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60A -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 Google Patents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760A
KR20190094760A KR1020180014293A KR20180014293A KR20190094760A KR 20190094760 A KR20190094760 A KR 20190094760A KR 1020180014293 A KR1020180014293 A KR 1020180014293A KR 20180014293 A KR20180014293 A KR 20180014293A KR 20190094760 A KR20190094760 A KR 2019009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lock
unit
assembly
sock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173B1 (en
Inventor
김한일
고민규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주)에치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치씨엘 filed Critical (주)에치씨엘
Priority to KR102018001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1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ipulato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assembly device for assembling a small component vulnerable to damage, such as a vehicle lamp bulb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a socket portion of an object to be assembled, which comprises a tong portion, a drive system, and an adjusting portion. The tong portion is formed to pick up a component. The drive system controls a position and a posture of the tong portion for a component to be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The adjusting portion is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between the tong portion and the drive system to adjust entering accordance of a component. As stat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ocess of inserting a component into the socket portion, the tong portion is rotated in the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for an entering direction of the component and a forming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to correspon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ing}

본 발명은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 벌브와 같이 파손에 취약한 소형의 부품을 원활하게 조립대상물의 소켓부에 끼워 조립하기 위한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an error for smoothly fitting a small component vulnerable to damage, such as a vehicle lamp bulb to the socket portion of the assembly object.

조립장치란 한 개 이상의 축과 관절로 구성되어 부품 조립에 필요한 이동 적재, 조립, 분리 등의 작업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산업용 다관절 로봇은 이러한 조립장치의 대표적인 예이다.An assembly device is a device that is composed of one or more shafts and joints and performs work functions such as moving loading, assembling, and separating required for assembling parts. Industrial articulated robots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ssembly devices.

조립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부품 조립용, 부품 분해용, 접착 및 씰링재 도포용, 납땜용, SMD, 기타 조립·분해용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The assembly apparatus is classified into various parts, such as assembly of parts, disassembly of parts, coating of adhesives and sealing materials, soldering, SMD, and other assembly and disassemb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조립은 전형적으로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문제이므로 기하학적인 오차에 매우 민감하다. 이 기하학적인 오차는 systematic error와 random error로 나눌 수 있다. systematic error는 시스템의 기하학적인 구조, jig 및 fixture류의 모델의 부정확 그리고 교시(actuating teaching)의 부정확 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random error는 시스템의 제어 및 부품의 공차 등의 원인들에 의해서 발생한다.Assembly is typically a matter of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ation and therefore very sensitive to geometrical errors. This geometric error can be divided into systematic error and random error. The systematic error is caused by system geometry, jig and fixture model inaccuracy, and actuating teaching inaccuracy. Random error is caused by system control and component tolerances.

기하하적인 오차는 시간적·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서로 상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그 크기를 측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Geometric errors have the characteristic of changing temporally and spatially and are also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learly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and measure their size.

현재 산업현장에서 사용중인 대부분의 조립장치는 작업자가 교시상자(teaching pendant, 조립장치의 상태 정보 수신 및 제어) 등을 이용하여 감각에 의해서 교시를 한다. 조립장치는 한번 교시를 하면 작업자가 그것을 수정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동될 것이므로 정확한 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정확한 교시는 조립확률을 높이고 조립반력을 최소로 하여 조립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Most of the assembly apparatuse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re taught by the senses using the teaching pendant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ssembly apparatus). The assembly must be taught once it has been taught and will continue to operate as long as the operator does not modify it. In addition, accurate teaching is a very important task to increase assembly quality and minimize assembly reaction to improve assembly quality.

정확한 교시를 위해서는 기하학적인 오차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수작업에 의해서 조립에 방해가 되는 기하학적인 오차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단 한번만에 교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확한 교시를 위해서는 수회에 걸쳐 교시 위치를 수정해주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특히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할수록 그리고 작업양이 많을수록 더욱 그러할 것이다.For accurate te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al error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grasp geometrical errors that interfere with assembly by hand and teach them at once. As a result, the teaching location needs to be modified several times in order to obtain accurate teaching, which is not only time-consuming but also expensive. In particular, the more complex the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greater the workload, the more likely it will be.

