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214A -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214A
KR20190092214A KR1020180078698A KR20180078698A KR20190092214A KR 20190092214 A KR20190092214 A KR 20190092214A KR 1020180078698 A KR1020180078698 A KR 1020180078698A KR 20180078698 A KR20180078698 A KR 20180078698A KR 20190092214 A KR20190092214 A KR 2019009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entral portion
tube
heat exchang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061B1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주)성진정공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정공, 이용진 filed Critical (주)성진정공
Priority to PCT/KR2019/0012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51758A1/ko
Publication of KR2019009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1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상기 유동경로로 냉매가 공급되거나 상기 유동경로를 통과한 냉매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이 설치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다수의 냉매튜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튜브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튜브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확장할 수 있어 냉매와 외기와의 열접촉 시간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튜브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냉매와 외기의 접촉시간을 확장하여 냉매튜브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에 구현되는 냉동사이클은 저온저압의 가스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승온승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를 외기에 의해 냉각, 응축시켜 액체냉매로 변환시 키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을 통과한 액체냉매가 저압 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증발함에 따라 냉장고의 고내 또는 에어컨에서 송풍되는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외기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 즉,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종래에 단면이 중공인 원형의 냉매튜브가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며, 상기 냉매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핀이 일정 간격으로 밀착되어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냉매튜브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상기 냉매튜브가 설치된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냉각핀이 열교환 면적과 열전도율을 높임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튜브는 사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부피가 크고, 내부유로의 길이가 제한적이어서 냉매튜브의 열교환효율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625호: 열교환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냉매튜브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상기 유동경로로 냉매가 공급되거나 상기 유동경로를 통과한 냉매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이 설치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다수의 냉매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냉매튜브는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이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3 및 제4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냉매튜브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설치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드록 브라켓이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냉매튜브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튜브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냉매튜브들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파지부재와, 상기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파지부재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파지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파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 중 다른 하나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속되기 위한 결속슬롯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들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상호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냉매튜브로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냉매튜브를 통과한 냉매를 수용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준비하는 헤더 준비단계와, 상기 매니폴드를 소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상기 냉매튜브들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하는 연결단계와, 상기 매니폴드가 설치된 냉매튜브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튜브들에 스페이서를 세팅하는 세팅단계와, 상기 세팅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들을 다단으로 절곡하는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 준비단계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마련된 결속관의 일단부에 공급관 또는 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관결합부를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결속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결속관이 변형될 수 있게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에 다수회 가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관의 타단부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결합부를 성형하여 상기 매니폴드를 제조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냉매튜브의 중앙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인입홈이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냉매튜브의 절곡시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냉매튜브들을 절곡하고, 상기 가공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지지된 상기 스페이서를 설치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설치하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냉매튜브는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이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형성되도록 절곡성형한다.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부분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3 및 제4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절곡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냉매튜브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튜브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확장할 수 있어 냉매와 외기와의 열접촉 시간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교환기의 냉매튜브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열교환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열교환기의 냉매튜브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열교환기의 스페이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열교환기 제조방법의 세팅단계의 작업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100)와, 응축기(300)와, 모세관(500)과, 증발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변화시킨다.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시킨 냉매는 토출관(150)을 통해 상기 응축기(300)로 토출시킨다.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화되어 상기 토출관(150)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매를 사행(蛇行)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유로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상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킨다.
