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955A -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 Google Patents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955A
KR20190092955A KR1020180012303A KR20180012303A KR20190092955A KR 20190092955 A KR20190092955 A KR 20190092955A KR 1020180012303 A KR1020180012303 A KR 1020180012303A KR 20180012303 A KR20180012303 A KR 20180012303A KR 20190092955 A KR20190092955 A KR 2019009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ain body
fixing part
induction stove
portabl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9560B1 (en
Inventor
김보균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세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세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세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18001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60B1/en
Publication of KR2019009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and tilt an upper plate when in use,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oil during cooking, and use the handle for support when carr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induction range which includes an upper plate part where a cooking container is placed, and a main body part where an induction coil is installed. The portable induction range further includes a handle member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n adjustable height in the main body part.

Description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Por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st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nduction stove equipped with a handle.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유도 전류로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음식을 조리하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조리기구로서, 상판(가열부)의 표면이 평판 형태로 되어 있다.Generally, an induction range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type electronic cooking apparatus that generates heat by using heat generated by an induction current to cook food.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heating unit)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한편, 이러한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되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Induction heating)은 고효율 자력선 유도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서, 인덕션 렌지 내측의 유도 가열 코일에 교류전류를 통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중심에 자성을 갖는 금속제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를 위치시켜, 맴돌이 전류(Eddy Current)에 의해 조리용기가 갖는 전기 저항에 의해 조리 용기가 발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used in the induction stove is an application of a high-efficiency magnetic field induction technology, generates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alternating current in the induction heating coil inside the induction stove, and made of a metal having a magnetic at the center of the magnetic field By placing the induction-only cooking container, the cooking container is heated by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oking container by the eddy current (Eddy Current) to cook.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연소 불꽃이 없고, 타 전기 조리기에 비하여 안전하며, 청소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조리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밀폐된 공간에서도 열을 얻을 수 있는 청정성을 가지므로 사용이 늘고 있다. 즉 종래의 조리용 가열기는 밀폐된 공간에서 조리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Such an induction stove has no combustion flame, is safer than other electric cookers, is easy to clean, and has an advantag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cooking temperatur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oxygen and has cleanliness capable of obtaining heat even in a closed space, its use is increasing. That is, the conventional cooking heater has a problem that harmful gas is generated when cooking in a closed space.

한편, 상기한 인덕션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만큼 주로 건물에 빌트인(Built-in)되거나, 건물에 연결된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로 인해, 캠핑장과 같은 야외에서는 인덕션을 사용할 수가 없어, 버너 등과 같은 취사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has a structure that is mainly built-in (Built-in) to the building or oper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building as long as the operation is supplied with power. Therefore, induction cannot be used outdoors, such as a camping ground, and the situation is using cooking means such as a burner.

그런데, 상기한 버너와 같은 취사수단은 화재위험이 높고 산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캠핑 시 텐트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재위험으로 인한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oking means such as the burner has a high risk of fire and use of oxygen as well as troublesome use, especially when used in a tent during camping, there is a problem of impairing safety due to fire risk.

이를 위해 종래에는 휴대가 가능한 인덕션 렌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인덕션 렌지(400)는 인덕션모듈(100)과, 배터리모듈(200)과,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덕션모듈(100)은, 플레이트형상의 상판에 조리용기가 안착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101)이 구비되어 전원케이블(10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For this purpose, a portable induction stove is disclos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induction stove.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portable induction stove 400 includes an induction module 100, a battery module 200, and a support 300. Here, the induction module 100,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on the plate-shaped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power cable 101 for receiving power to heat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cable 101 Allow cooking to take place.

