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523A - 차단 조절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단 조절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523A
KR20190093523A KR1020190013612A KR20190013612A KR20190093523A KR 20190093523 A KR20190093523 A KR 20190093523A KR 1020190013612 A KR1020190013612 A KR 1020190013612A KR 20190013612 A KR20190013612 A KR 20190013612A KR 20190093523 A KR20190093523 A KR 2019009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window
blocking control
present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심
Original Assignee
장은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심 filed Critical 장은심
Priority to KR102019001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523A/ko
Publication of KR2019009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523A/ko
Priority to KR1020200012304A priority patent/KR20200096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대상의 제 2 대상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대상과 상기 제 2 대상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틈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 또는 확보하는 것이거나 상기 틈과 접촉 또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틈을 통한 공간간 교류를 조절하는 차단 조절부; 및 상기 차단 조절부를 상기 제 1 대상, 상기 제 2 대상 또는 둘다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단 조절 구조체{STRUCTURE FOR ADJUSTING SHUTTING OFF}
본 발명은 물체나 구조체 사이에 발생하는 틈 등의 교류 통로를 차단하거나 확보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체나 구조체 사이에 발생하는 틈 등의 교류 통로를 차단하거나 확보하는 것이 유용할 때가 많다. 특히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서 여름에는 더 덥고 겨울에는 더 더워지고 있어, 냉방 및 난방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냉난방 증가는 지구 온난화를 가중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되도록 전기, 열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원하게 하거나 따뜻함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 즉, 사용자가 에너지를 사용한 냉난방 필요성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겨울철 실내의 온기 유출의 대부분은 창을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창을 통해 유입되는 한기 및 바람만 막아도 난방 필요성은 크게 줄어든다. 또한 사람은 활동할 때보다 수면시 냉난방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므로, 잠을 자려고 할 때 너무 덥거나 너무 춥지 않게 도와주는 것만으로도 전체 냉난방 필요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10-1251085("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는 창의 틈을 막기 위한 문풍지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10-0850050("도어 방풍용 투명 문풍지 제조장치")에는 문의 틈을 막기 위한 투명 문풍지의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체나 구조체 사이에 발생하는 틈 등의 교류 통로를 차단하거나 확보하는 구조체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구조체는 제 1 대상의 제 2 대상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대상과 상기 제 2 대상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틈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 또는 확보하는 것이거나 상기 틈과 접촉 또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틈을 통한 공간간 교류를 조절하는 차단 조절부; 및 상기 차단 조절부를 상기 제 1 대상, 상기 제 2 대상 또는 둘다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체나 구조체 사이에 발생하는 틈 등의 교류 통로를 차단하거나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겨울철 실내의 온기 유출의 대부분은 창(20, 30)을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창(20, 30)을 통해 유입되는 한기 및 바람만 막아도 난방 필요성은 크게 줄어든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창 전체(20, 30)를 가리거나 차단하는 접근법은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우선 겨울철 일조량이 부족하면 부작용이 상당하다. 사용자의 건강에 대해서만 예를 들면,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면 우울증에 걸리기 쉽고, 비타민 D 부족에 의한 여러가지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한 종래 기술 중에서도 창 전체(20, 30)를 차단하거나 가리기 위한 비닐막 등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면적이 넓으므로 펄럭이는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더 중요하게는 아무래도 창(20)을 여닫는 것이 좀더 번거로워지므로 환기시키기가 어려워진다. 환기 부족은 실내 공기의 질이 나빠지는 것 이상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로 현상에 의한 곰팡이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창 전체(20, 30)를 차단하는 대신 창틈에 문풍지나 틈막이 등을 부착 또는 설치하는 접근법은 사용자가 제대로 설치하기가 쉽지 않은 편이므로 틈을 제대로 막지 못할 위험이 높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문풍지는 기온이 10도 이상이어야 부착이 제대로 되며, 혼자 설치하면 삐뚤빼뚤하지 않게 붙이기 쉽지 않다. 특히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와 창틀, 즉, 제 2 대상 구조체 구조체(30) 사이의 틈은 차단이 비교적 용이하나,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와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한기 또는 바람을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차단하기는 쉽지 않다. 더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겨울철 한기와 눈비에 의해 얼어붙으면 차단 효율이 떨어지기 쉽다. 또한 창문(20)을 여닫는 데 따른 마찰을 견뎌야 할 뿐 아니라, 냉동 및 해동이 반복되는 환경에 노출되므로 수명이 길지 않은데, 이에 따른 해체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용이하지도 않다. 예를 들어, 모헤어는 털이 날리기 쉬우므로 해체할 때 사용자의 호흡기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기 쉬우며, 이는 해체시 뿐 아니라 사용시에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이러한 접근법의 종래 기술은 창문(20)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술한 접근법의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환기 부족에 의한 문제들이 발생할 위험도 높다.
