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875A -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875A
KR20190093875A KR1020180013228A KR20180013228A KR20190093875A KR 20190093875 A KR20190093875 A KR 20190093875A KR 1020180013228 A KR1020180013228 A KR 1020180013228A KR 20180013228 A KR20180013228 A KR 20180013228A KR 20190093875 A KR20190093875 A KR 2019009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duction line
information
standard data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077B1 (ko
Inventor
배복환
Original Assignee
(주)더블유비에스(Wb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유비에스(Wbs) filed Critical (주)더블유비에스(Wbs)
Priority to KR102018001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0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각각의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생산공정을 전체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하되, 표준데이터를 정의하고 그 표준데이터를 활용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생산라인의 Row데이터를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Row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동적으로 표준데이터로 생산라인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최적의 생산성 등 효율적인 생산라인 관리가 가능한 한편, 인증된 휴대기기를 소지한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생산라인의 설비측으로 근접할 시 상기 생산라인의 전반적인 정보를 모니터링 및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Integrated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using standard dat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생산라인을 제어함에 있어 최적의 표준데이터를 정의하고, 상기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라인을 가동하되,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Row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표준데이터로 생산라인이 가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휴대기기의 APP을 통해 생산라인에 근접할 시,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 판별한 후, 작업자에게는 모니터링 및 각종정보와 선택적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사에게는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전통 제조산업분야에서는 생산공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인 생산공정라인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을 보면, 각 공정라인 마다 장비, 작업자, 자재, 제품 등 다양하게 이루어져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공정라인의 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통합제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통합제어부를 통해서 각 공정라인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시스템은 대체적으로 통합제어부가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보니 관리자 등은 항상 통합제어부로 이동을 한 후, 모니터링을 통해 생산라인의 전반적인 정보들을 파악한 후 발생한 상황에 맞춰서 관리자가 선택적인 제어를 하도록 하고 있어, 통합적인 제어는 가능하나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Wi-Fi, 블루투스, 비콘 등을 이용하여 휴대기기 등에 설치되는 APP을 접목시켜서 이동 중에서도 해당 생산라인의 공정의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기기의 APP으로 전송받도록 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1214503호(특) 건물 내의 소방시설, 전기시설, 광고판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비콘 노드, 상기 다수개의 비콘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통해 건물 내의 거주자 및 소방시설물의 위치들을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서버, 상기 건물 외부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는 스마트폰 이용자가 실내공간으로 이동시 그 위치를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실내외 연속 위치정보 서버, 상기 비콘 노드가 설치된 건물의 실내 공간 정보를 3D로 입체화하여 저장한 정보 중 요청한 해당 건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실내 공간정보 서버 및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서버, 상기 실내외 연속 위치정보 서버 및 상기 실내 공간정보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위치서비스 요청자 또는 공공기관에서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노드는 건물 내의 거주자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건물 내 바닥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는 압전소자형인 비콘 노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1501032호(특)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의 입구에 설치되고, 스마트 기기가 접촉(touch)에 의해 인식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를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에 접속시키는 억세스 포인트로 기능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 매장 내에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비콘과 연결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매장 진입시에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에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지 않고, 상기 통신망은 업체의 내부 통신망이고, 상기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내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서비스가 개시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1263465호(특) 제1 내지 제N의 제품 생산 공정 단계 별로 설치된 N개의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생산이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N개의 단말로부터 생산 공정 중인 제품에 부착된 마스터태그의 코드와 상기 제품에 조립될 적어도 하나의 소제품에 부착된 서브 마스터태그의 코드와 상기 N개의 각 단말에 대응되는 제품 생산 공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품 생산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품 생산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의 출고 시점에 상기 제품에 부착되는 엔트리태그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엔트리태그의 코드와 상기 제품 생산이력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0453699호(특)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관리 