구체적으로 인덕션모듈(1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가벼운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되고 조리용기구가 안착되는 상판(110)과, 상판(110)의 테두리부분에 스테인리스 몰딩으로 마감처리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장자리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판(110)에는 작동 표시부(150)와 온도 조절부(140)가 구비되고, 메뉴가 표시되는 표시부(141)가 형성된다. 또한 상판(110)에는 온오프를 위한 전원부(130)가 구비된다. 한편 배터리모듈(200)에는 베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220)와 베터리 충전을 위한 단자(13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판(110)의 하부에는 다리부(320)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induction module 100 is formed of a plate-shaped tempered glass material, the upper plate 110 and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is finished with stainless steel molding on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10 to improve durability. 120. In addition, the upp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display unit 150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41 for displaying a menu is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30 for on and off.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220 for displaying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the terminal 130 for charging the battery.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the leg portion 320 is form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인덕션 렌지(400)는 중량의 베터리 모듈(200)이 장착되어 휴대성을 저해하고, 충전 방식에 따라 고출력 가열시 가열지속시간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근래에 캠핑장에서는 교류전류를 공급하고 있어 충전 방식의 조리기는 짧은 작동시간으로 인해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induction stove 400 is equipped with a weight of the battery module 200 is impaired port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duration is short during high power heating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In particular, the camping site is supplying an alternating current in recent years, so the cooker of the charging method is being turned away due to the short operation time.

또한 종래의 휴대용 인덕션 렌지(400)는 휴대시 파지가 어려워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판(110)에 구이용 불판을 올려서 삼겹살과 같은 고기를 구워먹는 경우 구이용 불판에 기름이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주위 사람들에게 기름이 튀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induction stove 400 has a problem inconvenient in use when carrying a mobile gripping difficult to carry. In addition, when the grilling fire plate on the top plate 110 to bake meat, such as pork belly, there is a problem in use such as splashing oil to people around the oil is not easy to discharge the grilling fire plate.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0946호(공고일: 2016년07월27일)<Previous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0946 (Announcement Date: July 27, 201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손잡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시 상판을 일측으로 기울일 수 있어 조리중에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파지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height of the hand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op plate can be tilted to one side when in use can facilitate the discharge of oil during cooking, can be used as a grip for portab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리용기가 안치되는 상판부와 내부에 인덕션 코일이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ortable induction stove comprising a top plate and a main body is installed therein the induction coil is placed inside the cooking vessel, the body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able induction stove provided with a handle further comprises a handle member that is adjustable in height.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 타측편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The handle member may be formed on a first fixing part fixed to on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 connecting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irst fixing part, and an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fix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t may be made by including a second fixing portion.

상기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At least one bent region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고정부 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고정된 높이조절 포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art hous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a height adjusting post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fixing part housing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It can be done by.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고,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안착되는 멈춤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At least one stopper member may b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and a stop groove in which the stopper member is seated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art housing.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flange rotatably installed on a part of the fixing part housing and screwed with the threads.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 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may be a movement sli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further comprise a rotary post formed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fixing portion housing and the locking step is moved along the movement sli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시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통해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조리시에는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인덕션 렌지의 상판을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기름배출이 용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rrying, the user can easily grip and move through the handle, and when cooking,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dle to tilt the top plate of the induction stove to one side, it is easy to discharge oil to improve convenience. It has an effect.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에 손잡이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배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에서 손잡이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평면도와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의 손잡이 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induction sto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member is coupled to a portable induction stov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rear view of a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rear view of a state in which a handle member is separated from a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member of a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andle member of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as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는 강화유리로 구성된 상판부(11)가 본체부(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판부(11)에는 설정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12)와 조리용기가 올려져 가열이 이루어지는 히팅영역이 제공된다. 1 to 4b,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portion 11 made of tempered glass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0. Specifically, the upper plate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heating area that is heated by the operation unit 12 and the cooking vessel for adjusting the setting.

또한 본체부(20)의 하부면에는 손잡이 부재(30)가 장착된다. 도 3과 같이 손잡이 부재(30)는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가 연결부(33)를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In addition, a handle member 3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3, the handle member 30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3.

구체적으로 손잡이 부재(30)의 고정부(31 또는 32)의 내부에는 체결공(h1 또는 h2)이 형성되어 본체부(20)의 하부면에 나사고정된다. 한편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에는 절곡영역(30c)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fastening hole h1 or h2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31 or 32 of the handle member 30, and is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0. On the other hand, the bent region 30c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3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 so that the user can be designed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when holding.

