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139A -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139A
KR20190095139A KR1020190011865A KR20190011865A KR20190095139A KR 20190095139 A KR20190095139 A KR 20190095139A KR 1020190011865 A KR1020190011865 A KR 1020190011865A KR 20190011865 A KR20190011865 A KR 20190011865A KR 20190095139 A KR20190095139 A KR 2019009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eathing pattern
unit
mask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840B1 (ko
Inventor
최경수
조범연
배은영
김학용
장성근
Original Assignee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호흡패턴의 상태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건강을 케어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 의 내측에 사용자의 마스크부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마스크부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착용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이 사용자의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E-MASK FOR SENSING A USER’S BREATHING PATTERN AND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호흡패턴의 상태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건강을 케어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는 많은 유해물질을 배출하게 되며, 이로 인해 대기 오염이 발생되고,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은 각종 매연이나 미세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황사 및 각종 세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나, 호흡기가 약한 노약자, 고령자, 심폐질환자, 및 호흡기 질환자들에게는 더욱 치명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호흡기가 약한 노약자, 고령자, 심폐질환자, 및 호흡기 질환자들은 유해물질에 의해 외부활동에 어려움이 있거나, 외부활동 중에도 유해물질에 의해 호흡에 문제가 발생되어 건강에 이상증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 외부 활동에 제약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들은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독면이나 분진용 마스크와 같이 호흡 시 외부의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장비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장비는 유해물질을 일부 차단할 수 있겠으나,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할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과 관련된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도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33974호
본 발명은 들숨 및 날숨으로 호흡패턴을 분석하고, 들숨은 정화된 공기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호흡 건강을 유지 또는 보호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 패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 가스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예측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마스크부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부와, 상기 마스크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마스크부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기 정화부와, 상기 착용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호흡음변화,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 상기 마스크부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압력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부는 사용자의 코와 인접한 부분의 마스크부 내측 가장자리 중 일부가 마스크부와 착탈되는 교체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체부는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부분에 사용자의 콧등과 눈 밑의 광대부분을 향해 돌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는 스커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호흡음을 수집하는 마이크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배기밸브의 개폐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부가 정화한 공기를 상기 마스크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공기 정화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사이를 연결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부 및 상기 흡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날숨이 배출될 수 있는 날숨 배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가스를 감지하는 호흡가스 감지부 및 상기 호흡가스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가스를 통해 가스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마스크부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부와, 상기 마스크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마스크부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기 정화부와, 상기 착용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호흡음변화,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 상기 마스크부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압력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와, 상기 전자 마스크의 통신부와 연동되어 상기 전자 마스크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를 수신 및 제어하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 및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호흡정보를 빅데이터화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가스를 감지하는 호흡가스 감지부 및 상기 호흡가스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가스를 통해 가스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유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요청 단말기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위치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호흡패턴 이상 유무에 따라 음성 또는 소리 정보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이상이 발생 되면, 응급처치 대응 매뉴얼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노약자, 고령자, 심폐질환자, 및 호흡기 질환자 등과 같이 호흡기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따른 정보를 신속히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주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기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 가스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예측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중 마스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중 마스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중 배기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중 호흡패턴 감지부에 의한 호흡패턴의 판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자 마스크(100)의 경우 전원에 의해 구동됨이 자명함에 따라 전원 연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 마스크(100)는 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10), 착용 감지부(120), 호흡패턴 감지부(130), 호흡가스 감지부(140), 공기 정화부(150), 연결관(160), 제어부(170), 및 통신부(180)을 포함한다.
마스크부(110)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 호흡기를 보호하거나, 눈, 코, 입 전체를 감싸아 호흡기는 물론 안구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양 끝단에 각각 귀에 걸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마스크부(110)는 사용자의 들숨에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테두리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크부(110)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와 접촉하여도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렉서블하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착용 감지부(12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마스크부(110) 착용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착용 감지부(120)는 피부터치 감지여부로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호흡패턴 감지부(13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한다. 호흡패턴 감지부(130)는 날숨이 배출될 수 있는 날숨 배출 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날숨이 배출되는 배출 구조를 통해 들숨의 유입을 방지한다.
호흡가스 감지부(14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날숨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감지한다. 날숨에 포함되는 가스에는 수분 외에도 수소, 아세톤, 톨루엔,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일산화질소등이 포함된다. 이 가스들은 천식, 폐암, 1형 당뇨병, 구취 등 특정 질병 환자에게서 높은 농도로 배출되는 바이오마커 가스이다.