시스템에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접속부, 인터페이스부, 인터넷 프로토콜, 공정별 생산기계로부터 생산실적현황을 입력받는 입력부, 작업지시내용을 알려주는 출력부, 상기 구성부 전체를 제어하는 운영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접속부, 인터페이스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웹서버, 생산관리 실행부, D/B 관리부, 생산D/B, 물류D/B, 공정D/B로 구성되고, 생산주문 데이터, 생산계획 데이터, 작업지시 데이터, 생산실적 데이터, 재공 데이터, 비가동 데이터, 생산성 데이터, 재고 데이터, 자재현황 데이터, 출하 데이터, 제품 데이터, 표준공정데이터, 표준공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지시, 자재공급요구, 출하지시, 유지보수 요구를 제공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생산기계별 생산실적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생산관리서버;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서버의 자재공급요구에 따라 필요자재를 생산공정에 공급 하여주는 자재관리시스템;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서버의 출하지시에 따라 완성품의 출하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관리시스템;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 서버에 필요한 제품을 주문하는 영업시스템;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 서버에 제품의 설계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데이터를 제공하는 제품개발시스템;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서버의 유지보수명령에 따라 생산기계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생산공정에 제공하여주는 유지보수시스템; 및, 웹브라우저, 운영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생산관리서버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관리자시스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상기 생산관리 서버, 자재관리시스템, 물류관리시스템 영업시스템, 제품개발시스템, 유지보수시스템, 관리자시스템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를 포함하며, 상기 생산관리 서버는, 생산관리서버가 생산D/B의 생산주문데이터, 생산실적데이터, 재공데이터, 생산성데이터 와 물류D/B의 재고데이터, 공정D/B의 제품데이터, 표준공정데이터, 표준공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산D/B의 생산계획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로그램, 상기 생산관리 서버가 상기 생산계획 데이터에 의하여 생산 라인상의 생산기계별로 작업지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상기 생산관리 서버가 상기 생산기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기계별 생산실적데이터, 재공데이터, 비가동데이터, 자재현황데이터를 전송 받아서 생산D/B 와 물류D/B를 변경하는 프로그램, 상기 생산관리서버가 상기 물류D/B의 자재현황데이터와 공정D/B의 표준공정데이터의 필요자재 양을 비교하여 각각의 생산기계별로 필요한 자재를 결정하고, 자재관리시스템에 외주가공품 등을 포함한 자재의 공급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상기 생산관리서버가 상기 생산D/B의 생산주문데이터 및 생산실적데이터 및 물류D/B의 재고데이터를 이용하여 완성품의 출하를 결정하고, 물류관리시스템에 완성품의 출하를 요구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생산D/B, 공정D/B, 물류D/B의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하고 다시 생산D/B의 생산계획데이터를 수정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들을 구동시키는 연산자로 구분되는 생산관리 실행부; 상기 프로그램들을 웹상에서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웹서버; 생산주문 데이터, 생산계획 데이터, 작업지시 데이터, 생산실적 데이터, 재공 데이터, 비가동 데이터, 생산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생산 D/B; 재고 데이터, 자재현황 데이터, 출하 데이터를 저장하는 물류D/B; 제품 데이터, 표준공정 데이터, 표준공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정D/B; 및, 상기 입수데이터들을 정해진 기준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D/B 구조를 작성하고, 상기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며, 각각의 데이터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연산자로 구분되는 D/B 관리부를 포함하는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 제공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비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기술, 생산라인을 제어, 생산라인의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시스템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매우 제한적인 기술이고, 이러한 기술을 통합 생산라인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일부분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생산라인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항상 고정된 상태의 통합제어부에서만 제어가 가능하고 자동적인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회에 걸친 생산라인의 Row데이터를 토대로 생산라인을 가동함에 있어 최적의 데이터로 표준데이터를 정의하고, 상기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되, 상기 Row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자동적으로 생산라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상의 휴대기기와 근거리통신이 가능토록 비콘노드를 설치하여, 인증이 완료된 작업자 또는 고객사에 따라서 휴대기기가 상기 비콘노드에 근접할 시, 생산라인의 모니터링 또는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토록 하여, 상기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생산라인을 순회하면서 전체적인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관리공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공정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각 공정별로 각각의 설비(110)들이 구성되되, 각각의 설비(110)에는 상기 설비(11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센서(120)와, 상기 센서(120)로부터 체크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하고, 통합제어부(300) 및 휴대기기(4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PLC(130)와, 상기 PLC(130) 및 센서(120)와 연결 구성되며, 휴대기기(40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PLC(13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휴대기기(400)로 제공하는 비콘노드(140)로 구성되는 생산라인(100); 표준데이터가 저장된 표준데이터저장부(210)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 Row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Row데이터저장부(220)와, 상기 표준데이터와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비교분석부(230)로 구성되는 통합데이터부(200); 상기 표준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생산라인(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310)와, 