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230A - 습기제거용 용기 - Google Patents

습기제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230A
KR20190093230A KR1020180012074A KR20180012074A KR20190093230A KR 20190093230 A KR20190093230 A KR 20190093230A KR 1020180012074 A KR1020180012074 A KR 1020180012074A KR 20180012074 A KR20180012074 A KR 20180012074A KR 20190093230 A KR20190093230 A KR 2019009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moisture
screw thread
contain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석
이종훈
조규민
조인권
최영인
황세동
이상엽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규민
이상엽
최영인
황세동
이종훈
조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규민, 이상엽, 최영인, 황세동, 이종훈, 조인권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230A/ko
Publication of KR2019009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기제거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하부 덮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하부 덮개에 의해 개방된 하부가 폐쇄되고, 상기 하부 덮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벽면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1나사산부와 나사결합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막;을 포함하여, 상기 몸통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밀폐막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습기에 노출되면 변질되기 쉬운 내용물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고, 약품의 경우 변질로 인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기제거용 용기{MOISTURE REPELLING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 보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습기제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은 공기와 접촉함에 따라 비교적 쉽게 변질되며, 이에 따라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하여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각종 식품을 습기나 가스 등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고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부압)로 만들어 줌으로써 식품의 상태를 장기간 원상태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기'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7호(2013. 5. 2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에는 푸시버튼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밸브가 설치되어 뚜껑을 열고 닫을 때 푸시버튼을 누르면 용기 본체와 뚜껑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뚜껑이 닫히거나 개방되고,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에어밸브가 스프링에 의해 폐쇄되어 용기 내부가 외부로부터 격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품 보관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푸시버튼, 에어밸브와 같은 복잡한 부품이 사용되어 생산단가가 높아져 생산효율이 낮으며, 버튼과 밸브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습기에 노출되면 변질되기 쉬운 내용물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고, 약품의 경우 변질로 인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습기제거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 덮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하부 덮개에 의해 개방된 하부가 폐쇄되고, 상기 하부 덮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벽면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1나사산부와 나사결합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막;을 포함하여, 상기 몸통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밀폐막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에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밀폐막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통부의 회전시 상기 밀폐막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에는 내용물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물 출입구에는 상기 내용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습기제거용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을 밀폐막으로 압축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물 수용공간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습기에 노출되면 변질되기 쉬운 내용물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고, 약품의 경우 변질로 인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용기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덮개(100)와 몸통부(200)와 상부 뚜껑(300)과 밀폐막(400)을 포함한다.
하부 덮개(100)는, 도 1과 같이 몸통부(20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통부(2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 덮개(100)는 원판 형상이다.
하부 덮개(100)에는, 도 3과 같이 하부 덮개(1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내용물 출입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 출입구(110)에는 내용물 출입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130)는, 내용물 출입구(110) 내에 배치되는 수직부(131)와, 수직부(131)의 일단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3)와, 연장부(133)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부(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33)와 파지부(135)는, 도 4와 같이 하부 덮개(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부(135)를 잡아당기면 개폐부(130)를 내용물 출입구(11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100)에는, 도 2와 같이 지지대(15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150)는, 하기에서 설명할 몸통부(200)의 내부공간 내에 도 3과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부 덮개(100)의 상면에 하부 덮개(100)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50)는 사각 기둥 형상이며, 도 3과 같이 내부가 비어있다.
나아가, 하부 덮개(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도 2와 같이 제1레일(19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레일(190)은 하부 덮개(100)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제2레일(190)이 끼워질 수 있다.
몸통부(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통부(200)의 내벽면에는 제1나사산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 뚜껑(300)에 의해 폐쇄되고, 개방된 하부에는 하부 덮개(100)에 의해 폐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20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제2레일(29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레일(290)은 몸통부(200)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홈 형상의 제1레일(190)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몸통부(200)는 하부 덮개(10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될 때 하부 덮개(10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부 뚜껑(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통부(2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부 뚜껑(300)은 몸통부(20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부 뚜껑(300)의 일측에는 밀폐막(400)을 상부 뚜껑(300)으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튀어나온 손잡이(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뚜껑(300)은 몸통부(200) 내부의 밀폐막(400)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막(400)은, 도 2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몸통부(200)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된다. 이때, 밀폐막(400)의 외측 둘레에는 몸통부(200)의 제1나사산부(210)와 나사결합하는 제2나사산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통부(200)를 회전시키면, 제1나사산부(210)와 제2나사산부(41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밀폐막(400)이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밀폐막(400)에는 도 2와 같이 하부 덮개(100)에 마련된 지지대(150)가 관통하는 관통공(4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200)의 회전시 밀폐막(400)이 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막(400)의 관통공(430)에 지지대(150)가 관통하고, 밀폐막(40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대(150)의 끝단에는 도 3과 같이 밀폐막(400)의 이탈을 막는 캡(170)이 끼워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용기의 작용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뚜껑(300)을 몸통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지지대(150)에 밀폐막(400)을 끼워 지지대(150)가 관통공(430)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밀폐막(40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대(150) 끝단에 캡(170)을 끼운다. 그런 다음, 상부 뚜껑(300)을 몸통부(200)에 장착하여, 몸통부(20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한다.
하부 덮개(100)의 개폐부(130)를 분리하여 내용물 출입구(110)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내용물 출입구(110)를 통하여 몸통부(200)의 내부공간 내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한다. 그러면 몸통부(200)의 내부공간 내에서, 도 5 상에서 밀폐막(400)의 하부에 내용물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나사산부(210)와 제2나사산부(41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몸통부(200)를 회전시키면, 밀폐막(400)이 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내부공간 내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밀폐막(400)에 의해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의 공기가 제거되고,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습기제거용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을 밀폐막(400)으로 압축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내용물 수용공간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습기에 노출되면 변질되기 쉬운 내용물의 품질 유지가 가능하고, 약품의 경우 변질로 인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하부 덮개 110 : 내용물 출입구
130 : 개폐부 150 : 지지대
170 : 캡 190 : 레일
200 : 몸통부 210 : 제1나사산부
300 : 상부 뚜껑 400 : 밀폐막
410 : 제2나사산부 430 : 관통공

