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506A -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 Google Patents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506A
KR20190094506A KR1020180013742A KR20180013742A KR20190094506A KR 20190094506 A KR20190094506 A KR 20190094506A KR 1020180013742 A KR1020180013742 A KR 1020180013742A KR 20180013742 A KR20180013742 A KR 20180013742A KR 20190094506 A KR20190094506 A KR 2019009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ck
moving
positioning
pill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오켄 첸
Original Assignee
차오켄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오켄 첸 filed Critical 차오켄 첸
Priority to KR102018001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506A/en
Priority to PH12018000048A priority patent/PH12018000048A1/en
Publication of KR2019009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comprises a flexible chair back, a column, a first retention support mechanism, a second retention support mechanism, and a locking mechanism. The first retention support mechanism is connected between a first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the column. The second retention support mechanism is connected between a second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the column, and has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a second moving unit capable of moving on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column. The locking mechanism is arranged on the second retention support mechanism to selectively fixate the second moving unit to the column. The first retention support mechanism is maintained in a state of not moving, and the second retention support mechanism is movably fixated to the column for the chair back to change curvature thereof.

Description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Chair back curvature adjuster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의자, 특히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 particular a chair back.

앉았을 때의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자 등받이의 곡률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장시간 의자에 앉는 경우, 의자 사용자는 요통을 느끼거나 또는 등에 적절한 지지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척추가 변형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mfort of sitting,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is absolutely important.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chair user may feel back pain or the user's spine may be deformed if there is no proper support on the back.

일부 종래의 의자들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팽창가능한 등받이가 제공된다. 그들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매우 비싸다. 또한, 팽창 구성 요소는 의자 등받이에 내장되어 있어 유지 또는 보수가 어렵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는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의 특정 위치에만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변형의 정도가 제한되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가 어렵다.Some conventional chairs are provided with an inflatable backrest that can change the curvature to support the user's back. They can function but are very expensive. In addition, the inflation component is built into the chair back, making maintenance or repair difficult. In addition, these components are installed in a fixed position, can provide support only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user's back, and the degree of deformation is limited, making it difficult to satisfy the different requirements of various users.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대량의 곡률 변동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back curvature regula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large amount of curvature vari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한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that is easy to maintain or rep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는 가요성 의자 등받이, 기둥, 제1 보유지지 기구, 제2 보유지지 기구 및 로킹 기구를 포함한다. 제1 보유지지 기구는 의자 등받이의 제1 위치와 기둥 사이에 연결된다. 제2 보유지지 기구는 의자 등받이의 제2 위치와 기둥 사이에 연결되고, 의자 등받이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기둥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2 이동부를 갖는다. 로킹 기구는 기둥에 제2 이동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2 보유지지 기구 상에 배치된다. 제1 보유지지 기구는 이동가능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제2 보유지지 기구는 의자 등받이가 그 곡률을 변경하게 만들도록 기둥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ir ba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chair back, a pillar, a first holding mechanism, a second holding mechanism and a locking mechanism. The first retaining mechanism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the post. The second retaining mechanism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the post, and has a second conn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chair back and a second moveable portion on the post. The locking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second retaining mechanism for selectively securing the second moving part to the pillar. The first retaining mechanism is held in a non-movable state and the second retaining mechanism is movably fixed to the post to cause the chair back to change its curvature.

양호하게는, 제1 보유지지 기구는 제1 연결부 및 제2 이동부를 갖고, 제1 이동부는 의자 등받이의 제1 위치에 연결되고, 제1 이동부는 기둥에 대해서 활주가능하고, 로킹 기구는 기둥에 제1 이동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로킹 기구가 해제될 때, 제1 및 제2 이동부 양자 모두는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두 개의 이동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이동되고, 의자 등받이의 곡률이 조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retaining mechanism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moving portion, the first mov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chair back, the first moving portion is slidable relative to the post, and the locking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post. The first moving part can be fixed. When the locking mechanism is released, both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can be adjusted. As a result, one or both of the two moving parts can be moved and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can be adjusted.