실시간으로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320)와,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로 구성되는 통합제어부(300); 비콘노드(140)로부터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제공받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APP(410)이 구성된 휴대기기(400); 웹 기반으로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의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500);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준데이터는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이고, 상기 표준데이터가 정의된 후,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의 정보는 Row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320)는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 구성 또는, 상기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되되, 웹 기반으로써 별도의 서버를 구성하여, 생산라인(100)의 설비(110) 각각의 ID, PLC(130), 센서(120)로 각각 구분되어 상기 설비(110)의 전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의 표준데이터 정보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Row데이터가 필터링 후 저장된 Row데이터저장부(220)의 정보와 질의 처리 및 연산을 통해 그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고장,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통합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상기 설비(110)와 센서(120) 및 PLC(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초단위로 체크하고 비교분석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제어부(300)는 통합데이터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설비(110)의 원료 투입량 및 부하밸런스를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데이터부(200)에는, 상기 생산라인(100)의 PLC(130)로부터 제공받는 설비(110)의 상태 정보들을 Row데이터저장부(220) 및 비교분석부(230)로 전송하며 휴대기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모니터링 및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로 전송하는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통신하는 DCS모듈(251)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생산라인(100)을 제어하는 DSS모듈(253)로 구성되는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이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은 사용자가 최초 가입할 시, 생산라인(100)의 작업자와 고객사의 관리자로 구분되어 그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500)는 상기 APP(41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기기(400)의 사용자는 APP(410)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상기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500)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판별되어 작업자일 경우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자일 경우 모니터링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과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의 반응속도는1.5초, 인식거리는 3.5m이내이고, 상기 통합데이터부(200)의 수집데이터 에러율은
Figure pat00001
이내, 데이터전송속도 24Mbps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생산공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을 보면,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표준데이터를 설정하는 표준데이터설정단계(S100); 사용자가 휴대기기(400)의 APP(410)을 다운로드한 후, 작업자 또는 고객사로 구분되게 회원가입 하는 회원가입단계(S200); 상기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을 이동하되 상기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S300); 상기 판별단계(S300)에서 휴대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작업자일 경우, 작업자의 APP(410)상에 생산라인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 및 상기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생산라인(100)을 제어하고,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고객사일 경우, 고객사의 APP(410)상에 생산라인(100)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에서, 작업자는 생산계획, 작업지시, 생산실적, 품질관리, 모니터링 관리, 표준데이터 분석관리를 모니터링 및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는 작업자 생산현황, 작업자 생산관리, 고객사 생산진행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원가입단계(S200) 이전에,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되, 상기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 후 전송된 Row 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생산라인(100)을 표준데이터의 의해 가동될 수 있도록 생산라인을 자동제어하는 제어단계(S150)가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에 의하면, 생산라인을 관리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생산라인을 가동하기 위한 최적의 데이터로 정의된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 후 표준데이터와 Row데이터의 오차가 발생할 시 자동적으로 생산라인을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휴대기기와 연동되는 비콘노드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통해 모니터링 및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최적의 조건으로 생산라인을 가동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표준데이터 처리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표준데이터 비교분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생산 데이터 수집 및 제어프로그램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의 APP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의 APP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생산라인을 제어함에 있어 최적의 표준데이터를 정의하고, 상기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라인을 가동하되,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Row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표준데이터로 생산라인이 가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휴대기기의 APP을 통해 생산라인에 근접할 시,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 판별한 후, 작업자에게는 모니터링 및 각종정보와 선택적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사에게는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은, 생산라인(100), 통합데이터부(200), 통합제어부(300), 휴대기기(400), 서버(500)로 구성된다.