공기 정화부(150)는 마스크부(110)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구성으로, 공기 정화부(150)는 모터부(151) 및 정화 필터부(152)를 포함한다.
모터부(151)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 필터부(152)는 모터부(151)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한다.
이때, 전자 마스크(10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정화 필터부(152)는 교체 가능한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160)은 공기 정화부(150)에서 정화한 공기를 마스크부(110)에 전달하기 위해 공기 정화부(150)와 마스크부(110)의 사이를 연결하여 마스크부(110) 내측으로 정화한 공기를 전달한다.
이때, 연결관(160)은 공기 정화부(150)와 마스크부(110)가 직접 연결되어 공기 정화부(150)에서 직접 마스크부로 정화된 공기를 전달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71) 및 가스 분석부(172)를 포함하고, 저장부(171)는 감지된 호흡패턴 및 호흡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호흡정보를 저장하며, 이는 SD 카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70)의 가스 분석부(172)는 호흡가스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호흡가스를 통해 가스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한 호흡 가스의 분석정보는 저장부(171)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착용 감지부(1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부(110)의 착용여부를 판단하여, 호흡패턴 감지부(130) 및 호흡가스 감지부(140)의 구동을 제어하고, 호흡패턴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호흡 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공기 정화부(150)를 제어한다.
여기서, 호흡패턴은 누적된 호흡패턴의 데이터를 통해 정상 호흡패턴, 비정상 호흡패턴, 및 응급 호흡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착용 감지부(120)를 통해 착용여부를 감지하면 대기중이던 호흡패턴 감지부(13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활성화된 호흡패턴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을 저장부(161)에 저장하며, 호흡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보다 과호흡(hyperpnea)인 경우 사용자가 호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공기 정화부(150)의 정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 정화부(150)의 모터부(151)를 제어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즉, 호흡패턴이 정상 호흡패턴이 아닌 비정상 호흡패턴이거나 응급 호흡패턴이면 제어부(170)를 통해 마스크부(110) 내측으로 전달하는 정화된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정상 호흡패턴보다 호흡의 간격이 길면 사용자의 호흡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여 사용자 또는 외부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또는 도움 요청을 위한 알람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호흡패턴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통신부(180)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근거리에서 안정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180)로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전자 마스크(100)는 전원버튼에 의해 ON/OFF되나,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착용 감지부(120)의 감지를 통해 호흡패턴 감지부(130), 호흡가스 감지부(140), 공기 정화부(150), 제어부(170), 및 통신부(180)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전원 상태가 ON이라 하더라도 착용 감지부(120)를 통해 다른 구성이 활성화됨에 따라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마스크(100)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으나, 예외처리로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응급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응급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헬스 케어 시스템(1000)은 전자 마스크(100), 단말기(200), 및 서버부(300)를 포함한다.
전자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10), 착용 감지부(120), 호흡패턴 감지부(130), 호흡가스 감지부(140), 공기 정화부(150), 연결관(160), 제어부(170), 및 통신부(180)을 포함한다.
전자 마스크(100)의 각 구성을 다시 한번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스크부(110)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고, 착용 감지부(12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마스크부(110) 착용여부를 감지하며, 호흡패턴 감지부(13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고, 호흡가스 감지부(140)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가스를 감지하며, 공기 정화부(150)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마스크부(110) 내측으로 연결된 연결관(160)을 통해 정화 공기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착용 감지부(120), 호흡패턴 감지부(130), 호흡가스 감지부(140) 및 공기 정화부(150)의 구동을 제어하고, 호흡패턴 및 호흡가스 정보를 저장부(171)에 저장하며, 감지된 호흡가스를 분석한다.
또한, 통신부(180)는 통신을 통해 호흡패턴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신호 및 가스 분석부(172)에서 분석한 가스 분석정보를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또한, 전자마스크(100)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으나, 예외처리로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응급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응급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전자 마스크(100)의 통신부(180)와 연동되어 전자 마스크(10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 및 가스 분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목적 및 편의에 따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된다.
여기서,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210)은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유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요청 단말기(400)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한다.
