임을 하지 않고 휴식하고 있는 안정 상태, 빠른 걸음으로 걷고 있는 속보 상태 및 달리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속도 센서(3)를 통해 측정된 속도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한다. 결정된 공기 호흡량은 제어부(4)가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속도 센서(3)를 통해 측정된 속도가 0㎞/h이다. 제어부(4)는 측정된 속도 0km/h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한다.
제어부(4)에는 도 3에 도시된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 및 아동의 호흡량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속도 센서(3)에서 측정된 속도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할 경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 호흡량은 사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 남성의 경우, 동작 상태가 안정 상태일 때, 속도가 0km/h이다. 제어부(4)는 속도 0km/h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 6ℓ/min을 결정한다.
결정된 공기 호흡량 6ℓ/min는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가 4km/h이다. 이 경우, 제어부(4)는 0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6ℓ/min 와, 5.5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40ℓ/min의 사잇값을 4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가 8km/h일 경우, 제어부(4)는 5.5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40ℓ/min와, 9.5km/h에 기반한 공기호흡량 80ℓ/mindml 사잇값을 8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호흡량'R'은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V'가 'V1 < V < V2'일 경우, 'V1에 기반한 R1 < R < V2에 기반한 R2'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아동의 호흡량도 상기한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과 동일하게 공기 호흡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4)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한다.
미세먼지 흡입량은 '미세먼지농도(㎍/㎥) X 호흡량(㎥/min) X (분)'으로 분당 미세먼지 흡입량으로 계산할 수 있고, '미세먼지농도(㎍/㎥) X 호흡량(㎥/min) X 60(분)'으로 시간당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전자기기(1)에 기 설정된 시간구간이 오전 9시~10시까지 1시간일 경우, 시간당 미세먼지 흡입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성인 남성이라면, 안정 상태에서의 성인 남성 기준 시간당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측정부(2)로부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50㎍/㎥(보통 수준)이다. 또한,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 0km/h에 기반하여 결정된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은 6ℓ/min이다. 기 설정된 시간구간은 오전 9시~10시 까지이다.
제어부(4)는 이를 토대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기기(1)의 성인 남성 사용자의 안정 상태에서의 미세먼지 흡입량은 미세먼지 농도(50㎍/㎥) X 호흡량(6ℓ/min) X 60(분)으로 '18㎍'이 계산된다.
또한,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는 성인 남성이고, 미세먼지 측정부(2)로부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50㎍/㎥,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 5.5km/h에 기반하여 결정된 호흡량 40ℓ/min으로 시간당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흡입량은 미세먼지 농도(50㎍/㎥) X 호흡량(40ℓ/min) X 60(분)으로 '120㎍'이 계산된다.
예컨대,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남성)과, 미세먼지 농도(50㎍/㎥)은 동일하고,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가 4km/h이다.
제어부(4)는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V'가 '0km/h < 4km/h < 5.5km/h'이므로, '0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6ℓ/min < 공기호흡량 'R' < 5.5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40ℓ/min'의 범위에서 공기 호흡량 'R'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 속도 4km/h에 기반한 공기 호흡량 'R'을 결정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하면, 미세먼지 농도보다 호흡량에 의해 미세먼지가 더 많이 흡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는 성인 남성, 미세먼지 농도 150㎍/㎥(매우나쁨 수준), 속도 센서(3)에서 측정한 속도 0km/h에 기반하여 결정된 호흡량 6ℓ/min으로 시간당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한다.
미세먼지 흡입량은 미세먼지 농도(150㎍/㎥) X 호흡량(6ℓ/min) X 60(분)으로 '54㎍'이 계산된다.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는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1)가 측정한 미세먼지 흡입량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150㎍/㎥로 매우 나쁨 수준일 경우에 안정 상태에서 흡입하는 흡입량(54㎍)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50㎍/㎥으로 보통 수준일 경우에 속보로 산책하며 흡입하는 미세먼지 흡입량(120㎍)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1)가 측정하는 미세먼지 흡입량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성인 남성 기준 호흡량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하였지만, 개인별 신체조건으로 미세먼지 흡입량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기기(1)는 사전에 모바일 전자기기(1)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 확인한 개인별 호흡량을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속도 센서를 통한 개인별 동작 상태 파악 후, 사용자 개인의 호흡량에 맞춘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할 수 있다.
표시부는 제어부(4)에서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한다.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미세먼지 흡입량은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서의 미세먼지 흡입량의 총량을 표시할 수 있고, 시간대별, 요일별 또는 날짜별, 월별 등으로 통계처리된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흡입량은 모바일 전자기기(1)에 기 설정된 시간구간을 오전 10시~22시까지(12시간) 등과 같이 설정하여, 12시간의 활동 시간 동안에서의 미세먼지 흡입량에 대한 누적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성인 남성인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한다.
표시부는 도 4(a)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동작 상태별로 분류하여 한번에 표시함으로써, 각 동작 상태에서 흡입한 미세먼지 흡입량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고, 도 4(a)와 다르게,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동작 상태에 따라 하나씩 표시하여 해당 시간구간에 측정한 미세먼지 흡입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아동인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구간에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동작 상태별로 분류하여 한번에 표시할 수 있고, 동작 상태에 따라 하나씩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부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을 미세먼지 흡입량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제어부(4)에서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근거하여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한다.
예컨대, 모바일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아동이다.
아동의 미세먼지 흡입량은 도 3에 도시된, 아동의 호흡량을 참고하여, 도 4(b)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4(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아동인 모바일 전자기기(1)에서 기 설정된 시간구간 오전 9시~10시 까지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이 120㎍이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약간 나쁨 수준인 120㎍/㎥일 때, 노약자들의 장시간 실외 활동 자제를 권고한다.
아동이 사용자인 모바일 전자기기(1)의 표시부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120㎍)에 근거하여 '즉시 실내 활동 요망 및 공기청정도가 높은 가까운 실내 방문 요망, 귀가 후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 섭취 권고함' 등과 같은 메시지 또는 아이콘, 메시지 및 아이콘으로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함과 동시에 과도한 미세먼지 흡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 뇌 기능 퇴화, 암 등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모바일 전자기기(1) 사용자에게 미세먼지 위험성을 상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이동성이 좋은 형태로 착용 또는 소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산한 미세먼지 흡입량에 근거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함으로써,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미세먼지 흡입량을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위중한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측정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참고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행동 대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동하면서 실체 체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을 즉시 수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내로 흡입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대한 위험성을 각성하게 하고, 개인의 건강을 위한 노력을 실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모바일 전자기기 1a: 휴대폰
1b: 스마트폰 1c: 웨어러블 디바이스
1c: 워치형 디바이스, 목걸이형 디바이스, 벨트형 디바이스
2: 미세먼지 측정부 3: 속도 센서
4: 제어부

