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084A -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084A
KR20190094084A KR1020180135543A KR20180135543A KR20190094084A KR 20190094084 A KR20190094084 A KR 20190094084A KR 1020180135543 A KR1020180135543 A KR 1020180135543A KR 20180135543 A KR20180135543 A KR 20180135543A KR 20190094084 A KR20190094084 A KR 2019009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oil
supply
discharge
hydraul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녕
박영길
함종근
이종한
조상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3Controlled cooling or heating of lubricant;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트랜스미션의 미션케이스에 결합되어 오일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는 냉각본체,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상에 배치된 공급리브부, 및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상에 배치된 배출리브부를 포함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Oil Cooling Structure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유압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압 트랜스미션은 차량의 작업 및 주행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은 엔진 등의 동력원이 제공하는 동력의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작동되기 위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는 오일(Oil)이 주입된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은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이 오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는 오일의 냉각을 위해 별도의 오일 쿨러를 구비해야 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는 별도의 오일 쿨러를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 효율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비용을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오일쿨러를 구비하지 않는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는 미션케이스에 결합되어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는 냉각본체,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된 공급리브부, 및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된 배출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션케이스에 결합되어 오일을 냉각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4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5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6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7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9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8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9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8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제10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에 있어서, 비교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유압 트랜스미션의 작동에 이용되는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이 주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 트랜스미션(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 변속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냉각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본체(2)는 미션케이스(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미션케이스(10)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의 부품들이 결합되기 위한 케이스(Case)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냉각본체(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 오일 냉각구조(1)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냉각본체(2)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미션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본체(2)는 상기 미션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냉각본체(2)는 수용홈(21), 공급포트(22), 배출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오일은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상태에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냉각본체(2)에서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一面)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미션케이스(10)로부터 상기 냉각본체(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이 상기 냉각본체(2)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미션케이스(10)로부터 더 멀어진 곳에 수용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발생시키는 열이 오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의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냉각본체(2)에 외벽(2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벽(2A)은 상기 수용홈(21)을 둘러싸는 상기 냉각본체(2)의 구조체 역할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외벽(2A)에는 상기 미션케이스(10)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도록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벽(2A)은 오일이 상기 수용홈(21)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포트(22)는 상기 수용홈(21)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포트(22)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내의 유압라인 및 상기 수용홈(21)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내의 유압라인을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포트(23)는 상기 수용홈(21)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출포트(2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내의 유압라인 및 상기 수용홈(21)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은, 상기 수용홈(21)을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배출포트(23)를 통해 다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내의 유압라인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포트(23) 및 상기 공급포트(22)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포트(23) 및 상기 공급포트(22)는 상기 수용홈(21)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냉각본체(2)는 차단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4)는 상기 공급포트(22) 및 상기 배출포트(23)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24)는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유동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바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유동하는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4)는 설치부재(25)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4)는 일측이 상기 설치부재(25)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외벽(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25)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으로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20)이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냉각본체(2)는 우회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우회시키는 것이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우회하여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바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현됨으로써, 오일이 유동하는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차단부재(24)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설치부재(25)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일측이 상기 설치부재(25)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외벽(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차단부재(24)가 연장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냉각본체(2)의 바닥면(2B)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2B)은 상기 수용홈(21)을 형성하는 면(面)으로, 상기 냉각본체(2)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一面)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외벽(2A) 및 상기 바닥면(2B)으로 둘러싸일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커버부(3, 이하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수용홈(21)을 덮도록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은 상기 수용홈(21)으로 공급되면 상기 냉각본체(2) 및 상기 커버부(3)의 사이에서 상기 수용홈(21)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은 상기 커버부(3)를 통해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수용홈(21)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2B)에 반대되는 측에서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상기 냉각본체(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냉각본체(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냉각부(4, 이하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는 상기 수용홈(21)을 따라 유동하는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각부(4)는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냉각부(4)는 팬(Fan)(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41)은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부(3) 쪽으로 