아울러, 제1 고정부(31)의 내부에는 통신 칩과 같은 전자 부품(P)이 수용되기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시 본체부(20)의 내부에 발생된 열로 인해 전자 부품(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자 부품(P)을 본체부(20)의 외부의 공간인 손잡이 부재(30)의 제1 고정부(31) 내에 독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열 충격에 의해 전자 부품(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4b 참조). 또한 연결부(33)의 절곡영역(30c)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spac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electronic component P such as a communication chip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part 31. Accordingly, the electronic component P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heat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20 during operation. That is, by separately placing the electronic component P in the first fixing portion 31 of the handle member 30, which is a space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nic component P from being damaged by thermal shock. (See FIG. 4B). In addition, the bending region 30c of the connecting portion 33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도 4b와 같이, 본체부(20)의 하부면에는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부(25)와 워킹코일이 놓여지는 히팅영역(22)과 히팅영역(22)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송풍기가 놓여지는 송풍영역(21)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0)의 하부면에는 제1 고정영역(26)과 제2 고정영역(27)이 각각 형성된다. 이 고정영역(26,27)에는 체결공(h1,h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영역(26,27)에 손잡이 부재(30)의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가 나사체결되는 것으로 손잡이 부재(30)는 본체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a blower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o radiate heat from the heating area 22 and the heating area 22 in which the supporting part 25 and the working coil are placed. The blowing area 21 is formed. In addition, a first fixing region 26 and a second fixing region 27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Fastening holes h1 and h2 are formed in the fixed areas 26 and 27.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of the handle member 30 are screwed into the fixing regions 26 and 27, so that the handle member 3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Can be.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30)는 이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기능과, 조리시 렌지 본체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높이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5 to 9, the handle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for holding the user when moving, and the height adjustment to tilt the stove body to one side when cooking.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와 같이, 손잡이 부재(30)는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제1 고정부 하우징(31a)과 제2 고정부 하우징(32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높이조절 포스트(41 또는 42)가 장착된다. 이때 높이조절 포스트(41 또는 42)는 본체부(20)의 하부면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30)를 본체부(20)로부터 들어올리는 경우 일정폭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6 및 도 7의 (a)와 같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바닥면에 수평한 상태로 상판부(11)가 놓여지는 반면, 고기를 굽는 등 취사를 하는 경우에는 조리용기에서 기름이 튀지 않도록 기름을 일측으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상판부(11)을 일측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손잡이 부재(30)에 높이조절 구조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30)를 본체부(20)에서 들어올리면 손잡이 부재(30)가 본체부(20)의 하부에서 일정폭만큼 더욱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로 바닥면에 렌지 본체를 놓으면 도 6 및 도 7의 (b)와 같이 상태(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진된다. 이와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판부(11) 상에 구이용 조리용기(불판)을 안치하면 조리시 경사를 따라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handle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and a second fixing part which respectively constitute a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 height adjusting post 41 or 42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housing 32a.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post 41 or 42 is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member 30 from the main body 20,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a certain width. That is, in the general situa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a), while the top plate 11 is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bottom surface, when cooking, such as grilling meat, the oil is not splashed in the cooking vessel It is necessary to tilt the upper plate portion 11 to one side so as to easily discharge to one side. Therefore,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member 30 from the body portion 20 by adding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to the handle membe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ember 30 is further extend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A spaced state is achieved. When the stove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is state, it is driven to a state (a state inclin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S. 6 and 7 (b). As such, when the cooking vessel (unplate) for roasting is placed on the top plate 11 in a state inclined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oil along the inclination during cooking.