즉, 사용자의 정상 호흡패턴이 아니면, 비정상 호흡패턴 또는 응급 호흡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단말기(400)는 보호자의 단말기, 의료기관의 단말기, 및 긴급구조기관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요청 단말기(400)로 전달되는 정보 중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이 과호흡인지, 호흡이 불규칙한지, 호흡의 간격의 차이가 발생하는지와 같은 호흡패턴정보들을 의미하고, 위치 정보는 전자 마스크(100)와 연동되는 단말기(200)의 GPS 신호를 통해 알 수 있는 위치정보를 의미하며,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메시지나, 경고 메시지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받은 요청 단말기(400)는 사용자를 위해 신속한 후속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2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근에 위치한 주변인에게 응급 시 시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 대응 매뉴얼을 안내하여 주변인이 응급을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된 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부(300)는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 및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 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호흡패턴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유사 케이스에 관한 정보를 누적시켜, 호흡기 질환자의 건강관리 데이터로 활용한다.
또한, 사용자의 가스 분석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가스 분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유무 및 질병 종류를 예측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가스 분석정보는 가스 성분을 포함한다.
즉, 서버부(300)는 한 개인의 호흡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마스크(100)를 보유하고,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사용자 등록이 이루어진 전자 마스크(100)에 한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누적시켜 사용자들의 건강관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약자, 고령자, 심폐질환자, 및 호흡기 질환자 등과 같이 호흡기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따른 정보를 신속히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주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기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 가스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예측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착용 감지부(120)는 도 1에서 마스크부(110)의 내측 중 사용자의 안면 피부 중 볼과 귀에 인접한 곳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착용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마스크부(110)를 안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안면 피부와 접촉하는 터치센서가 마스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미세한 전류가 흘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에 따라 전류의 파형이 변화하게 되어 전류의 파형 변화를 검출하여 마스크부(11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가 마련되는 마스크부(110)는 사용자가 마스크부(110)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될 수 있게 교체부(112)가 마련되어 인종에 따라 얼굴형태가 달라져도 마스크부(110)의 착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마스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중 사용자의 코와 인접한 부분의 마스크부(110) 내측 가장자리 중 일부가 마스크부(110)와 착탈되는 교체부(112)가 마련된다. 이러한 교체부(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가 마련되며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교체부(112)는 마스크부(110)와 마주하는 부분에 후크와 같은 결속부재가 마련되어 마스크부(110)와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교체부(112)는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부분에 사용자의 콧등과 눈 밑의 광대부분을 향해 돌출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스커트(112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마스크부(110)를 사용자의 안면과 기밀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체부(112)는 인종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부는 인종에 따라 형태 및 크기를 달리할 수 있는데, 백인의 경우 콧대가 비교적 높고 매의 부리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되며, 흑인의 경우 콧대가 낮고 콧방울이 광대를 향해 연장된 형태를 갖으며, 황인인 경우 백인과 흑인의 중간 형태를 갖는 코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교체부(112)는 인종에 맞게 형태 및 크기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마스크부(110)로부터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흡음변화, 마스크부(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 마스크부(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압력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패턴 감지부(130)는 예를 들어, 마이크(131), 배기밸브(132), 압력센서(133)가 될 수 있다. 마이크(131)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호흡음을 수집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131)가 취득하여 이를 기 설정된 정상적인 호흡음과 비교하여 제어부(170)를 통해 공기 정화부(150) 또는 통신부(180)를 제어하게 된다.
배기밸브(132)는 마스크부(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마스크부(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게 되는데, 이때 배기밸브(132)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배기밸브(132)의 개폐정도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게 된다.
즉, 배기밸브(1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마스크부(110)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마스크부(110)에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에 평면을 형성한 박막의 플레이트가 가로막도록 구비되는데, 배기밸브(132)는 예를 들어 플랫 밸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 밸브(flat valve)는 일측에 후크와 같은 결속부재가 마련되며 탄성력이 발휘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부(110)에 형성된 배기홀의 주변에 플랫 밸브의 결속부재가 결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플랫 밸브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플랫 밸브가 휘어지면서 배기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또한, 플랫 밸브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휘어지면서 배기홀을 개방할 때 마스크부(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로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132)에 의한 사용자의 호흡패턴 감지는 예를 들어, 플랫 밸브의 결속부재가 마련된 부분과 상기 결속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제각기 제1접점센서(132a) 및 제2접점센서(132b)를 설치하여 제2접점센서(132b)가 활성화되는 정도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게 된다.