냉각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커버부(3)를 통해서만 오일의 열을 방출하는 비교예에 대비할 때, 냉각기체를 통해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팬(41)은 상기 커버부(3)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41)은 상기 입력축(20)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20)으로부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냉각부(4)는 핀(Fin)(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42)은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핀(42)은 상기 커버부(3)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커버부(3)를 통해서만 오일의 열을 방출하는 비교예에 대비할 때, 오일의 열을 방출하기 위해 노출되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공급리브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바닥면(2B)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공급리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복수개의 공급리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은 오일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오일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과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커버부(3)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부(5)가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커버부(3)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리브부(5)를 통해서도 열을 방출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오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외벽(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외벽(2A)으로부터 상기 공급리브(51)들이 돌출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수용홈(21)에 오일이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키는 기능 및 오일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오일이 상기 외벽(2A)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리브(51)들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오일로부터 가해지는 저항력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우회부재(26)를 기준으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서 상기 공급포트(22)에 가까운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기준으로, 오일이 상기 우회부재(26)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우회부재(26)에 대해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배출리브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공급포트(22)를 통해 상기 수용홈(21)에 배출된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바닥면(2B)으로부터 상기 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배출리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복수개의 배출리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은 오일의 유동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오일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과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커버부(3)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부(6)가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커버부(3)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리브부(6)를 통해서도 열을 방출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오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외벽(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외벽(2A)으로부터 상기 배출리브(61)들이 돌출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수용홈(21)에 오일이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키는 기능 및 오일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오일이 상기 외벽(2A)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리브(61)들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오일로부터 가해지는 저항력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우회부재(26)를 기준으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서 상기 배출포트(23)에 가까운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기준으로, 오일이 상기 우회부재(26)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우회부재(26)에 대해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의 배치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에 있어서,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의 배치 및 형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리브부(5)는 제1공급리브그룹(51A), 제2공급리브그룹(51B), 및 제3공급리브그룹(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리브그룹(51A)은 복수개의 제1공급리브(미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공급리브들은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공급리브부(5)를 통과하는 오일의 유동경로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1공급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공급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리브그룹(51B)은 복수개의 제2공급리브(미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공급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2공급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공급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공급리브그룹(51C)은 복수개의 제3공급리브(미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3공급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급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3공급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공급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2공급리브들이 오일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과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공급리브그룹(51B)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급리브그룹(51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급리브그룹(51C)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공급리브그룹(51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다단(多段)으로 배치됨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더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공급리브그룹(51A)의 후방에 상기 제2공급리브그룹(51B) 및 상기 제3공급리브그룹(51C) 각각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제1공급리브들이 분산시킨 오일을 상기 제2공급리브들 및 상기 제3공급리브들이 다시 분산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되어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리브부(6)는 제1배출리브그룹(61A), 제2배출리브그룹(61B), 및 제3배출리브그룹(6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리브그룹(61A)은 복수개의 제1배출리브(미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1배출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출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리브그룹(61B)은 복수개의 제2배출리브(미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2배출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배출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배출리브그룹(61C)은 복수개의 제3배출리브(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배출리브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일은 상기 제3배출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배출리브들의 양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동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2배출리브들이 오일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과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배출리브그룹(61B)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배출리브그룹(61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배출리브그룹(61C)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배출리브그룹(61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다단(多段)으로 배치됨으로써,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더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배출리브그룹(61A)의 후방에 상기 제2배출리브그룹(61B) 및 제3배출리브그룹(61C) 각각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제1배출리브들이 분산시킨 오일을 상기 제2배출리브들 및 제3배출리브들이 다시 분산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되어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공급리브는 상기 제1공급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공급리브들이다. 상기 제1내측공급리브는 상기 제1외측공급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1공급리브들이다.
제2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공급리브는 상기 제2공급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2공급리브들이다. 상기 제2내측공급리브는 상기 제2외측공급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2공급리브들이다.
제3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공급리브는 상기 제3공급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3공급리브들이다. 상기 제3내측공급리브는 상기 제3외측공급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3공급리브들이다.
제1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배출리브는 상기 제1배출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배출리브들이다. 상기 제1내측배출리브는 상기 제1외측배출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1배출리브들이다.