더우기 조립라인을 오랫동안 가동하다 보면, tool 및 jig, fixture류 등의 부속이 마모되거나 변형되어 위치 오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품도 lot별로 공차가 다르게 제작되고, 부품의 반송 과정에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바뀌게 된다.Moreover, if the assembly line has been in operation for a long time, the position error will inevitably occur due to the wear or deformation of the tool, jig and fixtures. In addition, the parts are also made of different tolerances for each lot,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vibration and impact during the conveyance of parts.

지금까지의 조립장치는 공개특허 제10-2017-0103376호("뇌관클립 조립공정 및 조립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다축 직선 구동 방식을 통해 부품을 조립대상물에 조립하였고, 부품의 가공 오차, 액추에이터의 자세 오차, 반송 과정에서의 위치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립 오차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었다.As far as the assembly device is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3376 ("Primer clip assembly process and assembly device") simply assembled the parts to the assembly through a multi-axis linear drive method, the machining error of the parts, There was no means for smoothly accommodating assembly errors caused by the attitude error of the actuator and the position error in the conveying process.

이로 인해, 부품이 조립대상물의 소켓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부품이 심한 마찰을 받아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 부품이 소켓부에 부딪히면서 파손되거나 부품이 미조립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 조립대상물이 밀리면서 그 위치가 틀어지고 깨진 부품 조각(램프 유리 파편 등)이 발생되면서 순간정지가 발생되는 문제 등이 있었다.For this reason,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art into the socket part of the assembly object, the part is severely rubbed and damaged,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the part hits the socket part, and the part is broken or the non-assembled part causes a problem. As the object was pushed, the position was changed and broken parts (lamp glass fragments, etc.) were generated, causing a momentary stop.

또한, 이를 장시간 방치하면, 시스템 전반에 손상을 주게되어 결국 시스템의 고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조립장치의 가동현황을 상시 데이터화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재교시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In addition, if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the entire system will be damaged and eventually cause a system failure. Therefore, in the industrial field, workers will always make data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ssembly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o re-teaching based on the result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 put a lot of effort into taking i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3376호(2017년09월13일 공개 공고, 발명의 명칭 : 뇌관클립 조립공정 및 조립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03376 (Published September 13, 2017, the title of the invention: primer clip assembly process and assembly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548호(2014년07월04일 공개 공고, 발명의 명칭 : 차량의 램프 벌브 조립체)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83548 (July 04, 2014, published, name of the invention: lamp bulb assembly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보정없이 소형의 부품을 손상없이 원활하게 조립대상물의 소켓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that can be assembled into the socket of the assembly to be smoothly assembled without damaging the small components without additional correction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는, 조립대상물(10)에 마련된 소켓부(11)에 부품(20)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조립장치로서, 상기 부품(20)을 집는 집게부(100);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집게부(100)의 위치 및 자세를 조작하는 구동계(200); 및 상기 부품(20)의 진입 오차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집게부(100)와 상기 구동계(200) 사이에서 소정의 회동범위를 갖도록 설치되는 조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300)는, 상기 구동계(200)에 결합되는 제1 블록(310)과, 상기 집게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310)에서 이격되어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축(X1)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 블록(310)과 힌지결합되는 제2 블록(320)과, 상기 제1 블록(310)과 상기 제2 블록(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31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블록(320)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30)를 구비하며,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게부(100)가 상기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for mounting the component 20 to the socket portion 11 provided in the assembly object 10, the component 20 Nippers (100) to pick up); A drive system (200)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forceps (100) such that the component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1); And an adjusting unit 300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between the forceps unit 100 and the drive system 200 to accommodate the entry error of the component 20. The adjusting unit 300 includes: The first shaft 310 is coupled to the drive system 200 and the first shaft 310 is coupled to the forceps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to intersect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 second block 320 hinged to the first block 310 and a first block 310 and the second block 320 so that (X1) is the center of rotation;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s 330 ar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econd block 320 pivoting on the basis of the 31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ong portion 1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1) while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nd the forma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Direction is coincid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300)는, 상기 구동계(200)와 상기 제1 블록(310) 사이에 개재되어 일면은 상기 구동계(200)에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제1 블록(3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축(X1)과 교차되는 제2축(X2)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 블록(310)과 힌지결합되는 제3 블록(340)과, 상기 제1 블록(310)과 상기 제3 블록(3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블록(34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블록(310)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2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게부(100)가 상기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ar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unit 300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e system 200 and the first block 310,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drive system 200 and the other surface is A third block 34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and hinged to the first block 310 so that the second axis X2 crossing the first axis X1 intersects the center of rotation; A pair of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ck 310 and the third block 340 to provide the first block 310 rotated relative to the third block 340 to the original position.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elastic member (not shown), while the component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 while the tong portion 100 is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axis (X2)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nd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may be match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1)의 방향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30)의 바닥면과 사선을 이루고, 상기 구동계(200)는,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210)와, 상기 x축 구동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과 나란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20)와, 상기 회전구동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소켓부(11)를 향해 하강시키는 y축 구동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100)에 파지된 부품(20)은, 상기 소켓부(11)에 사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In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forms an oblique line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stage 30 on which the assembly object 10 is placed, and the drive system 200. Is coupled to the x-axis drive unit 210 and the x-axis drive unit 210 for moving the tongs unit 100 to the assembly object 10 side of the tongs unit 100 of the socket portion 11 And a y-axis driver 230 coupled to the rotation driver 220 to rotate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rotary driver 220 to lower the forceps 100 toward the socket 11. The component 20 gripped by the forceps par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socket part 11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ssembled.

