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43A - 높이 조절 독서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43A
KR20130097343A KR1020120018931A KR20120018931A KR20130097343A KR 20130097343 A KR20130097343 A KR 20130097343A KR 1020120018931 A KR1020120018931 A KR 1020120018931A KR 20120018931 A KR20120018931 A KR 20120018931A KR 20130097343 A KR20130097343 A KR 20130097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pper body
book
height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845B1 (ko
Inventor
방부현
Original Assignee
방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부현 filed Critical 방부현
Priority to KR102012001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42D17/005Hand-held holders for facilitating the reading of newspaper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의 높이 및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책장을 집기가 보다 쉽게 되며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에 안착되며, 책을 펼친 상태에서 경사지게 누일 수 있는 받침판과 책의 하단을 받쳐주는 지지판 및 받침판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책거치대 및 상기 상부본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본체에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독서대 {HEIGHT ADJUSTABLE READING RACKS}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높이 및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책장을 집기가 보다 쉽게 되며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는 책을 일정한 각도로 세워놓고 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편한 상태에서 책을 볼 수 있게 하여 몸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사람 머리의 무게는 대략 볼링공과 같은 무게로서 약 5~7kg에 이른다. 머리를 숙인 자세에서 장시간 책을 읽으면 목관절 및 허리관절에 많은 무리가 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독서대는 오랜 시간 독서를 하는 사람에게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생기는피로를 줄여주고, 집중력 있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독서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독서대는 도 1의 예에서 보듯이 주로 받침판의 경사조절 기능에만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어서, 독서대에서 직접 높이까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은 드물었고, 더욱이 복잡한 구성이나 부품 없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 독서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8827호에 다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가 구비된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스탠드는 카메라의 다리 역할을 하는 공지의 삼발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다리는 3단으로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4760호에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책받침대는 지지대와 힌지축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는 다리구조나 지지구조가 불안정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질 위험이 있고 부품구성 또한 복잡하다.
한편, 독서대가 차지하는 면적에 대하여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상 등 독서대가 놓여진 곳에서 일정면적에 해당하는 범위만큼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고정적으로 할애해야 하는 면적이므로 도서관이나 독서실 등 작은 책상 면적을 갖고 있는 환경에서는 큰 제약이 되고 이에 따라 필기구나 다른 물건 등을 올려놓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치대의 높이와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책장을 집기가 보다 쉽게 되며, 또한 물품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책상의 공간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안착되며, 책을 펼친 상태에서 경사지게 누일 수 있는 받침판과 책의 하단을 받쳐주는 지지판 및 받침판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책거치대; 및 상기 상부본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본체에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본체는 상자형이되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는 상자형이되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판은 펼쳐졌을 때 84도 내지 87도의 사잇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본체의 상면부에는 다수의 일자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본체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책의 높이를 설정하여 책을 읽음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갖게 되어 목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집중력을 높인 상태로 장시간 독서를 할 수 있다. 사용자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책상이 낮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로 높이를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수납공간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책 또는 사무용품 등 다양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어 책상공간의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책거치대의 받침판과 지지판이 직각 미만의 사잇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책이 거치되므로 책은 지지판에 의한 전단력을 받아 페이지별로 구분되므로 책장을 집기가 보다 쉽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독서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높이조절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는 책거치대(100)와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50)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본체(210)는 하부본체(250)안에 밀착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역으로, 하부본체(250)가 상부본체(210)의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의 실시 예도 가능하다). 상부본체(210)는 하부본체(250)의 내벽에 밀착하여 상승하강이 가능한 형태와 규격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을 실현하는 승강대 역할을 한다.
상부본체(210)는 상부본체(210)의 측면에 뚫린 홀(230) 및 하부본체(250)의 측면에 뚫린 홀(26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310)와 너트(320)에 의해 하부본체(250)에 결합된다. 상부본체(210)의 측면에 뚫린 홀(230)은 아무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상부본체(210)가 하부본체(250)에 삽입되어 놓여졌을 때 하부본체(250)의 측면에 뚫린 다수개의 홀(260) 중에서 제일 아랫쪽에 위치한 홀의 위치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하부본체(250)의 측면에 뚫린 다수개의 홀(26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높이에서 상부본체(210)를 하부본체(25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하부본체(250)의 측면의 전방부에 뚫린 다수개의 홀(260)과 같은 높이로 후방부에 뚫린 다수개의 홀(261)이 있으며, 대칭되는 측면의 부재에도 동일한 홀(262, 26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본체(250)의 각각의 홀(260, 261, 262, 263)은 각각의 높이에서 상부본체(210)의 각 홀(230, 231, 232, 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볼트(310)와 너트(320)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210)를 하부본체(250)에 결합하여 높이 조절을 실현하는 높이조절수단의 체결부재는 상기 볼트(310)와 너트(320) 뿐 아니라, 핀과 핀홀 등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50)에 대한 적절한 결합력 및 책거치대와 책에 대한 지지력을 줄 수 있는 공지의 체결요소가 활용될 수 있다.
본체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사용자에 알맞은 적절한 높이로 상부본체(210)를 하부본체(250)에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위치에 책을 거치한 채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의 독서에도 보다 덜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학습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책상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본체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책을 읽기에 적당한 높이로 맞출 수가 있어 책상높이를 보정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 5에 상기 상부본체(210)가 상기 하부본체(250)의 상단홀에 결합된 상태로 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본체(210)는 상자형의 외형에서 전면부와 하면부가 비어있는 형상이며, 하부본체(250)는 상자형의 외형에서 전면부와 상면부가 비어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50)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생기며 이 곳은 책이나 필기구 등 여러가지 물건들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넣어둘 수 있는 수납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독서대 이용시 독서대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낭비되던 공간을 살려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책상공간을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책거치대(100)는 상부본체(2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부본체(210)의 상면부 전단에 받침판(11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통하여 결합되고 바람직한 체결수단의 일 실시 예로 도 3 및 도 6에 힌지(220)가 도시되어 있다. 힌지의 일측은 받침판(110)의 하단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부본체(210)의 상면부 전단에 부착되어, 각도조절부재(130)를 걷으면 상부본체(210)와 받침판(110)이 서로 포개질 수 있고, 각도조절부재(130)를 세우면 일정한 각도로 받침판(110)을 세울 수 있다. 또한, 힌지 외에도 핀과 핀홀 등 공지의 회전 가능한 체결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책거치대(100)는 받침판(110)과 지지판(120) 및 각도조절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각도는 84도 내지 87도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6도로 이루어진다. 도 6의 원 내부를 참조하면 받침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일 실시 예로 받침판(110)과 맞닫는 지지판(120)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받침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각도가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에서 형성되므로 책거치대(100)에 책을 펼쳐서 거치했을 때 책의 하단이 책의 상단으로 밀리는 전단력을 받고, 받침판(110)에 닫는 면에서 먼 위치의 페이지일수록 밀리는 힘을 강하게 받아 페이지별로 분리되므로 책장을 집기가 보다 쉽게 된다.
각도조절부재(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지대가 활용될 수 있고, 일 실시 예로 도 4에 'ㄷ'자형의 철재로 된 지지대가 도시되어 있다. 각도조절부재(130)는 받침판(1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철재 또는 공지의 여러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130)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세워놓기 위한 일 실시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본체(210)의 상면에 다수의 일자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각도조절부재(130)는 이 중 어느 하나의 일자홈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일정한 각도로 받침판(110)을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도조절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홈(215) 외에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각도조절부재(130)를 고정하여 세우고 받침판(110)을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책거치대 110: 받침판
120: 지지판 130: 각도조절부재
200: 본체 210: 상부본체
215: 일자홈 220: 힌지
230, 231, 232, 233: 체결용 홀 250: 하부본체
260, 261, 262, 263: 체결용 홀 310: 볼트
320: 너트

