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716A - 휴대용 책 고정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책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716A
KR20190097716A KR1020180017488A KR20180017488A KR20190097716A KR 20190097716 A KR20190097716 A KR 20190097716A KR 1020180017488 A KR1020180017488 A KR 1020180017488A KR 20180017488 A KR20180017488 A KR 20180017488A KR 20190097716 A KR20190097716 A KR 2019009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ok
holder
suppor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수
박명호
류경진
김정섭
황태민
박형익
조주형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716A/ko
Publication of KR2019009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책 고정대(100)에 관한 것으로,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의 간격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20)와 제3 지지대(3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A1);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B1);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A2);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B2); 상기 제1 지지대(1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홀더(15); 상기 제4 지지대(4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는 제2 홀더(45); 및 상기 제2 지지대(20)와 상기 제3 지지대(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길이 확장이 가능한 상부·하부 스프링(C1,C2)을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책 고정대{Portable Book Rack}
본 발명은 책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와 두께가 다양한 책을 휴대하기 편리하고 책을 고정하기 용이하며 부피가 적은 휴대용 책 고정대(100)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책을 보기 위하여 간편하게 휴대하거나 책을 고정시킬 필요성이 있는데, 책의 휴대성을 높이고 고정을 간단하고 견고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식 책 스탠드가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5476(2011.06.01)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책 스탠드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이동식 책 스탠드는 책을 올려놓는 받침대(140); 상기 받침대의 이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전후 및 상하좌우로 상기 받침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다관절 형태로 연결되면 서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대(120); 및 상기 연결대의 타단이 연결되어 고정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대(110);를 포 함하며, 상기 연결대(120)는, 상기 고정대(110)에 외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외측단에서 수직축 및 수평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제1 길이 조절부(122); 상기 받침대에 외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외측단에서 수평축 및 수직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제2 길이 조절부(130); 및 상기 제1, 2 길이 조절부의 내측단을 상호 연결하되, 연결 부위인 각각의 내측단이 수평축 을 기점으로 각각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식 책 스탠드는 책을 올려놓은 받침대(140)가 구비되어 있고, 외측단에서 수직축 및 수평축을 기점으로 회전되 는 제1 길이 조절부(122) 및 제2 길이 조절부(130)등이 구비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책을 고정하는 역할을 가능하지만, 구성요소가 과다하여 전체적인 부피가 크게 되고 무게가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휴대용으로는 널리 이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 종래의 이동식 책 스탠드는 구성이 복잡하여 수백장, 수천장이 넘는 책을 넘길 경우나 주변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 연결부가 이탈하게 되어 고장이 빈발한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책 고정대는 기숙사에서나 강의실에서나 도면을 보기 위해 책을 고정해야 하는데 일반 책 고정대는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사용을 꺼리게 된다는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외에도 책갈피는 휴대하기 편리하지만 책을 고정시키는 용도로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책 고정대는 책을 고정시킬 수 있지만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책을 고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을 갖추어 가볍교 휴대성이 양호한 휴대용 책 고정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책을 양 옆과 중간 부분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책의 크기 및 분량에 따른 길이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고정성이 양호한 휴대용 책 고정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는,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의 간격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20)와 제3 지지대(3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A1);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B1);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A2);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B2); 상기 제1 지지대(1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홀더(15); 상기 제4 지지대(4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는 제2 홀더(45); 및 상기 제2 지지대(20)와 상기 제3 지지대(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길이 확장이 가능한 상부·하부 스프링(C1,C2)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받침봉(A1),상부 받침봉(B1)과 상기 하부 받침봉(A2), 하부 받침봉(A2)은 그 내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한 3단 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홀더(15)와 제2 홀더(45)는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책을 고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을 갖추어 가볍교 휴대성이 양호한 휴대용 책 고정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책을 양 옆과 중간 부분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책의 크기 및 분량에 따른 길이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고정성이 양호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책의 양끝을 잡고 읽을 필요성이 없는 휴대용 책 고정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이동식 책 스탠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상부 연결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에 적용되는 상부 및 하부 받침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책 고정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는,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의 간격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20)와 제3 지지대(3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A1);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B1);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A2);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B2); 상기 제1 지지대(1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홀더(15); 상기 제4 지지대(4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는 제2 홀더(45); 및 상기 제2 지지대(20)와 상기 제3 지지대(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길이 확장이 가능한 상부·하부 스프링(C1,C2)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상부 연결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에 적용되는 상부 및 하부 받침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부호를 중심으로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100)는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의 간격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20)와 제3 지지대(30)가 설치된다.
이때,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가 책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가 책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A1)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B1)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A2)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B2)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대(1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홀더(15)와, 상기 제4 지지대(4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는 제2 홀더(4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홀더(15)와 제2 홀더(45)는 책이 옆면으로 펼쳐지거나 넘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지지대(20)와 상기 제3 지지대(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길이 확장이 가능한 상부·하부 스프링(C1,C2)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부 스프링(C1,C2)은 탄성력이 좋은 스프링재로 구성되어 책이 두껍거나 얇을 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배면 받침반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책의 크기에 맞추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간단하게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구현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받침봉(A1),상부 받침봉(B1)과 상기 하부 받침봉(A2), 하부 받침봉(A2)은 그 내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한 3단 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봉(A1),상부 받침봉(B1)과 상기 하부 받침봉(A2), 하부 받침봉(A2)은 그 내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한 3단 봉으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봉은 2단 봉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1 홀더(15)와 제2 홀더(45)는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홀더를 갖춘 휴대용 책 고정대(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100)의 제작 상의 특징을 요약하기로 한다.
1). 책의 평균 사이즈에 맞는 길이와 두께를 가진 봉 4개를 설치한다.
2). 봉과 봉 사이를 연결해주는 또 다른 봉 4개를 구비한다.
3). 복원력이 좋은 스프링 부재를 활용하여 서적의 두께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책 고정대(100)에 설치되는 모든 지지대 및 봉들은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3단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제작한다.
또한, 중간 받침대 2개를 복원력이 좋은 스프링으로 연결해 책의 두께와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책을 양 옆과 중간 부분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책의 크기 및 분량에 따른 길이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고정성이 양호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책의 양끝을 잡고 읽을 필요성이 없는 휴대용 책 고정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기술사상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제1 지지대
15: 제1 홀더
20: 제2 지지대
30: 제1 중간지지대
40: 제2 중간지지대
45: 제2 홀더
A1,B1: 상부 받침봉
A2,B2: 하부 받침봉
C1,C2: 상부·하부 스프링
100: 휴대용 책 고정대