상기 생산라인(100)은 도 1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정별로 각각의 설비(110)들이 구성되되, 각각의 설비(110)에는 상기 설비(11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센서(120)와, 상기 센서(120)로부터 체크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하고, 통합제어부(300) 및 휴대기기(4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PLC(130)와, 상기 PLC(130) 및 센서(120)와 연결 구성되며, 휴대기기(40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PLC(13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휴대기기(400)로 제공하는 비콘노드(1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생산라인(100)에는 설비(110)이 외에 생산을 위한 작업자, 생산 후 적층 또는 거치되는 물품 및 생산을 위한 자재들이 포함될 수가 있다.
상기 설비(110)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구성들로써 이루어지는 기계적인 장치로써, 다양한 생산라인마다 설비의 종류가 다양하기 마련인데, 기본적으로 제조분야에는 설비(110)의 온도, 습도 등에 따라서 그 공정에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러한, 온도, 습도 등 설비(110)의 각종 정보들을 수집 후 전송할 수 있는 센서(120)와 상기 설비(110)를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PLC(130)가 구성된다.
상기 PLC(130)의 경우 통상적으로 모든 각종 자동화기계 장치들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써, 기본적으로 기타 장비들 즉, 통합데이터부(200)와 통합제이부(300)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성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데이터 송, 수신을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PLC(130)는 신호의 In-Out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서(120)는 통상의 RS3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120)는 상기 설비(110)의 온도, 습도, 원료투입량 등을 체크하는 구성으로써, 이 또한 통상적인 센서(120)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콘노드(140)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중 하나로써, 설비(11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휴대기기(400)와 근거리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콘노드(140)의 경우, Wi-fi 등과 같은 통상의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구성들과 다르게 비교적 저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 효율성을 가질 수가 있다.
상기 비콘노드(140)와 휴대기기(400)의 비콘노드(140)의 반응속도는1.5초, 인식거리는 3.5m이내로써, 상기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작업자 또는 고객사의 사용자가 상기 인식거리 범위내에 위치할 경우, 휴대기기(400)와 근거리통신이 되어 생산라인(100)의 설비(110)의 각종 정보들을 상기 휴대기기(400)에 포함된 APP(4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통합데이터부(200)는 도 1, 2,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데이터가 저장된 표준데이터저장부(210)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 Row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Row데이터저장부(220)와, 상기 표준데이터와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비교분석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표준데이터가 정의된 후,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의 정보는 Row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는 생산라인(100)을 가동하기 위한 최적의 데이터로 만들어진 표준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준데이터는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이다.
여기서,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는 생산라인(100)을 가동시킴에 있어서 표준이 되는 표준데이터가 되고, 지속적인 생산라인(100)을 가동함에 있어서 설비교체 등과 같은 생산라인(100)의 실질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시 관리자들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준데이터를 재 정의할 수가 있으며, 항상 생산라인(100)에 맞는 최적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생산라인(100)의 설비(110) 등 기타 수반되는 조건들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에도, 간혹 기존의 정의된 표준데이터보다 더 최적의 데이터가 만들어질 수가 있으며, 이 또한 관리자들의 선택에 따라 표준데이터를 재 정의할 수가 있다.
상기 Row데이터저장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생산라인(100)의 PLC(120) 및 센서(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오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Row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통해 관리자들은 생산라인(100)의 전반적인 상황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언제 어느 시점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의 표준데이터 정보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Row데이터가 필터링 후 저장된 Row데이터저장부(220)의 정보와 질의 처리 및 연산을 통해 그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고장,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통합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상기 설비(110)와 센서(120) 및 PLC(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초단위로 체크하고 비교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최초 생산라인(100)의 PLC(130) 및 센서(120)로부터 설비(110)의 각종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정보를 분석 및 가공처리한 후, 표준데이터저장부(210)에 저장된 표준데이터와 비교를 하게 되고, 비교분석된 데이터를 통합제어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최초, 표준데이터를 정의되기 전, 실시간으로 생산라인(100)의 각종 정보들을 토대로 최적의 데이터를 표준데이터로 정의하기 위하여 분석된 최적의 데이터를 표준데이터저장부(210)로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표준데이터가 정의되기 전에는 표준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표준데이터가 정의된 후에는 생산라인(100)의 PLC(130) 및 센서(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Row데이터와 상기 표준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비교분석된 데이터를 통합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통합데이터부(200)의 수집데이터 에러율은
Figure pat00002
이내, 데이터전송속도 24Mbps이다.
