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966A -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966A
KR20190093966A KR1020180013435A KR20180013435A KR20190093966A KR 20190093966 A KR20190093966 A KR 20190093966A KR 1020180013435 A KR1020180013435 A KR 1020180013435A KR 20180013435 A KR20180013435 A KR 20180013435A KR 20190093966 A KR20190093966 A KR 2019009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ser
hmd device
he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264B1 (ko
Inventor
배윤준
김재현
김재희
유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6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444 priority patent/WO2019151828A1/en
Priority to US16/265,115 priority patent/US11048094B2/en
Priority to EP19748399.3A priority patent/EP374081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HMD 장치는, 밴드를 포함하는 HMD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펼쳐진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HMD(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자세하게는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HMD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HMD를 통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경험할 수 있다. HMD 장치는 교육, 의료, 게임, 스포츠, 예술, 국방, 과학, 제조,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HMD를 착용하는 방식에는 소프트 밴드 타입(Soft Band Type)과 하드 밴드 타입(Hard Band Type)이 있다. 소프트 밴드 타입에서는 HMD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는데 유연한 밴드가 사용된다. 반면, 하드 밴드 타입에서는 HMD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는데, 유연한 밴드 대신 유연성이 없는 정해진 형태의 밴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하드 밴드 타입은 소프트 밴드 타입에 비해 밴드를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는 쉽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착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밴드를 포함하는 HMD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펼쳐진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밴드를 포함하는 HMD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펼쳐진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 착용시 밴드의 동작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HMD 장치의 착용과 벗는 과정의 대부분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의 착용과 벗는 과정은 기존의 HMD 장치에 비해 편리하다. 또한, 기존의 HMD 장치를 착용과 벗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헝클어지는 등의 불편이 초래되었는데,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의 경우, 착용과 벗는 과정이 단순하고 편리한 바, 그러한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용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HMD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HMD 장치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HMD 장치가 사용자에 장착되어 밴드가 사용자 머리의 뒤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HMD 장치의 밴드와 몸체의 연결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HMD 장치에서 서브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HMD 장치에서 메인 밴드의 조정휠이 마련된 부분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HMD 장치에서 메인 밴드와 조정휠이 서로 맞물려 있는 락(lock)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가 장착될 때,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HMD 장치 내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의 메인 밴드에 대한 락과 언락(unlock)을 구현하는 부재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한 부재들이 락 상태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부재들이 언락 상태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2의 HMD 장치에서 메인 밴드의 조정휠에 대응하는 서브 밴드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에 대한 것으로, 메인 밴드와 서브 밴드가 상하로 나란히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와 밴드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서브 밴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서브 밴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의한 편리한 착용 구조를 갖는 HMD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설명은 HMD 장치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설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 장치가 설명된다. 하기 설명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HMD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HMD 장치가 사용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용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HMD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 곧 오프 상태에 있는 HMD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착용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HMD 장치는 몸체(body)(110)와 이에 연결된 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전 HMD 장치 혹은 오프상태의 HMD에서 밴드(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세워져 있다. 몸체(110)와 밴드(120)는 연결부분(130)을 통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분(130)의 기계적 동작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연결부분(130)는 밴드의 동작을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120)는 몸체(110)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밴드(1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연결부분(130)을 통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밴드(120)는, 프로세서(1800, 도 14, 15)(이하, 프로세서(1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20)는, 프로세서 (1800)의 제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밴드(120)는, 프로세서(1800)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몸체(110)는 앞면에 윈도우(150)를 갖고 있다. 윈도우(150) 테두리는 몸체(110)에 둘러싸여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150)는, 사용자가 윈도우(150)를 통해 실제 공간을 볼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5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윈도우(150)는 빛 반사 및 눈부심 방지 코팅, 김서림 방지 코팅, 및 자외선 차단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사용목적에 따라 윈도우(150)는 투명 혹은 불투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MD 장치(100)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를 제공하는 장치로 사용될 때, 윈도우(150)는 불투명할 수 있다. HMD 장치(100)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장치로 사용될 때, 윈도우(150)는 투명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 도 14, 15)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표시할 콘텐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윈도우(150)의 투명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 또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콘텐트가 증강현실(AR) 또는 가상현실(VR)인지 확인할 수 있다.
