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721A -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721A
KR20190090721A KR1020190009781A KR20190009781A KR20190090721A KR 20190090721 A KR20190090721 A KR 20190090721A KR 1020190009781 A KR1020190009781 A KR 1020190009781A KR 20190009781 A KR20190009781 A KR 20190009781A KR 20190090721 A KR20190090721 A KR 2019009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rganic
zirconium
metal
organic structure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86B1 (ko
Inventor
최경민
신동식
류언진
정혜리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9/0010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47065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분해성을 가지는 소재를 기반으로 특정 외부 자극에 의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받아 분해되어 광분해성을 가지는 유기링커를 생체적합성을 가진 금속이온과 함께 조립하여 제조된 광분해성 다공성 금속유기구조체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Light-cleavage metal organic frameworks and method of synthesis therof}
본 발명은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분해성을 가지는 소재를 기반으로 특정 외부 자극에 의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받아 분해되어 광분해성을 가지는 유기링커를 생체적합성을 가진 금속이온과 함께 조립하여 제조된 광분해성 다공성 금속유기구조체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금속유기구조체(metal-organinc frameworks, MOFs)는 이차 결합 유닛이라 불리는 연결 금속 클러스터와 유기 연결 부분(moiety)에 의해 구축되는 다공성 결정질 물질이다.
금속유기구조체는 미국특허 제5,648,508호, EP 0790253호, 미국특허 제6,965,02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648,508호 및 EP 0790253호는 신규한 결정질 미세 다공성 고체 조성물,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 다공성 물질은 액체 및 기체로부터의 불순물 분자 또는 이온 흡착에 유용하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6,965,026호에는 정점에 연결된 분자 빌딩 블록을 갖는 나노스케일의 다면체형 분자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연구된 금속유기구조체는 다양한 용도를 갖는데 예컨대 물질의 저장(예를 들어 가스 저장), 물질의 분리 또는 촉매작용 및 센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금속유기구조체는 보통 높은 표면적 및 높은 다공성을 갖는다.
종래 생체적합성 다공성 물질은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중심으로 한 무기물을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외부자극에 의해 분해되는 다공성 물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무기물 다공성 물질의 경우 다양한 전달 물질에 따른 내부 공간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전달물질을 담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외부자극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유기물이나 고분자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여 다공성 구조체를 만든 연구는 없다. 나노 금속유기구조체(ZIF-8) 입자를 합성하고 폴리(락트산)/ZIF-8 나노 복합체 필름을 용매-블렌딩 및 필름-캐스팅 방법으로 제조한 연구결과 등이 소개된바 있다.
금속유기구조체의 경우 최근 이를 약물전달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있다. Miller 등은 비독성 철 및 니코틴산 링커로 구축된 MOF를 생체활성물질 전달에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생체 내 환경에서 분해되면서 치료제가 방출됨으로써, 약물 전달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외부자극에 의해 분해되는 구조체의 합성이나 개발에 관한 시도는 거의 없다.
미국특허 제5,648,508 EP 0790253호 미국특허 제6,965,026호
Xiaowei Shi et al., "Degradable Poly(lactic acid)/Metal-Organic Framework Nanocomposites Exhibiting Good Mechanical, Flame Retardant, and Dielectric Properties for the Fabrication of Disposable Electronics" Ind. Eng. Chem. Res., 2017, 56 (14), pp 3887-3894 Stuart R. Miller et al., "Biodegradable therapeutic MOFs for the delivery of bioactive molecules" Chem Commun (Camb). 2010 Jul 7;46(25), pp 4526-4528 Veronica San Miguel et al., "Wavelength-selective caged surfaces: How many functional levels are possible?" J. Am. Chem. Soc. 2011, 133, pp 5380-5388
본 발명에서는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는 다공성 소재를 기반으로 빛의 조사를 통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구조체는 생체 환경에 사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외부 물질을 전달하는 담지체로 작용할 수 있고, 빛의 조사로 인해 능동적으로 분해됨으로써 담지하고 있는 물질을 방출할 수 있으며, 표면 기능화를 통해 표적기관으로의 전달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유기구조체 제조 시 광분해성 모이어티를 도입함으로써 빛의 조사라는 특정 외부 자극에 의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빛의 조사라는 특정 외부 자극에 의해 분해되는 유기링커를 합성하여 이를 금속유기구조체 제조 시 링커로 사용함으로써 전달 물질이 담지된 금속유기구조체에 특정 외부 자극을 가함으로써 전달 물질의 능동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하고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유기구조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s)로서, 광분해성 화합물을 링커로서 공유하면서 금속 이온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반복되는 구조체 구조인, 금속유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금속이온은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Cd, La, W, Os, Ir, Pt, Au, Hg, Sm, Eu, Gd, Tb, Dy, Ho, Al, Ga, In, Ge, Sn, Pb,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의 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금속이온은 