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879A -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879A
KR20190094879A KR1020180014537A KR20180014537A KR20190094879A KR 20190094879 A KR20190094879 A KR 20190094879A KR 1020180014537 A KR1020180014537 A KR 1020180014537A KR 20180014537 A KR20180014537 A KR 20180014537A KR 20190094879 A KR20190094879 A KR 2019009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gmented reality
data
point cloud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이헌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1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879A/ko
Publication of KR2019009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모듈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ODULAR CONTENT FOR OUTDOOR AUGMENTED REALITY SERVICES}
본 발명은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실의 각 지역마다 특징점과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듈 단위로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가상 현실 기술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실 세계에 가상의 사물을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인기를 끌고 있다.
증강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 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불리는데,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현실 세계에 융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욱 실감나는 체험을 제공한다.
한편, 최근의 증강현실 기술은 눈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현실세계의 장면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접목함으로써 위치 정보 기반의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치 정보 기반의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의 예로는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끈 '포켓몬 고'가 있다.
이때, 이러한 위치 정보 기반의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콘텐츠 제작 방법은 개별 콘텐츠를 제작할 때마다 현실세계의 데이터를 수집해서 가상현실과 접목하므로 콘텐츠 제작자의 부담이 가중된다.
따라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할 때 기존 리소스를 재활용하여 신속하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해 외부에서 수집된 UI(user interface), 오브젝트(object),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리소스 데이터 및 이펙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인 콘텐츠 리소스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3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 및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객체에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해 외부에서 수집된 UI(user interface), 오브젝트(object),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리소스 데이터 및 이펙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인 콘텐츠 리소스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3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 및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객체에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모듈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지역에 기반한 특징점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므로 지역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신속한 제작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을 위해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20)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해 외부에서 수집된 UI(user interface), 오브젝트(object), 오브젝트에 대한 리소스 데이터 및 이펙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인 콘텐츠 리소스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3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및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객체에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을 위해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리소스(resource)를 데이터베이스에 독립적으로 구축해둠으로써, 콘텐츠 제작자가 손쉽게 각 개별 리소스를 모듈식(또는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200)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 볼륨 모델링 데이터(220),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230), 콘텐츠 템플릿 데이터(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콘텐츠의 주된 내용을 이루는 지역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를 미리 생성 및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는 해당 지역에 대한 특징 정보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로 특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점들의 집합일 수 있다.
특징점은 해당 지역을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상의 점으로 다시 해당 지역을 찾아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더라도 동일한 특징점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화문의 처마끝은 영상 내에서 처마끝이 표현될 수 있는 각도, 처마끝과 주변 영상의 색상 변화 등을 고려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도 특징점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점들의 집합을 3차원으로 구성한 것이 포인트 클라우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를 생성 및/또는 수집한다는 것은 해당 지역 내에 있는 여러 구조물이나 객체에 대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를 생성 및/또는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는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데이터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작된 포인트 클라우드(210)는 다시 제작하더라도 비슷한 결과물이 도출되기 때문에 누구든지 재사용할 수 있어 모듈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내용을 이루게 되는 지역은 대체적으로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구조물과 그 주변이 적당할 수 있으며, 계절 및 날씨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지역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콘텐츠의 내용을 이루게 되는 지역은 반드시 실외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증강현실 콘텐츠가 현실 세계의 객체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의 객체를 모델링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주된 내용을 이루는 지역에 위치한 객체들에 대한 볼륨 모델링 데이터(220)를 미리 생성 및/또는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볼륨 모델링 데이터(220)는 객체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로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볼륨 모델링 데이터(220)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가 생성된 특정 지역 내에 객체를 대상으로 하므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와 해당 지역의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에 포함된 특징점들은 객체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모델링은 간략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형태(예를 들면 선이나 원, 곡선, 다각형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매우 정교한 모델링을 진행할 경우, 증강현실 콘텐츠의 퀄리티는 높아질 수 있으나, 현실 세계 객체의 특정부분만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면, 해당 부분만 모델링할 수 있다. 