도 1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여러 접근법들의 종래 기술들과 또다른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 없이 창(20, 30)을 통한 한기 및 바람의 유입을 막거나 그로 인한 추위 등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창(20, 30)을 통한 한기 및 바람은 막되, 창 전체(20, 30)를 가리지는 않으며,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와 창틀, 즉, 제 2 대상 구조체 구조체(30) 사이의 틈이나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와 창, 즉, 제 1 대상 구조체 구조체(20) 사이의 틈을 접촉을 통해 직접 차단하는 접근법을 채용하지 않음으로써, 일조량 부족, 환기 부족 등의 문제 없이도 사용자의 난방 필요성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한기 및 바람은 대부분 창(20, 30)의 하단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유입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창(20, 30)의 상단보다 하단이 사용자의 생활 위치와 더 근접하므로, 유입되는 한기 및 바람에 의해 추위를 느끼는 정도도 창(20, 30)의 상단보다 하단이 더 크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창(20, 30)의 하단 부분만 가리거나 차단하여도 난방 필요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틈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지 않더라도 그 틈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한기 또는 바람이 창(20)과 차단 조절 구조체(10) 사이에 머물거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에 의해 창(20, 30)을 따라 창(20, 30)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유입 방향이 변경되므로, 한기 또는 바람이 유입되더라도 그 영향력이 크게 줄어든다.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양이나 사용자가 직접 노출되는 정도가 큰폭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한기 및 바람의 유입 방향이 변경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틈을 직접 차단하거나 한기 및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지 않더라도 실내 기온의 하강이나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더구나 이는 환기를 위해 창문(20)을 열었을 때에도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대상 구조체들(예: 창문(20)과 창틀(30))에 구분되어진 공간들(예: 실내와 실외) 사이의 교류를 원하지 않는 대상(예: 한기, 바람 등)의 공간간 교환을 차단하는 데 있어서, 대상 구조체들(20, 30) 사이의 틈을 통한 교류 뿐 아니라 교류를 원하는 대상(예: 공기 등)의 교환을 위해 대상 구조체들(20, 30)간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한 교류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 교환과 교류는 동일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술이 생략되었을 때 대상 구조체들(20, 30)에 의해 분리된 공간들 사이의 교류를 의미한다). 또한 이는 이후 도면들을 통한 실시예에서 후술하겠으나, 교환을 원하는 대상과 교환을 원하지 않는 대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때에 따라 교류를 원하는 대상이 교류를 원하지 않는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목표가 원하지 않는 대상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대상 구조체들(20, 30)간 틈, 개구부 또는 둘다를 확보하거나 대상 구조체들(20, 30)에 의해 구분된 공간들간 교류를 원하는 대상의 공간간 교환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틈을 통한 한기, 외풍 또는 둘다를 차단할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와 창(20, 30)의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유입된 한기 및 바람에 대한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대부분은 창(20)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직접 접촉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물질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 1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겨울 이외의 계절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효과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마찰이나 냉동 및 해동이 반복되는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수명이 길며, 사용, 설치 및 해체시의 불편함이나 불용이함 등의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창문(20)의 여닫음을 방해하지 않으며, 서툴게 설치해도 제공하는 효과가 줄어들지 않고, 수명이 다해도 모헤어가 빠지는 등의 건강 및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제 1 대상 구조체(20)의 제 2 대상 구조체(3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 1 대상 구조체(20)과 제 2 대상 구조체(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틈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 또는 확보하는 것이거나 틈과 접촉 또는 이격된 위치에서 틈을 통한 공간간 교류를 조절하는 차단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차단 조절부(100)를 제 1 대상 구조체(20), 제 2 대상 구조체(30) 또는 둘다에 연결하는 연결부(200, 300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데, 이의 종류에는 차단 조절부(100)를 제 1 대상 구조체(20), 제 2 대상 구조체(30) 또는 둘다에 정적으로 연결하는 정적 연결부(200)와 차단 조절부(100)를 제 1 대상 구조체(20), 제 2 대상 구조체(30) 또는 둘다에 동적으로 연결하는 동적 연결부(300)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20,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적용 또는 사용되는 대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 1 대상 구조체(20) 및 제 2 대상 구조체(30)은 상호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 또는 둘다와 상호 작용하는 다른 구조체 또는 물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지칭하며 그 종류나 개수에 제한이 없다. 상호 작용 또한 상대적인 위치 변경, 형태 변경, 크기 변경, 각도 변경 등 그 종류나 정도에 제한이 없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대상 구조체, 즉, 창틀 또는 벽(30)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되, 제 1 대상 구조체, 즉, 창문(20)은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정적 연결부(200)가 차단 조절부(100)를 창틀(30)에 연결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적 연결부(200)는 차단 조절부(100)를 벽(30)에 연결할 수도 있으며, 창틀(30)과 벽(30)에 모두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와 제 2 대상 구조체(30)이 접촉하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에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에서 정적 연결부(200)는 차단 조절부(100)의 양측단의 전체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차단 조절부(100)를 제 2 대상 구조체(3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단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와 제 2 대상 구조체(30)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인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은 정적 연결부(200)를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단순화하여 도시하는 것이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인 한편, 정적 연결부(200)의 위치, 형태, 재질, 연결 방법 등을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당업자가 이를 이해하고 다양한 구현 선택 사항 조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본 명세서의 도면은 동적 연결부(300), 차단 조절부(100) 등의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되도록 단순하게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서 차단 조절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현 옵션을 선택할 때 제공하고 싶은 투명도, 보온성, 뻣뻣한 정도 등 다양한 사항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제작자나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실내로 