Zr 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지르코늄 이온은 최소 하나의 지르코늄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지르코늄 염은 지르코늄 아세테이트, 지르코늄 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카르복실레이트, 지르코늄 설페이트, 지르코늄 하이드록사이드, 지르코늄 나이트레이트, 지르코늄 옥시나이트레이트, 지르코늄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시클로라이드, 지르코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반복되는 구조체 형태인 경우, 구조체에 포함된 금속이온들은 각 구조체 내에 포함된 광분해성 화합물을 링커로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유닛셀 내부, 즉 상기 단위 구조체 내부에 기능성 물질을 내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기능성 물질은 기체, 금속이온, 산화물, 약물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약물 및 화장품은, 항균성 물질, 항균성 화장료, 자외선 흡수 물질, 자외선 반사 물질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분해성 화합물로는,
4-((1-카르복시-2-(3-니트로페닐)에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노산[4-(1-carboxy-2-(2-nitrophenyl)ethyl)amino)-4-oxobut-2-enoic acid] 및 그 밖에도 Veronica San Miguel et al.(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 133, 5380-5388) 등에 개시되어 있는 오쏘-니트로벤질, 벤조인, (쿠마린-4-일)메틸, 7-니트로인돌린, 파라-히드록시펜아실 기를 포함하는 광분해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분해 성질을 갖는 화합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구조체는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는 소재를 기반으로 빛의 조사를 통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구조체는 생체 환경에 사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외부 물질을 전달하는 담지체로 작용할 수 있고, 빛의 조사로 인해 능동적으로 분해됨으로써 담지하고 있는 물질을 방출할 수 있으며, 표면 기능화를 통해 표적기관으로의 전달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금속유기구조체는 빛, 특히 UV 조사 후에도 금속과 리간드 사이의 결합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골격구조는 깨지면서 내부에 품고 있던 물질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금속유기구조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폭탄, 군사기밀문서, 촉매, 화학적 분리제, 센서, 독성 신경작용제 파괴제, 에너지 저장체, 에너지 방출체, 가스 포집제, 및 필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의 조사에 따라 금속유기구조체 내부의 물질을 방출시키는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제품화가 가능한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구조체는 화장품, 의약품의 캐리어(carrier), 폭탄 및 군사기밀문서와 같은 국방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화학 분야에서는 촉매, 화학적 분리, 센싱 등에, 그 밖에도 독성 신경작용제 파괴제, 에너지 저장체 및 방출체, 가스 포집제, 필터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을 내포하는 금속유기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금속유기구조체 내에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내포하는 경우, 피부상 도포한 후 자외선등 빛이 조사될 때 능동적으로 분해됨으로써 담지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오랜 기간 동안 효율적인 유효물질의 방출을 통해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의약품을 내포하는 금속유기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금속유기구조체 내에 약물을 내포하는 경우, 의약품 투약 후 약물의 방출이 필요한 부위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능동적으로 분해되어, 담지하고 있는 약물을 방출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겟 부위(target, specific region)에서의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빛의 조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지속적인 방출(sustained release)이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장품 및 의약품 이외에도 빛의 조사를 통해 담지하고 있는 물질을 방출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국방상 무기, 촉매, 화학적 분리, 센싱 분야, 에너지 저장체 및 방출체, 가스 포집제 및 가스 방출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구조체는 생체 환경에 사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외부 물질을 전달하는 담지체로 작용할 수 있고, 빛의 조사로 인해 능동적으로 분해됨으로써 담지하고 있는 물질을 방출할 수 있으며, 표면 기능화를 통해 표적기관으로의 전달이 가능한 광분해성 다공성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외부 자극에 의해 능동적으로 분해되는 자극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의 구조와 전달물질을 담지하고 방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2 및 도3은 금속유기구조체 합성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2는 UV 조사에 끊어지지 않는 대조군 리간드로 합성한 금속유기구조체이고, 도3은 UV 조사 후 끊어지는 리간드로 합성한 금속유기구조체이다.
도4a는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Light-Cleavage 금속유기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4b는 상기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XRD 패턴과 실제 합성된 금속유기구조체의 XRD 패턴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가장 큰 두 개의 피크가 일치하는 것을 통해 예상되는 구조와 실제 만들어진 구조가 잘 일치하는 것으로 예상됨)
도5는 UV 조사 후 금속유기구조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던 리간드가 끊어지면서 갈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은 UV 조사 전후의 SEM 이미지로, 금속유기구조체의 골격은 무너졌으나 그것들이 이루는 입자의 형태는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7은 XRD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UV 조사 후, UV 조사 전에 보이던 XRD 패턴이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리간드가 무너지면서 골격구조를 잃는 것을 보여준다.