한편 상기 통합데이터부(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산라인(100)의 PLC(130)로부터 제공받는 설비(110)의 상태 정보들을 통합데이터부(200)로 전송하며 휴대기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모니터링 및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로 전송하는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통신하는 DCS모듈(251)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생산라인(100)을 제어하는 DSS모듈(253)로 구성되는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130)와 센서(120) 및 휴대기기(4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받아 그 정보를 토대로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를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의 DCS모듈(2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통신(송, 수신)을 위한 구성요소이고, 상기 DSS모듈(253)은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모듈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통합제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생산라인(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310)와, 실시간으로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320)와,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통합제어부(300)는 통합데이터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설비(110)의 원료 투입량 및 부하밸런스를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부(310)는 통상적으로 생산라인(100)에 따라 상이할 수는 있으나, 기타 잡음들이 많이 발생하는 생산라인들을 고려하여 싸이렌과 같은 소리가 비교적 큰 경보음을 발생시켜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부(320)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라인(100)의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써, 작업자 생산형황, 고객사 생산 진행 현황, 장비의 현재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320)는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 구성 또는, 상기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되되, 웹 기반으로써 별도의 서버를 구성하여, 생산라인(100)의 설비(110) 각각의 ID, PLC(130), 센서(120)로 각각 구분되어 상기 설비(110)의 전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는 최적의 조건으로 정의된 표준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한 후, 상기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된 데이터가 허용치가 벗어날 경우 생산라인(100)의 PLC(130)로 정의된 표준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생산라인(100)은 항상 안정적이면서도 최적의 데이터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일일이 모니터링부(320)와 같은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동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의 구성을 통해 표준데이터로 생산라인을 꾸준히 가동시킬 수가 있어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생산라인(100)이 표준데이터의 허용치가 벗어날 경우에 PLC(130)로 표준데이터를 전송한데도 불구하고, 상기 PLC(130)의 오작동 등이 발생할 경우, 경보부와 같은 별도의 경보수단을 구비하여, 발생하는 상황에 작업자들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로써, 휴대기기(400)는 비콘노드(140)로부터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제공받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APP(410)이 구성된다.
즉, 도 1,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생산라인(100)을 순회하면서 어느 하나의 설비(110)에 근접하여 비콘노드(140)의 통신범위에 진입했을 경우, 상기 비콘노드(140)와 통신하면서 해당 설비(110)의 전체적인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가 있고, 작업자 또는 고객사에 따라서 모니터링 또는 모니터링과 선택적인 제어를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모니터링 및 제어의 경우 휴대기기(400)의 APP(410)을 통해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생산라인(100)의 설비(110)에 근접하고, 상기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 판별하기 위해서는 최초 APP(410)을 통해 가입한 사람이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 구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웹기반의 서버(500)가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500)는 통상적으로 웹기반의 구성으로써, APP(410)을 통해 가입한 가입자가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에 대한 정보 및 기타 가입시 기재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APP(410)과 실시간으로 연동되게 된다.
즉,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은 사용자가 최초 가입할 시, 생산라인(100)의 작업자와 고객사의 관리자로 구분되어 그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500)는 상기 APP(41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기기(400)의 사용자는 APP(410)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상기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500)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판별되어 작업자일 경우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자일 경우 모니터링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데이터설정단계(S100), 회원가입단계(S200), 판별단계(S300),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표준데이터설정단계(S100)는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표준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최초 표준데이터가 정의되기 전에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토대로 비교분석부에서 비교분석된 후, 수회에 걸친 평균값을 표준데이터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준데이터는 상황에 따라서 변경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생산라인(110)의 설비 변경 등에 따라서 기타 조건이 상이해질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하여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회원가입단계(S200)는 사용자가 휴대기기(400)의 APP(410)을 다운로드한 후, 작업자 또는 고객사로 구분되게 회원가입 하는 단계이다. 상기 회원가입단계(S200)에서 작업자 또는 고객사로 구분되게 가입을 하게 되면, 추후에 단계에서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후 APP(410)에 접속한 상태에서 생산라인(100)의 설비(110)에 근접할 시, 작업자 또는 고객사로 판별하기 위한 전초단계이다.