유입되는 일조량을 최대한 늘리고 싶을 때나 창(20, 30) 그대로의 모습을 가리고 싶지 않을 때는 투명한 재질을 선택하려 할 것이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는 목적을 좀더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구조를 가지거나 연결부(200, 300)의 세부 구조와 상호 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한기와 바람을 좀더 잘 차단하기 위해 표면에 요철, 주름 등의 세부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여러 겹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차단 조절부(100)는 본 발명자의 또다른 발명인 공간 분리 구조체의 개념을 활용하여 좀더 전천후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사항을 고려하는 예를 더 들어보면, 중력, 문(20)의 움직임 등에 의해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이 아래로 늘어져 한기를 창(20, 30)의 하단에 잡아두는 기능이 떨어지거나 그로 인해 추가적인 힘을 받아 정적 연결부(200)가 불안정해지지 않게, 차단 조절부(100)에 단단한 재질(예: 플라스틱, 나무,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 철거, 일부 구성 요소 교환 등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예: 천, 비닐, 코팅 종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체 창이나 문(20, 30)이 넓을 때 그러하다. 또한 비용, 융통성(도 2 참조) 등의 측면에서도 후자가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차단 조절부(100)의 주재질로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고 그 세부 구조에 변형이 덜 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또는 나머지 가장자리 포함)에 단단한 재질을 덧댈 수 있다. 더 나아가 세로 기둥들을 추가하여 가로로 눕힌 사다리 형태의 격자 틀로 주재질을 더 잘 지지할 수도 있다. 이는 설치 용이성 등을 조금 더 희생하더라도 안정성을 높이고자 하는 실시예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의 일부가 동적 연결부(300)에 의해 창문(20)과 연결되며, 창문(20)의 움직임에 따라 동적 연결부(300)의 차단 조절부(100)와의 결합 위치가 동적으로 변화한다. 상단의 일부가 동적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차단 조절부(100)에 변형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중력 등에 의해 상단이 아래로 쳐지지 않는다. 문(20)의 위치에 따른 안정성에도 변화가 없으며, 문(20)을 여닫을 때 사용자의 추가적인 행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동적 연결부(300)는 창문(20)에 부착하며, 차단 조절부(100)와는 미끄럼 결합한다. 즉, 동적 연결부(300)와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 중 한쪽이 슬라이더가 되고 다른쪽이 슬라이더의 수용부 역할을 함으로써, 문(20)의 움직임에 따라 동적 연결부(300)의 차단 조절부(100)와의 상대 위치가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동적 연결부(300)가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면, 동적 연결부(300)는 창문(20)의 움직임에 의해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미끄럼과 슬라이더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접촉을 전제로 하나,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 용어일 뿐으로, 동적 연결부(300)는 차단 조절부(100)와 반드시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동적 연결부(300)는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의 위치 범위를 제한하면서도 차단 조절부(100)와의 상대 위치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동적 연결부(300)는 차단 조절부(100)와 직접 결합(부착)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설치, 해체, 일부 구성 요소 교환하기 등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설치시 동적 연결부(300)가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을 감싸도록 끼우면 된다. 또한 동적 연결부(300)는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끼우고 뺄 때의 편리함을 위해 변형이 용이한 재질이 유리하다. 그러나 탄성이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저렴한 재질을 선택하여 비용을 더 낮출 수 있다. 차단 조절부(100)에 변형은 용이하나 다소 뻣뻣하여 덜 늘어지는 재질을 사용하면 더욱 효율이 좋으며,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세로 주름을 넣는 등의 세부 구조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적 연결부(300)에는 설치 또는 해체 시 차단 조절부(100)를 끼우고 빼는 것은 편리하게 하되 사용 중 차단 조절부(100)가 빠져 나가는 것은 더 잘 방지하도록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가로 주름 등의 세부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을 창(20, 30) 쪽으로 꺾이게 각도를 주면 동적 연결부(300)와의 간접 결합력(예: 접촉을 통한 동적 연결부(300)에 의한 지지)도 좋아질 뿐 아니라 전술한 창(20, 30) 하단으로 유입된 한기 또는 바람이 하단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가두는 효과도 더 커질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반대로 차단 조절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홈에 동적 연결부(300)를 끼워 문(20)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 즉, 미끄럼 운동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동적 연결부(300)를 수직으로 다수 개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차단 조절부(100)의 주재질 또는 추가적인 세부 구조를 이용해 차단 조절부(100)에 홈을 형성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동적 연결부(300)와 차단 조절부(100)의 결합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은 그 위치만을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어느 쪽이든 도 1과 같은 실시예는 문(20)이 다수개인 창(20, 30)이나 미닫이문(20, 30)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는 동적 연결부(300)가 안쪽 문(20a)의 중심부(22, 예: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2는 동적 연결부(300)가 안쪽 문(20a)의 가장자리(24, 예: 창문틀)에 부착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또한 창(20, 30)을 가리는 정도를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할 수 있는 구조를 더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실시예는 하단에 위치한 롤을 사용하고 있다(이는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문(20, 30)을 가리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 및 구조가 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위치도 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동적 연결부(300)는 창문(20)에 수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연결부(300)는 창문(20)에서도 미끄럼 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동적 연결부(300)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정적 연결부(200) 또한 위치 및 부착 범위가 변경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정적 연결부(200)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정적 연결부(200), 동적 연결부(300) 또는 둘다에는 밸크로, 자석, 지퍼, 스냅 패스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처럼 문(20, 30)을 가리는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으면 더 편리할 것이다. 도 2와 같은 실시예는 좀더 많은 융통성을 제공하므로 또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여지도 더 크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전술한 공간 분리 구조체처럼 비나 눈의 실내 유입을 막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빛을 차단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벌레의 침입을 더 잘 막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방범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창(20, 30)의 하단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목적에 따라 창(20, 30)의 다른 부분 또는 전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창(20, 30)의 하단을 가리되 도 1 및 도 2와 달리 창(20, 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문(20)의 움직임에 따라 차단 조절부(100) 자체가 변형된다. 