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702A -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 Google Patents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702A
KR20190091702A KR1020180010578A KR20180010578A KR20190091702A KR 20190091702 A KR20190091702 A KR 20190091702A KR 1020180010578 A KR1020180010578 A KR 1020180010578A KR 20180010578 A KR20180010578 A KR 20180010578A KR 20190091702 A KR20190091702 A KR 20190091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rod member
pet dog
fixing plat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702A/ko
Publication of KR2019009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의 착용물과 견인줄을 연결하는 위치를 적어도 애완견의 등판보다 높게 설정하여 견인줄이 느슨해져도 애완견의 등판 위에 있도록 하여,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돌발행동이나 제자리에서 맴돌아도 견인줄이 애완견의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애완견의 착용물, 예를 들어 목걸이, 어깨벨트와 같은 폭이 좁은 벨트형상 착용물이나, 의류와 같이 넓은 면적의 패드형상 착용물에도 모두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은, 애완견의 착용물에 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막대부재와, 상기 막대부재의 상단에 막대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견인줄의 고리를 걸기 위한 걸이구멍이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막대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막대부재를 폭이 좁은 벨트형상 착용물이나 넓은 면적의 패드형상 착용물 모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Guide pole for lead strap of pet}
본 발명은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견의 목걸이나 가슴벨트에 연결하는 견인줄이 애완견의 돌발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도 애완견의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과 외출할 때에는 견인줄을 사용하여 관리함으로써 물림사고를 예방하고 타인에 대한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있다.
최근, 애완견에 의한 물림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견인줄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고, 이로 인해 견인줄 사용이 의무화되어 견인줄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견인줄은 그 끝단에 구비된 고리를 애완견이 착용하고 있는 목걸이나 가슴벨트에 걸어 메는 구성이므로, 견인줄이 느슨해진 상태에서는 견인줄이 아래로 처져 애완견이 돌발적인 행동이나 제자리에서 맴도는 행동을 할 때,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시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견인줄의 엉킴이나 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47358호의 애완견 견인줄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애완견의 등판을 감싸는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애완견의 움직에 대응하여 회전운동하는 자유회전수단과,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자유회전수단에 연결는 견인로프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애완견이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급속히 방향을 바꾸는 돌출행동을 하더라도 상기 자유회전수단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회전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견인로프의 꼬임이 발생하거나 상기 견인로프가 애완견의 신체부위를 옥죄는 엉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는 자유회전수단의 회전지점이 애완견의 등판을 감싸는 고정본체와 자유회전수단이 연결되는 고정위치, 즉 애완견의 등판과 동일 높이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견인줄이 느슨해지면 역시 애완견 등판 아래로 처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제자리에서 맴도는 행동을 할 경우, 견인줄이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은, 자유회전수단의 설치가 고정본체에 형성한 나사체결공을 이용한 나사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자유회전수단의 설치 대상이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본체에 한정되어 나사체결공이 없는 다른 애완견의 착용물에는 자유회전수단을 설치하기 어려워 호환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애완견의 착용물과 견인줄을 연결하는 위치를 적어도 애완견의 등판보다 높게 설정하여 견인줄이 느슨해져도 애완견의 등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돌발행동이나 제자리에서 맴돌아도 견인줄이 애완견의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완견의 착용물, 예를 들어 목걸이, 어깨벨트와 같은 폭이 좁은 벨트형상 착용물이나, 의류와 같이 넓은 면적의 패드형상 착용물에도 모두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견의 착용물에 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막대부재와, 상기 막대부재의 상단에 견인줄의 고리를 걸기 위한 걸이구멍이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막대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막대부재를 폭이 좁은 벨트형상 착용물이나 넓은 면적의 패드형상 착용물 모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막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2단 분리되어 상호 끼워맞춤 결합된 제1 및 제2 막대로 이루어져, 막대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기구는, 막대부재 하단에 고정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힌지핀으로 상부고정판에 결합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힌지핀에 설치되어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대향하는 고정면이 항상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하부고정판의 고정면에 형성되어 애완견의 착용물과의 고정력을 높이는 톱니형상부로 이루어진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줄의 고리를 애완견의 착용물에 세워 설치된 막대부재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체에 걸어 연결하게 되면, 막대부재에 의해 견인줄의 연결위치를 애완견의 등판으로부터 위방향으로 소정 높이에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견인줄이 느슨해져도 애완견의 등판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애완견이 제자리에서 맴도는 경우에도 견인줄의 연결 끝부분이 애완견의 등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처진 견인줄이 애완견의 몸이나 다리에 감길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막대부재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착용물에 착탈 가능하고, 고정기구는 착용물이 끈형태의 목걸이나 가슴벨트 또는 패드형태의 의료인 것에 관계없이 모두 착탈 가능하여 호환성을 가지며, 막대부재의 길이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됨에 따라 애완견의 크기에 따라 견인줄의 연결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에서 고정기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10)은, 애완견의 착용물(1)에 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막대부재(20)를 구비한다.