상기 응축기(300)는 통상 상화좌우로 연속 절곡된 상태를 이루는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300)와 모세관(500)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300) 측에 근접되도록 상기 응축기(300) 측으로 편중되어 드라이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어(200)에 의해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제습되어 상기 모세관(5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토출관(150)에 비해 길이가 길고 지름이 작은 관으로, 상기 응축기(300)를 거친 상온 고압의 액체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을 지나는 동안 냉매가 팽창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세관(500)은 상기 압축기(10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증발기(700)에서 기화되는 양을 충당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는 알맞은 양의 액체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냉매량을 조절한다. 상기 모세관(500)은 고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압력으로 저하시켜, 냉매가 상기 모세관(500)의 단부에 이르렀을 때 냉매의 일정 범위의 양이 기화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7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 방향으로는 짧은 폭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긴폭으로 이격된다. 그러면, 상기 증발기(700)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형상을 이루며 밴딩될 수 있으나, 그 밴딩 방법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와 상기 증발기(7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를 거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는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정지 시 내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며, 그 일부가 액상으로 변하여 축적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는 가동에 적합한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입구 측에는 상기 증발기(700)와 연결되는 연결부(9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흡입관(130)에 의해 상기 압축기(100)가 연결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900)의 출구 측에는 상기 흡입관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9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체와 작동유체인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냉매튜브가 매니폴드(34)에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튜브가 설치되는 곳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300)와 상기 증발기(700)가 모두 해당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상기 응축기(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증발기(7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10)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상기 유동경로로 냉매가 공급되거나 상기 유동경로를 통과한 냉매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34)가 설치되며, 중앙부(31)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다수의 냉매튜브(30)를 구비한다.
프레임(20)은 상기 냉매튜브(30)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냉매튜브(30)들의 중앙부(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1)와, 상기 지지부재(21)에 설치되며, 설치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드록 브라켓(25)이 마련된 고정유닛(22)을 구비한다.
지지부재(2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냉매튜브(30)의 중앙부(31) 및 중앙부(31)에 인접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곡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21)는 외주면에 냉매튜브(30)의 중앙부(31)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인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은 지지부재(21)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인입홈은 지지부재(21)의 외주면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유닛(22)은 지지부재(21)의 후단부에 고정된 연결로드(23)와, 고정로드(24)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양측에 각각 브라켓(25)이 마련된 고정로드(24)를 구비한다.
연결로드(23)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단부에 지지부재(21)의 후단부가 고정된다. 고정로드(24)는 연결로드(23)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좌우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이때, 고정로드(24)의 양단부에는 각각 브라켓(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5)은 고정로드(24)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고정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고정볼트를 설치대상물 즉,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 또는 건축물의 벽면에 볼팅하여 프레임(20)을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매니폴드(34)는 복수개가 다수의 냉매튜브(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매니폴드(34)는 일측면에, 수용공간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관(35) 또는 수용공간의 냉매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관(36)이 각각 설치되며, 타측면에는 다수의 냉매튜브(30)의 단부가 설치된다.
주입관(35)을 통해 냉매튜브(30)들의 일단부에 설치된 매니폴드(34)로 공급되고, 매니폴드(34)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냉매는 냉매튜브(30)들에 주입된다. 냉매튜브(30)들을 통과한 냉매는 냉매튜브(30)들의 타단부에 설치된 매니폴드(34)로 배출되고, 매니폴드(34)에 설치된 유출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냉매튜브(30)는 내부에 이동경로가 마련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소정의 배열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프레임(20)의 지지부재(21)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냉매튜브(30)는 이동경로로 냉매가 유입되되, 이동경로 내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각각 상기 매니폴드(34)가 설치되며, 열전달율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매튜브(30)는 중앙부(31)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32)과 중앙부(31)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33)이 상기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있습니다. 즉, 상기 냉매튜브(30)의 제1단위부분(32)은 상기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매튜브(30)의 제2단위부분(33)은 상기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어 있습니다.