우측의 두 도면은 좌측의 두 도면을 위에서 내려다 본 개념도이다. 도면은 2개의 차단 조절 구조체(10a, 10b)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1개만 설치해도 된다. 단, 도면과 같이 2개를 설치하는 것이 장점이 많으므로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어느 쪽 창문(20a, 20b)을 열더라도 하단은 항상 보호된다는 장점이 있다. 추운 날씨에 환기시킬 때 한기 및 바람을 막아줄 뿐 아니라, 그 외의 계절에도 유용하다. 문(20a, 20b)을 열어두더라도 비가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앞선 실시예들에 더한 장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우측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20, 30)의 하단을 차단 조절 구조체(10)에 의해 2중으로 감쌀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기 또는 바람의 유입이 2번 차단되며, 유입된 한기 또는 바람을 창(20, 30)의 하단에 가둬두는 효과도 커진다. 이는 차단 조절 구조체(10a, 10b)를 창(20)과 같거나 비슷한 높이로 하는 응용인 경우 더욱 유용한 장점이다. 예컨대 차단 조절부(100)를 투명한 재질로 하고 창(20)과 비슷한 높이로 구성하면, 겨울철 햇빛 투과량은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창문(20)과 차단 조절 구조체(10a, 10b) 사이에 더욱 효과적으로 가둬지는 공기층 덕분에 보온 효율은 크게 높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름철 방충, 방범 또는 둘다를 목표로 할 때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 조절부(100)는 정적 연결부(200)를 통해 한쪽 측단은 창문(20a 또는 20b)에, 다른쪽 측단은 창틀(30)에 연결된다. 창문(20a 또는 20b)가 닫혀 있을 때는 접혀있지 않다가 창문(20a 또는 20)가 열리기 시작하면 접히기 시작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접히는 중심 기준(400)은 늘 창문(20a 또는 20b)이 움직이는 중심 기준인 레일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단 조절부(100)는 변형의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제공부들(400) 덕분에 창문(20a 또는 20b)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변형되며, 어떤 형태에 있더라도 제공하려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기준 제공부(400)는 창문(20a 또는 20b)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 위를 움직이며, 상호간 간격이 변한다. 여기서 레일 위라 함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개념상의 표현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준 제공부(400)는 전체 또는 일부가 레일에 접촉 또는 비접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레일을 감쌀 수도 있고 또는 레일을 감싸는 추가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동적으로 기준 제공부(400) 또는 그 추가 구조가 접촉 및 비접촉 상태를 오갈 수도 있다. 예컨대, 창문(20a 또는 20b)이 움직일 때는 추가 구조가 레일에 비접촉 상태에 있다가 창문(20a 또는 20b)이 동작을 멈추면 추가 구조가 레일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후 도면들을 통해 후술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창(20a 및 20b)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창문 잠금 장치는 창(20a 및 20b)이 모두 닫힘 위치에 있을 때만 잠글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잠금 수단은 창(20a, 20b 또는 둘다)이 열려 있을 때도 더이상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열려 있을 때 닫히지 않게 하는 기능은 목적과 실시예에 따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여름철에 매우 유용하다. 더운 날씨에 창(20)을 열어두고 자고 싶으나 방범 문제 때문에 불안한 사용자에게 외부인이 창(20, 30)을 통해 침입하기 어려울 정도로만 열어두고 더이상 열리지 않게 잠궈둘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외부인의 침입 또는 문(20)을 더 많이 열려는 시도를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 신고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잠금 기능이 완벽하지는 않아도 된다. 외부인의 침입을 지체시키는 한편 외부인이 몰래 침입하지 못하도록 경고하거나 침입하는 외부인을 놀라게 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가 범죄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단은 도 3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구현되거나 구성 요소들의 협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도시 및 자세한 생략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를 접기가 아닌 말기, 즉, 롤을 이용하는 구조로 구현한 것이다. 도 3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창(20a)과 창(20b) 사이의 틈을 좀더 직접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하단에서만 동작하도록 구성해도 되나, 창(20a, 20b)와 비슷하거나 같은 높이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통해 보인 바와 같이 창(20a 또는 20b)의 움직임에 따라 구성 요소가 변형, 이동 또는 둘다 되며, 이러한 변형에 도 4를 통해 보인 롤을 사용한다.
맨 위의 도면은 창(20a, 20b)이 닫혔을 때의 모습이다. 차단 조절부(100)는 2개의 롤을 형성되도록 말려 있으며, 기준 제공부(400)는 롤이 말리고 풀릴 때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1개의 롤이 항상 안쪽 창(20a)에 접촉되어 있도록(정적 연결부(200)) 안쪽 창(20a)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 위에서의 위치가 조정된다(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레일 위라는 것은 개념적으로 쓰였다). 맨 위의 도면에서는 롤이 바깥 창(20b)에도 접촉되어 있을 만큼(동적 연결부(300)) 크게 말려 있다(본 실시예에서 정적 연결부(200) 및 동적 연결부(300)는 개념적으로 쓰인 것으로 차단 조절부(100)의 일부에 불과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위치에 예컨대 좀더 밀착하도록 돕기 위한 정적 연결부(200), 동적 연결부(300) 또는 둘다가 실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창들(20a, 20b) 사이의 틈은 롤이 양쪽 창에 모두(20a, 20b) 접촉되어 있으므로 차단된다. 예를 들어 외부의 한기 또는 외풍은 틈을 통과하더라도 롤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두번째 도면은 창(20a, 20b 또는 둘다)을 움직이기 시작할 때 또는 그 직전의 모습이다. 롤이 회전하여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동적 연결부(300) 부분이 바깥 창(20b)에서 떨어졌다.
이후 좌측의 두 두면은 안쪽 창(20a)을 열었을 때, 우측의 두 두면은 바깥쪽 창(20b)을 열었을 때를 도시하고 있다. 양측 상단 도면은 창(20a 또는 20b)를 움직이는 동안에는 롤이 창(20a 또는 20b)과 함께 이동하되 회전하지는 않아서 여전히 한쪽 창(20a)에만 접촉되어 있는 모습을, 양측 하단 도면은 창(20a 또는 20b)의 이동이 끝나자 롤이 회전하여 다시 맨 위의 도면처럼 다른쪽 창(20b)에도 접촉하여 창들(20a, 20b) 사이의 틈을 막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창(20)이 움직이지 않을 때는 창문들(20a, 20b) 사이의 틈을 차단하되, 움직일 때는 한쪽 창(20b)과의 접촉을 해제하므로 마찰이 없어, 종래 기술과 달리 창(20a, 20b)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며 수명이 늘어나고 유해 물질들의 조각이 떨어지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실시예들은 도 5에서 설명한 개념을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몇가지 예시이다. 좌측 도면들은 대상 구조체들(20, 30)이 미닫이 창이나 미닫이 문일 때의 예시이고, 우측 도면들은 여닫이 문일 때의 예시이다. 