본 발명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일측을 향해 사선을 이루고,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대상물(10)이 타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조립대상물(10)을 눌러 가고정하는 가고정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유닛(400)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상기 조립대상물(10)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절삭된 형태로 경사면(411)이 형성되는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구동부(420)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상기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밀착되는 엔드면(431)이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지그(430)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cket portion 11 is formed forms an oblique line toward one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component 20 is the socket portion 11.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 the assembly object 1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emporarily fixed unit 400 by pressing the assembly object 10 so as not to be pushed to the other side; the temporarily fixing unit 400, the On the support 410 and the inclined surface 411 of the support 410, the inclined surface 41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upper end is cu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ssembly object 10. The sliding drive unit 420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liding drive unit 420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but the end surface 4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is the appearance of the assembly object 10 Fixing jig 430 forming the same shape as the Can be.

본 발명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따르면, 집게부와 구동계 사이에 조정부를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보정없이 소형의 부품을 손상없이 원활하게 조립대상물의 소켓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립 품질의 향상 및 공정의 수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adjustment unit between the forceps and the drive syste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ssembling small parts smoothly into the socket of the assembly without damage without additional correction. Through this, the assembly quality can be improved and the yield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특히, 집게부가 상하 및 좌우 동시에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오차를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tongs to swing up, down, left and right simultaneously, an effect of more smoothly accommodating the assembly error can be obtained.

또한, 가고정유닛을 통해 조립대상물의 타측을 눌러 가고정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과정에서 조립대상물의 위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through the temporary fixing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itional variation of the assembly object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arts, thereby enabling the assembly operation to be stab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조립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포함된 조정부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되는 부품과 조립대상물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assembly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n e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main portion of the component assembly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FIG.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a.
4 is
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n error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djustment unit included in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assembly and the part to be assembled through the component assembly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assembly device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의 조립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6은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에 포함된 조정부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되는 부품과 조립대상물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rror-acceptabl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S. 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capable of accommodating errors of FIG. 1, and FIG.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djustment unit included in the possible parts assembly apparatus,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component and the assembly object assembled through the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of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는 차량용 램프 벌브와 같이 파손에 취약한 소형의 부품(20)을 원활하게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에 끼워 조립하기 위한 부품 조립장치로서, 집게부(100), 구동계(200) 및 조정부(300)를 포함한다.1 to 7, a part assembly apparatus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moothly fit a small part 20, which is vulnerable to damage, such as a vehicle lamp bulb, to a socket part of an assembly object 10.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 component (11) for assembly, includes a forceps unit (100), a drive system (200), and an adjusting unit (300).

집게부(100)는 부품(20)을 하나씩 집어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좌우 폭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가이드홈에 서로 마주보게 삽입되고 액츄에이터 구동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커넥팅 슈(120)와, 상기 커넥팅 슈(12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그립바(130)로 이루어진 선형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ngs unit 100 is a component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components 20 one by one. As shown in FIG. 3A or FIG. 3B, the body 110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n the lower side and the guide groove are mutually disposed. The linear driving method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shoes 120 which are inserted to face each other and move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ther by driving in an opposite direction by an actuator driving, and a pair of grip bars 130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ing shoes 120. It may be configured as.

