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332A -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332A
KR20190092332A KR1020190087714A KR20190087714A KR20190092332A KR 20190092332 A KR20190092332 A KR 20190092332A KR 1020190087714 A KR1020190087714 A KR 1020190087714A KR 20190087714 A KR20190087714 A KR 20190087714A KR 20190092332 A KR20190092332 A KR 2019009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lighting
smart
inform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지찬
김범오
김태현
신원호
채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332A/ko
Publication of KR2019009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332A/ko
Priority to US16/684,475 priority patent/US1120672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05B33/0845
    • H05B33/0857
    • H05B37/020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통신환경을 통해 주변의 기기들과 통신하고, 이러한 통신을 기초로 기계 학습을 통해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동 정보를 스마트 조명에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발생되면, 발생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작동 정보와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 정보가 스마트 조명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SMART LIGH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가 스마트 조명을 통해 보여질 수 있도록 하여 전자기기의 사용 이용에 편리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이고, 기술되는 내용들이 당연하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 내 설치되는 전자기기 중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반해,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음성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작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으로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직접 조작 및 원격 제어 등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구동하지만,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대, 에어컨의 온도 설정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거나, 에어컨 본체에 탑재된 설정창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세탁기나 건조기 등의 동작 상태(예: 잔여시간 확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세탁기나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스마트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세탁기나 건조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세탁기나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기기에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전자기기를 연결한 뒤에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집 안에 설치된 장치(예: 조명)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구동 컨트롤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기술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컨대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66328호의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전자기기의 구동이 종료되면 스마트 서버에서 원격으로 전자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중 세탁기의 구동이 종료되면 세탁물을 꺼내는 등의 세탁기 구동 종료 이후의 전자기기구동 제어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집 안에 설치된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구동 컨트롤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68013호에 개시된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통해 전자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음성 인식률이 개선된 기술을 제안한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스마트 전자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거나 사용자 안면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 조작 여부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하는지 의도를 파악하여 음성 오인식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반해, 개시된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 전자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제안하지만, 집안 내 설치된 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조명과 같은 집안 내 설치된 장치와 전자기기가 연동되고, 사용자 음성, 리모컨 조작 등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집안 내 설치된 장치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선행기술 1: 한국 공개특허 10-2005-0066328 (2005.06.30. 공개)
선행기술 2: 한국 공개특허 10-2015-0068013 (2016.06.19. 공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집안 내에 설치된 장치를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전자기기 동작 상태를 동시에 인지할 수 있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 기기, 웨어러블 기기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 요청 시, 전자기기의 동작 및 제어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는 실내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실내 스마트 조명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는, 조명 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한 동작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및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는 서버는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또는 전자기기와 통신하며, 전자기기의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의 구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으로 전자기기 설정에 따른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다르게는 사용자 기기 및 컨트롤러 등과 같이 입력을 통해 전자기기 설정에 따른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입력부는,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 및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조건의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서버의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방향에 배치되는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에서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기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정보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서버는 스마트 조명은 제 1 조명 및 제 2 조명을 포함하고, 송신부는,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 1 조명으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제 2 조명으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은,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조명 측 수신부, 전자기기 동작과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매칭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조명 측 메모리,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명 제어 서버에서 송신된 스마트 조명의 동작 정보를 수신 받아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의 조명 측 수신부는,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내 복수의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의 조명 측 수신부는, 전자기기의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 중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부품의 제어 명령을 전자기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거나 매칭되는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에 따라 전자기기의 구동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전자기기 구동 동작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의 전자기기 동작과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발기 변화,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방향에 배치되는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에서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도록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의 조명 측 제어부는, 전자기기 동작에 따라 스마트 조명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동 변화가 발생하는 전자기기의 구동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측 수신부,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전자기기 측 메모리, 및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측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실내 스마트 조명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측 음성 입력부, 또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측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조건에서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 및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조건의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방향에 배치되는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에서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기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정보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스마트 조명은 복수의 조명들을 포함하고,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복수의 조명들 중 온 상태인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 