이는 예를 위한 개념도일 뿐으로, 대상 구조체들(20, 30)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컨대 크게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이라 하더라도 그 세부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또한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어느 위치에 어떻게 구현되는가 하는 것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조체들(20, 30)은 서랍, 옷장, 필통 등 다양한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미닫이 창일 때 도 5 내지 도 6처럼 제 1 대상 구조체들(20a, 20b) 사이의 틈이 아니라 제 1 대상 구조체(20)와 제 2 대상 구조체(30)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차단 조절부(100)의 이동, 변형 등의 움직임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컨대 이동이라 하더라도 어떤 세부 구조를 가지고 어떻게 구현되는가 하는 것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는 좌측 최상단 도면처럼 위치 변경을 통해 한쪽 제 1 대상 구조체(20b)에 대한 접촉 비접촉 상태를 오가되, 수직 방향으로도 크기 변경을 통해 제 2 대상 구조체(30)에 대한 접촉 비접촉 상태를 오가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차단 조절부(100)의 위치가 바뀌거나(이동) 회전하거나 휘거나(변형) 크기가 바뀌거나 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나머지 도면들은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좌측 최하단 도면은 차단 조절부(100)가 자유 변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드리워지며 마찰이 적은 재질을 사용하면 제 1 대상 구조체(20a 또는 20b)가 움직이는 데 따른 기지정된 움직임 없이도 재질 자체의 성질에 의해 자연스럽게 대상 구조체(20a 또는 20b)가 움직일 때는 그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정지하여 있을 때는 자연스럽게 대상 구조체(20a, 20b)에 접촉되어 대상 구조체들(20a, 20b)간의 틈을 차단한다. 탄성이 있는 재질이면 좀더 바람직하며, 두겹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두겹이 서로 떨어지지 않고 맞닿아 있는 이른바 원통형(이는 이해를 위한 개념적 용어이며, 실제로는 자연스럽게 드리워지는 재질이므로 원통 모양이 형성되지 않음) 구조일 때는 차단 조절 구조체(10)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더욱 부드러우면서도(즉, 마찰이나 저항 감소) 확실하게 동적 연결부(300)쪽 대상 구조체(20b)에 접촉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동적 연결부(300)는 도 5에서처럼 개념적인 용어로 실제로는 차단 조절부(100)의 일부를 가리키며, 정적 연결부(200)는 도 1에서처럼 실제로 차단 조절부(100)를 대상 구조체(20a)에 연결하는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한쪽 대상 구조체(20a)에 연결하기 위한 정적 연결부(200) 이외의 곳은 부착하지 않으면서 다른쪽 대상 구조체(20b)까지 닿을 만큼 충분한 크기의 차단 조절부(100)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틈을 감쌀 수 있다. 망 재질을 사용하면 한기, 바람, 벌레 등 원치 않는 대상은 방지하면서 공기 등 원하는 대상은 교류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차단 조절부(100)의 재질이나 구조에는 한정이 없다. 예컨대 차단 조절부(100)의 일부는 표면이 미끄럽고 일부는 표면이 거칠게 구성한다면 다양한 벌레의 침입을 막기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를 여러겹으로 구성한다면 한기, 바람,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차단 조절부(100)와 연결부(200)의 연결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00)에 차단 조절부(100)를 끼워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차단 조절부(100)를 용도에 따라 변경하기 용이하게 하며, 차단 조절부(100)의 수명이 다했을 때에도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연결부(200)와 차단 조절부(100)는 탈착 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단순 접촉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본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대상 구조체들(20a, 20b, 30) 사이의 틈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6은 대상 구조체들(20a, 20b, 30) 사이의 틈의 외부에서 틈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틈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이다. 창(20, 30)은 구조상 창문(20)과 창틀(30) 사이에 틈이 존재하는데, 도 7의 실시예는 틈막이 등 종래 기술과 달리,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대상 구조체들간(20a, 20b, 30) 상호 작용에 따른 동적 변형(예: 크기 변형)을 통해 창(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마찰에 따른 유해 물질 방출이나 수명 단축 등의 부작용 없이 틈을 잘 메꾼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 구조체들(20, 30)은 창이나 문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더 다양한 대상에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공간간 통로의 차단 및 확보, 공간간 교류를 원하는 대상 및 원하지 않는 대상이 때에 따라 달라지는 데 따른 조정에 대해서도 보여준다.
잠을 잘 때 사용하는 대상 구조체들인 이불(20)과 요, 침대, 또는 바닥(30)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기 쉽다. 겨울에는 작은 틈으로 들어오는 한기에도 민감해진다. 반대로 이러한 틈만 없다면, 즉, 이불(20)과 침대(30)에 의해 구분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열 교환만 없다면, 저체온증인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일 정도로 인체는 꽤 많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난방을 하지 않더라도 스스로의 열만으로도 따뜻하게 숙면할 수 있다. 이전 도면들을 통해 전술한 실시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한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의 열이 실외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데 더해, 도 8의 실시예를 통해 한기가 이불(20) 안 공간으로 유입되고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덥혀진 이불(20) 안 공간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다면, 영하의 날씨에도 난방을 하지 않고 춘추용 이불(20)만 덮고도 숙면이 가능하다. 겨울에는 보통 두꺼운 이불을 덮게 되는데, 이는 이불의 무게를 늘려 몸을 짓누르므로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난방은 난방비 부담 뿐 아니라 에너지 고갈, 지구 온난화, 대기 오염 등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실내를 건조하게 하여 감기나 독감 등에 취약하게 하고 유형에 따라서는 건강에 더 해롭거나 화재 위험, 질식 위험까지 있으므로, 되도록 난방을 줄이거나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대상체들간(20, 30) 틈을 차단함으로써 이를 해결한다. 첫번째 도면은 이불(20) 주위를 감쌈으로써 이불(20)과 침대(30) 사이의 틈이 있더라도 이 틈으로 열이 교환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일부 도면들에서와 같이 연결부(200, 300)는 개념적인 것으로, 편의상 이불(20)과의 접촉면은 정적 연결부(200), 침대(30)와의 접촉면은 동적 연결부(300)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접촉면은 실제로는 도 6 좌측 최하단 도면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자유 변형을 통해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대상 구조체들(20, 30)과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차단 조절부(100)의 일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 변형이 원활하도록 차단 조절부(100)가 내부에 작은 입자들을 넣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내부 입자들은 겨울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탄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면 자유 변형이 더 원활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형태를 마음대로 바꾸는 것이 비교적 자유로우므로, 사용자는 대상 구조체들(20, 30) 사이의 틈을 더 잘 차단하도록 동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자지 않을 때는 기대어 있기 편한 형태로 조정했다가 잘 때는 이불(20)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조정할 수도 있다. 자유 변형이 더 원활할수록 보관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더 용이해진다.
도면의 두번째 실시예는 첫번째 실시예처럼 하나의 차단 조절부(100)로 구성되는 대신, 기준 제공부(400)를 사용하여 두개 이상의 차단 조절부(100)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면은 양측에만 차단 조절부(100)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발쪽에도 차단 조절부(100)를 사용하여 기준 제공부(400)가 발쪽의 차단 조절부(100)와 결합되게 할 수 있고, 머리쪽에도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덩치 또는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둘러싸는 범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내부 입자 등의 추가적인 자원 없이도 범위를 늘릴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더 나아가 기준 제공부(400)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차단 조절부(100)를 다른 용도로 쓰거나 보관하기도 더 용이하다.