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00)는 구동바(150), 관절바(160), 한 쌍의 집게바(170), 집게 하우징(180) 및 집게실린더(19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바(150)는 상단이 관절바(160)의 하단과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집게실린더(190)의 축에 고정되며, 관절바(160)의 상단은 집게바(170)의 하단과 힌지결합된다. 집게바(170)의 중심이 집게 하우징(18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집게 하우징(180)의 후방에 결합된 집게실린더(190)의 선형 구동에 의해 구동바(150)가 전후로 움직이면, 집게바(170)가 펴졌다 오므려지는 회전 구동 방식으로 집게 동작을 하게 된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4, the forceps part 100 may include a driving bar 150, a joint bar 160, a pair of forceps bars 170, a forceps housing 180, and a forceps cylinder 190. have. Drive bar 150 is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joint bar 160,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axis of the forceps cylinder 190, the upper end of the joint bar 160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forceps bar 170 Combined. When the center of the forceps bar 170 is hinged to the forceps housing 180, when the drive bar 150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linear drive of the forceps cylinder 190 coupled to the rear of the forceps housing 180, the forceps bar ( 170) is pulled up and retracted to move the forceps in the rotary drive method.

차량용 램프 벌브와 같이 유리로 된 부품(20)은 파손에 취약하기 때문에, 회전 구동 방식의 집게부(100)보다는 부품(20)의 양측면에 마주본 상태로 안정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 3a에 도시된 선형 구동 방식의 집게부(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arts 20 made of glass, such as a vehicle lamp bulb, are vulnerable to breakage, they are shown in FIG. 3A to stably approach both sides of the parts 20 rather than the torsion part 100 of the rotation drive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incer part 100 of the linear drive system.

구동계(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先)공정을 거쳐 선반(5) 상에 재치된 부품(20)을 소켓부(11)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집게부(100)의 위치 및 자세를 조작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소켓부(11)의 방향(부품이 삽입되는 홈의 형성방향)이 조립대상물(10)이 놓여진 스테이지(30)의 바닥면에 대하여 사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집게부(100)에 파지된 부품(20)이 소켓부(11)에 사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drive system 200 includes a preliminary step to insert the component 20 mounted on the shelf 5 into the socket 11. It is a configuration to manipulate position and posture. Here, since the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oove into which the component is inserted) forms an oblique lin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30 on which the assembly object 10 is placed, the component held by the tongs portion 100 ( 20) should be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ssembled.

이를 위해 구동계(200)는, 집게부(100)를 조립대상물(10) 측으로 1차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210)와, x축 구동부(210)에 결합되어 집게부(100)를 소켓부(11)의 형성방향과 나란하도록 2차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20)와, 회전구동부(220)에 결합되어 집게부(100)를 소켓부(11)를 향해 3차 하강시키는 y축 구동부(230)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drive system 200 is coupled to the x-axis driving unit 210 and the x-axis driving unit 210 to primarily move the forceps unit 100 toward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forceps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ocket unit ( 11 and the y-axis drive unit 230 for secondary rota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ormation, and coupled to the rotary drive unit 220 to lower the forceps portion 100 to the socket portion 11 three times. It consists of.

이때,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부품(20)의 가공 오차, x축 구동부(210), 회전구동부(220) 및 y축 구동부(230)의 구동 오차, 반송 과정에서의 부품(20)의 위치 오차 등으로 인해 조립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machining error of the component 20, the driving error of the x-axis driver 210, the rotation driver 220, and the y-axis driver 230, and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20 in the conveying process are described. Due to errors, assembly errors will inevitably occur.