측 송신부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온 상태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추가의 조명 구동을 실행하지 않아도 작동 가능하거나, 작동 중인 스마트 조명에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송신하여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가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은, 조명 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하는 단계, 전자기기의 동작과 매치된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기초로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실내 스마트 조명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의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모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시켜 보다 정확하게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이 스마트 조명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의 수신하는 단계는,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및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조건의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은, 스마트 조명은 제 1 조명 및 제 2 조명을 포함하고,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제 1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제 2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내에 배치된 다수의 전자기기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다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동 정보를 스마트 조명에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가 스마트 조명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기기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은 다양한 전자기기의 구동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눈에 복수의 전자기기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사용자 기기, 컨트롤러, 전자기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조명 환경의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사용자 기기, 컨트롤러, 전자기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환경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조명 환경의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10a), 사용자 단말(10b), 리모컨 컨트롤러(10c) 및 전자기기(300)가 서버(200)에 의해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b), 리모컨 컨트롤러(10c) 중 어느 하나의 장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 통신 기기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b) 및 서버(20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10a), 사용자 단말(10b), 리모컨 컨트롤러(10c)와 전자기기(300) 및 서버(200)는 5G 통신 환경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기기들 이외에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사물 인터넷 환경 하에서 서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10a)는 음성을 통해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발화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10a)가 발화한 음성이 입력될 수 있도록 서버(200)는 인공지능(AI)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서버(200)는 음성 입출력 기능이 없는 전자기기(예: 세탁기, 에어컨 등)를 제어하는 허브(Hub)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10a)가 발화하는 음성은 전자기기(300)를 동작하기 위한 명령, 전자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를 동작하기 위한 명령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의 온/오프(on/off)를 지시하기 위한 명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전자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은 전자기기(30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종료되기 까지 남은 시간, 전자기기(300)의 설정(예: 에어컨의 바람 세기, 에어컨의 바람 방향 등)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300)를 동작하기 위한 명령, 전자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등은 메모리(1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300)를 동작하기 위한 명령, 전자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등은 사용자(10a)의 음성이 아닌 사용자 단말(10b) 또는 전자기기(300)를 제어하는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단말(10b)과 리모컨 컨트롤러(10c)는 전자기기(300)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b)을 통해 전자기기(300) 중 에어컨(300c)의 냉방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 단말(10b)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실내 온도 증가"에 대한 명령을 구동시키면 서버(200)로 "실내 온도 증가"의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이후, 에어컨(300c)의 냉방 상태를 줄이고, 이러한 에어컨(300c)의 구동 상태를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노출(예: 온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b)은 컴퓨팅 장치(미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b)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b)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전자기기(300) 중 에어컨(300c)의 냉방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컨 컨트롤러(10c)의 온도 변화 버튼을 눌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은 서버(200)로 송신되고, 송신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에어컨(300c)의 냉방을 감소시켜 에어컨(300c)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에어컨(300c)의 동작이 제어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조명(100)을 통하여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자기기(300)의 제어를 실내에 설치된 조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리모컨 컨트롤러(10c)는 일반적으로 각 전자기기(300)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리모컨이 될 수 있으며, 리모컨 이외에 전자기기(300)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200)는 각종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빅데이터 및 음성 인식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그 밖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10a) 음성,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 등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웹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사용자(10a)의 음성,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에서 발생한 전자기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대해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가 동작이 종료되기 까지 남아있는 시간을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하거나, 전자기기(300)의 설정(예: 에어컨 바람 세기, 에어컨 바람 방향 등)을 스마트 조명(10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서버(20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200)는 사용자(10a),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와 전자기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서버(2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2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조명 제어 서버(200)는 통신부(11), 입력부(12), 메모리(14), 음성 처리부(16) 및 송신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에 입력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전자기기(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로부터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사용자(10a)가 발화한 음성을 처리하여 전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11)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른 전자기기라 함은, 음성 입출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홈 어플라이언스 예를 들어, 에어컨(300c), 냉장고(300d), 세탁기(30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다른 전자기기는 음성 입출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부(12)는 음성 입력부(12a) 및 컨트롤러(12b)를 포함하고, 사용자(10a)의 음성이나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a)가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발화하는 경우 음성 입력부(12a)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b) 및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컨트롤러(12b)를 통하여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성 입력부(12a)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a)의 음성을 더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는 실내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수신한 사용자(10a)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음성 입력부(12a)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12a)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 수신 시에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미도시),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미도시) 등 음성 신호 처리를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에는 전자기기(3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 및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수행하기 위한 명령 등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등의 제어 