양호하게는, 제2 연결부는 제2 이동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와, 의자 등받이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와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기구를 포함하고, 연장부는 고정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위치설정 기구에 의해 위치설정된다. 연장부의 이동에 의해, 제2 연결부는 의자 등받이의 곡률을 더 변화시키도록 수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hair back, and a positioning mechanism connect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It is movable and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extension, the second connection can be retracted or extended to further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곡률 변동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한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large amount of curvature fluctuatio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that is easy to maintain or repai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도.
도 4는 제1 상태의 두 개의 보유지지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제2 상태의 두 개의 보유지지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연결부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연결부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연결부의 작동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y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wo holding mechanisms in a first stat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wo holding mechanisms in a second state;
6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정 장치는 가요성 의자 등받이(1), 의자 등받이(1)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4), 제1 보유지지 기구(2), 제2 보유지지 기구(3) 및 로킹 기구(5)를 포함한다. 제1 보유지지 기구(2)는 의자 등받이(1)의 제1 위치(10)와 기둥(4) 사이에 연결된다. 제1 보유지지 기구(3)는 의자 등받이(1)의 제2 위치(11)와 기둥(4) 사이에 연결된다. 그 결과, 의자 등받이(1)는 기둥(4) 상에 장착된다. 제1 보유지지 기구(2)가 고정되는 경우, 기둥(4) 상으로 이동하도록 제2 보유지지 기구(3)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기둥(4)에 대한 의자 등받이(1)의 제2 위치(11)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보유지지 기구(3)가 고정되는 경우, 기둥(4) 상으로 이동하도록 제1 보유지지 기구(2)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기둥(4)에 대한 의자 등받이(1)의 제1 위치(10)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기둥(4) 상으로 이동하도록 제1 보유지지 기구(2)와 제2 보유지지 기구(3) 양자 모두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기둥(4)에 대한 의자 등받이(1)의 제1 위치(10)와 제2 위치(110 양자 모두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은 사용자의 등에 편안하고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Reference is made to FIGS. 1 to 3.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exible chair back (1), a pillar (4) for supporting the chair back (1),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and locking And a mechanism (5).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10 of the chair back 1 and the pillar 4. The first holding mechanism 3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 11 of the chair back 1 and the pillar 4. As a result, the chair back 1 is mounted on the pillar 4. When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is fixe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hair back 1 with respect to the pillar 4 by applying a force to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to move onto the pillar 4. (11) can be changed.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is fixed, the force of the chair back 1 against the pillar 4 is appli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to move onto the column 4. The first position 10 may be change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force to both the first retaining mechanism 2 and the second retaining mechanism 3 so as to move on the pole 4, thereby removing the chair back 1 against the pole 4. Both the first position 10 and the second position 110 can be altered, as a result,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can be altered to provide comfort and sufficient support to the user's back.

제1 보유지지 기구(2)는 제1 연결부(20) 및 제1 이동부(21)를 갖는다. 제2 보유지지 기구(3)는 제2 연결부(30) 및 제2 이동부(31)를 갖는다. 양호하게는, 제1 연결부(20) 및 제2 연결부(30)는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의자 등받이(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이동부(21, 31)는 기둥(4)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 주위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로킹 기구(5)에 의해 기둥(4) 상에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로킹 기구(5)가 해제된 후, 이동부(21, 31)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이동부(21, 3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이동시키면, 의자 등받이(1)를 신장 또는 압축하여 곡률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즉, 두 개의 이동부(21, 31)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이 커지며, 이는 딱딱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두 개의 이동부(21, 31)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이 작아지며, 이는 부드러운 지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조절가능한 조절이다. 이러한 조절은 편안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팽창된 위치는 동일한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의자 등받이(1)의 팽창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근하기 위해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의자 등받이(1)의 팽창은 사용자의 어깨에 접근하기 위해 높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a first moving portion 21.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h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nd a second moving portion 31. Preferabl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re connec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ir back 1 which are arranged vertically,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21, 31 can be individually arranged around two different positions of the pillar 4 and can be individually fixed on the pillar 4 by the locking mechanism 5. After the locking mechanism 5 is released, the positions of the moving parts 21 and 31 can be adjusted. Therefore, when one or both of the two moving parts 21 and 31 are moved, the chair back 1 can be stretched or compressed to cause a change in curvature. That is, the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oving parts 21, 31, the greater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which means that it can provide rigid support. On the contrary, the lo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oving parts 21, 31, the smaller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which means that it can provide smooth support. This is an adjustable adjustment. This adjustment provides comfort and can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expanded posi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same operation. That is, the inflation of the chair back 1 may be in a lower position to approach the waist of the user. In contrast, the inflation of the chair back 1 may be at a high position to approach the shoulder of the user.