이로 인해, 부품(20)이 조립대상물(10)의 소켓부(1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부품(20)이 심한 마찰을 받아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 부품(20)이 소켓부(11)에 부딪히면서 파손되거나 부품(20)이 미조립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 조립대상물(10)이 밀리면서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깨진 부품의 조각(램프 유리 파편 등)으로 인해 시스템의 순간정지가 발생되는 문제 등, 상기 조립 오차로 인해 공정의 수율이 저하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art 20 to the socket part 11 of the assembly object 10, the part 20 is severely rubbed and damaged, and the quality deteriorates, and the part 20 is a socket part ( 11) The problem of breakage due to hitting or failure of the parts 20 is not assembled, the position of the assembly 10 is pushed, the position is misplaced, or the parts of the broken parts (lamp glass fragments, etc.) due to the momentary stop of the system There was a chronic problem that the yield of the process is lowered due to the assembly error, such as a problem that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조정부(300)가 추가적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adjustment unit 300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정부(300)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1)에 삽입되는 부품(20)의 진입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집게부(100)와 구동계(200)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회동범위를 갖도록 제1 블록(310), 제2 블록(320) 및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djusting part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tong part 100 and the drive system 200 to accommodate the entry error of the component 20 inserted into the socket 11 as shown in Figure 3a or 3b The first block 310, the second block 320, and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s 330 ar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제1 블록(310)은 판 형상으로 y축 구동부(230)의 슬라이드판에 결합된다. 제2 블록(320)은 제1 블록(310)과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되 부품(20)의 진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축(X1,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수평방향)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제1 블록(310)과 축핀을 매개로 힌지결합된다. 제2 블록(320)에는 집게부(10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집게부(100)는 제2 블록(320)과 함께 제1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집게부(100)는 부품(20)의 사선 방향 조립을 위해 도입된 회전구동부(2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block 310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of the y-axis driver 230 in a plate shape. The second block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to face the first block 310 so that the first axis X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The block 310 is hinged through the shaft pin. The forceps part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block 320. Accordingly, the tong part 100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X1 together with the second block 320. That is, tongs 100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220 introduced for the diagonal assembly of the component 20.

집게부(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1 블록(310)과 제2 블록(32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30)가 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330)는 제1 블록(31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블록(320)이 원위치되어 제1 블록(310)과 마주볼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s 330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ck 310 and the second block 320 so that the tongs part 100 does not shake.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econd block 320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block 31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so as to face the first block 310.

미설명부호 231은 부품(20)이 집게부(100)에 제대로 파지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싱부로서, 하향으로 연장된 연장대와, 부품(20)과 마주보는 연장대의 일면에 매립되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Reference numeral 231 denotes a sens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part 20 is properly gripped by the tong part 100, and is a proximity part which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and the extension facing the part 20. It consists of a sensor.

도 5a는 y축 구동부(230)의 구동에 의해 집게부(100)가 소켓부(11)를 향해 하강되면서, 부품(20)이 소켓부(11)에 조립되는 공정을 나타낸 과정도로서,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조립대상물(10)의 일측을 향해 사선을 이루고 있다.5A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mponent 20 is assembled to the socket part 11 while the forceps 100 are lowered toward the socket part 11 by the driving of the y-axis driving part 230.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part 11 forms an oblique line toward one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상기 소켓부(11)에 대하여, 집게부(100)에 파지된 부품(20)은 도 5a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구동부(210, 도 2 참조)에 의해 소켓부(11)와 근접하게 이송된 다음, 회전구동부(220, 도 2 참조)의 회전동작에 의해 소켓부(11)의 형성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With respect to the socket portion 11, the component 20 gripped by the tongs portion 100 is close to the socket portion 11 by the x-axis drive portion 210 (see FIG. 2) as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5A. After being transferred, the rotary driving unit 22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cket 11 is formed by the rotating operation.

이 과정에서, 부품(20)의 가공 오차, x축 구동부(210) 및 회전구동부(220)의 구동 오차, 반송 과정에서의 부품(20)의 위치 오차 등으로 인해 부품(20)의 진입방향(f1)과 소켓부(11)의 형성방향(f2)이 미세한 각도(θ) 차이로 서로 불일치하게 된다.In this process, due to the machining error of the component 20, the driving error of the x-axis drive unit 210 and the rotary drive unit 220, the position error of the component 20 in the conveying process, etc. The formation direction f2 of f1) and the socket part 11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by a slight angle θ.

이 상태에서, y축 구동부(230)에 의해 집게부(100)가 하강되면서 부품(20)이 소켓부(11)에 삽입되는데, 도 5a의 하측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00)가 제2 블록(320)과 함께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부품(20)의 진입방향과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component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art 11 while the tong part 100 is lowered by the y-axis driving part 230, and the tong part 100 is shown in FIG. 5A and as shown in FIG. 5B. ) Rotates with the second block 320 about the first axis (X1) to coincide with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nd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이로써, 부품(20)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차에 구애받지 않고 부품(20)을 소켓부(11)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arts 20 can be smoothly assembled to the socket 11 without being affected by various errors generated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arts 20, and all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만약,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에 조립되는 부품(20)의 갯수가 많더라도, 각 집게부(100)가 오차에 맞춰 개별적으로 회전되면서 부품(20)을 소켓부(11)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틀어졌던 집게부(100)의 각도가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해 원위치되므로, 이후 조립될 부품(20)의 파지 동작도 문제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If,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parts 20 assembled at a time is large, each of the tongs 100 may be individually rotated according to an error, thereby smoothly assembling the parts 20 to the socket part 11. And, since the angle of the clamped tong portion 100 is turned back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the grip operation of the component 20 to be assembled later can be smoothly without problems.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대상물(10)과 부품(20)의 형상에 대하여 더 부연하자면, 도 7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대상물(10)은 차량의 실내등에 사용되는 램프 벌브 하우징으로서, 램프 벌브 하우징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소켓부(11)가 사선으로 결합된 형태이다.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componen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7, the assembly object 10 is a lamp bulb housing used for an interior lamp of a vehicle, and a lamp The bulb housing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socket part 11 is diagonally coupled therein.