HMD 장치(100)가 VR과 AR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융합 장치일 경우, 윈도우(150)는 HMD 장치(100)가 제공하는 동작에 맞춰서 투명 정도를 전기적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창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윈도우(150)가 디스플레이(720, 730, 도 7 참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720, 730, 도 7)는 윈도우(150) 전체를 대체하거나 윈도우(150)의 일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720, 730)는,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20, 730)가 반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경우에, 디스플레이(720, 730)는 적어도 하나의 광 웨이브 가이드(예를 들어, 프리즘),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110)는 연결부분(130)에 포함된 버튼을 대신해서 몸체(110)의 다른 부분에 밴드 동작을 위한 버튼 혹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150)를 바라보는 위치에서 상부면의 좌측 혹은 우측에 버튼 영역(160, 170)을 가질 수 있다. 버튼 영역(160, 170)에 터치 센서가 포함될 경우, 버튼 영역(160, 170)은 터치 영역일 수 있다. HMD 장치(100)는 버튼 영역(160, 17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를 위해서는 좌측 버튼 영역(170)이 필요하고, 왼손잡이를 위해서는 우측 버튼 영역(160)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40은 HMD 장치(100)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안면의 눈 주위의 피부와 접촉되는 패드이다. 패드(140)는 쿠션을 가질 수 있다. 화살표는 밴드(120) 동작시 밴드(120)가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HMD 장치(100)가 사용자에 장착되어 밴드(120)가 사용자 머리의 뒤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사용자가 HMD 장치(100)을 머리에 착용하기 위해 HMD 장치(100)를 잡은 상태에서 연결부분(130)에 포함된 동작버튼을 누르면, 밴드(120)가 윈도우(150)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 연결부분(130)에 포함된 동작버튼을 다시 누르면, 밴드(12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밴드(120)는, 센싱부(1500, 도 14, 15)를 이용한 센싱 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800, 도 14, 15)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윈도우(15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펼쳐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120)는 안쪽의 메인 밴드(120a)와 바깥의 서브 밴드(120b)를 포함한다. 밴드(120)는 서브 밴드(120b)가 메인 밴드(120a)의 바깥에서 메인 밴드(120a)와 겹치는 구조이다. 메인 밴드(120a)는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과 직접 접촉된다. 서브 밴드(120b)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서브 밴드(120b)는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서브 밴드(120b)는 HMD 장치(100)의 보다 안정적 착용을 위해 부가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위쪽으로 올려질 수 있고, 밴드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메인 밴드(120a)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해당하는 위치에 조정 휠(210)을 갖고 있다. 조정 휠(210)은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정 휠(210)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맞은 압박이 될 수 있도록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브 밴드(120b)가 메인 밴드(120a)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밴드(120)는 서브 밴드(120b)가 메인 밴드(120a)의 내측에서 메인 밴드(120a)와 겹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서브 밴드(120b)는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HMD 장치(100)가 오프 상태일 때, 곧 도 1과 같은 상태일 때, 메인 밴드(120a)는 충분히 풀어둔 상태가 되므로,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은 어느 정도 커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정 휠(210)은 락(lock) 상태가 되어 메인 밴드(120a)는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착용하면서 밴드(120)가 머리 뒤쪽으로 이동될 때, 밴드(120)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에 거의 닿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0)가 사용자의 머리 뒤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술한 바와 같이 조정 휠(210)의 락 상태를 해제하여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이 적절히 조절된 후에는 조정 휠(210)을 다시 락 상태로 전환하여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을 조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HMD 장치(100)을 벗을 때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메인 밴드(120a)를 충분히 푼 다음(장력을 충분히 높인 다음), 연결부분(130)에 포함된 동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벗는 과정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HMD 장치(100)의 밴드(120)와 몸체(110)의 연결부분(130)이 포함된 부분(22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밴드(120a)와 서브 밴드(120b)의 일단은 몸체(110)의 단부(110a)에 연결부분(130)을 통해 체결되어 있다. 메인 밴드(120a)와 서브 밴드(120b)는 연결부분(130)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체결되어 있다. 몸체(110)의 단부(110a)는 끝에 제1 및 제2 돌출부(110b, 110c)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110b, 110c) 사이에 서브 밴드(120b)가 연결되어 있다. 메인 밴드(120a)는 제1 돌출부(110b)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도 3에 예시한 몸체(110)의 단부(110a)와 메인 및 서브 밴드(120a, 120b)의 체결구조는 설명을 위한 일 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어렵지 않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몸체(110)의 단부(110a)와 메인 및 서브 밴드(120a, 120b)의 체결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4는 메인 밴드(120a)와 서브 밴드(120b)가 회전될 수 있음과 각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HMD 장치(100)에서 메인 밴드(120a)의 조정 휠(210)이 마련된 부분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 상, 서브 밴드(120b)는 생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밴드(120a)의 조정 휠(210)의 중심에 대응하는 부분에 버튼(510)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510)은 토글 방식으로 동작되며, 락 버튼 혹은 락 해제버튼이다. HMD 장치(100)에서 버튼(510)은 서브 밴드(120b)로 덮이지만, 서브 밴드(120b)은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이어서 사용자가 서브 밴드(120b)를 통해서 버튼(510)을 감지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조정 휠(210)의 직경은 메인 밴드(120a)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배면도에서 조정 휠(210)의 일부는 메인 밴드(120a)의 밖으로 돌출된다.