양호하게는, 기둥(4)은 중공(40)을 갖고 제1 이동부(21)는 표면에 일렬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고정 구멍(211)이 제공되는 안내 로드(210)를 갖는다. 안내 로드(210)는 중공(40)에 수용된다. 중공(40) 내의 안내 로드(210)의 이동은 의자 등받이(10)의 제1 위치(10)를 조절가능하게 만든다. 로킹 기구(5)는 고정 볼트(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고정 볼트는 기둥(4)과 고정 구멍(211) 중 하나를 관통하여 제1 위치(10)를 고정된 상태로 만든다.Preferably, the pillar 4 has a hollow 40 and the first moving part 21 has a guide rod 210 provided with fixing holes 211 arranged axially in line with the surface. The guide rod 210 is received in the hollow 40. Movement of the guide rod 210 in the hollow 40 makes the first position 10 of the chair back 10 adjustable. The locking mechanism 5 has a fixing bolt (not shown).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one of the pillar 4 and the fixing hole 211 to make the first position 10 fixed.

양호하게는, 기둥(4)에 일렬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설정 구멍(41)이 제공된다. 제2 이동부(31)는 제2 이동부(31)가 기둥(4)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310)을 갖는다. 제2 이동부(31)에는 또한 로킹 기구(5)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킹 기구(5)는 고정 볼트를 갖는다. 고정 볼트는 제2 이동부(31)와 위치설정 구멍(41) 중 하나를 관통하여 제2 위치(11)를 고정된 상태로 만든다. 또한, 제2 연결부(30)는 고정 로드(31)에 의해 관통된다. 의자 등받이(1)의 제2 위치(11)에는 고정 로드(32)와 조립하기 위한 고정 시트(110)가 제공되어, 제2 위치(11)와 제2 연결부(30) 사이에 제거가능한 연결이 형성된다. 이는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ing holes 41 are provided in the column 4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moving part 31 has a through hole 310 for allowing the second moving part 31 to slide on the column 4. The second moving part 31 is also provided with a locking mechanism 5.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chanism 5 has a fixing bolt.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one of the second moving part 31 and the positioning hole 41 to make the second position 11 fixed.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is penetrated by the fixing rod 31. The second position 11 of the chair back 1 is provided with a fixing seat 110 for assembling with the fixing rod 32 so that a removabl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osition 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is provided. Is formed. This can simplify repairs if damage occurs.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의자 등받이(1)의 제1 위치(10)는 안내 로드(210)와 함께 이동되고 기둥(4) 상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11)에 연결되는 제2 보유지지 기구(3)가 고정되면, 이어서 제1 위치(10)를 변경시킴으로써,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곡률 요구 사항을 결정한 후에, 로킹 기구(5)는 이 곡률을 로킹할 수 있다.Reference is made to FIG. 4. The first position 10 of the chair back 1 can be moved with the guide rod 210 and adjusted on the pillar 4.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11 is fixed,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can be changed by subsequently changing the first position 10. After the user determines his or her curvature requirements, the locking mechanism 5 can lock this curvature.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유사하게는, 안내 로드(210)의 이동에 의해 의자 등받이(1)의 높이가 조정된 경우, 제1 위치(10)는 로킹 기구에 의해 고정되고, 제2 보유지지 기구(3)는 제2 위치(11)를 이동시켜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변경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곡률의 변화는 대략 사용자의 낮은 등의 위치이다. 최종적으로, 로킹 기구(5)는 조절된 곡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의자 등받이(1)의 최대 신장 또는 수축을 원하면, 그 또는 그녀는 제1 및 제2 보유지지 기구(2,3) 양자 모두를 기둥(4)에 대해 조절하여 제1 위치(2) 및 제2 위치(3)를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ence is made to FIG. 5. Similarly, when the height of the chair back 1 is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rod 210, the first position 10 is fixed by the locking mechanism, and the second retaining mechanism 3 is the second. By moving the position 11 can be adjuste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This change in curvature is approximately the user's lower back position. Finally, the locking mechanism 5 can fix the adjusted curvature. Of course, if the user wants the maximum stretching or contraction of the chair back 1, he or she adjusts both the first and second retaining mechanisms 2, 3 with respect to the pillar 4 to the first position 2. ) And the second position 3 can be mov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 2 연결부(30)는 제2 이동부(31)에 연결되는 고정부(300)와, 의자 등받이(1)에 연결되는 연장부(301)와, 연장부 (301)와 고정부(300) 사이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기구(30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장부(301)는 고정부(300)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위치설정 기구(302)에 의해 위치설정될 수 있다.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6 and 7.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ncludes a fixing part 300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art 31, an extension part 301 connected to the chair back 1, the extension part 301 and the fixing part 300. It may be composed of a positioning mechanism 302 connected therebetween. The extension 301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fixture 300 and can be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302.