명령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16)는 음성 입력부(12a)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10a)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화하고,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음성 처리부(16)는 기 저장된 단어를 기초로 추출한 제어 명령어 중에서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어느 한 단어가 선택되면 제어부(19)에서 음성 처리부(16)에서 처리한 제어 명령어를 전자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으로 실행하고 그 결과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300)의 동작 제어 정보가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14)는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하는 매칭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칭 테이블이란 입력부(12)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테이블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고 발화하면 발화한 사용자의 "실내 온도"는 전자기기(300) 중 에어컨(300c)을 선택할 수 있는 언어가 될 수 있으며, "낮춰줘"는 전자기기(300) 중 에어컨(300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낮춰줘" 라고 발화하게 되면 에어컨(300c)의 구동 설정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구동 설정 내용이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매칭 테이블은 기 학습된 내용으로 "실내 온도"에 해당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예: 에어컨)를 매칭하고, 전자기기가 매칭되면"낮춰줘"에 해당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구동 설정(예: 에어컨 온도 상승 또는 에어컨 구동 중지)을 변경하는 기계학습 모델에 입력된 데이터 세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는 매칭 테이블 이외에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제어부(19)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메모리(14)에는 제한적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에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언어가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는 사용자의 발화문장에서 "실내 온도"가 전자기기(300)를 매칭할 수 있는 언어로 설정될 수 있고, "낮춰줘"가 전자기기의 구동 설정(예: 에어컨 온도 상승 또는 에어컨 구동 중지)을 변경할 수 있는 언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학습 모델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하면, 송신부(18)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8)는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된 입력부(12)에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송신부(18)는 스마트 조명(100)에 전자기기(300)의 온/오프가 표시되는 정보를 송신하거나,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8)는 서로 다른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송신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18)는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하는 제1 송신부(18a)와 실내에 배치된 서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정 내 에어컨(300c)과 세탁기(300b)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부(12)를 통해 세탁기(300b)가 구동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실내 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메모리(14)는 세탁기(300b)의 구동 잔여 시간에 대한 스마트 조명(100)의 매칭 동작을 매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기(300b)의 잔여 시간(예: 47:00(분/min))이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매칭 테이블에서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높이거나, 에어컨(300c)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에어컨(300c)의 제어 동작이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매칭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높이는 경우 스마트 조명(100)을 붉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는 동작을 매칭 테이블에서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조명(100)은 복수의 송신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마트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조명(100)은 실내의 메인 조명 주변에 설치된 조명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 면이 접하고, 교차하여 설치된 두 개의 스마트 조명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는 입력부(12)에 수신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통해 송신부(18)에서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할 제어 명령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14)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송신부(18)를 제어하여 제어 명령을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9)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 제어 서버(200)는 사용자가 수신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에 대하여 딥러닝(Deep Learning) 등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4)는 러닝 머신에 사용되는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할 수 있다. 딥러닝은 단계를 높여갈수록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딥러닝 구조는 인공신경망(AN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러닝 구조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CNN, RNN, DB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NN은,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로 매 순간마다 레이어를 쌓아 올려 인공신경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DBN은 딥러닝 기법인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을 다층으로 쌓아 구성되는 딥러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BM 학습을 반복하여, 일정 수의 레이어가 되면 해당 개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DBN을 구성할 수 있다. CNN은 사람이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추출한 다음 뇌 속에서 복잡한 계산을 거쳐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물체를 인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람의 뇌 기능을 모사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공신경망의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 서버(200)에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탑재될 수 있고, 수신되는 음성 입력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머신 러닝 기반의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음색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9)는 인공신경망, 예를 들어, CNN, RNN, DBN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될 수 있고, 심층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자율학습(un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는 설정에 따라 학습 후 음색 인식 인공신경망 구조를 업데이트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100)은 조명 측 통신부(120), 조명 측 수신부(140), 조명 측 메모리(160), 출력부(180) 및 조명 측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측 통신부(120)는 조명 제어 서버(200)에서 발생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측 통신부(120)는 실내의 복수의 전자기기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조명 측 수신부(140)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 서버(200)의 송신부(18)에서 송신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측 수신부(140)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송신부(18)에서 송신하는 전자기기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정 내 에어컨(300c)와 세탁기(300b)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부(12)를 통해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세탁기(300b)의 구동 종료 시점인 "세탁기 남은 시간"과 에어컨(300c)을 구동하기 위한 "실내 온도 낮춰줘"을 발화하여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측 수신부(140)는 세탁기(300b) 구동 종료 시점 정보가 송신되는 제1 수신부(140a)와 에어컨(300c) 구동 설정 정보가 송신되는 제2 수신부(140b)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수신부(140a) 및 제2 수신부(140b)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조건에 따라 이상의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측 수신부(140)는 위치에 대한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 중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부품의 제어 명령을 전자기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거나 매칭되는 스마트 조명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에 따라 전자기기의 구동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전자기기 구동 동작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명 측 수신부(140)를 통해 송신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 측 메모리(160)에는 매칭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00)의 메모리(14)에는 입력부(12)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조명 측 메모리(160)에도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메모리(14)를 통해 입력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하므로, 스마트 조명(100) 측에서는 별도의 매칭 과정 없이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조명 측 메모리(160)에서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추가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스마트 조명(100)에서 실행하는 동작이 보다 정확한 결과로 도출될 수 있게 된다.