또한 두번째 도면은 밖이 아니라 이불(20) 공간 내부에서 틈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함도 설명한다. 이는 도 7 및 도 6의 비교를 통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틈의 외부에서 틈을 차단하느냐 내부에서 틈을 차단하느냐의 차이로,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동적으로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두번째 도면은 겨울이 아닌 여름에는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정반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여름에는 이불(20)을 덮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배탈이 날 수도 있으므로 배 부분은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겨울과 달리, 여름에는 이불(20)이 바닥(30)으로 드리워져 두 대상 구조체(20, 30) 사이의 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체온 방출이 더욱 저해되어 숙면이 방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사용하면 배 부분은 이불(20)로 보호하되, 이불(20)과 바닥(30) 사이에는 틈이 확보되어 체온 방출을 도와준다. 이때의 차단 조절부(100)는 죽부인처럼 구멍이 많고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갖는 게 바람직하다. 이처럼 원하는 대상이 원하지 않는 대상이 되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그에 맞게 적응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일한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번째 도면에서 기준 제공부(400)는 동일하되, 차단 조절부(100)를 교환하여 계절이 변화할 때마다 그에 맞게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또는 차단 조절부(100)도 동일한 것을 사용하되, 여름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내부 입자가 든 주머니를 빼고 겨울에는 넣는 식으로 계절에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다른 방식으로 응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 입자 또는 주머니의 향기를 바꾸는 것이다.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동적 적응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겨울철 환기는 필수 행위이지만 이는 실내 및 사용자를 급격하게 냉각시키는 행위이기도 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통해 한기의 직접 침입을 막으면서 공기를 교환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실제 사용시의 크기대로 도시하지 않거나 구조물들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예컨대 도 9의 첫번째 행의 커튼, 블라인드 등의 종래 기술(40) 또는 차단 조절부(100)는 창(20, 30)을 일부만 가리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본 도면의 실시예들에서 차단 조절부(100)는 커튼, 블라인드 등의 종래 기술(40)로 쉽게 대체될 수 있으며, 이를 강조하기 위해 이하 커튼(40)으로 지칭한다(즉, 본 명세서에서 창(20, 30)은 이에 한정된 용어가 아님과 마찬가지로 커튼(40)은 이에 한정된 용어가 아님을 주의. 예컨대 창(20, 30)은 문을 의미할 수도 있음). 커튼(40)과 연결부(300)의 연결은 단순 접촉일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도면들은 연결부(300)를 창(20, 30)의 측면에만 도시하였으나, 연결부(300)는 창(20, 30)의 상단, 하단, 측면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첫번째 행의 첫번째 도면은 창(20)을 닫고 커튼(40)을 친 모습을, 두번째 도면은 창(20)을 열었을 때도 커튼(40)을 여전히 걷지 않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종래 기술과의 비교를 위해 창(20, 30)의 일부만 커튼(40)을 도시하였다. 종래 기술에서는 창(20, 30)의 상부 모습처럼 환기시 커튼(40)까지 열기 때문에, 열린 부분(A)으로 한기가 직접 침투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창(20, 30)의 하부 모습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이용하면 커튼(40)이 한기가 직접 침투하지 못하게 막아주면서도 실내외 공기가 교환되는 통로(B)는 마련되므로, 환기라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및 사용자의 급격한 냉각에 따른 피해를 줄여주므로 환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부담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뿐 아니라 재난방 비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난방은 대기 오염과 지구 온난화를 더 심해지게 하여 결국에는 더 강력한 한파를 몰고 오는 악순환을 일으키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되도록 난방 필요를 줄일 필요가 있다. 근래에는 심지어 너무 강력한 스모그 때문에 환기를 할 수 없거나 너무 강력한 한파 때문에 창문이 얼어붙어서 열리지 않아 환기를 할 수 없는 날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되도록 난방을 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사용하는 간접 환기는 최근의 강력한 한파나 겨울 바람의 직접 유입 피해를 낮춰주면서도 실내외 공기를 교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효과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다른 계절에도 유용하며, 반대로 뜨거운 일광이나 열기의 피해를 줄여주면서 환기를 시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 비 등의 피해도 줄여주며, 사생활 보호에도 유용하다. 최근 드론을 이용하여 타인의 집을 훔쳐보는 범죄가 늘고 있으므로 특히 유용하다. 또한 더 나아가 도 9의 첫번째 행의 세번째 도면처럼 창(20, 30)의 상단만을 개방하는 등 변형을 줄 수 있으므로 효과를 극대화시키거나 추가적인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처럼 상단만을 개방하면 창문을 열어놓고 외출하여도 실내로 비가 유입되는 것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커튼(10)이 방수 재질일 때 또한 하단이 창틀(30)과 연결(이때도 단순 접촉일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함을 다시 강조한다)되어 있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한기는 아래로 가라앉는 성질이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범위는 창(20, 30)의 상단보다는 하단에 가까운 경향이 있으므로, 겨울철 환기시 더 유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태양광 발전은 태양과의 각도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태양광 발전에 더 사용할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단순 연결된 형태로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커튼(100)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도료가 덧입혀 태양광 발전을 할 수도 있고, 패널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는 이해를 위해 든 예일 뿐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구조 및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은 상단을 개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하단을 개방할 때의 장점 및 효과도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맞은편을 완전히 폐쇄하지 않아도 됨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하단 개폐와 측면 개폐의 여러 조합이 가능할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한정이 없는데, 도 9의 첫번째 행과 두번째 행은 다양한 방법을 다른 각도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등 구현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측면 개폐를 예로 들어 이의 이해를 위해 상하단 개폐는 생략하여 도시하는 등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순화한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도 9의 첫번째 행의 예는 연결부(300)를 스윙 회전시킴으로써 커튼(40)과 창(20, 30)과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첫번째 도면에서 연결부(300)는 벽(미도시)에 밀착되어 있으며(벽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창(20, 30) 쪽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편의상 벽으로 기술), 이에 따라 커튼(40)은 종래 기술에서처럼 창(20, 30)에 밀착되어 있다.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에서 연결부(300)는 회전되어 벽과 각을 이루고 있으며, 연결부(300) 때문에 커튼(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창(20, 30)에 밀착되지 않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첫번째 도면에서 설명한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연결부(300)가 커튼(40)의 일부 또는 전부와 창(20, 30)과의 각도, 거리 또는 둘다를 조절하는 방법에는 한정이 없다. 