이때, 상기 제1단위부분(32)은 상기 중앙부(3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단위부분(33)은 상기 냉매튜브(30)의 제2단위부분(33)은 상기 중앙부(3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단위부분(33)은 상기 중앙부(31)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32)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단위부분(33)은 상기 중앙부(31)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32)의 나선진행방향과 나란한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위부분(32)은 냉매튜브(30)의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왼쪽으로 감기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제2단위부분(33)도 냉매튜브(30)의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왼쪽으로 감기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는 냉매튜브(30)의 중앙부(31)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튜브(30)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확장할 수 있어 냉매와 외기와의 열접촉 시간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냉매튜브(30)의 제1단위부분(32)과 제2단위부분(33)이 중앙부(31)를 중심으로 상호 나란한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냉매튜브(3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냉매튜브(30)의 양단부가 각각 냉매튜브(3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매니폴드를 비교적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10)의 냉매튜브(120)는 중앙부(121)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122)과 중앙부(121)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33)이 상기 중앙부(121)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형성되되, 다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냉매튜브(120)의 제1단위부분(122)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124)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125)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 적용되고, 제2방향은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방향이 적용된다. 또한, 제1단위부분(122)은 냉매튜브(120)의 중앙부(121)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중앙부(12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124,125)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매튜브(120)의 제2단위부분(123)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126)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127)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3방향은 상하방향이 적용되고, 제4방향은 제3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방향이 적용된다. 또한, 제2단위부분(123)은 냉매튜브(120)의 중앙부(121)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중앙부(121)로부터 멀어질수록 제3 및 제4연장파트(126,127)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단위부분(123)은 상기 중앙부(1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122)의 선회방향에 대응되는 선회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단위부분(123)은 상기 중앙부(1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122)의 선회방향과 나란한 선회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제1단위부분(122)은 냉매튜브(120)의 중앙부(121)를 중심으로 왼쪽으로 감기는 사각 구조로 형성되며, 제2단위부분(123)도 냉매튜브(120)의 중앙부(121)를 중심으로 왼쪽으로 감기는 사각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냉매튜브(120)의 중앙부(121)도 제1단위부분(122)의 제1연장파트(124) 및 제2단위부분(123)의 제2연장파트(125)에 연결되도록 양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냉매튜브(120)가 사각구조을 갖도록 다단으로 절곡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냉매튜브(1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각 또는 육각과 같이 다각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200)는 지지부재(21) 대신에, 냉매튜브(120)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튜브(120)들에 설치된 다수의 스페이서(210)를 구비한다. 이때, 브라켓(220)은 연결로드 및 고정로드 대신에 상부에 냉매튜브(120)들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홈(221)이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210)는 냉매튜브(120)들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1파지부재(211)와, 상기 제1파지부재(211)에 결합되는 제2파지부재(212)와,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3)를 구비한다.
제1파지부재(21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냉매튜브(120)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삽입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홈(214)은 제1파지부재(211)의 외측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제1파지부재(211)의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파지부재(211)는 제2파지부재(21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속되기 위한 결속슬롯이 마련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타단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파지부재(211)의 일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파지부재(21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파지부재(212)의 일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파지부재(212)는 상기 제1삽입홈(214)이 형성된 제1파지부재(211)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파지부재(211)에 접촉될 수 있게 제1파지부재(211)에 대응되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타단부가 제1파지부재(211)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장형성된다. 제2파지부재(212)는 제1파지부재(211)에 지지된 냉매튜브(120)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홈(214)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삽입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13)는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를 상호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213)는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을 갖되, 상기 인입공간으로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C'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13)는 다수개가 상기 제1삽입홈(214)들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211,212)에 결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210)는 냉매튜브(120)들의 상호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냉매튜브(120)들을 지지하므로 운반이나 조립시 외부 충력이 인가되더라도 냉매튜브(120)들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스페이서(210)가 냉매튜브(120)들의 상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페이서(2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냉매튜브(120)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냉매튜브(120)들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매니폴드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비교적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파지부재(212)는 제1파지부재(21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파지부재(211)는 제2파지부재(212)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마련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일단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헤더 준비단계(S101), 설치단계, 연결단계(S105), 세팅단계(S110), 가공단계(S120) 및 설치단계(S130)를 포함한다.
헤더 준비단계(S101)는 냉매튜브(120)로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냉매튜브(120)를 통과한 냉매를 수용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제1성형단계(S102), 가압단계(S103), 제2성형단계(S104)를 포함한다.
제1성형단계(S102)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마련된 결속관의 일단부에 공급관 또는 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관결합부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공급관 또는 배출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급관 또는 배출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결속관의 일단부를 성형하여 제1관결합부를 성형한다. 이때, 제1관결합부가 마련된 결속관을 복수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단계(S103)는 상기 결속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결속관이 변형될 수 있게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에 다수회 가압력을 인가하는 단계이다. 이때, 결속관의 가압부분은 제1관결합부를 제외한 결속관의 일부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의 결속관이 비교적 납작한 형상의 타원형상이 되도록 소정의 가압력을 다수회 결속관에 인가한다. 납작한 형상의 결속관은 매니폴드로 성형시 부피가 비교적 적어 설치공간이 협소한 설치대상물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성형단계(S104)는 가압단계(S103) 이후에, 상기 결속관의 타단부에 상기 냉매튜브(120)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결합부를 성형하여 상기 매니폴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결속관의 타단부 가압부분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결속관의 중앙부분보다 폭을 축소시켜 제2관결합부를 성형한다.