조명 측 제어부(190)는 조명 측 메모리(160) 및/또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메모리(14)에서 매칭한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고 발화하면, 에어컨(300c)의 구동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조명 측 제어부(190)는 변경된 구동 설정 내용이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낮춰줘" 라고 발화했으므로,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높이는 구동 동작을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100)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거나, 스마트 조명(100) 자체에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표시(예: 숫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에어컨(300c)의 바람 방향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음성으로 발화할 수 있다. 발화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에어컨(300c)은 바람 방향을 바꾸도록 에어컨(300c)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러한 에어컨(300c)의 구동 동작을 스마트 조명(10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컨(300c)의 바람 방향을 제1 토출구(320a_도 6 참고)에서 제2 토출구(320b_도 6 참고)로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발화하는 경우, 조명 측 제어부(190)는 스마트 조명(100)의 제1 스마트 조명(100a_도 6참고)이 소등되고, 제2 스마트 조명(100b_도 6 참고)이 점등되도록 표시되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b) 또는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세탁기 남은 시간"을 입력했을 경우, 조명 제어 서버(200)는 세탁기의 구동 이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수신되는 세탁기의 구동 이력은 기 입력된 세탁기의 세탁 시간을 기초로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 남은 시간"에 대한 제어 명령이 발생하는 경우, 조명 측 제어부(190)는 스마트 조명(100) 자체에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남은 시간에 따라 점등된 스마트 조명(100)이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의 스마트 조명(100)이 점등된 시점이 세탁기(300b)가 구동되는 시작 시간이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시점에 근접할수록 스마트 조명(100)이 점차적으로 소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조명 측 제어부(190)는 전자기기(300)의 온/오프에 대한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표시, 전자기기(300) 동작의 잔여시간에 대한 스마트 조명(100) 밝기를 제어하거나, 스마트 조명(100)에 전자기기(300) 동작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등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명 측 제어부(190)는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발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측 제어부(190)를 통해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하면 출력부(18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는 스마트 조명(100)의 점멸, 점등, 소등 등의 수행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스마트 조명(100) 자체에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는 전자기기 측 통신부(320),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 전자기기 측 메모리(360) 및 전자기기 측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측 통신부(320)는 조명 제어 서버(200)에서 발생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측 통신부(320)는 실내의 복수의 전자기기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 서버(200)의 송신부(18)에서 송신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송신부(18)에서 송신하는 전자기기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측 음성입력부(340a)와 전자기기의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측 컨트롤러(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정 내 에어컨(300c)와 세탁기(300b)에 대한 음성 제어 명령을 전자기기 측 음성입력부(340a)로 수신 받은 것이다. 이와 대응하여 사용자는 가정 내 에어컨(300c)와 세탁기(300b)에 대한 버튼식 입력을 전자기기 측 컨트롤러(340b)를 통해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는 위치에 대한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온, 오프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및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를 통해 송신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기기 측 메모리(360)에는 매칭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매칭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방향에 배치되는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스마트 조명에서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00)의 메모리(14)에는 입력부(12)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자기기 측 메모리(360)에도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메모리(14)를 통해 입력된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하므로, 스마트 조명(100) 측에서는 별도의 매칭 과정 없이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전자기기 측 메모리(360)에서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추가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스마트 조명(100)에서 실행하는 동작이 보다 정확한 결과로 도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마트 조명(100)은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고, 전자기기 측 수신부(340)는 복수의 조명 중 온(on) 상태의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 측 송신부(380)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온(on) 상태인 조명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추가의 조명 구동을 실행하지 않아도 작동 가능하거나, 작동 중인 스마트 조명(100)에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송신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가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기기 측 제어부(390)는 전자기기 측 메모리(360) 및/또는 조명 제어 서버(200)의 메모리(14)에서 매칭한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매칭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고 발화하면, 에어컨(300c)의 구동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 측 제어부(390)는 변경된 구동 설정 내용이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전자기기 측 제어부(390)는 전자기기(300)의 /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전자기기(300)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를 제어하거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를 제어하거나,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하는 등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 측 제어부(390)를 통해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하면 출력부(38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는 스마트 조명(100)의 점멸, 점등, 소등 등의 수행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스마트 조명(100) 자체에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10a)는 음성 및/또는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은 "실내 온도 낮춰줘" 일 수 있다.