위치설정 기구(302)는 고정부(300)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 중 하나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긴 구멍(3020)과, 연장부(301)를 관통하는 위치설정 볼트(3021)를 갖는다. 위치설정 볼트(3021)는 또한 연장부(301)와 고정부(300)를 연결하도록 두 개의 긴 구멍(3020)을 관통한다. 연장부(310)가 고정부 (300)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 위치설정 볼트(3021)가 긴 구멍(3020) 내에서 활주된다. 또한, 복수의 치형 구멍(3022)이 긴 구멍(3020) 중 하나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다. 위치설정 볼트(3021)가 치형 구멍(3022) 중 하나에 끼워지면, 연장부(301)는 정지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양호하게는, 위치설정 볼트(3021)의 단부에는 차단부(3023)가 형성되고 그 다른 단부에는 핸들부(3025)를 연결하는 스레드(3024)가 형성된다. 연장부(301)를 다시 이동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위치설정 볼트(3021)를 이동시켜 치형 구멍(3022)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핸들부(3025)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The positioning mechanism 302 has two long holes 3020 formed horizontally in one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fixing part 300 and a positioning bolt 3021 penetrating the extension 301. . Positioning bolt 3021 also penetrates two long holes 3020 to connect extension 301 and fixture 300. When extension 310 is moved relative to fixture 300, positioning bolt 3021 slides in elongated hole 30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tooth holes 3022 are formed in the lower edge of one of the long holes 3020. When the positioning bolt 3021 is fitted into one of the toothed holes 3022, the extension 301 is positioned to stop. Preferably, a blocking portion 302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ositioning bolt 3021 and a thread 3024 is formed at the other end connecting the handle portion 3025. The handle portion 3025 may be held by the user to move the positioning bolt 3021 out of the toothed hole 3022 to make the extension 301 moveable again.

연장부(301)의 이동에 의해, 제2 연결부(30)는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더 변화시키도록 수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2 보유지지 기구(3)가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변경시키도록 이동되는 경우, 의자 등받이(1)의 하부가 후방으로 더 만곡되기 때문에, 이는 일부 사용자의 등에 불충분한 지지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연결부(3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감소시키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등에 대한 충분한 지지가 획득될 수 있다. 몰론, 제2 연결부 외에, 제1 연결부(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의자 등받이(1)의 곡률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By moving the extension part 301,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can be contracted or extended to further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Reference is made to FIG. 5. When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3 is move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chair back 1 is further curved backwards, this may cause insufficient support on the back of some users. It may b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may be extended to reduc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as shown in FIG. 8. As a result, sufficient support for the back of the user can be obtained.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second connection, the first connection 20 can be use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hair back 1 as described above.