도 6은 도 2의 HMD 장치(100)에서 메인 밴드(120a)와 조정 휠(210)이 서로 맞물려 있는 락(lock)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튼(510)은 서브 밴드(120b)로 덮여 있다. 메인 밴드(120a) 내에 기어(610)가 존재하고, 기어(610)는 조정 휠(210)을 통해서 버튼(510)과 체결되어 있다. 기어(610)는 메인 밴드(120a) 내의 장력을 가진 밴드(620, 630)와 맞물려 있다. 아래 밴드(620)는 기어(610)의 아래쪽에 맞물려 있고, 위쪽 밴드(630)는 기어(610)의 위쪽에 맞물려 있다. 장력을 가진 밴드(620, 630)는 기어(610)와 맞물리는 면에 기어(610)의 표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춰지는 톱니를 갖고 있다. 장력을 가진 밴드(620, 630)에서 기어(610)와 맞물리는 부분은 직선형 기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정 휠(210)을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메인 밴드(120a)가 조여지고,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메인 배드(120a)가 풀어진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100)가 장착될 때,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HMD 장치(100) 내면의 일부 영역(710)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HMD 장치(100) 내면의 일부 영역(710)은 HMD 장치(100) 외부의 윈도우(150, 도 1)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내면의 일부 영역(710)은 사용자의 좌우 눈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720, 7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720, 73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 내면의 일부 영역(710)의 전 영역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20, 730)는, 반투명 광 파장 가이드(optical waveguide)(예를 들어, 프리즘)를 포함할 수 있다. 반투명 광 파장 가이드(예를 들어, 프리즘)는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반사시켜 HMD 장치(1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눈의 망막(retina)의 황반(fovea)에 이미지를 포커싱할 수 있다.
도 7의 디스플레이(720, 730)는, 도 15의 디스플레이(111)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720, 730) 사이에 제1 센서(7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센서(740)는 사용자가 HMD 장치(100)을 착용할 때, HMD 장치(100)의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HMD 장치(100)를 켜는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740)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센서(740)을 통해 사용자와 HMD 장치(100)의 거리를 감지하고, 밴드(120)을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분(130)에 포함된 버튼은 HMD 장치(100)를 벗을 때, 밴드(120)을 원위치 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HMD 장치(100) 내면의 일부 영역(710)에는 제1 센서(740)외에 제2 센서(7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740)는 HMD 장치(100) 착용시 전원을 켜는 역할만 하고, 제2 센서(750)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밴드(120)를 동작시키는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제1 센서(740), 제2 센서(750)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제1 센서(740), 제2 센서(750)의 배치 위치는 일 실시 예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통합된 센서가, 제1 센서(740), 제2 센서(75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제1 센서(740), 제 2 센서(750)는, 후술할 도 14, 15의 센싱부(1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740), 제 2 센서(750)는, 도 14, 15의 센싱부(1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100)의 메인 밴드(120a)에 대한 락과 언락을 구현하는 모듈, 예컨대, 도 6의 메인 밴드(120a) 내에 구비된 조정 휠(210)과 이에 연결된 기어(610)와 관련 부재들을 포함하는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서 참조번호 810은 메인 밴드(120a)의 장력을 갖는 밴드(620, 63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를 나타낸다. 820은 시프팅 포크(shifting fork)를 나타내고, 830은 조정 휠을, 830a는 조정 휠의 테두리를, 830b는 휠 락(wheel lock)을 각각 나타낸다. 참조번호 840은 시프팅 피스(shifting piece)를, 850은 버튼을 각각 나타낸다. 시프팅 포크(820)는 기어(810)에 삽입되고 휠 락(830b)과 마주한 부분은 HMD 장치(100)가 락 상태가 될 때, 휠 락(830b)과 맞물린 상태가 된다. 시프팅 피스(840)는 시프팅 포크(820) 내에 삽입된다. 버튼(850)은 시프팅 피스(840)와 접촉된다.