발생한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의 에어컨(300c)이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컨(300c)이 오프(off) 된 상태라면 에어컨(300c)을 온(on)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조명(100)에서는 에어컨(300c)이 온(on)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100)의 조명이 점멸, 점등 등으로 에어컨(300c)의 온(on)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스마트 조명(100)의 색상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에어컨(300c)이 온(on)되면 앞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는 제어 명령이 조명 제어 서버(200)의 입력부(12)에 입력되고, 이후, 에어컨(300c)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예: 냉방)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300c)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에 따라 스마트 조명(100)은 파란색으로 점등되는 것으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경우, 에어컨(300c)의 동작과 매칭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후, 에어컨(300c)이 냉방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조명 제어 서버(200)는 스마트 조명(100) 측으로 파란빛의 점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300c) 냉방이 수행되는 시점에서부터 스마트 조명(100)은 파란 빛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전자기기(300) 중 에어컨(300c)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이 추가로 발생하는 경우, 예컨대, "실내 온도를 높여줘" 및/또는 "실내 온도가 낮아" 라는 등의 에어컨(300c) 냉방 구동을 제약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조명(100)은 에어컨(300c)의 냉방 구동을 제약하는 동작과 매칭되는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예: 스마트 조명의 붉은 점등)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에어컨(300c)이 듀얼로 냉방 가능한 구조인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토출구(320a) 온도는 유지하고, 다른 하나의 토출구(320b) 온도는 낮추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임의 설정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하나의 토출구(320a)를 오른쪽 날개라고 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토출구(320b)를 왼쪽 날개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기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오른쪽 날개 냉방" 이라는 제어 명령을 발화하거나,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이용하여 에어컨(300c) 하나의 토출구(320a)에서 냉방이 가속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컨(300c)의 하나의 토출구(320a)의 냉방이 가속됨과 동시에 하나의 토출구(320a)와 인접한 위치의 제1 스마트 조명(100a)에 짙은 파랑의 조명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하나의 토출구(320a) 냉방이 가속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의 전자기기(300)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 여부를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10a)는 음성 및/또는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은 "실내 온도 낮춰줘", "세탁 종료 시간 알려줘" 및 "청소 완료 시간 알려줘" 등이 될 수 있다.
발생한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의 에어컨(300c)이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컨(300c)이 오프(off) 된 상태라면 에어컨(300c)을 온(on)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조명(100)에서는 에어컨(300c)이 온(on)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100)의 조명이 점멸, 점등 등으로 에어컨(300c)의 온(on)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스마트 조명(100)의 색상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에어컨(300c)이 온(on)되면 앞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는 제어 명령이 조명 제어 서버(200)의 입력부(12)에 입력되고, 이후, 에어컨(300c)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예: 냉방)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300c)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에 따라 스마트 조명(100)은 파란색으로 점등되는 것으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경우, 에어컨(300c)의 동작과 매칭되는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후, 에어컨(300c)이 냉방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조명 제어 서버(200)는 스마트 조명(100) 측으로 파란빛의 점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300c) 냉방이 수행되는 시점에서부터 스마트 조명(100)은 파란 빛으로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발화한 전자기기(300) 중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에 해당하는 "세탁 종료 시간 알려줘" 및 "청소 완료 시간 알려줘"에 관한 제어 명령의 경우, 제1 스마트 조명(100a) 및 제2 스마트 조명(100b) 일부에 관련 명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세탁기(300b)가 구동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300b) 구동 잔여 시간은 도 6의 제1 스마트 조명(100a)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청소기(300a)가 구동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청소기(300a)의 청소 완료 시점을 확인하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잇다.