1 : 의자 등받이 2 : 제1 보유지지 기구
3 : 제2 보유지지 기구 4 : 기둥
5 : 로킹 기구 10 : 제1 위치
11 : 제2 위치 31 : 제2 이동부
1: Chair back 2: First holding mechanism
3: second holding mechanism 4: pillar
5: locking mechanism 10: first position
11: second position 31: second moving part

Claims (7)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이며,
가요성 의자 등받이(1);
상기 의자 등받이(1)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4);
상기 의자 등받이(1)의 제1 위치(10)와 상기 기둥(4)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보유지지 기구(2);
상기 의자 등받이(1)의 제2 위치(11)와 상기 기둥(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의자 등받이(1)의 상기 제2 위치(11)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와 상기 기둥(4)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2 이동부(31)를 갖는, 제2 보유지지 기구(3); 및
상기 기둥(4)에 상기 제2 이동부(31)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보유지지 기구(3) 상에 배치되는 로킹 기구(5);
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
The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Flexible chair back 1;
A pillar (4) for supporting the chair back (1);
A first holding mechanism (2)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10) of the chair back (1) and the pillar (4);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pilla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 11 of the chair back 1 and the pillar 4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11 of the chair back 1 A second holding mechanism (3) having a second moving portion (31) movable on (4); And
A locking mechanism (5) disposed on said second holding mechanism (3) for selectively securing said second moving portion (31) to said column (4);
Containing,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4)에는 일렬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설정 구멍(41)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이동부(31)는 상기 제2 이동부(31)가 상기 기둥(4)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310)을 갖고, 상기 로킹 기구(5)는 고정 볼트를 갖고,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제2 이동부(31) 및 상기 위치설정 구멍(41)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위치(11)를 고정된 상태로 만드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2. The pillar (4) is provided with positioning holes (41) arranged axially in a row, and the second moving portion (31) is provided with the second moving portion (31). 4) has a through hole 310 to allow it to slide on, said locking mechanism 5 has a fixing bolt, said fixing bolt of said second moving part 31 and said positioning hole 41;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for penetrating one to make the second position (11)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지지 기구(2)는 제1 연결부(20) 및 제1 이동부(21)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의자 등받이(1)의 상기 제1 위치(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부(21)는 상기 기둥(4)에 대해서 활주가능하고, 상기 로킹 기구(5)는 상기 기둥(4)에 상기 제1 이동부(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2.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olding mechanism (2)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a first moving portion (2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the first of the chair back (1). Connected to one position 10, the first moving part 21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4, and the locking mechanism 5 is connected to the column 4 with the first moving part 21.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that can be fix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4)은 중공(40)을 갖고, 상기 제1 이동부(21)는 상기 중공(40)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 로드(210)를 갖고, 상기 로킹 기구(5)는 상기 기둥(4)에 상기 안내 로드(2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4. The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illar (4) has a hollow (40), and the first moving portion (21) has a guide rod (210) slidably received in the hollow (40), and the locking mechanism (5) is a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guide rod 210 to the pillar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2 이동부(31)에 연결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의자 등받이(1)에 연결되는 연장부(301)와, 상기 연장부(301)와 상기 고정부(300) 사이에 연결되는 위치설정 기구(30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301)는 상기 고정부(300)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위치설정 기구(302)에 의해 위치설정되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is a fixing part 300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art 31, an extension part 301 connected to the chair back 1 and the extension A positioning mechanism 302 connected between the portion 301 and the fixing portion 300,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301 is movable relative to the fixing portion 300 and the positioning mechanism 302.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positioned by th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기구(302)는 두 개의 긴 구멍(3020)과 상기 연장부(301)를 관통하는 위치설정 볼트(3021)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긴 구멍(3020)은 상기 고정부(300)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 중 하나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는 또한 상기 두 개의 긴 구멍(3020)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301)를 상기 고정부(300)에 연결시키고,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는 상기 연장부(301)가 상기 고정부(300)에 대해 이동될 때 상기 긴 구멍(3020) 내에서 활주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6. The positioning mechanism (302) of claim 5 wherein the positioning mechanism (302) includes two elongated holes (3020) and positioning bolts (3021)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301), each of said elongated holes (3020) It is formed horizontally on one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fixing portion 300, the positioning bolt 3021 also penetrates the two long holes 3020 to extend the extension portion 301 to the fixing portion And a positioning bolt 3021 is capable of sliding within the elongated hole 3020 when the extension 301 is moved relative to the fixing part 300. Device.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형 구멍(3022)이 상기 긴 구멍(3020) 중 하나의 하부 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가 상기 치형 구멍(3022) 중 하나에 끼워지면, 상기 연장부(301)는 정지되도록 위치설정되고,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의 단부에는 차단부(3023)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연장부(301)를 이동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상기 치형 구멍(3022)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상기 위치설정 볼트(3021)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부(3025)와 연결되는 스레드(3024)가 형성되는, 의자 등받이 곡률 조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tooth holes 3022 are formed at the lower edge of one of the elongated holes 3020, and the positioning bolt 3021 is fitted into one of the tooth holes 3022. The extension part 301 is positioned to stop, the break part 3023 is formed in the end of the positioning bolt 3021, and the extension part 301 is moved in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ing bolt 3021. A chair back curvature regulating device, in which a thread 3024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a handle portion 3025 for moving the positioning bolt 3021 so as to escape from the toothed hole 3022 to make it possible.
KR1020180013742A 2018-01-19 2018-02-05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KR2019009450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42A KR20190094506A (en) 2018-02-05 2018-02-05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PH12018000048A PH12018000048A1 (en) 2018-01-19 2018-02-14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42A KR20190094506A (en) 2018-02-05 2018-02-05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06A true KR20190094506A (en) 2019-08-14