도8은 질소(N2) 흡착곡선으로, UV 조사 후, 질소흡착곡선에서 UV 조사 전 보이던 미세기공 영역이 사라지고 흡착능력이 현저히 사라짐을 보여준다. 이는 리간드가 끊어지면서 구조체 내부의 미세기공이 사라지는 것을 나타낸다(미세기공은 금속유기구조체의 특징임).
도9는 리간드에 UV가 조사된 후 NMR에서 구조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금속유기구조체는 그 구조에 리간드가 묶여있는 형태로 NMR에서는 피크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고, 메탈과 리간드를 분해시켜 구성하고 있는 리간드를 digest NMR 방법으로 측정 가능하며, 그 결과 리간드의 피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 이로써 광분해 리간드로 이루어진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유기구조체에 UV를 조사하면 UV 조사된 리간드와 동일한 위치의 피크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리간드와 동일하게 금속유기구조체에서도 리간드가 빛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0은 UV 조사(w UV radiation) 및 UV 비-조사(w/o UV radiation)에 따른 본 발명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의 5FU 방출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5FU가 담지된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에 UV를 조사하면 5FU가 유의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금속유기구조체의 제조
리간드 부분(분해 유기 링커 부분) 및 금속 부분(클러스터 부분)을 별도로 준비하였다. 구체적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20 mL 유리병(glass vial)에 ZrCl4 (0.067 g, 0.028 mmol) 및 아세트산 (0.69 mL),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5 mL)을 넣고 용해시켰다.
(2E)-4-[1-(카르복시에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노산((2E)-4-[(1-Carboxyethyl)amino]-4-oxobut-2-enoic acid) (0.056 mg, 0.3 mmol)을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5 mL)에 녹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잘 용해된 리간드 용액을 금속 부분 유리병에 혼합한 뒤 밀폐하여 120℃ 오븐에서 7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9000 rpm, 10분)로 고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생성물은 DMF로 1회 및 메탄올로 3회 세척 후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2.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의 제조
4 mL 유리병(glass vial)에 ZrCl4 (0.067 g, 0.0028 mmol) 및 아세트산 (0.69 mL),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5 mL)을 넣고 용해시켰다.
(E)-4-(1-카르복시-2-(2-니트로페닐)에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노산((E)-4-(1-carboxy-2-(2-nitrophenyl)ethylamino)-4-oxobut-2-enoic acid) (0.09 mg, 0.3 mmol)을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5 mL)에 녹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잘 용해된 리간드 용액을 금속 부분 유리병에 혼합한 뒤 밀폐하여 120℃ 오븐에서 7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9000 rpm, 10분)로 고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생성물은 DMF로 1회 및 메탄올로 3회 세척 후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3. 금속유기구조체 크로스링커의 합성
① 모노-에틸 푸마레이트(576.5 mg, 4.0 mmol) 및 NHS (406.4 mg, 4.0 mmol)를 아이스 배쓰에서 THF 15 mL중에서 혼합하고, DIC(504.8 mg, 4.0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한 후 30분 후에 아이스 배쓰를 제거하였다. 1시간 후 황색 고체를 여과하였다.
② 물 (4.4 mL)중에 NaHCO3 (369.6 mg, 4.4 mmol)을 제조하였다.
③ 아이스 배쓰에서 알라닌(712.8 mg, 4.0 mmol)을 물(10 mL)에 녹였다. 용액 1 및 2를 30분 동안 약 10회 혼합물에 교대로 첨가하고 아이스 배쓰를 제거한 후 3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④ THF를 회전증발기로 증발시켰다. 물(20 mL)을 첨가하고 수성층을 EtOAc(2 X 30 mL)로 추출하였다.
⑤ 수성층을 2N HCl로 pH 1로 산성화시킨 다음,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⑥ 단계 5의 용액에 THF (20 mL)와 물 (5 mL)을 첨가하였다. 3N NaOH (2.5 mL)를 3시간 동안 용액에 첨가하였다.
⑦ THF를 회전증발기로 증발시켰다.