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청소기(300a)의 청소 종료 시점이 도 6의 제2 스마트 조명(100b)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세탁기(300b) 잔여 시간에 대한 제어 명령은 에어컨(300c)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발화할 수 있지만, 에어컨(300c)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다른 시간대에 발화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100)은 사용자가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1 전자기기(예: 에어컨) 구동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 조명(100)에 제어 명령이 발생된 제2 전자기기(예: 세탁기) 구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마트 조명(100)에 다수의 전자기기(예: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의 구동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편 스마트 조명(100)에 제1 전자기기(300)와 제2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한 구동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스마트 조명(100b)에 제1 전자기기(300)와 제3 전자기기(예: 청소기)의 구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에 설치된 스마트 조명(100)에 다양한 전자기기(300)의 구동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전자기기(300)를 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눈에 복수의 전자기기(300)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10a)는 음성 및/또는 리모컨 컨트롤러(10c)를 통해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은 "세탁 종료 시간 알려줘" 및 "청소 완료 시간 알려줘"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화한 전자기기(300) 중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에 해당하는 "세탁 종료 시간 알려줘" 및 "청소 완료 시간 알려줘"에 관한 제어 명령의 경우, 제1 스마트 조명(100a) 및 제2 스마트 조명(100b)에 관련 명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제1 스마트 조명(100a) 및 제2 스마트 조명(100b)에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의 종료 시간을 숫자로 표시하는 예를 들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되는 빛이 점차 줄어드는 예시로 전자기기(300)의 작동 종료 시점이 인접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세탁기(300b)가 구동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세탁기(300b)의 잔여 시간을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300b)의 구동이 종료되는 시간에 인접할수록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되는 조명의 너비가 점차 줄어들도록 표시할 수 있다(도 8의 제1 스마트 조명(100a_도 7 참고)(a)->(b) 참고).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청소기(300a)가 구동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청소기(300a)의 청소 완료 시점을 확인하고자 하는 제어 명령을 서버(200)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청소기(300a)의 청소 종료 시점이 근접할수록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되는 조명의 너비가 점차 줄어들도록 표시할 수 있다(도 8의 제2 스마트 조명(100b_도 7 참고) (a)->(b) 참고)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의 구동 종료를 위한 잔여 시간에 대한 제어 명령은 세탁기(300b) 및 청소기의 구동 시작 시점과 동시에 발화할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는 구동되고 있는 전자기기(300)의 구동 종료를 위한 잔여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처음 발화하는 경우라도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되는 조명이 조명 전체를 표시하고 있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의 제어 명령 발화 후, 에어컨(300c)의 제어 명령을 발화하는 경우, 세탁기(300b) 및 청소기(300a)의 구동 동작을 표시하는 것을 중지하고, 에어컨(300c)의 구동 동작을 표시하도록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기기(300)의 구동이 종료 시점까지 전자기기(300)의 구동 상태를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육안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전자기기(300)의 구동 동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의 설명에 앞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고 가정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120). 전자기기의 제어 명령이란,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의 온/오프(on/off)를 지시하기 위한 명령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은 전자기기(30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종료되기 까지 남은 시간, 전자기기(300)의 설정(예: 에어컨의 바람 세기, 에어컨의 바람 방향 등)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기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조명 제어 서버(200)에서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매칭할 수 있다(단계 S140).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의 매칭이란,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가 동작이 종료되기 까지 남아있는 시간을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하거나, 전자기기(300)의 설정(예: 에어컨 바람 세기, 에어컨 바람 방향 등)을 스마트 조명(10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 제어 서버(200)의 메모리(14)에는 전자기기(300)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100)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하는 매칭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매칭 테이블이란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자기기(30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100)의 수행 동작을 대응하는 학습테이블이라고 할 수 있다.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따른 스마트 조명(100)의 동작 정보가 매칭되면 스마트 조명(100) 동작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에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6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조명(100)에 전자기기(300)의 온/오프가 표시되는 정보를 송신하거나, 전자기기(300)의 동작이 종료되기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송신하는 것이다.