부품(20)은 도 7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필라멘트가 장착된 유리 재질의 램프 벌브로서, 부품(20)의 단부에는 폭이 좁은 단자(2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21)가 여유롭게 진입된 후 마지막에 압착고정될 수 있도록 소켓부(11)의 입구 양측에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다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한 쌍의 안내편(11a)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단자(21)가 소켓부(11)의 입구 측으로 삽입되면, 한 쌍의 안내편(11a)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단자(21)가 압착고정된다.The component 20 is a lamp bulb made of glass with a filament mounted therein as shown in the lower side of FIG. 7, and a narrow terminal 21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mponent 20. A pair of guide pieces 11a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narrower widths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socket part 11 so that the terminal 21 can be crimped at the end after the terminal 21 is leisurely entered. Is formed. That is, when the terminal 21 is inserted into the inlet side of the socket portion 11, the pair of guide pieces 11a are elastically opened and the terminal 21 is crimped and fixed therebetween.

이러한 소켓부(11)의 안내편(11a) 형상은 조립 오차를 어느 정도 수용하기 위한 설계적 의의를 갖으며, 조립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부품 조립장치의 장점을 배가시킴으로써, 부품(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The shape of the guide piece 11a of the socket portion 11 has a design significance for accommodating the assembly error to some extent, and by doubling the advantages of the parts assemb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assembly error, 10) can be assembled more stably.

지금까지의 실시예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00)가 제1축(X1)을 기준으로 상하로 요동하는 동작으로 조립 오차를 수용하는 구조인데, 상하 및 좌우 동시에 요동하면서 조립 오차를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도 있다.Thus far, th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ngs unit 100 swing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1 as shown in FIG. 5B to accommodate assembly errors. Can be accommodated more smoothly.

이를 위해, 조정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블록(340)과 한 쌍의 제2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 블록(340)은 y축 구동부(230)의 슬라이드판과 제1 블록(310) 사이에 개재되어 일면은 슬라이드판에 결합되고 타면은 제1 블록(310)에서 이격되어 제1축(X1)과 교차되는 제2축(X2, 상하 수직방향)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 블록(310)과 힌지결합된다.To this end, the adjust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lock 340 and a pair of second elastic members (not shown) as shown in FIG. 6. The third block 3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plate of the y-axis drive unit 230 and the first block 310 so that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and the oth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 Is hinged to the first block 310 such that the second axis X2 (up-down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with () is the center of rotation.

한 쌍의 제2 탄성부재(미도시)는 제1 블록(310)과 제3 블록(340) 사이에서 양단이 밀착되게 설치되어 제3 블록(34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블록(310)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The pair of second elastic members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between the first block 310 and the third block 340 to rotate based on the third block 340. I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렇게 구성되면, 부품(20)이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집게부(100)가 제1축(X1)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부품(20)의 진입방향이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집게부(100)가 제2축(X2)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부품(20)의 진입방향이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조립 오차를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while the component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 the tong portion 100 is rotated up and down based on the first axis (X1), of the component 20 relativ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try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coincides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tongs portion 100 is rotated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X2, and the entry of the component 20 is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irec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cket portions 11 are formed. The assembly error can be accommodated more smoothly.

한편,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조립대상물(10)의 일측을 향해 사선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부품(20)이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대상물(10)이 타측으로 밀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대상물(10)의 타측을 눌러 가고정하는 가고정유닛(400)이 더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is formed obliquely toward one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mponent 20 into the socket portion 11, the assembly object 10 is Can be pushed to the other sid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emporarily fixed unit 400 for temporarily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as shown in Figure 5a.