Claims (5)

  1.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에 안착되며, 책을 펼친 상태에서 경사지게 누일 수 있는 받침판과 책의 하단을 받쳐주는 지지판 및 받침판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책거치대; 및
    상기 상부본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본체에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는 상자형이되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는 상자형이되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판은 펼쳐졌을 때 84도 내지 87도의 사잇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상면부에는 다수의 일자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KR1020120018931A 2012-02-24 2012-02-24 높이 조절 독서대 KR10131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31A KR101318845B1 (ko) 2012-02-24 2012-02-24 높이 조절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31A KR101318845B1 (ko) 2012-02-24 2012-02-24 높이 조절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43A true KR20130097343A (ko) 2013-09-03
KR101318845B1 KR101318845B1 (ko) 2013-10-17

Family

ID=4944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31A KR101318845B1 (ko) 2012-02-24 2012-02-24 높이 조절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836A (zh) * 2018-10-25 2018-12-28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桌面高度与角度自适应调节的绘图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3374A (zh) * 2017-10-10 2018-02-23 王晗琪 一种可调节角度的草稿式课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66U (ja) * 1993-09-21 1995-04-18 啓二 矢嶋 本のページ押さえ具
ATE471674T1 (de) 2003-08-26 2010-07-15 Cho Soon Ja Universalbuchhalterung
KR200449218Y1 (ko) * 2008-05-27 2010-06-24 김대교 독서대
KR20100120010A (ko) * 2009-05-04 2010-11-12 안재철 휴대가 용이한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836A (zh) * 2018-10-25 2018-12-28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桌面高度与角度自适应调节的绘图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845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385B1 (en) Adjustable book holder
KR100924616B1 (ko) 다용도 책상
US6931679B1 (en) Foldable stand for a hammock
KR101318845B1 (ko) 높이 조절 독서대
KR101539201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CN205456965U (zh) 折叠书桌
US7237776B1 (en) Game board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0472078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좌식책상
KR20140005661A (ko) 책 받침대와 서랍을 갖춘 다용도 보조책상
KR200476202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080102916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JP6451952B2 (ja) 書見台
US20220134241A1 (en) Mount for holding a handheld device
KR20090010597A (ko) 앉거나 누운 자세로 이용할 수 있는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KR101036372B1 (ko) 곤충 캐릭터 형상을 한 독서대
KR102220314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120139990A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180087087A (ko) 독서대상
CN219680141U (zh) 一种折叠支架及折叠椅
KR20150050537A (ko)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키보드 받침판
JP2019515766A (ja) 縦型作業台
KR200401956Y1 (ko) 수험생용책상
KR200480600Y1 (ko) 높이 조절형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