도 9는 HMD 장치(100)의 메인 밴드(120a)에 대한 락과 언락을 구현하는 모듈이 락 상태일 때를, 도 10은 언락 상태일 때를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시프팅 포크(820)와 휠 락(830b)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정 휠(830a)를 돌리면 회전력이 기어(810)에 전달되므로, 매인 밴드(120a) 내의 장력을 갖는 밴드(90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시프팅 포크(820)와 휠 락(830b)은 접촉되지 않는다. 이 상태는 도 9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850)을 눌러 락을 푼 상태이다. 따라서 이때는 기어(810)는 장력을 갖는 밴드(904)의 장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밴드(120a)는 조여지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적절히 압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밴드(120a)의 압박을 더 높이기 원한다면, 버튼(150)을 눌러 도 9와 같이 락 상태로 만든 다음, 조정 휠(830a)을 돌려 메인 밴드(120a)를 더 조일 수 있다.
도 11은 HMD 장치(100)의 서브 밴드(120b)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 밴드(120b)의 조정 휠(210)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홀(110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100)은 버튼(510)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관통홀(1100)을 통해서 버튼(510)이 노출됨으로써, HMD 장치(100)가 도 2의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버튼(510)을 직접 접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버튼(510) 조작이 좀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12는 HMD 장치(100)의 밴드(120)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밴드(120a)와 서브 밴드(120b)는 겹치지 않는다. 서브 밴드(120b)는 메인 밴드(120a)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밴드(120a)와 서브 밴드(120b)의 간격은 크지 않으며, 사용자가 두 밴드(120a, 120b)를 한 손으로 잡기에 충분할 정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HMD 장치를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몸체(110)는 연결부분(130)에 혹은 연결부분(130) 둘레에 배치된 제3 센서(1300)와 제3 센서(1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 및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310)을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100)는 밴드(120)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1300)는 연결부분(130)을 통해서 밴드(120)의 회전을 감지하여 밴드(120)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짐을 감지할 수 있다. 밴드(120)가 펼쳐지면, 제3 센서(130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10)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310)는 제3 센서(13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펼쳐진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제3 센서(1300)는, 센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한 제3 센서(1300)의 배치 위치는 일 실시 예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센서(1300)는 후술할 도 14, 15의 센싱부(1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1300)는, 도 14, 15의 센싱부(1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제어부(1310)의 배치 위치는 일 실시 예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310)는, 후술할 도 14, 15의 프로세서(1800)의 일 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 장치(100)는, 제어부(1310)의 제어에 의해, 별도의 동작 버튼 없이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으로 가까이 가져갈 경우, HMD 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 도 14, 15)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밴드(120)를 동작시켜 적절한 압력으로 사용자 머리를 감싸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프로세서(1800) 및 센싱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HMD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HMD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프로세서(1800) 및 센싱부(1500) 이외에, 출력부(1100), 사용자 입력부(1200), 통신부(1400), A/V 입력부(1600),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500)는 센서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프로세서(1800)는, 통상적으로 HMD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100), 사용자 입력부(1200), 통신부(1400), 센싱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HMD 장치(100)에 연결되어, HMD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카메라(16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111) 및 음향 출력부(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를 이용하여, HMD 장치(100)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밴드(120)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를 이용하여, 펼쳐진 밴드(120)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를 이용하여 센싱된 밴드(12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밴드(120)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HMD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를 이용하여 센싱된 서브 밴드(120b)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서브 밴드(120b)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센싱부(1500)는, HMD 장치(100)의 상태, HMD 장치(100) 주변의 상태,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8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5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제어부(120)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는 전기 신호일수 있다.