Claims (3)

  1. 하부 덮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하부 덮개에 의해 개방된 하부가 폐쇄되고, 상기 하부 덮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벽면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1나사산부와 나사결합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막;을 포함하여,
    상기 몸통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밀폐막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제거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에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밀폐막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통부의 회전시 상기 밀폐막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제거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에는 내용물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물 출입구에는 상기 내용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제거용 용기.
KR1020180012074A 2018-01-31 2018-01-31 습기제거용 용기 KR20190093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74A KR20190093230A (ko) 2018-01-31 2018-01-31 습기제거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74A KR20190093230A (ko) 2018-01-31 2018-01-31 습기제거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30A true KR20190093230A (ko) 2019-08-09

Family

ID=6761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74A KR20190093230A (ko) 2018-01-31 2018-01-31 습기제거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2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025B2 (en)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US3035730A (en) Bottle cap
KR20140012845A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2011502898A (ja) 気体弁蓋体を有する真空容器
US11370586B2 (en) Internal vent handle cover arrangement; and methods
KR20140125582A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20210041771A (ko) 내부 가스 배출이 용이한 컵뚜껑
KR101903494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20170010261A (ko) 용기
KR20190093230A (ko) 습기제거용 용기
US20190116957A1 (en) Airtight Compact
JP7385730B2 (ja) 真空バルブを有する食品真空保管容器用マルチプッシュボタン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JP6101298B2 (ja) 蓋付断熱容器
KR200362370Y1 (ko) 화장품 용기
US602791A (en) Ludwig wurzburg
US20200108977A1 (en) Storage Container with Sealable Opening in Base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KR20090006407U (ko) 음식물용기 뚜껑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200217273Y1 (ko)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US20220048683A1 (en) Container with Terracotta Lid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