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223A - 어류 포획용 어항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용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223A
KR20190096223A KR1020180015893A KR20180015893A KR20190096223A KR 20190096223 A KR20190096223 A KR 20190096223A KR 1020180015893 A KR1020180015893 A KR 1020180015893A KR 20180015893 A KR20180015893 A KR 20180015893A KR 20190096223 A KR20190096223 A KR 2019009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inlet
upper body
lower bod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810B1 (ko
Inventor
채예린
Original Assignee
채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예린 filed Critical 채예린
Priority to KR102018001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포획용 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30)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50)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종래의 구멍 형태보다 넓은 면적으로 어류를 유인하는 유입구(35)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하부 몸체의 하단과 상단이 수평 또는 서로 맞물리게 위치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므로 종래보다 어류의 포획이 손쉽고 포획된 어류가 외부로 다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므로 종래보다 어류의 포획률을 크게 개선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어류 포획용 어항{A goldfish basin for capture a fish}
본 발명은 어류 포획용 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하부 몸체 사이에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사방으로 유입구를 넓게 형성하여 종래 구멍 형태보다 어류의 포획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포획된 어류가 유입구를 통해 다시 외부로 잘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므로 어류 포획율이 우수한 어류 포획용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흐르는 물속에 고정 설치하여 내측으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도록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종래 어항은 주로 투명 재질의 원통형 몸체 형태로 형성하되, 전후 한쪽 또는 양쪽으로 고깔 모양을 갖되 내부로 어류를 유인하는 유인 구멍을 형성하고 내부에 떡밥이나 미끼를 설치하여 어류가 유인 구멍을 통해 내부로 유인되어 이를 포획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어항은 어류를 유인하는 구멍의 수효가 무척 제한적이어서 어류를 많이 포획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어항의 전후 방향 이외에 측방으로도 다수의 유인 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인 구멍의 수효를 늘여 어류를 더 많이 포획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어류를 구멍으로 유인하기 때문에 어류를 유인하는 전체 면적이 제한적이어서 어류의 포획율을 크게 개선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어항은 어류를 유인하는 구멍과 내부 공간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어항 내부로 포획한 어류가 다시 유인 구멍을 통해 외부로 쉽게 탈출하면서 전체적인 어류 포획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어항은 원통형 몸체를 일체로 휴대 및 보관하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시 많을 공간을 점유하게 되면서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4136호(2011년06월10일) 등록실용신안 제20-0267614호(2002년02월27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상,하부 몸체를 서로 대향 조립하여 상,하부 몸체 사이에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므로 종래의 구멍 형태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하고 있어 어류의 포획이 손쉽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몸체의 하단과 상단이 수평 또는 서로 맞물리게 위치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므로 포획된 어류가 외부로 다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몸체를 분리 상태로 휴대 및 조립 부재에 의해 간단히 조립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보관 및 조립 사용의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상부 몸체의 하단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 경사부와 하부 몸체의 상단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향 경사부 사이로 형성하되, 상기 하향 경사부의 하단이 상향 경사부의 상단과 동일 선상이나 하향 위치하면서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전체적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는 평면에서 원반형이나 삼각, 사각과 같은 다각형 중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다각형의 경우에 유입구를 어느 한 측면 위치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에는 어항을 들어 올릴 때 내부의 물을 하부로 배수하도록 배수공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립 부재는 상,하로 나사부와 걸림턱을 대향 형성하는 지지봉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대향 위치로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지지봉의 상하 나사부를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시켜 걸림턱에 안착 지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지지봉의 상하 나사부에 조임 너트를 나사 체결하여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종래의 구멍 형태보다 넓은 면적으로 어류를 유인하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하부 몸체의 하단과 상단이 수평 또는 서로 맞물리게 위치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므로 종래보다 어류의 포획이 