이러한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30)의 높이조절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andle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0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포스트(41)는 제1 고정부 하우징(31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포스트(41)가 본체부(20)의 하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 부재(30)를 당기면 높이조절 포스트(41)가 제1 고정부 하우징(31a)에서 상승되고 결과적으로 손잡이 부재(3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구조를 제2 고정부(32)에도 적용할 수 있어 제1 고정부(31) 및 제2 고정부(32) 모두에 높이조절 기능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0,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ccordingly, when the pull member 30 is pulled while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is lifted from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and as a result, the handl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member 30 can be adjusted. Similarly, such a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2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can be added to both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한편, 높이조절 포스트(41)가 제2 고정부 하우징(31a)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높이조절 포스트(4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 부재(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부재(41a)는 상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핀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 포스트(41)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고정부 하우징(31a)의 내부면에는 멈춤홈(31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 포스트(41)가 제1 고정부 하우징(31a)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41a)가 제1 고정부 하우징(31a)의 내부 멈춤홈(31b)에 삽입되어 자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pper member 41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41 to maintain the height adjustment post 41 in the state of being rais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housing 31a. In this case, the stopper member 41a may be an elastic pi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stop groove 31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to maintain the height adjustment post 41 in a lowered state. Accordingly, the stopper member 41a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top groove 31b of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while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thereby allowing free flow. Can be prevent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 포스트(41)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 고정부(31)의 일부에 높이조절 플랜지(45)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높이조절 플랜지(4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높이조절 포스트(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이동하여 높이 조절 포스트(41)의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and a height adjusting flange 45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31. . Accordingly,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flange 45, the user can move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to move up and down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특히 이 구조는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32)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판부(11)의 기울어짐 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판부(11)에 놓여지는 불판의 기름 배출구가 모서리에 형성된 경우에는 렌지 본체를 대각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정하는 것이 기름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is structure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2,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 in some cases. In other words, when the oil outlet of the plate plac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11 is formed at the corner, it is possible to set the stove body to be incli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facilitate oil discharge.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고정부(31)의 높이조절 플랜지(45)와 제2 고정부(32)의 높이조절 플랜지(미도시)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렌지 본체의 기울어짐을 대각선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flange 45 of the first fixing part 31 and the height adjusting flange (not shown) of the second fixing part 32 differently. By using this, the inclination of the stove body can be set in the diagonal direc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 하우징(31a)에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회전 포스트(61)가 설치되고, 높이조절 포스트(41)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이동 슬릿(45a)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 포스트(6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걸림턱(46S)이 형성되어 이 걸림턱(46S)이 이동 슬릿(45a)에 대응되게 놓인 경우에 도 13의 (b)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41)가 상승됨으로써 손잡이 부재(3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볼펜의 추진장치에 적용되는 구조로서 누름에 따라 내부의 회전판(회전 포스트)이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슬릿에 위치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펜 촉이 돌출되는 원리를 도입하여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rotating post 61 is installed in the first fixing part housing 31a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S, and a plurality of moving slits are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41. 45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locking jaw 46S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rotary post 61 and the locking jaw 46S is placed to correspond to the moving slit 45a, the height adjustment post 41 as shown in FIG. By raising the height of the handle member 30 it is possible to adjust. In other words, this structure is applied to the propulsion device of a conventional ball pen, and when the inner rotating plate (rotating post) is rota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s it is pressed and positioned in the moving sl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ball pen tip is protru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 principle can be introduced and implement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손잡이 부재(3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손잡이 부재(30)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member 30 only by pressing the handle member 30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렌지 본체
11: 상판부
12: 조작부
15: 장착부
20: 본체부
21: 송풍영역
22: 히팅영역
22a: 송풍가이드
25: 받침부
26: 제1 고정영역
27: 제2 고정영역
30: 손잡이 부재
31: 제1 고정부
32: 제2 고정부
31a: 제1 고정부 하우징
31b: 멈춤홈
32a: 제2 고정부 하우징
33: 연결부
41, 42: 높이조절 포스트
41a: 스토퍼부재
45: 높이조절 플랜지
45a: 이동 슬릿
46s: 걸림턱
61: 회전 포스트
10: stove body
11: top plate
12: control panel
15: mounting
20: main body
21: blowing area
22: heating area
22a: Ventilation guide
25: base
26: first fixed area
27: second fixed area
30: handle member
31: first fixing part
32: second fixing part
31a: first fixing part housing
31b: Stop groove
32a: second fixing part housing
33: connection
41, 42: height adjustment post
41a: stopper member
45: height adjustment flange
45a: moving slit
46s: jaw
61: rotating post