상기 판별단계(S300)는 상기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을 이동하되 상기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별단계(S300)에서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 판별에 따라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설정범위가 달라진다.
상기 판별단계(S400)후에는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판별단계(S300)에서 휴대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작업자일 경우, 작업자의 APP(410)상에 생산라인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 및 상기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생산라인(100)을 제어하고,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고객사일 경우, 고객사의 APP(410)상에 생산라인(100)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에서, 작업자는 생산계획, 작업지시, 생산실적, 품질관리, 모니터링 관리, 표준데이터 분석관리를 모니터링 및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는 작업자 생산현황, 작업자 생산관리, 고객사 생산진행 현황을 모니터링 한다.
또한, 상기 회원가입단계(S200) 이전에,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되, 상기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 후 전송된 Row 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생산라인(100)을 표준데이터의 의해 가동될 수 있도록 생산라인을 자동제어하는 제어단계(S150)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방법은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반적으로 생산라인(100)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되,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Row데이터와 정의된 표준데이터를 비교분석한 후 비교 분석된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울리면서 통합제어부(3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의된 표준데이터 대로 자동적으로 제어됨은 물론,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작업자 또는 고객사에 따라서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의 범위내에 근접할 시, 통신하면서 해당 생산라인(100)의 설비(110)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를 모니터링 및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00 : 생산라인 110 : 설비 120 : 센서
130 : PLC 140 : 비콘노드
200 : 통합데이터부 210 : 표준데이터저장부 220 : Row데이터저장부
230 : 비교분석부 240 : DAM모듈 250 : DASM모듈
251 : DCS모듈 253 : DSS모듈
300 : 통합제어부 310 : 경보부 320 : 모니터링부
330 : 생산라인자동제어부
400 : 휴대기기 410 : APP
500 : 서버
S100 : 표준데이터설정단계 S150 : 자동제어단계
S200 : 회원가입단계 S300 : 판별단계
S400 :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

Claims (11)

  1. 각 공정별로 각각의 설비(110)들이 구성되되, 각각의 설비(110)에는 상기 설비(11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센서(120)와, 상기 센서(120)로부터 체크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하고, 통합제어부(300) 및 휴대기기(4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PLC(130)와, 상기 PLC(130) 및 센서(120)와 연결 구성되며, 휴대기기(40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PLC(13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휴대기기(400)로 제공하는 비콘노드(140)로 구성되는 생산라인(100);
    표준데이터가 저장된 표준데이터저장부(210)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 Row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Row데이터저장부(220)와, 상기 표준데이터와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비교분석부(230)로 구성되는 통합데이터부(200);
    상기 표준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생산라인(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310)와, 실시간으로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320)와, 상기 비교분석부(2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표준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생산라인자동제어부(330)로 구성되는 통합제어부(300);
    비콘노드(140)로부터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제공받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APP(410)이 구성된 휴대기기(400);
    웹 기반으로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의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데이터는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100)의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이고,
    상기 표준데이터가 정의된 후,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생산라인의 정보는 Row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320)는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 구성 또는,
    상기 통합제어부(300)의 내부에 포함되되, 웹 기반으로써 별도의 서버를 구성하여, 생산라인(100)의 설비(110) 각각의 ID, PLC(130), 센서(120)로 각각 구분되어 상기 설비(110)의 전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상기 표준데이터저장부(210)의 표준데이터 정보와 상기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Row데이터가 필터링 후 저장된 Row데이터저장부(220)의 정보와 질의 처리 및 연산을 통해 그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고장,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통합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분석부(230)는 상기 설비(110)와 센서(120) 및 PLC(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초단위로 체크하고 비교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300)는 통합데이터부(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설비(110)의 원료 투입량 및 부하밸런스를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데이터부(200)에는,