설치단계는 상기 매니폴드를 소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상기 냉매튜브(120)들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이다. 냉매튜브(120)들을 상호 이격되게 배열한 다음, 냉매튜브(120)의 양단부에 각각 매니폴드를 결합한다. 이때, 작업자는 냉매튜브(120)를 매니폴드의 제2관결합부에 삽입한 다음, 브레이징 작업을 통해 매니폴드와 냉매튜브(120)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팅단계(S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51)에 다수의 냉매튜브(50)를 소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세팅하는 단계이다.
이때, 스페이서(51)는 냉매튜브(50)의 길이보다 작은 좌우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스페이서(51)의 상면에는 냉매튜브(50)들의 중앙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인입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53)은 스페이서(51)의 상면에 대해 하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배열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스페이서(51)의 인입홈(53)들에 각각 냉매튜브(50)의 중앙부가 삽입하여 스페이서(51)에 냉매튜브(50)들을 세팅한다. 이때, 냉매튜브(50)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매니폴드(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팅단계(S110)에서, 상기 스페이서(51) 대신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210)를 냉매튜브(120)들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다수의 스페이서(210)를 냉매튜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가공단계(S120)는 세팅단계(S110) 이후에, 상기 세팅단계(S110)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50)들이 다단으로 구부리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스페이서(51)에 상기 냉매튜브(50)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페이서(51)와 함께 상기 냉매튜브(50)들을 절곡한다.
한편, 상기 냉매튜브(50)는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이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형성되도록 절곡성형한다. 이때, 냉매튜브(50)가 제1실시 예의 냉매튜브(30)로 성형되도록 상기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성형될 수 있다.
또한, 냉매튜브(50)가 제2실시 예의 냉매튜브(120)로 성형되도록 상기 제1단위부분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124)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125)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124,125)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126)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127)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12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3 및 제4연장파트(126,127)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절곡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51)는 냉매튜브(50)들과 함께 절곡되어 프레임(20)의 지지부재(21)로 성형된다.
한편, 냉매튜브(50)들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스페이서(210)가 설치된 경우에는 가공단계(S120)에서, 스페이서(210)들을 제외한 냉매튜브(50)를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단계(S130)는 상기 가공단계(S120)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50)들이 지지된 상기 스페이서(51)를 설치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25)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가공단계(S120)에서 절곡된 스페이서(51)를, 양단부에 브라켓(25)이 설치된 고정유닛(22)에 고정한다. 이때, 스페이서(51)의 후단부를 고정유닛(22)의 연결로드(23) 상단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선형으로 연장된 냉매튜브(50)를 스페이서(51)에 세팅한 다음 냉매튜브(50)들과 함께 절곡하므로 냉매튜브(50)와 프레임(20)의 지지부재(21)의 성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제조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냉매튜브(50)들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스페이서(210)가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단계(S130)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브라켓(220)에 냉매튜브(50)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열교환기
20: 프레임
21: 지지부재
22: 고정유닛
23: 연결로드
24: 고정로드
25: 브라켓
30: 냉매튜브
31: 중앙부
32: 제1단위부분
33: 제2단위부분
34: 매니폴드
35: 주입관
36: 유출관

Claims (17)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고, 양단부에 각각 상기 유동경로로 냉매가 공급되거나 상기 유동경로를 통과한 냉매를 수집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가 설치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양단부가 각각 다단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다수의 냉매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는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이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의 제1단위부분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고,
    상기 냉매튜브의 제2단위부분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3 및 제4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냉매튜브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설치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드록 브라켓이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튜브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냉매튜브들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파지부재;
    상기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파지부재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파지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냉매튜브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삽입홈이 형성된 제2파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 중 다른 하나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속되기 위한 결속슬롯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들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상호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지부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냉매튜브로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냉매튜브를 통과한 냉매를 수용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준비하는 헤더 준비단계와;
    상기 매니폴드를 소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상기 냉매튜브들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하는 연결단계와;