제2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배출리브는 상기 제2배출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2배출리브들이다. 상기 제2내측배출리브는 상기 제2외측배출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2배출리브들이다.
제3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배출리브는 상기 제3배출리브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3배출리브들이다. 상기 제3내측배출리브는 상기 제3외측배출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제3배출리브들이다.
또한, 복수개의 공급리브(51) 및 복수개의 배출리브(61)를 다단으로 배치한 제1실시예는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된 돌출격벽(30)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오일의 배압값이 더 낮을 수 있다. 도 20은 복수개의 돌출격벽(30)이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비교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기 배압값은, 상기 커버부(3)를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한 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유동시키면서 오일의 유압을 측정한 값이다. 제1실시예에 대한 배압값 및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을 측정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은 34kPa이다. 한편, 제1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7kPa이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에 비해 더 낮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는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이 오일의 유압에 의해 파손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에 대한 가동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공급리브(51)들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점차 상기 우회부재(26)쪽으로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우회부재(26)를 우회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우회부재(26)에 가해지는 오일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한된 길이를 가지는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오일에 접촉 가능한 상기 공급리브(51)들의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이 증대되어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배출리브(61)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배출리브(61)들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점차 상기 배출포트(23) 쪽으로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에 대한 냉각이 완료된 뒤에도 상기 배출포트(2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배출포트(23) 근처에 체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한된 길이를 가지는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오일에 접촉 가능한 상기 배출리브(61)들의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이 증대되어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2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3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2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3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공급리브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공급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제2공급리브들 및 상기 제1공급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S자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더 증대시켜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3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공급리브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공급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3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급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3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제3공급리브들 및 상기 제2공급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S자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더 증대시켜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배출리브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출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배출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제2배출리브들 및 상기 제1배출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S자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더 증대시켜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3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배출리브들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배출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3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출리브들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3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제3배출리브들 및 상기 제2배출리브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S자의 유동경로를 갖도록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의 유동경로를 더 증대시켜 상기 수용홈(21)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2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3외측공급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공급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공급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1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2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2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2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3외측배출리브(미표시) 및 인접한 제3내측배출리브(미표시)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3내측배출리브들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내측공급리브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급리브는 상기 공급리브(51)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공급리브(51)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공급리브(51)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공급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측공급리브들에 비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공급리브들은 상기 공급리브(51)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공급리브(51)들로, 상기 내측공급리브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공급리브(51)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내측배출리브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배출리브는 상기 배출리브(61)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배출리브(61)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출리브(61)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배출리브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측배출리브들에 비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배출리브들은 상기 배출리브(61)들 중에서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배출리브(61)들로, 상기 내측배출리브들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출리브(61)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내측공급리브들 및 상기 외측공급리브들 각각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내측공급리브들 및 상기 외측공급리브들 각각을 통과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오일이 점차 상기 우회부재(26)쪽으로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우회부재(26)를 우회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우회부재(26)에 가해지는 오일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내측공급리브들 및 상기 외측공급리브들 각각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한된 길이를 가지는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오일에 접촉되는 상기 내측공급리브들 및 상기 외측공급리브들 각각의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내측공급리브들 및 상기 외측공급리브들 각각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내측배출리브들 및 상기 외측배출리브들 각각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내측배출리브들 및 상기 외측배출리브들 각각을 통과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오일이 점차 상기 배출포트(23)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1)에 공급된 오일에 대한 냉각이 완료된 뒤에도 상기 배출포트(2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배출포트(23) 근처에 체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내측배출리브들 및 상기 외측배출리브들 각각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한된 길이를 가지는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오일에 접촉되는 상기 내측배출리브들 및 상기 외측배출리브들 각각의 면적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내측배출리브들 및 상기 외측배출리브들 각각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켜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5 실시예 >