센싱부(15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52), 기울기 센서(153), 깊이 센서(154), 자이로스코프 센서(155), 위치 센서(예컨대, GPS)(156), 기압 센서(157), 근접 센서(158), 광 센서(159), 압력 센서(165), 장력 센서(166), 거리 센서(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500)는, 온도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출력부(11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11)와 음향 출력부(112), 진동 모터(11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HMD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1)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또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형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증강현실 모드(AR 모드) 또는 가상현실 모드(VR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가 가상현실 모드(VR 모드)로 동작할 때,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주변 상황을 보고 싶을 수 있다. 이 때,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음성 명령, 사용자의 손 제스쳐, HMD 장치에 장착된 버튼부, 리모컨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1)의 일부 영역에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카메라(161)로 캡쳐되는 주변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음성 명령, 사용자의 손 제스쳐, HMD 장치에 장착된 버튼부, 리모컨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등)에 기초하여, 카메라(161)로 캡쳐되는 주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AR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HMD 장치(100)가 AR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투명하게 전환된 디스플레이(110)와 윈도우(150, 도 1)를 통해 주변 상황을 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7의 디스플레이(720, 730)는, 도 15의 디스플레이(111)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HMD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12)는 통신부(14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2)는 HMD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1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1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1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이란, HMD 장치(100)가 소정 동작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또는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0)는,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12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터치 패널에 행하는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1200)는, 다중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안구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안구 입력은 HMD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눈의 깜빡임, 응시 위치, 안구의 이동 속도 등을 조절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HMD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6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 및 HMD 장치(100)의 주변 환경의 소리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0)는, HMD 장치(100)와 다른 디바이스(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0)는, 근거리 통신부(141), 이동 통신부(142), 방송 수신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4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4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4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HMD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4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이미지 센서)(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이미지 센서)(1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카메라(이미지 센서)(161)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8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이미지 센서)(161)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이미지 센서)(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4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이미지 센서)(161)는 HMD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8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알림 모듈(172), STT(Speak to Text) 모듈(173), 영상 처리 모듈(174)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HMD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모듈(172)은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1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1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STT(Speech to Text) 모듈(173)은,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포함된 보이스를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대응하는 트랜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174)은,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처리 모듈(174)은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흐름도를 설명하면서, 도 17a 내지 도 17b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6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센싱부(150, 도 15)를 이용하여,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500)(예컨대, 거리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및 기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착용하기 위해 HMD 장치(100)의 내면을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시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 또는 코가 닿을 수 있는 영역에 장착된 온도 센서 또는 거리 센서의 센싱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에 근접하면,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착용하기 위해 HMD 장치(100)의 내면을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100)가 홍채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의 내면을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기울기 값이 지속적으로 변하면, HMD 장치(100)의 내면을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HMD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HMD 장치(100)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하였음을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HMD 장치(100)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접혀있는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의 HMD 장치(100) 또는, 오프 상태의 HMD 장치(100)는 밴드(120)가 접힌 상태일 수 있다(도 1 참조).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한 손으로 잡고 HMD 장치(100)의 내면을 사용자의 안면으로 근접시키면,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접힌 상태의 밴드(120)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화살표 51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단계 S16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펼쳐진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500)를 이용하여 센싱된 밴드(12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또는 밴드(120)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진 밴드(120)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120)의 길이가 조절(화살표 52 방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장력 센서(166, 도 15)를 이용하여 센싱된 밴드(120)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근접하도록, 밴드(120)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압력 센서(165, 도 15)를 이용하여 센싱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근접하도록, 밴드(120)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HMD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HMD 장치(100)장치의 밴드(120)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됨을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밴드(12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밴드의 장력 등의 센싱 값에 관한 임계치는, HMD 장치(1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싱 값에 관한 임계치는 HMD 장치(100)의 제조 시에 기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어느 정도의 압력, 거리, 장력 등이 센싱 될 때,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끼는지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HMD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임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끼는 정도의 밴드(120)의 길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HMD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사용자 A에게 맞는 밴드(120)의 임계치를 사용자 A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A가 HMD 장치(100)를 착용 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사용자 