    상기 생산라인(100)의 PLC(130)로부터 제공받는 설비(110)의 상태 정보들을 Row데이터저장부(220) 및 비교분석부(230)로 전송하며 휴대기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각각 모니터링 및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로 전송하는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과 통신하는 DCS모듈(251)과, 상기 DAM(Data Acquisition)모듈(24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생산라인(100)을 제어하는 DSS모듈(253)로 구성되는 DASM(Data Acquisition Service)모듈(2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은 사용자가 최초 가입할 시, 생산라인(100)의 작업자와 고객사의 관리자로 구분되어 그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500)는 상기 APP(41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기기(400)의 사용자는 APP(410)을 통해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상기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500)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판별되어 작업자일 경우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자일 경우 모니터링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400)의 APP(410)과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의 반응속도는1.5초, 인식거리는 3.5m이내이고,
    상기 통합데이터부(200)의 수집데이터 에러율은
    Figure pat00003
    이내, 데이터전송속도 24Mb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생산공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되,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데이터 중복, 오류제거, 비정형 데이터를 마이닝 처리한 후 가공된 Row데이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표준데이터를 설정하는 표준데이터설정단계(S100);
    사용자가 휴대기기(400)의 APP(410)을 다운로드한 후, 작업자 또는 고객사로 구분되게 회원가입 하는 회원가입단계(S200);
    상기 작업자 또는 고객사가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후, 생산라인(100)을 이동하되 상기 생산라인(100)에 근접할 시, 생산라인(100)의 비콘노드(140)과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APP(41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작업자인지 고객사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S300);
    상기 판별단계(S300)에서 휴대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작업자일 경우, 작업자의 APP(410)상에 생산라인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 및 상기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생산라인(100)을 제어하고, 휴대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고객사일 경우, 고객사의 APP(410)상에 생산라인(100)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및 생산라인제어단계(S400)에서,
    작업자는 생산계획, 작업지시, 생산실적, 품질관리, 모니터링 관리, 표준데이터 분석관리를 모니터링 및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는 작업자 생산현황, 작업자 생산관리, 고객사 생산진행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단계(S200) 이전에,
    생산라인(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Row데이터를 비교분석하되, 상기 표준데이터와 비교분석 후 전송된 Row 데이터의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생산라인(100)을 표준데이터의 의해 가동될 수 있도록 생산라인을 자동제어하는 제어단계(S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방법.

















KR1020180013228A 2018-02-02 2018-02-02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KR10201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28A KR102019077B1 (ko) 2018-02-02 2018-02-02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28A KR102019077B1 (ko) 2018-02-02 2018-02-02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75A true KR20190093875A (ko) 2019-08-12
KR102019077B1 KR102019077B1 (ko) 2019-09-06

Family

ID=6762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28A KR102019077B1 (ko) 2018-02-02 2018-02-02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07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4486B1 (ja) * 2020-04-21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WO2021040281A1 (en) * 2019-08-28 2021-03-04 Cj Logistics Corpor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logistics automation equipment
KR2021005186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유디엠텍 Plc 제어를 위한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WO2021194015A1 (ko) * 2020-03-26 2021-09-30 전자부품연구원 연속생산 공정에서의 공정 진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3741357A (zh) * 2021-08-03 2021-12-03 河南中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压力检测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3960961A (zh) * 2020-07-20 2022-01-21 联策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化生产线的实时监控管理方法与系统
KR20220065154A (ko) * 2020-11-12 2022-05-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IoT 기술을 이용한 봉제 생산관리 시스템
CN116859857A (zh) * 2023-07-31 2023-10-10 安徽中恒电喷系统有限公司 基于远程控制的燃油泵装配生产线智能管理系统
WO2024051324A1 (zh) * 2022-09-08 2024-03-14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用于工业人机界面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CN117908498A (zh) * 2024-03-18 2024-04-19 西安易诺敬业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mbs的车间生产监控系统