Claims (5)

  1.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및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에 공기 호흡량을 곱하여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속도에 기반하여 공기 호흡량을 결정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별로 미세먼지 흡입량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부는 계산된 미세먼지 흡입량에 근거하여 건강생활 수칙을 표시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KR1020180017921A 2018-02-13 2018-02-13 모바일 전자기기 KR10203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21A KR102036340B1 (ko) 2018-02-13 2018-02-13 모바일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21A KR102036340B1 (ko) 2018-02-13 2018-02-13 모바일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13A true KR20190097913A (ko) 2019-08-21
KR102036340B1 KR102036340B1 (ko) 2019-10-24

Family

ID=678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21A KR102036340B1 (ko) 2018-02-13 2018-02-13 모바일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153A (ko) * 2019-10-28 2021-05-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개인별 미세먼지 누적 노출량 분석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2505A (ko) * 2019-11-21 2021-05-3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방법 및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시스템,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069913A (ko) * 2019-12-04 2021-06-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기반 미세먼지 흡입량 정보 측정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5A (ko) *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101785566B1 (ko) * 2016-11-21 2017-10-17 (주)텍스트무브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41122A (ko) 2016-06-14 2017-12-22 황윤식 스마트기기 연동 실내외 미세먼지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5A (ko) *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78539A (ko) * 2015-12-29 2017-07-07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KR20170141122A (ko) 2016-06-14 2017-12-22 황윤식 스마트기기 연동 실내외 미세먼지측정장치
KR101785566B1 (ko) * 2016-11-21 2017-10-17 (주)텍스트무브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153A (ko) * 2019-10-28 2021-05-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개인별 미세먼지 누적 노출량 분석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2505A (ko) * 2019-11-21 2021-05-3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방법 및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시스템, 초미세먼지 농도의 산출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069913A (ko) * 2019-12-04 2021-06-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기반 미세먼지 흡입량 정보 측정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340B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37169U (zh) 呼吸健康感测系统
KR102036340B1 (ko) 모바일 전자기기
JP6789247B2 (ja) 対象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1964185B2 (en)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US20190328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piration
US10449455B2 (en) Operation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game control program, operation information measurement program
US11185252B2 (en) Determining a risk level posed by an air pollutant
CN107249694B (zh) 呼吸面罩管理系统
US20120259577A1 (en) Fall Detection Methods and Devices
US11712175B2 (en)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with feedback indicia
GB2525643A (en) Method and device to monitor infectious patients
KR101812660B1 (ko) 길이 측정 방법 및 시스템
WO2016035586A1 (ja) 動作情報測定装置、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動作情報測定プログラム
KR101694606B1 (ko)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장치 및 시스템
JP2020534966A (ja) 携帯用パーソナルレスピレータおよびその使用
US20210241605A1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personal wellbeing
WO2014171547A1 (ja) 歩行試験装置
KR20190127259A (ko) 먼지 노출량 측정장치
KR20240076044A (ko) 대기 중 오염물질의 노출량 산출 시스템
KR101565744B1 (ko) 기능성 디지털 버클
KR20210095028A (ko) 인체에서 흡입하는 미세먼지 누적량 측정 장치
JP2021528748A (ja) 移動時の汚染物質の吸入低減
CN117794450A (zh) 用于呼吸锻炼的系统和方法
TWM515101U (zh) 可攜式空氣檢測器及其空氣資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