따라서,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한번 모델링된 데이터는 객체에 대한 변형이 가해지지 않는 한, 다른 증강현실 콘텐츠에서 재활용할 수 있어 모듈식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게임적인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230)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화면을 보여주는 UI(User Interface), 콘텐츠에 등장하는 가상의 오브젝트(object), 오브젝트와 관련된 리소스(애니메이션, 사운드, 모델링 데이터 등), 특수한 효과를 담당하는 이펙트(effect) 데이터, 파티클(particl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230) 또한 미리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230)는 기존 게임 콘텐츠에서 사용했던 리소스를 수집 및/또는 저장할 수 있으며, 실외 증강현실 콘텐츠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분위기와 톤에 따라 적절히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00)는 개별 사용자(또는 제작자)마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210), 볼륨 모델링 데이터(220),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230)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콘텐츠 템플릿 데이터(240)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개별 사용자(또는 제작자)는 콘텐츠 템플릿 데이터(240)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 템플릿을 선택함으로써, 각 개별 데이터(210~230)를 콘텐츠 제작시마다 각각 적용하는 불편함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들(210~240)은 직접 생성하여 수집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제작한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나 분산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들(210~240)로 콘텐츠에 맞는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서 개발하고자 했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데이터베이스(200)는 독립한 서버 형태로 구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 후술하는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각 개별 데이터들(210 내지 240)은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200) 내의 독립된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는 지역 기반 콘텐츠 템플릿 설정 모듈(150), 포인트 클라우드 설정 모듈(160), 볼륨 모델링 설정 모듈(170) 및 콘텐츠 제작 지원 모듈(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는 먼저 사용자(또는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제작할 콘텐츠의 내용을 이루는 지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지역 정보는 특정 지역의 명칭 뿐만 아니라, 구조물, 랜드마크, 특정 지역의 별칭, 약칭, 속칭 등 특정 지역에 연관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일종의 색인 정보일 수 있다.
지역 기반 콘텐츠 템플릿 설정 모듈(150)은 입력된 지역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콘텐츠 템플릿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콘텐츠 템플릿이 있다면, 해당 콘텐츠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검색된 콘텐츠 템플릿이 없으면, 새로운 콘텐츠 템플릿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템플릿에서 제공하는 특정 구조물이나 건물 등을 선택할 수 있고, 포인트 클라우드 설정 모듈(160)을 통해 해당 구조물, 건물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트 클라우드 설정 모듈(160)은 데이터베이스(200)와 연동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검색하는 지역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검색 모듈(162), 검색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164), 검색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가 없다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는 지역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모듈(166), 사용자에게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검색 또는 생성 결과를 제공하고, 특정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선택을 받는 뷰어(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트 클라우드 설정 모듈(160)을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결정하고 난 후, 볼륨 모델링 설정 모듈(170)을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연관된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 및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 모델링 설정 모듈(170)은 데이터베이스(200)와 연동하여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검색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볼륨 모델링 데이터 검색 모듈(172), 검색된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174), 검색된 볼륨 모델링 데이터가 없다면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는 볼륨 모델링 데이터 생성 모듈(176), 사용자에게 볼륨 모델링 데이터의 검색 또는 생성 결과를 제공하고, 특정 볼륨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받는 뷰어(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결정한 후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에 포함된 콘텐츠 리소스 관리 모듈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추가 리소스를 검색하고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리소스 관리 모듈은 데이터베이스(200)와 연동하여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를 획득 및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콘텐츠 리소스 관리 모듈을 통해 콘텐츠 템플릿의 UI, 오브젝트 및 설정 등을 변경할 수도 있고, 콘텐츠 리소스 관리 모듈이 원하는 리소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로컬 저장소(local storage)에 저장된 리소스를 데이터 베이스(200)에 업로드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콘텐츠 템플릿에서 설정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볼륨 모델링 데이터, 그 밖의 콘텐츠 리소스를 이용하여 목적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콘텐츠 템플릿은 하나의 콘텐츠 템플릿으로 저장되어 다른 제작자에게 제공 또는 추가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작 지원 모듈(180)은 사용자에게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환경(Unity, Unreal 등의 개발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게임 콘텐츠의 경우에도 콘텐츠에 등장하는 오브젝트들의 리소스를 각 개발자가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또한, PC기반에서 제작했던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으로 옮기는 과정에도 게임 콘텐츠 리소스를 상당부분 활용했다. 