예컨대 연결부(300)는 단순 접촉을 통해 커튼(40)을 받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연결부(300)는 커튼(40)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지점의 이동을 통해 커튼(40)의 창(20, 30)과의 각도, 거리 또는 둘다를 조절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세번째 도면에서 커튼(40)의 상단의 양측 끝이 연결부(300)의 상단에서 위치가 변경(예: 슬라이딩 등)될 수 있게 하면, 상단 개방 정도나 커튼(40)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하단에 대해서도 적용 또는 미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커튼(40)과 연결부(300)의 연결 지점의 수직 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하면 커튼(40)을 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도 가능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도면은 측면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같은 원리를 상하단에 적용하면 커튼(40)을 옆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간접 환기 뿐 아니라 직접 환기도 쉽게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의 두번째 행의 좌측 두 도면은 첫번째 행의 두번째 또는 세번째 도면의 연결부(300)의 형태를 변형한 것이다. 개념적으로 첫번째 행의 실시예들이 선 또는 막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라면 두번째 행의 실시예들은 이들의 조합 또는 입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예컨대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공된다면 커튼(40)과의 접촉 부위가 늘어나므로 커튼(40)을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임을(단순 접촉을 통한 지지일 수 있음을 주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모든 실시예는 직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직선이 아닌 아크 등의 곡선 형태일 수도 있고 직육면체가 아닌 반원기둥일 수도 있다. 좌측 도면은 첫번째 행의 첫 두 도면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두번째 행의 우측 도면들은 좌측 도면의 변형으로, 연결부(300)가 변형될 수 있음 및 커튼(40)의 연결부(300)와의 연결 지점의 위치 변경 분 아니라 연결부(300)의 변형을 통해서도 커튼(40)의 창(20, 30)과의 거리, 각도 또는 둘다가 변경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커튼(40)은 연결부(3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300)가 상단 도면처럼 슬라이딩 인되어 커튼(40)을 창(20, 30)에 밀착시키고 하단 도면처럼 슬라이딩 아웃되어 커튼(40)을 창(20, 30)에서 이격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는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하는데, 상단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인 되었을 때 창(20, 30)과 커튼(40) 사이의 틈을 한번 더 막아 한기나 외풍이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전술한 바처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측면의 개폐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하단의 틈도 막는 것일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창(20, 30)을 완전히 덮으므로 한기와 외풍을 더 잘 막을 수 있다. 종래의 방풍 비닐도 창(20, 30)을 완전히 막아서 한기와 외풍을 막는 것이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창(20, 30)과 방풍 비닐 사이에 공간이 없으므로, 차가원진 창(20, 30)의 한기가 방풍 비닐로 전달되어 한기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창(20, 30)과 커튼(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주므로, 해당 공간의 공기층이 보온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창(20, 30)의 개폐를 어렵게 하므로 필연적으로 사용자가 환기를 덜 하게 되어, 결로, 곰팡이 발생, 오염된 공기 속 생활로 인한 면역력 저하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하단의 도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단지 연결부(300)를 당겨 슬라이딩 아웃시키는 것만으로 창(20, 30)과 커튼(40)을 이격시켜 창(20, 30)을 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창(20) 뿐 아니라 방풍 비닐까지 창만큼 개폐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환기를 꺼리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시 한기나 바람에 사용자가 직접 노출되거나 실내가 급격히 냉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여러 층의 커튼(40)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음 및 커튼(40)들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임을 도면들을 통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겨울밤 여러 겹의 커튼(40)은 방한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커튼(40)의 종류, 재질, 구조 등은 한정이 없으므로, 예컨대 방충망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통해 사용하면 벌레의 침입을 좀더 잘 막을 수 있다. 또는 여름밤 단단한 재질의 커튼(40)을 사용하면 창문(20)을 열어놓더라도 강도나 성폭행범 등 범죄자의 침입을 막거나 방해할 수 있어 좀더 안전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커튼(40)이나 연결부(300)에는 세부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커튼(40)은 본 발명자의 공간 분리 구조체(10)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창(20, 30)이나 벽과도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자동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이를 제공하는 기기 또는 서비스와의 연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커튼(40)의 일부 또는 전부의 이동이나 잠금,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 홈 서비스와 연동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태양광 발전이나 범죄자 침입 방지 등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대상(20)과 외부 공간과의 차단을 조절하는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실시예를 이해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10의 좌측 두 개의 도면은 인체의 하체가 대상(20)일 때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첫번째 도면은 사람이 앉아 있을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가 하체(20)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두번째 도면은 사람이 일어났을 때 차단 조절부(100)가 접히거나 말려올라가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의 무릎 담요나 치마 등의 대용으로 유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사람이 앉을 때 덮었다가 일어날 때 잊어버려서 바닥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사람이 일어나 활동할 때 하체(20)의 운동을 방해하거나 바닥에 끌리거나 정전기를 일으키는 불편함이 없다. 차단 조절부(100)의 상태 변화는 자동 또는 수동의 조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조절부(100)는 사람이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 자동으로 말리거나 접힐 수 있고, 사람이 앉을 때는 수동으로 펴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으로 접히거나 말려 올라가는 트리거나 메커니즘 또한 한정이 없다. 예를 들어,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대상인 허벅지(20)가 수평이다가 수직이 되면 차단 조절부(100)의 형태를 바꾸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적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정적 연결부(200)에 연결된 것일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릎담요나 치마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로 든 것으로, 코트나 롱패딩의 일부 또는 보완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 및 동작 구성은 달라질 수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의 우측 도면은 인체의 발, 다리 또는 둘다가 대상(20)일 때의 예를 통해, 동적 연결부(300)가 차단 조절부(100)의 일부분이 될 수 있음 및 다수개의 동적 연결부(300)가 대상(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도면은 대상(20)의 일부(예: 발가락 등)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동적 연결부(300-1, 300-2)를 서로 겹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게 함으로써 대상(20)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의 양말(특히 수면 양말), 덧버선, 실내화, 발토시 등의 대용으로 유용할 수 있으며, 바지를 걷은 상태로 유지하는 응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대상(20)을 보호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대상(20)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수면 양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종래 기술은 발(20)을 따뜻해야 보호해주어 잠이 드는 것을 도와주지만, 어느 정도 이불 안 공간에 열이 쌓인 후에는 발(20)이 덥거나 답답하여 잠에서 깨게 하기도 하며, 양말을 벗어던지는 동작을 하다보면 다시 잠들기 어려울 정도로 잠이 깨어버리기도 한다. 