손쉽고 포획된 어류가 외부로 다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므로 어류의 포획률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조립 부재로 조립하도록 구성하므로 상,하부 몸체를 분리 상태로 휴대 및 조립 부재에 의해 필요시 간단히 조립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보관 및 조립 사용의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항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류 포획용 어항(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30)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50)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는 유입구(35)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의 하단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 경사부(11)와 하부 몸체(20)의 상단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향 경사부(21) 사이로 형성하되, 상기 하향 경사부(11)의 하단이 상향 경사부(21)의 상단과 동일 선상이나 하향 위치하면서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외측에 도 3에서와 같이 사방에 전체적으로 형성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형성하므로 종래 단순히 구멍 형태의 유입구에 비해 사이즈가 훨씬 넓게 형성하면서 어류를 손쉽게 내부로 유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구(35)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의 위치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는 상하로 둥글고 납잡한 형상을 이루되 평면에서 볼 때, 도 5에서와 같이 원반형이나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삼각, 사각, 오각과 같은 다각형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항의 몸체가 원반형의 경우 유입구를 사방에 형성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다각형의 경우 사방 또는 어느 한 측면이나 두 측면 위치 등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20)의 바닥에는 어항 내부의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2)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조립 부재(50)는 상,하로 나사부(56)(56')와 걸림턱(57)(57')을 대향 형성하는 지지봉(55)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대향 위치로 삽입공(13)(23)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지지봉(55)의 상하 나사부(56)(56')를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시켜 걸림턱(57)(57')에 안착 지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지지봉(55)의 상하 나사부(56)(56')에 조임 너트(54)를 나사 체결하여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봉(55)은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중앙 부위에서 동일 원주상에 3곳이나 4곳 이상의 등각 분할 위치에서 조립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하부 중앙에는 상하 걸고리(15)(16)를 돌출 형성하여 상부 걸고리(15)는 어항을 걸어 두도록 사용하고, 하부 걸고리(16)는 먹이를 담아 두는 먹이 주머니(3)를 걸어 두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항은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및, 조립 부재(50)를 서로 분리 상태로 간단히 휴대 및 보관하고, 필요시 간단히 조립 사용하는 것이다.
먼저, 어항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하부 몸체(20)의 상부에서 삽입공(23)으로 지지봉(55) 하부의 나사부(56')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5) 상부의 나사부(56)에 상부 몸체(10)의 삽입공(13)을 삽입하여 조립하되, 상기 지지봉(55) 상,하부의 걸림턱(57)(57')이 상,하부 몸체(10)(20)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의 상하 나사부(56)(56') 외측에 조임 너트(54)를 나사 체결하여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는 유입구(35)를 형성하도록 고정되게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는 걸고리(16)에 먹이를 담아 두는 먹이 주머니(3)를 걸어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어항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포획하고자 하는 경우, 어항(100)을 흐르는 물속에 고정 설치하여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35)를 통해 내측의 포획 공간부(30)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의 외측에 서로 이격되는 틈새 형태로 형성하되, 도 3에서와 같이 사방에 전체적으로 형성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한 곳이나 두 곳 이상 위치에 부분적으로 형성하므로 종래 단순히 구멍 형태의 유입구에 비해 사이즈가 훨씬 넓게 형성하면서 어류를 훨씬 손쉽게 내부로 유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의 하단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 경사부(11)와 하부 몸체(20)의 상단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향 경사부(21) 사이로 형성하는데, 상기 하향 경사부(11)의 하단이 상향 경사부(21)의 상단과 동일 선상이나 하향 위치하면서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기 때문에 어항 내부의 포획 공간부(30)로 포획된 어류가 종래와 같이 손쉽게 탈출하지 못하게 되면서 어류의 포획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류를 포획한 후 어항(100)을 물속에서 건져내는데, 이때 상기 하부 몸체(20)의 바닥에 배수공(22)을 다수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어항 내부의 물을 하부로 배수하여 손쉽게 건져 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항(100)에 포획된 어류는 상부 몸체(10)를 고정 조립하는 조인 너트(54)를 풀어 하부 몸체 상부의 상부 몸체를 분리하므로 포획 공간부의 물고기를 손쉽게 꺼낼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30)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50)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종래의 구멍 형태보다 넓은 면적으로 어류를 유인하는 유입구(35)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35)가 내부에서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므로 종래보다 어류의 포획이 손쉽고 포획된 어류가 외부로 다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므로 종래보다 어류의 포획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10: 상부 몸체 11: 하향 경사부