즉, 제2접점센서(132b)의 활성화는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에 의해 제2접점센서(132b)가 짧은 시간동안 수회에 걸쳐 접점되거나 또는 제2접점센서(132b)의 접점과 비접점 사이의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기 설정된 정상적인 제2접점센서(132b)의 활성화와 비교하여 제어부를 통해 공기 정화부(150) 또는 통신부(18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플랫 밸브는 카본과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플랫 밸브에 적층시켜 플랫 밸브가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에 의해 휘어질 때 발생하는 저항 값에 의해 플랫 밸브의 휘어짐 정도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기 설정된 정상적인 플랫 밸브의 휘어짐 정도와 비교하여 제어부(170)를 통해 공기 정화부(150) 또는 통신부(18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센서(133)는 마스크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110)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압력센서(133)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 사이의 압력변화를 기 설정된 정상적인 압력과 비교하여 제어부(170)를 통해 공기 정화부(150) 또는 통신부(18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131), 배기밸브(132), 압력센서(133)에 의해 취득된 호흡패턴 감지부의 정보는 도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호흡패턴 감지부(130)의 정보를 기 설정된 호흡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대한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를 제어부(170)를 통해 공기 정화부(150) 또는 통신부(180)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사용자가 항상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기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호흡기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따른 정보를 신속히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주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전자 마스크 110 : 마스크부
112 : 교체부 112a : 스커트
120 : 착용 감지부 130 : 호흡패턴 감지부
131 : 마이크 132 : 배기밸브
132a : 제1접점센서 132b : 제2접점센서
133 : 압력센서 140 : 호흡가스 감지부
150 : 공기 정화부 151 : 모터부
152 : 정화 필터부 160 : 연결관
170 : 제어부 171 : 저장부
172 : 가스 분석부 180 : 통신부
200 : 단말기 210 :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
300 : 서버부 400 : 요청 단말기
1000 : 헬스 케어 시스템

Claims (13)

  1.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마스크부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부;
    상기 마스크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마스크부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착용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호흡음변화,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 상기 마스크부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압력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하는 호흡음을 수집하는 마이크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배기밸브의 개폐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가 정화한 공기를 상기 마스크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공기 정화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사이를 연결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부; 및
    상기 흡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날숨이 배출될 수 있는 날숨 배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가스를 감지하는 호흡가스 감지부; 및
    상기 호흡가스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가스를 통해 가스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9. 사용자의 안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사용자의 마스크부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호흡패턴 감지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마스크부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착용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이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패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패턴 감지부는
    사용자의 호흡음변화, 상기 마스크부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변화, 상기 마스크부와 사용자 안면 사이의 압력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상기 전자 마스크의 통신부와 연동되어 상기 전자 마스크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를 수신 및 제어하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호흡패턴 정보 및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호흡정보를 빅데이터화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자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호흡가스를 감지하는 호흡가스 감지부; 및
    상기 호흡가스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호흡가스를 통해 가스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정상 호흡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패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유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요청 단말기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위치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호흡패턴 이상 유무에 따라 음성 또는 소리 정보를 상기 단말기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3.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호흡패턴에 이상이 발생 되면, 응급처치 대응 매뉴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190011865A 2018-02-05 2019-01-30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21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3748 2018-02-05
KR1020180013748 201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139A true KR20190095139A (ko) 2019-08-14
KR102219840B1 KR102219840B1 (ko) 2021-02-24

Family

ID=6762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65A KR102219840B1 (ko) 2018-02-05 2019-01-30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8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07B1 (ko) * 2019-12-19 2020-07-21 김태희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WO2021224410A1 (de) * 2020-05-07 2021-11-11 Tdk Electronics Ag Sensorvorrichtung für einen mund-nasen-schutz und mund-nasen-schutzvorrichtung
WO2022035265A1 (ko) * 2020-08-12 2022-02-17 (주)씨에스이엔엘 전도성 마스크 필터 및 전도성 마스크 필터 모듈 및 마스크 필터 모듈이 장착되는 마스크