Family

ID=6762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742A KR20190094506A (en) 2018-01-19 2018-02-05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50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8244A (en) * 2019-11-06 2020-01-03 广州铧世家具制造有限公司 Head pillow
KR102273376B1 (en)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CN110638244B (en) * 2019-11-06 2024-05-17 广州铧世家具制造有限公司 Headre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8244A (en) * 2019-11-06 2020-01-03 广州铧世家具制造有限公司 Head pillow
CN110638244B (en) * 2019-11-06 2024-05-17 广州铧世家具制造有限公司 Headrest
KR102273376B1 (en)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5709T2 (en) office chair
US10827841B1 (en) Chair waist backrest height adjusting device
EP0173372A2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KR101575774B1 (en) Back assembly for chair
DE19848074A1 (en) Seat with movable seat surface having adjustable tilt angle on pivot point, between foot and seat surface, and back rest
KR20190094506A (en)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KR20230124501A (en) Adjustable bench with one-way adjustment system
KR101613519B1 (en) Sofa Having Calf Supporter
KR20190094507A (en)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US5342112A (en) Assembly for a chair with adjustable seat back and leg-rest
EP2389915B1 (en) Dynamic head support
KR101603998B1 (en) A chair
US9161631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furniture
CN114377353B (en) Formula neurosurgery shank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n sit and crouch
KR20120126180A (en) Sporting Goods
KR101733981B1 (en) 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KR20180018387A (en) Chair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EP1943926A1 (en) Seat extendible recliner
PH12018000048A1 (en) Chair back curvature adjustment device
CH709115A2 (en) Stretching device for stretching the spine.
DE202023103511U1 (en) Chair mechanism for a piece of seating and lying furniture
KR101576968B1 (en) Back assembly for chair
CN220001311U (en) Telescopic sofa frame
TWI619453B (en) Adjustable seat back device
KR200433827Y1 (en) Adjusting device for armrest i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