13,23: 삽입공 15,16: 걸고리
20: 하부 몸체 21: 상향 경사부
22: 배수공 30: 포획 공간부
35: 유입구 50: 조립 부재
54: 조임 너트 55: 지지봉
56,56': 나사부 57,57': 걸림턱

Claims (6)

  1.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상하로 대향 위치시키고 내부에 포획 공간부(30)를 형성하도록 조립 부재(50)로 조립하되,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에 의해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는 유입구(35)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의 하단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 경사부(11)와 하부 몸체(20)의 상단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향 경사부(21) 사이로 형성하되, 상기 하향 경사부(11)의 하단이 상향 경사부(21)의 상단과 동일 선상이나 하향 위치하면서 내부에서 유입구가 닫혀 있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5)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사이에 전체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는 평면에서 원반형이나 삼각, 사각과 같은 다각형 중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다각형의 경우에 유입구를 어느 한 측면 위치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20)의 바닥에는 어항 내부의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2)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부재(50)는 상,하로 나사부(56)(56')와 걸림턱(57)(57')을 대향 형성하는 지지봉(55)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대향 위치로 삽입공(13)(23)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지지봉(55)의 상하 나사부(56)(56')를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시켜 걸림턱(57)(57')에 안착 지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지지봉(55)의 상하 나사부(56)(56')에 조임 너트(54)를 나사 체결하여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어항.
KR1020180015893A 2018-02-08 2018-02-08 어류 포획용 어항 KR10209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93A KR102099810B1 (ko) 2018-02-08 2018-02-08 어류 포획용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93A KR102099810B1 (ko) 2018-02-08 2018-02-08 어류 포획용 어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23A true KR20190096223A (ko) 2019-08-19
KR102099810B1 KR102099810B1 (ko) 2020-04-10

Family

ID=6780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93A KR102099810B1 (ko) 2018-02-08 2018-02-08 어류 포획용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8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14Y1 (ko) 2001-12-03 2002-03-09 심홍보 어류 포획용 어항
KR200454136Y1 (ko) 2009-06-11 2011-06-17 전규만 조립식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200461113Y1 (ko) * 2012-01-06 2012-06-25 주식회사 태양그린에너지 공냉식 led집어등장치
KR20140125989A (ko) * 2013-04-22 2014-10-30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
KR20180004659A (ko) * 2016-07-04 2018-01-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14Y1 (ko) 2001-12-03 2002-03-09 심홍보 어류 포획용 어항
KR200454136Y1 (ko) 2009-06-11 2011-06-17 전규만 조립식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200461113Y1 (ko) * 2012-01-06 2012-06-25 주식회사 태양그린에너지 공냉식 led집어등장치
KR20140125989A (ko) * 2013-04-22 2014-10-30 이민석 어류 포획 어항
KR20180004659A (ko) * 2016-07-04 2018-01-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810B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470B2 (en) Hub member and supporting arms for a pole mounted assembly
US2887988A (en) Combined bird bath and feeding station
KR101679993B1 (ko) 다용도 봉돌을 구비한 낚시채비
US8028467B2 (en) Live insect trap
KR20110004112U (ko) 조립식 다용도 낚시용품 받침대
JPH0763278B2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FR2893229A1 (fr) Cage pour la culture aquatique de mollusques.
JP2007006736A (ja) 鑑賞魚用給餌器
KR20190096223A (ko) 어류 포획용 어항
US3332163A (en) Fishing tackle
ES1077479U (es) Trampa para insectos.
US6256925B1 (en) Storage device for fish lures, namely, spinnerbaits
US20080121186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Hanging Wild Bird Feeders
JP2016214214A (ja) 漁撈用の筌
GB2566957A (en) A vase apparatus
CN205233223U (zh) 绝钓爆炸钩
JP2008125513A (ja) 海釣り用竿掛
KR200267614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CN220326532U (zh) 一种便于拆装的喂鸟器
KR102461884B1 (ko) 반려동물별 맞춤형 식기시스템
TWM536848U (zh) 漁網架
KR200378559Y1 (ko) 멍게 모패용 트레이
JP7182284B2 (ja) 捕虫器本体および捕虫器
US9453320B1 (en) Anchor assemblage and anchorage system for securing items on a sandy beach
KR0140844Y1 (ko) 게잡이용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