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61A -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 Google Patents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61A
KR20190096161A KR1020180015771A KR20180015771A KR20190096161A KR 20190096161 A KR20190096161 A KR 20190096161A KR 1020180015771 A KR1020180015771 A KR 1020180015771A KR 20180015771 A KR20180015771 A KR 20180015771A KR 20190096161 A KR20190096161 A KR 2019009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roller
elastic protrusion
roll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필강
박진근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8001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6161A/ko
Publication of KR2019009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납체에 고정되는 지지축(100); 및 상기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100)은 외주연에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200)는 중앙부에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22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일 지점에는,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는 탄성돌기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부(240)에는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21)에 수용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ROLLER UNIT WITH A FIXING ELEMEN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수납체에 결합되어 수납체의 개폐 과정에서 원활한 개폐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롤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유닛(Roller Unit)은 원통형의 바퀴가 체결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발생하는 미끄럼마찰(Sliding Friction)을 구름마찰로 바꾸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수납체가 구비된 가구 또는 냉장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수납체의 개폐 과정에서 원활한 개폐 동작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 유닛은, 등록특허 제10-0822749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퀴(회전체), 지지축 및 지지축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바퀴와의 결합을 구속하는 구속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822749호에 게재된 롤러 유닛은, 바퀴와 지지축 결합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속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제품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롤러 유닛은 바퀴와 지지축과의 결합을 위해 소성 변형된 부분이 부식되어 바퀴와 지지축이 이탈되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줄이고 이를 통해 부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줄이면서 부품의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을 개선하고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납체에 고정되는 지지축(100); 및 상기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100)은 외주연에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200)는 중앙부에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22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일 지점에는,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는 탄성돌기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부(240)에는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21)에 수용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상기 일 지점에는, 중앙부 측 및 상기 롤러(200)의 바닥면 측으로 개구되는 만입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부(240)는 상기 만입부(230)의 상기 롤러(2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돌기부(240)의 일면은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기 탄성돌기부(240)의 일면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10)과 상기 롤러(2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걸림홈(121)에 수용되되 상기 걸림홈(121)의 최심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00)과 상기 롤러(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탄성돌기부(240)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00)의 외주연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유닛의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을 지지축과 롤러만으로 할 수 있어서 부품의 수량을 줄이고 이를 통해 부품의 조립성과 생산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의 중공부 내주연에 지지축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는 탄성돌기부를 형성하고, 탄성돌기부에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축의 걸림홈에 수용되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을 개선하고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의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의 하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의 하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의 상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탄성돌기부(240)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유닛이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이하, 롤러 유닛)의 도면들로서, 도 1은 상부측 사시도, 도 2는 하부측 사시도, 도 3은 하부측 분해사시도, 도 4는 상부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탄성돌기부(240) 주변의 확대도, 도 6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유닛은, 수납체(미도시)에 고정되는 지지축(100)과,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축(100)은 수납체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어 본체에 대해 수납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수납체의 양측 부위에 각각 다수의 개소로 고정된다. 지지축(100)은 일정 이상의 지지 강성을 구현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축(100)은 직경이 서로 다른 단차진 형태의 중실형 몸체로서 대경부(120)와 소경부(130)를 일체로 갖추도록 구성된다. 대경부(120)는 롤러(200)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위로서, 일측에 수공구(예컨대, 일자 또는 십자형태의 드라이버)에 의한 체결 작업을 위해 삽입홈(110)을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소경부(130)는 수납체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나사부(미도시)를 일체로 형성한다.
롤러(200)는 중앙부에 지지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220)가 관통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미도시)과의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을 위해 외주연의 전 둘레를 따라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210)을 형성한다. 롤러(20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하중의 감소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ABS, POM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연은 롤러(200)의 중공부(220)의 내주연과 적정의 공차를 두고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축(100)의 대경부(120)는 롤러(200)의 자유로운 공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직경 대비 약간의 여유공간을 설정할 수 있는 크기의 외주연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축(100)과 롤러(200)의 결합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지축(100)에 걸림홈(121)을 형성하고, 롤러(200)에 만입부(230), 탄성돌기부(240), 걸림턱(241)을 형성한다.
걸림홈(121)은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외주연 전 둘레부위에 걸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만입부(230)는 롤러(200)의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일 지점에, 중앙부 측 및 롤러(200)의 바닥면(즉, 지지축(100)의 소경부(130)측 면) 측으로 개구되도록 만입 형성된다. 이러한 만입부(230)에는, 롤러(2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즉, 만입부(230)의 바닥면)으로부터 롤러(200)의 바닥면 측으로(즉, 지지축(1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돌기부(240)가 돌출 형성된다.
탄성돌기부(240)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탄성돌기부(240)에는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걸림홈(121)에 수용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돌기부(240)의 일면(안쪽 면)은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걸림턱(241)은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면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걸림턱(241)으로 인하여 롤러(200)의 공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00)과 롤러(200)가 결합된 경우 걸림턱(241)은 걸림홈(121)의 최심점(P)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지지축(100)의 걸림홈(121), 롤러(200)의 만입부(230), 탄성돌기부(240), 걸림턱(241)의 구조로 인하여, 롤러(200)가 지지축(100)에 대하여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후 이탈을 제한할 수 있으며, 지지축(100)과 롤러(200)의 조립 및 분해의 용이성이 개선되고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유닛이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지축(100)의 소경부(130)가 롤러(200)의 중공부(220)에 삽입되면서 조립이 시작된다. 지지축(100)이 더 삽입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의 단차진 부분 일 지점이 롤러(200)의 걸림턱(241)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롤러(200) 또는 지지축(100)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걸림턱(241)의 제1 경사면(중공부(220)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도 7b를 기준으로 우하단 경사면)과 탄성돌기부(240)의 탄성으로 인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돌기부(240)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걸림턱(241)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 외주연과 접촉하면서 지지축(100)이 롤러(200)에 삽입된다.
지지축(100)이 롤러(200)에 더욱 삽입되어 걸림홈(121)에 걸림턱(241)이 수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21)과 걸림턱(241)으로 인해 지지축(100)과 롤러(200)가 서로 이탈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지지축(100)과 롤러(200)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은, 도 6으로부터 7c, 7b, 7a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6의 상태에서 롤러(200)에 위쪽 방향으로(혹은 지지축(100)에 아래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걸림턱(241)의 제2 경사면(상기 제1 경사면의 반대측 경사면, 도 6을 기준으로 상단 경사면)과 탄성돌기부(240)의 탄성으로 인하여 걸림턱(241)은 걸림홈(121)을 이탈하게 된다. 계속하여 롤러(200) 또는 지지축(100)에 힘이 가해지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돌기부(240)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걸림턱(241)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 외주연과 접촉하면서 지지축(100)이 롤러(200)로부터 빠져나오는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41)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를 벗어난 후 도 7a와 같이 지지축(100)과 롤러(20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200)의 중공부(220) 내주연의 일 지점에 만입부(230)를 형성하고, 만입부(230)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는 탄성돌기부(240)를 형성하고 여기에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축(100) 외주연의 걸림홈(121)에 수용되는 걸림턱(241)을 형성함으로써, 롤러(200)와 지지축(10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부품(특히 롤러(200))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조립 및 분해 과정에서 걸림턱(241)이 지지축(100)의 대경부(120) 외주연과 접촉하지만, 걸림턱(241)이 형성되는 탄성돌기부(240)가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되므로 걸림턱(241)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되어 걸림턱(241)의 마모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지지축
110 : 삽입홈
120 : 대경부
121 : 걸림홈
130 : 소경부
200 : 롤러
210 : 안착홈
220 : 중공부
230 : 만입부
240 : 탄성돌기부
241 : 걸림턱