    상기 매니폴드가 설치된 냉매튜브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튜브들에 스페이서를 세팅하는 세팅단계와;
    상기 세팅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들을 다단으로 절곡하는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준비단계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마련된 결속관의 일단부에 공급관 또는 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관결합부를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결속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결속관이 변형될 수 있게 상기 결속관의 가압부분에 다수회 가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관의 타단부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결합부를 성형하여 상기 매니폴드를 제조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냉매튜브의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냉매튜브의 중앙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인입홈이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냉매튜브의 절곡시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냉매튜브들을 절곡하고,
    상기 가공단계 이후에, 상기 냉매튜브들이 지지된 상기 스페이서를 설치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설치하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냉매튜브는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1단위부분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의 제2단위부분이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형성되도록 절곡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1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제2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반경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단위부분의 나선진행방향에 대응되는 나선진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부분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은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제4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연장파트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되, 상기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3 및 제4연장파트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절곡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20180078698A 2018-01-30 2018-07-06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1259 WO2019151758A1 (ko) 2018-01-30 2019-01-30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26 2018-01-30
KR20180011426 201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214A true KR20190092214A (ko) 2019-08-07
KR102097061B1 KR102097061B1 (ko) 2020-05-27

Family

ID=6762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98A KR102097061B1 (ko) 2018-01-30 2018-07-06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96A (ko) * 2020-01-09 2021-07-19 정원식 냉매 관 자동 절곡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424A (ja) * 1986-07-16 1988-02-02 ルンタル ホルデイング カムパニ− エス ア− 暖房器
JP2002147988A (ja) * 2000-11-09 2002-05-22 Matsushita Refrig Co Ltd スパイラル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の固定装置
KR20040085696A (ko) * 2003-04-01 2004-10-08 송희성 열교환기용 콘덴서의 구조
KR20070062266A (ko) * 2005-12-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배기, 분배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3947A (ko) * 2008-11-05 2011-09-21 더 트러스티즈 오브 다트마우스 칼리지 진동―전열 제상부를 구비한 냉매 증발기
KR20140116625A (ko) 2013-03-25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424A (ja) * 1986-07-16 1988-02-02 ルンタル ホルデイング カムパニ− エス ア− 暖房器
JP2002147988A (ja) * 2000-11-09 2002-05-22 Matsushita Refrig Co Ltd スパイラル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の固定装置
KR20040085696A (ko) * 2003-04-01 2004-10-08 송희성 열교환기용 콘덴서의 구조
KR20070062266A (ko) * 2005-12-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배기, 분배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3947A (ko) * 2008-11-05 2011-09-21 더 트러스티즈 오브 다트마우스 칼리지 진동―전열 제상부를 구비한 냉매 증발기
KR20140116625A (ko) 2013-03-25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996A (ko) * 2020-01-09 2021-07-19 정원식 냉매 관 자동 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61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4886B1 (en) Heat exchanger
US10465924B2 (en) Heat exchanger
WO2010011452A2 (en) Adapter for heat exchanger
US20120103585A1 (en) Heat exchanger
US20120103581A1 (en) Header unit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JP2019052784A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CN106352729A (zh) 微通道换热器和具有其的制冷设备
US7013961B2 (en) End plat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92214A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0570B1 (ko) 열교환기
EP3789697B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EP2713135B1 (en) Heat exchanger
EP2135016B1 (en) A condenser
KR20180087776A (ko)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
JP705752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9151758A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9473B1 (ko) 냉장 및 냉동기용 열교환기
EP3472546B1 (en) Multichannel evaporator system for a refrigerating device
KR20030042708A (ko) 공조장치의 열교환기
US20220196345A1 (en) Heat exchang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191810B1 (ko)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33188A (ja) 内部熱交換器
KR20040082215A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의 냉각핀 배열 구조
KR20040017968A (ko) 열교환기의 물빠짐 구조
KR20180118292A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