양말 자체도 잠결에 벗어던진 양말을 찾기 어려워지거나 이불에 깔려 습기가 쌓여 비위생적이 되기도 한다. 또한 반대로 잠을 자는 동안 양말을 벗지 않으면, 발(20)이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없애버리므로, 습기가 쌓여 무좀이 생기기 쉬워진다. 반면,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발(20)을 따뜻하게 해주면서도 필요에 따라 무의식적으로도 할 수 있을 만큼 쉽게 발(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킬 수 있어,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가 없다. 특히 발(20)은 발가락만 노출시켜주어도 무좀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그러면서도 상대적으로 보온이 더 필요한 발꿈치 등은 계속해서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여러 측면에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해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하체 및 발, 무릎담요 및 수면양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대상(20) 및 응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은 해당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바지를 걷은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응용에는 도 10의 좌측 도면들을 통해 설명한 형태(예: 길이, 부피, 접촉 면적 등)의 변화(예: 접힘, 말림, 슬라이딩 등)가 유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정적 연결부(200) 또한 대상(20)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함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20)이 손이나 머리 등 인체의 다른 부위가 될 수도 있음 및 이때 대상의 범위(20)가 손목이나 팔, 목이나 어깨, 더 나아가 등까지 확장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대상(20)은 인체에 한정되지 않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대상(20)은 텀블러나 컵일 수도 있다. 구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텀블러에 든 음료, 텀블러를 잡은 손 또는 둘다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지를 걷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소매를 걷어서 유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토시처럼 팔이나 옷을 보호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실시예에 따라 가방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하나가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20)이 손이나 팔인 경우, 종래의 장갑, 토시 대용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옷의 소매를 걷어 유지하는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들고 있는 물체(예: 음료가 든 텀블러 등)를 보호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체(예: 핫팩, 티슈, 손수건 등)를 손에 안 쥐고서도 손에 들고다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은 손이나 팔에 일부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응용이므로 여러 장점이 있는데(예: 종래의 장갑은 보관 및 탈부착이 불편하다. 예를 들어, 장갑을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리기 쉽고 장갑을 끼고 벗는데 시간이 걸린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는 늘 장갑을 끼고 있는 셈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없다), 심지어 대상(20)으로부터 탈착시켜 가방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머리에 사용하여 모자, 마스크, 넥워머, 망토 중 하나 이상 등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는 크기가 더 크므로, 장바구니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응용을 위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손이나 머리를 대상(20)으로 하는 실시예도 하체를 대상(20)으로 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접힘, 말림 등의 형태 변화를 일부 또는 전부에 구현할 수 있다. 구현자는 동적 연결부(300)를 차단 조절부(100)에 탈부착시키는 구성을 더 선택할 수도 있고, 차단 조절부(100), 동적 연결부(300) 또는 이의 조합 핫팩 등 물체를 포함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밀림 방지나 심미적인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상은 모두 이해의 편의를 위한 설명일 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조절 구조체(10)의 구조와 응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간 차단 조절 구조체
100: 차단 조절부
200: 정적 연결부
300: 동적 연결부

Claims (1)

  1. 제 1 대상의 제 2 대상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대상과 상기 제 2 대상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틈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 또는 확보하는 것이거나 상기 틈과 접촉 또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틈을 통한 공간간 교류를 조절하는 차단 조절부; 및 상기 차단 조절부를 상기 제 1 대상, 상기 제 2 대상 또는 둘다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체.
KR1020190013612A 2017-02-01 2019-02-01 차단 조절 구조체 KR20190093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612A KR20190093523A (ko) 2017-02-01 2019-02-01 차단 조절 구조체
KR1020200012304A KR20200096163A (ko) 2017-02-01 2020-02-01 차단 조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4488 2017-02-01
KR1020180012604 2018-02-01
KR1020180012604A KR20180089867A (ko) 2017-02-01 2018-02-01 차단 조절 구조체
KR1020190013612A KR20190093523A (ko) 2017-02-01 2019-02-01 차단 조절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523A true KR20190093523A (ko) 2019-08-09

Family

ID=632513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04A KR20180089867A (ko) 2017-02-01 2018-02-01 차단 조절 구조체
KR1020190013612A KR20190093523A (ko) 2017-02-01 2019-02-01 차단 조절 구조체
KR1020200012304A KR20200096163A (ko) 2017-02-01 2020-02-01 차단 조절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04A KR20180089867A (ko) 2017-02-01 2018-02-01 차단 조절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04A KR20200096163A (ko) 2017-02-01 2020-02-01 차단 조절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8008986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867A (ko) 2018-08-09
KR20200096163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5746T3 (es) Cobertor.
TWI395910B (zh)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US20120284915A1 (en) Sleepover bag
US20170105556A1 (en) Magnetic sleeping bag
KR20080001606U (ko) 침소용 에어텐트
GB2531096A (en) Cased multifunctional bedding adaptions
KR20190093523A (ko) 차단 조절 구조체
KR101298561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0860691B1 (ko) 침낭 겸용 개인텐트
KR20120090713A (ko) 실내전용 텐트
US20130276847A1 (en) Moisture and heat management system
CN212878743U (zh) 一种用于野营的睡袋
KR101258509B1 (ko) 사이즈 가변형 실내 텐트
KR102238246B1 (ko) 침낭
JP3179232U (ja) 応急救援用寝具
KR102386507B1 (ko) 실내용 텐트
KR100417867B1 (ko) 다용도 침낭
CN218484247U (zh) 一种用于户外野营的保暖睡袋
KR200358991Y1 (ko) 현관문용 방충망
CN213640314U (zh) 一种睡眠辅助装置
CN209053509U (zh) 野外生存装备
CN220756621U (zh) 一种服装
CN213097258U (zh) 多变裹裹毯
KR200433910Y1 (ko) 사계절용 수면 돔 하우스
KR102345411B1 (ko)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