가고정유닛(400)은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조립대상물(10)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절삭된 형태로 경사면(411)이 형성되는 지지대(410)와,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구동부(420)와, 슬라이딩 구동부(4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밀착되는 엔드면(431)이 조립대상물(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지그(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mporary fixing unit 4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support 410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41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support 410. Sliding drive unit 420 is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411, the end surface 431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liding drive unit 420 to perform a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the assembly object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jig 430 to form the same shape a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는, 집게부와 구동계 사이에 조정부를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보정없이 소형의 부품을 손상없이 원활하게 조립대상물의 소켓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립 품질의 향상 및 공정의 수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The err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ccommodate the error between the clamping part and the drive system by mounting the adjustment part, so that the small parts can be smoothly assembled into the socket of the assembly without damage without additional correction. It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y quality and the yield of the process.

특히, 집게부가 상하 및 좌우 동시에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오차를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tongs to swing up, down, left and right simultaneously, an effect of more smoothly accommodating the assembly error can be obtained.

또한, 가고정유닛을 통해 조립대상물의 타측을 눌러 가고정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과정에서 조립대상물의 위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through the temporary fixing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itional variation of the assembly object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arts, thereby enabling the assembly operation to be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10 : 조립대상물
11 : 소켓부
20 : 부품
100 : 집게부
200 : 구동계
300 : 조정부
310 : 제1 블록
320 : 제2 블록
330 : 한 쌍의 제1 탄성부재
X1 : 제1축
10: assembly object
11: socket
20: parts
100: tongs
200: drive system
300: adjusting unit
310: first block
320: second block
330: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
X1: 1st axis

Claims (4)

조립대상물(10)에 마련된 소켓부(11)에 부품(20)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조립장치로서,
상기 부품(20)을 집는 집게부(100);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집게부(100)의 위치 및 자세를 조작하는 구동계(200); 및
상기 부품(20)의 진입 오차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집게부(100)와 상기 구동계(200) 사이에서 소정의 회동범위를 갖도록 설치되는 조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300)는, 상기 구동계(200)에 결합되는 제1 블록(310)과, 상기 집게부(10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310)에서 이격되어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축(X1)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 블록(310)과 힌지결합되는 제2 블록(320)과, 상기 제1 블록(310)과 상기 제2 블록(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31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블록(320)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30)를 구비하며,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게부(100)가 상기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
As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for mounting the component 20 in the socket portion 11 provided in the assembly object 10,
Tongs unit (100) for picking up the component (20);
A drive system (200)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forceps (100) such that the component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1); And
And an adjusting unit 300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between the forceps unit 100 and the drive system 200 to accommodate the entry error of the component 20.
The adjustment unit 300, the first block 310 is coupled to the drive system 200, the forceps 100 is coup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 second block 320 hinged to the first block 310 so that the first axis X1 intersecting with the first axis X1 is a rotational center, and between the first block 310 and the second block 320.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 330 is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econd block 320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block 310,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mponent 20 into the socket portion 11, the tong portion 1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1) while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nd the socket portion ( 11) parts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direction of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300)는, 상기 구동계(200)와 상기 제1 블록(310) 사이에 개재되어 일면은 상기 구동계(200)에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제1 블록(3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축(X1)과 교차되는 제2축(X2)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 블록(310)과 힌지결합되는 제3 블록(340)과, 상기 제1 블록(310)과 상기 제3 블록(3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블록(34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블록(310)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2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게부(100)가 상기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품(20)의 진입방향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justing unit 300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ing system 200 and the first block 310 so that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driving system 200 and the oth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 310 so that the first shaft A third block 340 hinged to the first block 310 so that the second axis X2 intersecting with (X1) is the center of rotation, the first block 310 and the third block 340; And a pair of second elastic members (not shown)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two members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block 310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block 34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mponent 20 into the socket portion 11, the tong portion 10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X2) while the entry direction of the component 20 and the socket portion ( 11) parts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direction of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1)의 방향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30)의 바닥면과 사선을 이루고,
상기 구동계(200)는,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조립대상물(10) 측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210)와, 상기 x축 구동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과 나란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20)와, 상기 회전구동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100)를 상기 소켓부(11)를 향해 하강시키는 y축 구동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집게부(100)에 파지된 부품(20)은, 상기 소켓부(11)에 사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is obliqu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30 on which the assembly object 10 is placed,
The drive system 200 is coupled to the x-axis drive unit 210 and the x-axis drive unit 210 for moving the forceps unit 100 toward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forceps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ocket. Rotation driving unit 220 to rotate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unit 11, y-axis driving unit 230 coupled to the rotation driving unit 220 to lower the forceps unit 100 toward the socket portion (11) ),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nent (20) gripped by the tongs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 in an obliqu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1)의 형성방향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일측을 향해 사선을 이루고,
상기 부품(20)이 상기 소켓부(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대상물(10)이 타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조립대상물(10)을 눌러 가고정하는 가고정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유닛(400)은, 상기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상기 조립대상물(10)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절삭된 형태로 경사면(411)이 형성되는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구동부(420)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상기 조립대상물(10)의 타측에 밀착되는 엔드면(431)이 상기 조립대상물(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지그(4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 수용이 가능한 부품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direction of the socket portion 11, forming an oblique line toward one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mponent 20 into the socket portion 11, the temporarily fixed unit 400 for temporarily pressing the assembly object 10 so that the assembly object 10 is not pushed to the other side; ,
The temporary fixing unit 400, the support 41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inclined surface 41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e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ssembly object 10, and the Sliding drive unit 420 is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411 of the support 410, and the end surface 431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liding drive unit 420 to reciprocate linear movem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object 10 ) Is a component assembly apparatus that can accommodate the err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jig (430) forming the same shape as the external shape of the assembly object (10).
KR1020180014293A 2018-02-06 2018-02-06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KR102012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93A KR102012173B1 (en) 2018-02-06 2018-02-06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93A KR102012173B1 (en) 2018-02-06 2018-02-06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760A true KR20190094760A (en) 2019-08-14
KR102012173B1 KR102012173B1 (en) 2019-08-20