이러한 리소스를 증강현실로 옮겨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실외 증강현실 게임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게임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필요한 필수 요소들을 모듈화하고, 해당 모듈의 데이터들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발자가 기존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보다 더 쉽고 빠르게 제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단순히 게임 콘텐츠의 리소스를 활용하는 것에서부터 포인트 클라우드, 볼륨 모델링 데이터 등도 특정 지역에 기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자신이 제작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볼륨 모델링 데이터, 게임 콘텐츠 리소스등을 모듈화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하거나 배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 한빛탑에서 1인칭 시점 게임 콘텐츠를 제작한 다고 할 때, 필요한 구성요소로는 한빛탑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한빛탑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 게임 콘텐츠 리소스 이며, 이를 각각 모듈화해서 배포할 수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볼륨 모델링 데이터가 없다고 하더라도, 본 시스템을 통해 게임 콘텐츠 리소스만 제작하고, 나머지 데이터들은 다른 사용자가 제작한 것을 다운로드 받는 등의 방법으로 획득하여 적용하면 모듈형 실외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특정 지역에 대하여 제작된 다수의 실외 증강현실 콘텐츠를 다시 엮어 배치하고 나열하는 것으로도 또 하나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역에 대하여 10개의 실외 증강현실 콘텐츠가 존재한다면, 해당 지역에서 게임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5개의 콘텐츠를 임의로 제공하는 형식으로 사용자들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새로운 게임 콘텐츠로 인식할 수 있다. 지역의 넓이와 준비된 콘텐츠의 개수의 따라 시나리오 형태로 제작된 콘텐츠 시나리오는 더 다양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함으로써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볼륨 모델링 데이터,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 등을 획득하는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볼륨 모델링 데이터, 콘텐츠 리소스 데이터 등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는 로컬 저장소(storage,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해 외부에서 수집된 UI(user interface), 오브젝트(object),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리소스 데이터 및 이펙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인 콘텐츠 리소스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3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 및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륨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객체에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식 콘텐츠 제작 장치(1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제작할 지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볼륨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KR1020180014537A 2018-02-06 2018-02-06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90094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537A KR20190094879A (ko) 2018-02-06 2018-02-06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537A KR20190094879A (ko) 2018-02-06 2018-02-06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79A true KR20190094879A (ko) 2019-08-14

Family

ID=6762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537A KR20190094879A (ko) 2018-02-06 2018-02-06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8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967A (ko) * 2019-10-21 2021-04-29 서인호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위한 저작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23096004A1 (ko) * 2021-11-25 2023-06-01 조용래 모듈화 방식의 게임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967A (ko) * 2019-10-21 2021-04-29 서인호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위한 저작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23096004A1 (ko) * 2021-11-25 2023-06-01 조용래 모듈화 방식의 게임 제작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9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mera effect
CN108140263B (zh) 应用于图像或视频的ar显示系统及方法
CN111294663B (zh) 弹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861287B2 (ja) 映像のための効果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Rodrigues et al. Adaptive card design UI implementation for an augmented reality museum application
KR20190009081A (ko) 클라우드 소싱 기반의 ar 컨텐츠 템플릿을 수집하여 ar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20512759A (ja) ストーリー映像制作方法およびストーリー映像制作システム
KR20150129260A (ko) 오브젝트 가상현실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925520A (zh) 可视化页面的搭建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0930220A (zh) 一种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CN112188228A (zh) 直播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3005194A1 (zh) 视频生成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94879A (ko) 실외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모듈식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N114253436B (zh) 一种页面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040392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561084A (zh) 特征提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9220152A (ja) イメージフィルタリング方法、電子機器および記録媒体
WO2022177094A1 (ko)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ip를 이용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8958571B (zh) 三维会话数据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5686458A (zh) 虚拟世界应用的开发方法及装置
CN113077534A (zh) 图片合成云平台及图片合成方法
KR101810477B1 (ko) 대용량 영상 입력 모사장치
US10354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scroll representation of production data
CN112764601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75771B1 (ko) 3d 인터랙티브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