A에게 적합한 밴드(120)의 길이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가 자동으로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한 이후,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밴드(120)의 길이를 재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밴드(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HMD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부를 통한 입력,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62)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깊이 센서(15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차원 공간 상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깊이 센서(154)는 입력 도구(예컨대, 손, 손가락 또는 전자펜 등)의 깊이 값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 장치(100)의 내면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진 밴드(120)의 길이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조절됨에 따라,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HMD 장치(100)를 잡고, 사용자의 양 쪽 눈이 HMD 장치(100)의 내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사용자 안면에 닿도록 HMD 장치(100)를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손쉽게 HMD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b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서브 밴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서브 밴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흐름도를 설명하면서, 도 19a 내지 도 19b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8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밴드(120)는, 메인 밴드(120a)와 메인 밴드(120a)의 외측에 배치된 서브 밴드(12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서브 밴드(120b)는, 메인 밴드(120b)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진 밴드 중, 메인 밴드(120a)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밴드(120b)가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화살표 53)으로 올라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50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HMD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HMD 장치(100)가 사용자의 머리에서 흔들릴 수 있다. 이 때, 서브 밴드(120b)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쪽에 밀착될 수 있다. 메인 밴드(120a)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하고, 서브 밴드(120b)는 사용자의 머리 위쪽을 지지함으로써,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를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인 밴드(120a)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하도록 유지하고,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을 지지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밴드(120b)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HMD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부를 통한 입력,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을 지지하도록 회전됨으로써,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보다 안정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단계 S18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100)는, 서브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서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의 프로세서(18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500)를 이용하여 센싱된 서브 밴드(120b)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또는 서브 밴드(120b)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된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에 밀착되도록 서브 밴드(120b)의 길이가 조절(화살표 54 방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장력 센서(166, 도 15)를 이용하여 센싱된 서브 밴드(120b)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근접하도록,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0)는 압력 센서(165, 도 15)를 이용하여 센싱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근접하도록,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HMD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HMD 장치(100)장치의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에 밀착됨을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한 서브 밴드(120b)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밴드의 장력 등의 센싱 값에 관한 임계치는, HMD 장치(1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싱 값에 관한 임계치는 HMD 장치(100)의 제조 시에 기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된 서브 밴드(120b)에서 어느 정도의 압력, 거리, 장력 등이 센싱 될 때, HMD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끼는지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HMD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임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된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끼는 정도의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서브 밴드(120b)의 길이 조절을 위한, 압력, 거리, 서브 밴드의 장력 등의 센싱 값에 관한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 장치(100)는, HMD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부를 통한 입력, 사용자의 음성 입력 및/또는, 제스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밴드(12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단계 S1602에서 설명한 밴드(120)의 길이 조절을 위한 다양한 동작들이 단계 S1802의 서브 밴드(120b)의 길이 조절을 위한 동작으로 적용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 장치(100)의 서브 밴드(120b)가 사용자의 머리 위쪽에 밀착됨으로써, HMD 장치(100)가 보다 안정감 있게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b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 "예를 들어," "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은 본 개시의 실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본 개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는 a1, a2 및 a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기재은, A라는 엘리먼트(element)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엘리먼트가 a1, a2 또는 a3라는 넓은 의미이다.
상기 기재로 인해 엘리먼트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반드시 a1, a2 또는 a3로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a1, a2 및 a3 이외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배제한다는 의미로, 배타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기재는, A는 a1를 포함하거나, a2를 포함하거나, 또는 a3를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기재가 A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반드시 소정 집합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가, 반드시 a1, a2 및 a3를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a1, a2, 또는 a3가 컴포넌트 A를 구성한다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라는 기재는, "a1", "a2", "a3", "a1 및 a2", "a1 및 a3", "a2 및 a3", 및 "a1, a2 및 a3" 중에서 한 가지를 나타낸다.
100:HMD 장치 120:밴드
120a:메인 밴드
120b:서브 밴드 1500 : 센싱부
1800 : 프로세서

Claims (20)

  1. 밴드를 포함하는 HMD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상기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밴드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HMD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된 상기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상기 밴드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HMD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HMD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HMD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버튼부를 통한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HMD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메인 밴드와 상기 메인 밴드의 외측에 배치된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밴드는, 상기 메인 밴드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HMD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HMD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HMD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HMD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된 상기 서브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상기 서브 밴드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서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HMD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HMD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버튼부를 통한 입력, 음성 입력 및 제스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HMD 장치.