도 11을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수용홈(21)의 길이에 대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수용홈(21) 내에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외벽(2A)에 인접한 상기 공급리브(51)는 다른 공급리브(51)들에 비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우회부재(26)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에 대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수용홈(21)의 길이에 대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수용홈(21) 내에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배출리브(61)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외벽(2A)에 인접한 상기 배출리브(61)는 다른 배출리브(61)들에 비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51)들은 상기 우회부재(26)가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에 대해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51)들 및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우회부재(26)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51)들이 일체로 형성된 제5실시예는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된 돌출격벽(30)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오일의 배압값이 더 낮을 수 있다. 제5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기 배압값은, 상기 커버부(3)를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한 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유동시키면서 오일의 유압을 측정한 값이다. 제5실시예에 대한 배압값 및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을 측정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은 34kPa이다. 한편, 제5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7kPa이다. 이에 따라, 제5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에 비해 더 낮다. 이에 따라, 제5실시예는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이 오일의 유압에 의해 파손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에 대한 가동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 >
도 12를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벽(21)과 상기 우회부재(26)이 서로 이격된 길이에 대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은 상기 수용홈(21) 내에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열을 방출시키는 시간도 증대시키므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외벽(2A)에 인접한 상기 공급리브(51)는 다른 공급리브(51)들에 비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우회부재(2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동일한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벽(21)과 상기 우회부재(26)이 서로 이격된 길이에 대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상기 수용홈(21) 내에 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배출리브(61)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상기 커버부(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동일한 상기 열방향(Y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커버부(3)를 통해 방출되는 열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열을 방출시키는 시간도 증대시키므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외벽(2A)에 인접한 상기 배출리브(61)는 다른 배출리브(61)들에 비해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우회부재(2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동일한 상기 행방향(X축 방향) 상의 상기 배출리브(51)들이 일체로 형성된 제6실시예는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된 돌출격벽(30)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오일의 배압값이 더 낮을 수 있다. 제6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기 배압값은, 상기 커버부(3)를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한 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유동시키면서 오일의 유압을 측정한 값이다. 제6실시예에 대한 배압값 및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을 측정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은 34kPa이다. 한편, 제6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7kPa이다. 이에 따라, 제6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에 비해 더 낮다. 이에 따라, 제6실시예는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이 오일의 유압에 의해 파손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에 대한 가동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7 실시예 >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우회부재(26)는 상기 설치부재(2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부(5)는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일의 공급리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부(6)는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일의 배출리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 상기 우회부재(26), 및 상기 배출리브(61)는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리브(51), 상기 우회부재(26), 및 상기 배출리브(61)는 상기 열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복수개의 공급리브(51) 및 복수개의 배출리브(61)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비할 때,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 및 상기 배출리브(61)를 따라 유동하게 되는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오일이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는 시간이 감소하게 되어 냉각성능을 다소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공급리브(51) 및 상기 배출리브(61)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수용홈(21)에 수용 가능한 오일의 양을 증대시킴으로써 냉각용량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7실시예는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된 돌출격벽(30)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오일의 배압값이 더 낮을 수 있다. 제7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기 배압값은, 상기 커버부(3)를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한 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유동시키면서 오일의 유압을 측정한 값이다. 제7실시예에 대한 배압값 및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을 측정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은 34kPa이다. 한편, 제6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7kPa이다. 이에 따라, 제7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에 비해 더 낮다. 이에 따라, 제7실시예는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 상기 배출리브(61) 등이 오일의 유압에 의해 파손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 상기 배출리브(61) 등에 대한 가동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8 실시예 >