막대부재(2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면서 탄성복원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 또는 낚시대 재료로 사용되는 카본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2단 분리한 관형상의 제1 막대(21)와 제2 막대(22)로 이루어지고, 제1 막대(21)의 외경을 제2 막대(22)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제2 막대(22)의 내경에 제1 막대(21)의 외경이 끼워져 상호 결합하여 막대부재(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막대(22)에 구비된 조임나사(50)는 조임상태를 느슨하게 하면, 제1 막대(21)와 제2 막대(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강하게 조이면 제1 막대(21)와 제2 막대(22)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막대부재(20)의 상단에는 견인줄(3)의 고리(4)를 연결하기 위한 회전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수단은 견인줄(3)이 막대부재(20)의 길이방향인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수단(40)은, 회전체(41)를 구비한다. 회전체(4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막대부재(20)의 외경에 끼워져 막대부재(20)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회전체(41)의 일측에 견인줄(3)의 고리(4)를 걸기 위한 걸이구멍(42)이 구비된다.
막대부재(20)의 하단에는 막대부재(20)를 애완견의 착용물(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슴벨트를 착용물(1)로서 예시하고 있으며, 고정기구(30)를 등판에 위치한 가슴벨트의 끈(2)에 고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기구(30)는 도 3에서와 같이 애완견의 착용물, 예를 들면 목걸이나 가슴벨트와 같은 끈형태의 착용물(A)나 애완견 의류와 같이 면적이 넓은 패드형태의 착용물(B)에도 모두 착탈 가능하게 하여 애완견의 모든 착용물에 막대부재(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고정기구(30)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기구(30)는, 막대부재(20) 하단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부고정판(31)과, 상기 상부고정판(3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고정판(32)을 구비한다.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은 대략 중간 지점에서 힌지핀(33)으로 결합되고, 힌지핀(33)에는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대향하는 고정면이 항상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5)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5)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한다.
상부고정판(31)의 일단은 하부고정판(32)과 이격되도록 경사진 누름부(34)를 형성하여 누름부(34)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대향하는 고정면이 이격되고, 누름부(34)의 누름력을 해제하며, 탄성부재(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고정면이 밀착하여 끈형태 착용물(A) 또는 패드형태 착용물(B)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고정면에는 톱니형상부(31a,32a)를 다수 형성하여 착용물과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부재(20)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기구(30)를 이용하게 되면, 애완견의 착용물이 목걸이나 어깨벨트와 같이 끈형태 착용물(A)인 경우 또는 애완견 의류와 같이 면적이 넓은 패드형태 착용물(B)인 경우에도 모두 착탈이 가능하다.