  12. 밴드를 포함하는 HMD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HMD 장치의 내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근접함을 감지함에 따라, 접혀있는 상기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밴드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된 상기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상기 밴드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동작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동작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메인 밴드와 상기 메인 밴드의 외측에 배치된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밴드는, 상기 메인 밴드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동작 방법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밴드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HMD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밴드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된 상기 서브 밴드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압력, 거리 및 상기 서브 밴드의 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서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180013435A 2018-02-02 2018-02-02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35A KR102592264B1 (ko) 2018-02-02 2018-02-02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9/001444 WO2019151828A1 (en) 2018-02-02 2019-02-0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6/265,115 US11048094B2 (en) 2018-02-02 2019-02-0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9748399.3A EP3740811B1 (en) 2018-02-02 2019-02-0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35A KR102592264B1 (ko) 2018-02-02 2018-02-02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66A true KR20190093966A (ko) 2019-08-12
KR102592264B1 KR102592264B1 (ko) 2023-10-20

Family

ID=6747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35A KR102592264B1 (ko) 2018-02-02 2018-02-02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8094B2 (ko)
EP (1) EP3740811B1 (ko)
KR (1) KR102592264B1 (ko)
WO (1) WO201915182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553A (ko) 2019-12-16 2021-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프로젝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시스템
WO2023277322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3093A (ko)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일체형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30040066A (ko) *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1605A (ko) *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스트랩 조절용 저소음 기어가 장착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742A (ko) * 2021-12-26 2023-07-04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제스처를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동공 간 거리 자동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6896B (zh) * 2019-08-31 2020-11-13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自动穿戴式头戴显示设备
TWI737039B (zh) * 2019-11-19 2021-08-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頭戴裝置
WO2021189096A1 (en) * 2020-03-27 2021-09-30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243405B2 (en) 2020-03-27 2022-02-08 ResMed Pty Ltd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D951961S1 (en) * 2020-01-30 2022-05-17 Magic Leap, Inc. Head strap
CN113874777B (zh) * 2020-03-27 2023-01-10 瑞思迈私人有限公司 头戴式显示系统
US11169384B2 (en) 2020-03-27 2021-11-09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598967B2 (en) 2020-03-27 2023-03-07 ResMed Pty Ltd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686948B2 (en) 2020-03-27 2023-06-27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WO2021216082A1 (en) * 2020-04-24 2021-10-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chanical mount feature
CN114294546B (zh) * 2022-02-23 2023-11-0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头戴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278A (ko) * 2013-05-07 2014-11-17 배영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170046702A (ko) * 2014-08-20 2017-05-02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헤드밴드의 편안함 및 핏 조정 메커니즘들
KR20170069125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660A (ja) 2011-03-06 2012-09-27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9529194B2 (en) 2013-11-21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6253763B2 (ja) 2014-03-14 2017-12-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9557569B2 (en) 2014-05-02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system eye relief adjustment mechanism
CN204883054U (zh) 2015-07-23 2015-12-16 北京中创华影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器
CN205942103U (zh) 2016-08-02 2017-02-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弹性辅助锁紧机构
CN206074904U (zh) 2016-08-03 2017-04-05 深圳酷酷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CN106154555B (zh) 2016-08-24 2020-08-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206292459U (zh) 2016-12-30 2017-06-30 庄跃东 一种佩戴舒适的vr眼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278A (ko) * 2013-05-07 2014-11-17 배영식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170046702A (ko) * 2014-08-20 2017-05-02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헤드밴드의 편안함 및 핏 조정 메커니즘들
KR20170069125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553A (ko) 2019-12-16 2021-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프로젝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시스템
WO2023277322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05701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3093A (ko)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일체형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30040066A (ko) *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1605A (ko) *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스트랩 조절용 저소음 기어가 장착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742A (ko) * 2021-12-26 2023-07-04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제스처를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동공 간 거리 자동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0811A4 (en) 2021-04-07
US11048094B2 (en) 2021-06-29
WO2019151828A1 (en) 2019-08-08
KR102592264B1 (ko) 2023-10-20
EP3740811B1 (en) 2022-04-06
US20190243414A1 (en) 2019-08-08
EP3740811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264B1 (ko)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725556B2 (en)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ing the same
KR10216995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0498B2 (en) Controlling a vehicle
US9959591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program
KR20170083404A (ko) 이동 단말기
KR10229710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5050A (ko) 반지형 이동 단말기
KR20150134954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514755B2 (en)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622794B2 (ja) 画面移動型表示装置
KR101879334B1 (ko) 근접 센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41793A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06740493A (zh) 后视镜调整方法、装置、设备和系统
JP2006146803A (ja) 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271184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1404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82086B1 (ko) 이동단말 제어장치 및 방법
JP6160654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KR20170084443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KR20160019741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6139174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9435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5693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2206743B1 (ko) 레이져 스캐닝을 이용한 운전자 조작 신호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