Family

ID=6762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293A KR102012173B1 (en) 2018-02-06 2018-02-06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1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5756A1 (en) * 2020-10-29 2022-05-06 Psa Automobiles Sa Shim for fitting a fender tri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525A (en) * 1992-08-25 1994-03-15 Sony Corp Centering deviation correcting device
JPH0760565A (en) * 1993-08-31 1995-03-07 Seiki Kogyo:Kk Automatic part assembling device
JPH1133834A (en) * 1997-07-23 1999-02-09 Aisin Seiki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component
KR101333167B1 (en)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KR20140083548A (en)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bulb assembly for vehicles
KR20170103376A (en)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한화 Proces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of detonator cli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525A (en) * 1992-08-25 1994-03-15 Sony Corp Centering deviation correcting device
JPH0760565A (en) * 1993-08-31 1995-03-07 Seiki Kogyo:Kk Automatic part assembling device
JPH1133834A (en) * 1997-07-23 1999-02-09 Aisin Seiki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component
KR101333167B1 (en)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KR20140083548A (en)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bulb assembly for vehicles
KR20170103376A (en)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한화 Proces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of detonator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5756A1 (en) * 2020-10-29 2022-05-06 Psa Automobiles Sa Shim for fitting a fender tri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173B1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16789A1 (en) Tool stocker, interchangeable tool, robot apparatus, robot system,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060232086A1 (en) Robot handling system provided with robot hand
JP2012016754A (en) Gripping apparatus, robot system and gripping method
JP2014176940A (en) Robo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kpiece
JP7200046B2 (en) Board assembly device and board assembly method
CN113382832A (en) Support device for component holding device and vehicle door detaching device
KR102012173B1 (en) An assembl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ccordance
CN110053040B (en) Calibration method of robot tool face
US10596664B2 (en) Robot
JP5012747B2 (en) Component positioning method and component positioning jig
TW201529220A (en) Tool gripper arrangement
JP7129788B2 (en)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for industrial robots
WO2023062738A1 (en) Positioning jig
JP2022059951A (en) Industrial robot
JP5157815B2 (en) Robot apparatus and robot apparatus teaching method
US20200338727A1 (en) Robot
JP6333649B2 (en) Fastening chuck
US10403539B2 (en) Robot diagnosing method
TWI831566B (en) Assembling system, related assembling system gripper device and related method
CN110153990B (en) Method for calculating correction value of industrial robot
KR102210025B1 (en) Method for adjusting industrial robot
WO2023100496A1 (en) Manipulator
JPH08216080A (en) Part inserting device
JP7306797B2 (en) Electronic component holding device
JP2024013849A (en) Hand and assembl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