도 15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공급리브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공급리브들 사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1공급리브들을 통과한 오일이 상기 제2공급리브들 사이를 바로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공급리브에 의해 다시 분산되는 정도가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오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3공급리브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공급리브들 사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2공급리브들을 통과한 오일이 상기 제3공급리브들 사이를 바로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공급리브에 의해 다시 분산되는 정도가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오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배출리브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배출리브들 사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1배출리브들을 통과한 오일이 상기 제2배출리브들 사이를 바로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배출리브에 의해 다시 분산되는 정도가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오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3배출리브들 각각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배출리브들 사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제2배출리브들을 통과한 오일이 상기 제3배출리브들 사이를 바로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배출리브에 의해 다시 분산되는 정도가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더 골고루 섞이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오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써, 오일에 대한 냉각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9 실시예 >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은 상기 공급포트(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가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리브(51)들 각각은 상기 배출포트(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은 오일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삼각형 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 등의 리브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 중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작은 부분부터 접촉되어 점차 양측으로 분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에 가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오일의 저항력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가동률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 및 상기 배출리브(51)들 각각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이 원형(Circle)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은 상기 행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열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 각각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 중 상기 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가 작은 부분부터 접촉되어 점차 양측으로 분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에 가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이 오일의 저항력에 의해 파손 및 변형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가동률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1)는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에 가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키면서도, 오일이 상기 공급리브(51)들 및 상기 배출리브(61)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Vortex)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냉각구조(1)는 와류로 인해 오일이 상기 수용홈(21) 내에서 유동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냉각성능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리브(51)들 각각 및 상기 배출리브(51)들 각각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이 원형(Circle)이 되도록 형성된 제10실시예는 상기 외벽(2A), 상기 설치부재(25), 및 상기 우회부재(26)로부터 돌출된 돌출격벽(30)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비해, 오일의 배압값이 더 낮을 수 있다. 제10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기 배압값은, 상기 커버부(3)를 상기 냉각본체(2)에 결합한 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오일을 유동시키면서 오일의 유압을 측정한 값이다. 제10실시예에 대한 배압값 및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을 측정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은 34kPa이다. 한편, 제6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7kPa이다. 이에 따라, 제10실시예에 대한 배압값은 비교예에 대한 배압값에 비해 더 낮다. 이에 따라, 제10실시예는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이 오일의 유압에 의해 파손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냉각본체(2), 상기 공급리브(51)들, 상기 배출리브(61)들 등에 대한 가동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2 : 냉각본체
3 : 커버부 4 : 냉각부
5 : 공급리브부 6 : 배출리브부
10 : 미션케이스 20 : 입력축
21 : 수용홈 22 : 공급포트
23 : 배출포트 24 : 차단부재
25 : 설치부재 26 : 우회부재
41 : 팬 42 : 핀
51 : 공급리브 61 : 배출리브

Claims (1)

  1. 농업용 작업차량이 주행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 트랜스미션의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오일 냉각구조로,
    오일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의 미션케이스에 결합되는 냉각본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된 공급리브부;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오일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된 배출리브부를 포함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KR1020180135543A 2018-02-02 2018-11-07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KR20190094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3331 2018-02-02
KR1020180013331 2018-02-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40 Division 2018-02-02 2018-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84A true KR20190094084A (ko) 2019-08-12

Family

ID=6762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543A KR20190094084A (ko) 2018-02-02 2018-11-07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0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8261A1 (en) * 2020-07-27 2023-08-17 Jing-Jin Electric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hou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8261A1 (en) * 2020-07-27 2023-08-17 Jing-Jin Electric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hou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871B1 (ko) 다구획 일체형 하이브리드 열교환기
KR100389698B1 (ko) 고/저온 수냉식 냉각시스템
CN206017679U (zh) 一种变速器油温控制系统
EP2851567B1 (en) Electric oil pump
EP3859951B1 (en) Motor housing assembly
KR20190094084A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US10969009B2 (en) Oil cooling apparatus for hydrostatic transmissions
US20220372907A1 (en) Fluidic control device of a vehicle
US11300196B2 (en) Oil cooling apparatus for hydrostatic transmissions
US20120169157A1 (en) Cooling module and water-cooled motor system using the same
KR100241409B1 (ko) 비스코스 히터
KR102621527B1 (ko) 구동모터의 회전자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구동 모터
KR102470614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US8851028B2 (en) Cooling system for clutch
KR102476381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470604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KR20190141381A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구조
US11054198B2 (en) Cooling apparatus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KR102557567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장치
KR102557588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오일 냉각장치
CN219529110U (zh) 一种油冷器
EP3650734B1 (en) Cooling apparatus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CN219975305U (zh) 一种强化散热的湿式双离合变速器壳体及变速器
CN109653893B (zh) 用于汽缸盖的冷却套管
CN218124466U (zh) 电机壳体、混合动力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