즉, 고정기구(30)의 누름부(34)를 누르게 되면 힌지핀(33)을 중심으로 상,하부고정판(32)의 고정면 사이가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고, 이 고정면 사이에 끈형태 착용물(A) 또는 패드형태 착용물(B)을 끼워 넣고, 누름부(34)의 누름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하부고정판(32)의 고정면이 착용물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시 고정기구(30)의 누름부(34)를 누르게 되면, 상,하부고정판(31,32)이 벌어져 착용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기구(30)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착용물에 막대부재(20)를 고정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부재(20)는 애완견의 등판에 위치한 착용물(1)의 끈(2)로부터 위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막대부재(20)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체(41)의 걸이구멍(42)에 견인줄(3)의 고리(4)를 걸어 연결하게 되면, 견인줄(3)의 연결위치를 애완견의 등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막대부재(20)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된 것으로, 조임나사(50)를 느슨하게 하면, 제1 막대(21)와 제2 막대(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후 조임나사(50)를 조이게 되면, 막대부재(2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막대부재(20) 길이조절수단에 의해서는 애완견의 크기에 따라 지면에서부터 어깨높이가 다르므로, 이에 대응하여 견인줄(3)의 고리(4) 연결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대부재(20)가 고정기구(30)에 의해 애완견의 착용물(1)에 위방향으로 세워 설치되고 막대부재(20)의 상단에 견인줄(3)의 고리(4)를 연결함에 따라, 견인줄(3)의 고리(4) 연결 높이를 애완견의 어깨 또는 등판 높이보다 높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써 견인줄(3)이 느슨해져 밑으로 처진 상태가 되어도 처진 견인줄(3)이 애완견의 등판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애완견이 돌발 행동을 하거나 제자리에서 멤돌 경우에도, 견인줄(3)이 애완견의 몸이나 다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견인줄(3)의 고리(4)가 걸린 회전체(41)는 막대부재(20)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막대부재(20)에 견인줄(3)이 감기거나 엉킬 염려가 없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20 : 막대부재
21 : 제1 막대 22 : 제2 막대
30 : 고정기구 31,32 : 상,하부고정판
31a,32a : 톱니형상부 33 : 힌지핀
34 : 누름부 35 : 탄성부재
40 : 회전수단 41 : 회전체
42 : 걸이구멍 50 : 조임나사

Claims (3)

  1. 애완견의 착용물에 위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세워져 설치되는 막대부재와,
    상기 막대부재의 상단에 막대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견인줄의 고리를 걸기 위한 걸이구멍이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막대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막대부재를 폭이 좁은 벨트형상 착용물이나 넓은 면적의 패드형상 착용물 모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2단 분리되어 상호 끼워맞춤 결합된 제1 및 제2 막대로 이루어져, 막대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막대부재 하단에 고정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힌지핀으로 상부고정판에 결합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힌지핀에 설치되어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의 대향하는 고정면이 항상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KR1020180010578A 2018-01-29 2018-01-29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KR20190091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78A KR20190091702A (ko) 2018-01-29 2018-01-29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78A KR20190091702A (ko) 2018-01-29 2018-01-29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02A true KR20190091702A (ko) 2019-08-07

Family

ID=6762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78A KR20190091702A (ko) 2018-01-29 2018-01-29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828A (ko) 2021-10-28 2023-05-08 송근영 반려동물용 견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828A (ko) 2021-10-28 2023-05-08 송근영 반려동물용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9326A (en) Extendible restraining device
US2737154A (en) Expansible dog leash
US5359964A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US5934224A (en) Leash-controllable dog harness formed by continuous loop
CA2889915C (en) Convertible leash and harness system and method
US8356579B2 (en) Dog training collar with interconnecting links
CA2398944C (en) Retaining and guiding device
US20130074783A1 (en) Leash slack control system
US5141074A (en) Lineman's pole strap assembly
US4735035A (en) Lead rope
US4479785A (en) Leg rope for a surfboard
GB2336287A (en) Single strap strain reducing dog harness
KR20220164401A (ko) 사전교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190091702A (ko) 애완견 견인줄 가이드 폴
WO2005117572A1 (en) Animal restraining harness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US20160309683A1 (en) Pet Collar and Leash Device
US7117659B1 (en) High visibility article with safety release link
KR20190124618A (ko) 반려동물용 보조 견인줄 및 이를 포함한 견인줄 세트
KR200482628Y1 (ko) 애완동물 견인기
JP3163270U (ja) 子ども用サブリード及びこれを備えるペットリード
KR200491527Y1 (ko) 반려 동물 가변 안전 리드줄
US2987845A (en) Tie clip for fish lines and the like
US816264A (en) Leader-link.
KR102232712B1 (ko) 사전교감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하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