Claims (6)

  1.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납체에 고정되는 지지축(100); 및
    상기 지지축(10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100)은 외주연에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200)는 중앙부에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22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일 지점에는, 상기 지지축(1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는 탄성돌기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부(240)에는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21)에 수용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의 상기 일 지점에는, 중앙부 측 및 상기 롤러(200)의 바닥면 측으로 개구되는 만입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부(240)는 상기 만입부(230)의 상기 롤러(2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240)의 일면은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중공부(22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기 탄성돌기부(240)의 일면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10)과 상기 롤러(2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걸림홈(121)에 수용되되 상기 걸림홈(121)의 최심점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00)과 상기 롤러(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241)은 상기 탄성돌기부(240)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00)의 외주연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KR1020180015771A 2018-02-08 2018-02-08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KR20190096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71A KR20190096161A (ko) 2018-02-08 2018-02-08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71A KR20190096161A (ko) 2018-02-08 2018-02-08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61A true KR20190096161A (ko) 2019-08-19

Family

ID=6780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771A KR20190096161A (ko) 2018-02-08 2018-02-08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61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70B1 (ko) 2022-08-11 2023-09-21 김두식 하중 지지용 롤러 유닛과 롤러 성형용 금형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70B1 (ko) 2022-08-11 2023-09-21 김두식 하중 지지용 롤러 유닛과 롤러 성형용 금형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1569B (zh) 钩装置
US8099833B2 (en) Washer for hinge assembly
US10240625B2 (en) Assembly unit
US20070163077A1 (en) Universal magnetic door stopper with an air buffering structure
JP2001311354A (ja) 移動体の案内構造
KR101705808B1 (ko) 서랍용 롤러 유닛
KR20190096161A (ko) 체결부 일체형 롤러 유닛
KR20160135130A (ko) 힌지 장치
JP5360721B2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2019007576A (ja) ラジアルフォイル軸受
US20220009322A1 (en) Winding shade device
US9702171B2 (en) Locking device
KR101611849B1 (ko) 잠금장치
JPH0791446A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WO2019075897A1 (zh) 一种半自动转轴组件
JP2018044379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装置
KR102005152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JP6934389B2 (ja) バネ組立体
JP2012180915A (ja) クリップ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JP2016035152A (ja) 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折戸装置
JPS6120684Y2 (ko)
JP2020090978A (ja) クッション装置
JP4035517B2 (ja) 器具の取付構造
JP3591865B2 (ja) 埋め込み型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