CN117908498B (zh) * 2024-03-18 2024-05-31 西安易诺敬业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mbs的车间生产监控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81A (ko) * 2003-06-25 2005-01-06 주식회사 케이티 로그데이터 표준화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KR20140078315A (ko) * 2012-12-17 2014-06-25 (주) 티아이에스 가스 침탄 설비의 분위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2827A (ko) * 2013-06-05 2014-12-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소 내의 작업정보 및 실적구조 재정립을 통한 스마트워크 기반 생산 공정관리 지원 시스템 및 생산 공정관리 지원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1726304B1 (ko)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자원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81A (ko) * 2003-06-25 2005-01-06 주식회사 케이티 로그데이터 표준화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매체
KR20140078315A (ko) * 2012-12-17 2014-06-25 (주) 티아이에스 가스 침탄 설비의 분위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2827A (ko) * 2013-06-05 2014-12-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소 내의 작업정보 및 실적구조 재정립을 통한 스마트워크 기반 생산 공정관리 지원 시스템 및 생산 공정관리 지원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1726304B1 (ko)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자원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81A1 (en) * 2019-08-28 2021-03-04 Cj Logistics Corpor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logistics automation equipment
US11567480B2 (en) 2019-08-28 2023-01-31 Cj Logistics Corpor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heterogeneous logistics automation equipment
KR2021005186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유디엠텍 Plc 제어를 위한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WO2021194015A1 (ko) * 2020-03-26 2021-09-30 전자부품연구원 연속생산 공정에서의 공정 진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824486B1 (ja) * 2020-04-21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WO2021214887A1 (ja) * 2020-04-21 2021-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CN113960961A (zh) * 2020-07-20 2022-01-21 联策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化生产线的实时监控管理方法与系统
KR20220065154A (ko) * 2020-11-12 2022-05-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IoT 기술을 이용한 봉제 생산관리 시스템
CN113741357A (zh) * 2021-08-03 2021-12-03 河南中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压力检测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3741357B (zh) * 2021-08-03 2024-04-09 河南中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压力检测智能管理系统及方法
WO2024051324A1 (zh) * 2022-09-08 2024-03-14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用于工业人机界面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CN116859857A (zh) * 2023-07-31 2023-10-10 安徽中恒电喷系统有限公司 基于远程控制的燃油泵装配生产线智能管理系统
CN116859857B (zh) * 2023-07-31 2024-03-26 安徽中恒电喷系统有限公司 基于远程控制的燃油泵装配生产线智能管理系统
CN117908498A (zh) * 2024-03-18 2024-04-19 西安易诺敬业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mbs的车间生产监控系统
CN117908498B (zh) * 2024-03-18 2024-05-31 西安易诺敬业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mbs的车间生产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077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077B1 (ko) 표준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인 생산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공정관리방법
CN104142664B (zh) 使用大数据的工业产品的预测维护
US10509396B2 (en) Scalable analytics architecture for automation control systems
EP3285127B1 (en) Remote industrial automation site operation in a cloud platform
US10613521B2 (en) Scalable analytics architecture for automation control systems
AU2017203443B2 (en) Information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US20170351226A1 (en) Industrial machine diagnosis and maintenance using a cloud platform
CN107292422B (zh) 一种信息-物理-社交融合空间下实现智能制造的S2ensor
CN104423370B (zh) 用于工业资产的远程资产管理服务
US9489832B2 (en) Industrial-enabled mobile device
US7143149B2 (en) Dynamic operator functions based on operator position
KR102086451B1 (ko) 증강현실 상의 스마트팩토리 원격협업 cms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70337283A1 (en) Dynamic search engine for an industrial environment
US20170195265A1 (en) Delivery of automated notifications by an industrial asset
KR102074924B1 (ko) 스마트팩토리 원격협업 cms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3443724A (zh) 产品传感器、具有产品传感器的产品、设备和用于在产品传感器和设备之间通信的方法
KR20190088581A (ko)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8796B1 (ko) 자가 발전 비콘 스캐너와 진동 센서 데이터 기반 머신 러닝을 이용한 공장 작업 안전과 모터 관리 시스템
US20160134686A1 (en) Cloud management
KR20220122923A (ko) 스마트 공장의 데이터 취합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65841A (ko) 재고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기반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051708B (zh) 基于Zigbee技术的电梯物联网系统
KR100695533B1 (ko)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생산 관리 시스템
KR20220122922A (ko) Ai기반 데이터 로거 시스템
CN203086510U (zh) 基于Zigbee技术的电梯物联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