KR20220048246A (ko)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한컴헬스케어 다기능 마스크
KR102421815B1 (ko) 2021-04-08 2022-07-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2010648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아이티그린 호흡에 따라 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109229A (ko) 2021-01-28 2022-08-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웨어러블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N115212396A (zh) * 2022-04-27 2022-10-21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气体治疗仪及应急处理方法
WO2024080756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풍량을 제어하는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1719B2 (ja) * 2001-01-17 2003-03-04 富士通株式会社 防護マスク装着検知器
KR100433974B1 (ko) 1995-05-03 2004-10-14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호흡마스크및호흡마스크용보안차폐부재
KR20090069170A (ko) * 2006-10-04 2009-06-29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블로어 부착 마스크 장치
KR20110053825A (ko) * 2009-11-16 2011-05-24 (주)인포빌 호흡측정장치를 이용한 작업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35891A (ko) * 2015-02-27 2015-04-07 장종현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장치
KR20150133988A (ko) * 2014-05-21 2015-12-01 최충식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마스크
JP2018512518A (ja) * 2015-04-03 2018-05-17 マイクロスフェ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呼吸用マスク、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01149A (ko) * 2017-06-26 2019-01-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위치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74B1 (ko) 1995-05-03 2004-10-14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호흡마스크및호흡마스크용보안차폐부재
JP3381719B2 (ja) * 2001-01-17 2003-03-04 富士通株式会社 防護マスク装着検知器
KR20090069170A (ko) * 2006-10-04 2009-06-29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블로어 부착 마스크 장치
KR20110053825A (ko) * 2009-11-16 2011-05-24 (주)인포빌 호흡측정장치를 이용한 작업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33988A (ko) * 2014-05-21 2015-12-01 최충식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마스크
KR20150035891A (ko) * 2015-02-27 2015-04-07 장종현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장치
JP2018512518A (ja) * 2015-04-03 2018-05-17 マイクロスフェ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呼吸用マスク、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01149A (ko) * 2017-06-26 2019-01-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위치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07B1 (ko) * 2019-12-19 2020-07-21 김태희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WO2021125753A1 (ko) * 2019-12-19 2021-06-24 김태희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WO2021224410A1 (de) * 2020-05-07 2021-11-11 Tdk Electronics Ag Sensorvorrichtung für einen mund-nasen-schutz und mund-nasen-schutzvorrichtung
WO2022035265A1 (ko) * 2020-08-12 2022-02-17 (주)씨에스이엔엘 전도성 마스크 필터 및 전도성 마스크 필터 모듈 및 마스크 필터 모듈이 장착되는 마스크
KR20220020539A (ko) * 2020-08-12 2022-02-21 (주)씨에스이엔엘 전도성 마스크 필터 및 전도성 마스크 필터 모듈 및 마스크 필터 모듈이 장착되는 마스크
KR20220048246A (ko)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한컴헬스케어 다기능 마스크
KR2022010648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아이티그린 호흡에 따라 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220109229A (ko) 2021-01-28 2022-08-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웨어러블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421815B1 (ko) 2021-04-08 2022-07-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CN115212396A (zh) * 2022-04-27 2022-10-21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气体治疗仪及应急处理方法
CN115212396B (zh) * 2022-04-27 2024-04-09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气体治疗仪及应急处理方法
WO2024080756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풍량을 제어하는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840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840B1 (ko)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JP7312754B2 (ja) スマート振動型呼気陽圧器具
CN102470230B (zh) 用于调节受试者的呼吸的系统和方法
JP6247217B2 (ja) 初期段階の呼気における口呼吸の検出
JP2019504732A5 (ko)
KR20170133596A (ko)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US11110239B2 (en) Cough detection in a respiratory support system
CN102333505A (zh) 用于支持受试者的气道的系统和呼吸用具
US11690966B2 (en) Tracheotomy tube-bas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2271743A (zh) 用于支持受试者的气道的系统和呼吸用具
CN102271740A (zh) 用于支持受试者的气道的系统和呼吸用具
WO2005034750A1 (ja) 睡眠時呼吸状態測定装置
JP2022547826A (ja) 振動型呼気陽圧器具
US202101621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cheotomy Patients
CN106580325A (zh) 睡眠呼吸监测设备及睡眠呼吸监测方法
KR102421146B1 (ko)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WO2017171150A1 (ko) 환자의 통증 경감을 위해 자율 구동되는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및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
US20220347415A1 (en) Patient interface and component detection, monitoring and replacement
US20210282664A1 (en) Bidirectional Incentive Spirometer
CN113519926B (zh) 一种智能穿戴设备、健康监测方法及系统
JP2007222382A (ja) 呼吸検出器
EP4292671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evaluating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s
CN108814607A (zh) 一种临床呼吸检测装置及方法
RU27809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явления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жизнеугрожающих состояний от апноэ во сне
US20210299371A1 (en) Air filtration and user movement monitor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