송신된 스마트 조명 동작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에서 수신하면(단계 S170), 수신된 스마트 조명 동작 정보에 대응하도록 스마트 조명(100)이 동작할 수 있다(단계 S18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명령으로 "실내 온도를 낮춰줘"라고 발화한 경우, 스마트 조명(100)의 불빛, 점멸 상태 등을 제어하여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높이는 구동 동작을 스마트 조명(100)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조명(100)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거나, 스마트 조명(100) 자체에 에어컨(300c)의 설정 온도를 표시(예: 숫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300)의 구동 정보를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기기(300)의 동작 정보가 스마트 조명(100)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기기 제어 명령에 따른 전자기기(300)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100)은 다양한 전자기기(300)의 구동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에 마련된 복수의 전자기기(30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눈에 복수의 전자기기(300)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에 포함된 단계들은 프로세서 또는 해당 단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스마트 조명을 컨트롤하는 조명 제어 서버로서,
    상기 조명 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한 동작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또는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조명 제어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조명은 제 1 조명 및 제 2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조명으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상기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상기 제 2 조명으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
  6.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으로서,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조명 측 수신부;
    상기 전자기기 동작과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매칭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조명 측 메모리;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측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측 수신부는,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측 수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배치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동작과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발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측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 동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 조명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는 스마트 조명.
  11. 스마트 조명과 통신하는 전자기기로서,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측 수신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과 상기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한 매칭 테이블이 저장된 전자기기 측 메모리; 및
    상기 매칭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전자기기 측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측 음성 입력부;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측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전자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은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의 영역별 색 또는 밝기 변화,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에 따른 상기 스마트 조명에서의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조명은 복수의 조명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 측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들 중 온 상태인 조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기 측 송신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매칭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상기 온 상태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전자기기.
  16.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으로서,
    상기 조명 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과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과 매치된 상기 스마트 조명이 수행 가능한 동작을 기초로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모션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온/오프(on/off)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 동작의 잔여시간 확인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행 가능한 동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조명은 제 1 조명 및 제 2 조명을 포함하고, 실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상기 제 1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상기 제 2 조명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서버의 동작방법.

KR1020190087714A 2019-07-19 2019-07-19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90092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14A KR20190092332A (ko) 2019-07-19 2019-07-19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US16/684,475 US11206726B2 (en) 2019-07-19 2019-11-14 Smart light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14A KR20190092332A (ko) 2019-07-19 2019-07-19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332A true KR20190092332A (ko) 2019-08-07

Family

ID=6762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14A KR20190092332A (ko) 2019-07-19 2019-07-19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06726B2 (ko)
KR (1) KR201900923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2197A (zh) * 2020-03-09 2020-06-26 湖北亿咖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娱乐系统的灯光控制方法、装置及车载娱乐系统
CN113160808A (zh) * 2020-01-22 2021-07-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及其系统、语音控制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2795B (zh) * 2019-11-18 2022-04-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功能控制方法、功能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867144B (zh) * 2023-09-04 2024-01-26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神经网络的助航灯光亮度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967B1 (en) * 1997-08-26 2003-04-15 Color Kinetics, Inc. Universal lighting network methods and systems
KR101033567B1 (ko) 2003-12-26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JP6135267B2 (ja) * 2013-04-16 2017-05-31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830248B1 (ko) * 2013-04-16 201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엘이디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188090B1 (ko) 2013-12-11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2164204B1 (ko) * 2014-01-28 2020-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실내 조명 장치, 실내 조명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TWI665939B (zh) * 2017-12-19 2019-07-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燈具控制方法、燈具控制裝置及電腦程式產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0808A (zh) * 2020-01-22 2021-07-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及其系统、语音控制设备
CN111332197A (zh) * 2020-03-09 2020-06-26 湖北亿咖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娱乐系统的灯光控制方法、装置及车载娱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2218A1 (en) 2021-01-21
US11206726B2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2332A (ko) 스마트 조명 및 이의 동작방법
US10212040B2 (en) Troubleshooting voice-enabled home setup
US10825453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037687A (ko) 복수의 음성 인식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80315427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79491B2 (en) Signaling device for teaching learning devices
KR1025733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10427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expression by using framework
US9171454B2 (en) Magic wand
US20160227474A1 (en) Multi-device network setup
KR102423298B1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JP2021505923A (ja) 音声命令による位置基盤音声認識システム(A Location Based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A Voice Command)
US113145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from electronic device
US10908568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90019509A1 (en) Vo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194545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fter partial landing
KR102345883B1 (ko)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4798A (ko)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100353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1015104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telligent assistance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1003557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o execute function according to voice command thereof
US20200012273A1 (en) Communication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90113130A (ko) 사용자 음성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
CN113261055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63818B1 (ko)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