Claims (7)

조리용기가 안치되는 상판부와, 내부에 인덕션 코일이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In the portable induction stove comprising a top plate portion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and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induction coil is installed therein,
Portable induction stove equipped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handle member which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height adjustable in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 타측편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member
A first fixing part fixed to on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rst fixing part, and
And a second fix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2,
Portable induction stove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ent reg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고정부 하우징, 및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고정된 높이조절 포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a fixing part hous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A portable induction stove provided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post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fixing unit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안착되는 멈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stopper member is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Portable induction stove having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in the fixing unit housing is seated the stopper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is formed with a threa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ortable induction stove provided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flange rotatably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fixing housing and screwed with the thre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 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인덕션 렌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is formed with a moving slit in the vertical direction,
Portable induction stove provided with 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pos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fixed housing and the locking step is moved along the moving slit.
KR1020180012303A 2018-01-31 2018-01-31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KR102049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03A KR102049560B1 (en) 2018-01-31 2018-01-31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03A KR102049560B1 (en) 2018-01-31 2018-01-31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55A true KR20190092955A (en) 2019-08-08
KR102049560B1 KR102049560B1 (en) 2019-11-27

Family

ID=6761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03A KR102049560B1 (en) 2018-01-31 2018-01-31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6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57Y1 (en) * 1992-05-07 1995-01-16 이헌조 Device for horizontal control in leg
KR19980014798U (en) * 1996-09-03 1998-06-25 이영서 Leveling device of portable gas range
KR20140000795A (en)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포스코 Handl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electric home appliances hav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ndl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150003051U (en) * 2014-02-03 2015-08-12 (주)슈퍼지티코리아 Induction range
KR101712869B1 (en) * 2016-03-17 2017-03-31 (주)진성하이테크 Portable induction heat ran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57Y1 (en) * 1992-05-07 1995-01-16 이헌조 Device for horizontal control in leg
KR19980014798U (en) * 1996-09-03 1998-06-25 이영서 Leveling device of portable gas range
KR20140000795A (en) * 2012-06-25 2014-01-06 주식회사 포스코 Handl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electric home appliances hav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ndl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150003051U (en) * 2014-02-03 2015-08-12 (주)슈퍼지티코리아 Induction range
KR101712869B1 (en) * 2016-03-17 2017-03-31 (주)진성하이테크 Portable induction heat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60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5117B (en) Upper heat source type electric oven
US8735779B2 (en) Magnetic safety feature for cookware and cooking stoves
CN101969822B (en) Portable cooking device
KR101965101B1 (en) Roaster with a two-way
KR101772189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utensils cooling unit
US10605460B2 (en) Cooking apparatus
KR101710297B1 (en) Induction heating type range and temperature sensor whichof
KR102049560B1 (en) Potable induction range having a handle
US6593550B1 (en) Energy savings circumferential base for cooking utensils
US6157011A (en) Electromagnetic stove structure
WO2016043372A1 (en) Non-contact type induction heating range
US5782172A (en) Appliance for low and high-heat cooking
US20050118045A1 (en) Cook fan
KR101955486B1 (en) Portable and rechargeable electric range
KR102049561B1 (en) Potable induction range
KR20130000624U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CN207784985U (en) A kind of Multifunction stove with oven
CN202151202U (en) Lifting tea table with heating function
CN217274315U (en) Kitchen range
KR20140131757A (en) Electronic grill structure
KR102576022B1 (en) Barbecue grill for selectively using heating source
CN217178594U (en) Gas stove with movable rotary electric heating furnace
CN218295828U (en) Electric heating stove
CN212912753U (en) Base subassembl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KR102049536B1 (en) Induction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