Claims (3)

  1. 책 고정대에 있어서,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4 지지대(40)의 간격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20)와 제3 지지대(3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A1);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상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 받침봉(B1);
    상기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A2);
    상기 제3 지지대(30)와 제4 지지대(40)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부 받침봉(B2);
    상기 제1 지지대(1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홀더(15);
    상기 제4 지지대(40)에 절곡 연장되어 책의 다른 측면을 고정하는 제2 홀더(45); 및
    상기 제2 지지대(20)와 상기 제3 지지대(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길이 확장이 가능한 상부·하부 스프링(C1,C2)을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책 고정대(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봉(A1),상부 받침봉(B1)과 상기 하부 받침봉(A2), 하부 받침봉(A2)은 그 내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한 3단 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책 고정대(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15)와 제2 홀더(45)는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책 고정대(100).
KR1020180017488A 2018-02-13 2018-02-13 휴대용 책 고정대 KR20190097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8A KR20190097716A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책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8A KR20190097716A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책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16A true KR20190097716A (ko) 2019-08-21

Family

ID=6780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88A KR20190097716A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책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7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798B1 (ko)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US4120564A (en) Reading stand with magnifier
KR20190097716A (ko) 휴대용 책 고정대
CN209898716U (zh) 可折叠式自动调节书立
KR100963145B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KR2020000190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201452176U (zh) 桌面倾斜角度可调的学生课桌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190051681A (ko) 누운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
CN209003073U (zh) 桌板角度调整模块
KR200446831Y1 (ko) 휴대용 자동 독서대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CN209106482U (zh) 拉伸式书本支撑装置
CN105212532B (zh) 一种手机或书本支架
CN109283677A (zh) 一种特殊的新型显微镜托架
CN209747116U (zh) 钢琴谱架装置
GB1599064A (en) Portable stand for use in studying
CN216291325U (zh) 一种英语听力训练用扬声机支撑装置
CN215014755U (zh) 一种壁挂拉伸式高中课桌侧面书架
CN212031847U (zh) 一种具有外挂式结构的望远镜用三角支架
CN207475784U (zh) 一种麦克风与移动终端一体化支架
KR20130097343A (ko) 높이 조절 독서대
CN214069977U (zh) 一种折叠式手机支架
CN201767358U (zh) 看书架
KR20090069549A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