⑧ 수성층을 2N HCl로 pH 1로 산성화시킨 다음,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실시예 4. 금속유기구조체 광분해성 크로스링커의 합성
① 모노-에틸 푸마레이트(576.5 mg, 4.0 mmol) 및 NHS (406.4 mg, 4.0 mmol)를 아이스 배쓰에서 THF 15 mL 중에서 혼합하고, DIC(504.8 mg, 4.0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한 후 30분 후에 아이스 배쓰를 제거하였다. 1시간 후 황색 고체를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② 물 (4.4 mL)중에 NaHCO3 (369.6 mg, 4.4 mmol)을 제조하였다.
③ 아이스 배쓰에서 2-니트로 페닐알라닌(840.7 mg, 4.0 mmol)을 물(10 mL)에 녹였다. 용액 1 및 2를 30분 동안 약 10회 혼합물에 교대로 첨가하고 아이스 배쓰를 제거한 후 3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④ THF를 회전증발기로 증발시켰다. 물(20 mL)을 첨가하고 수성층을 EtOAc(2 X 30 mL)로 추출하였다.
⑤ 수성층을 2N HCl로 pH 1로 산성화시킨 다음,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⑥ 단계 5의 용액에 THF (20 mL)와 물 (5 mL)을 첨가하였다. 3N NaOH (2.5 mL)를 3시간 동안 용액에 첨가하였다.
⑦ THF를 회전증발기로 증발시켰다.
⑧ 수성층을 2N HCl로 pH 1로 산성화시킨 다음,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Materials studio 프로그램의 Forcite 계산법을 통해 계산하였다.
XRD 패턴은 RIGAKU XRD(Smartlab, Cu-Kα radiation) 장비를 1200 W (40 kV, 30 mA)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분당 4°의 속도로 3°에서 4°범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UV 조사 파장은 360 nm 이며 4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와 그의 실험예 2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조사 후 금속유기구조체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SEM 이미지는 FE-SEM(JEM-7600F, JEOL)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와 그의 실험예 2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조사 후 금속유기구조체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XRD 패턴은 RIGAKU XRD(Smartlab, Cu-Kα radiation) 장비를 1200 W (40 kV, 30 mA)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분당 4°의 속도로 3°에서 4°범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와 그의 실험예 2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조사 후 금속유기구조체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소흡착곡선은 gas adsorption analyzer(BELSORP-max, BEL Japan, Inc.)를 사용하여 77K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예 6.
NMR spectrometer(Bruker Advance III HD500)을 이용하여 DMSO-d6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리간드는 상기 실시예 4의 광분해성 링커이며 리간드(UV)는 실험예2에 의해 광분해된 링커를 의미한다. MOF는 실시예 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를 나타내며 MOF(digest)는 HCl을 이용하여 금속과 유기링커 부분을 분해하여 유기링커 부분을 용액에 녹게 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MOF(UV)는 실험예2에 의해 광분해된 금속유기구조체를 의미한다.
실험예 7.
상기 실시예2의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를 2.5 mM의 5FU 수용액에 담지하였고, 이때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100 mg당 10 ml의 5FU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담지하여 흡수반응을 진행하였다. 흡수반응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3차 증류수를 10 ml 첨가한 후, 3차 증류수를 첨가한 시점을 0 시간으로 설정하여 24 시간 동안 시간별로 상층액을 1 ml씩 샘플링하여 HPLC 분석을 통해 5FU 방출량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금속유기구조체(metal organic frameworks, MOFs)로서,
    광분해성 화합물을 링커로서 공유하면서,
    금속 이온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체 구조인,
    금속유기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온은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Cd, La, W, Os, Ir, Pt, Au, Hg, Sm, Eu, Gd, Tb, Dy, Ho, Al, Ga, In, Ge, Sn, Pb,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의 이온인, 금속유기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온은 Zr 이온인, 금속유기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지르코늄 이온은 최소 하나의 지르코늄 염인, 금속유기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지르코늄 염은 지르코늄 아세테이트, 지르코늄 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카르복실레이트, 지르코늄 설페이트, 지르코늄 하이드록사이드, 지르코늄 나이트레이트, 지르코늄 옥시나이트레이트, 지르코늄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시클로라이드, 지르코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유기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광분해성 화합물은 4-((1-카르복시-2-(3-니트로페닐)에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노산[4-(1-carboxy-2-(2-nitrophenyl)ethyl)amino)-4-oxobut-2-enoic acid], 오쏘-니트로벤질, 벤조인, (쿠마린-4-일)메틸, 7-니트로인돌린, 및 파라-히드록시펜아실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금속유기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각 구조체에 포함된 금속이온들은 각 구조체에 포함된 광분해성 화합물을 링커로 공유하는, 금속유기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내부에 기능성 물질을 내포시킨, 금속유기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기체, 금속이온, 산화물, 약물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금속유기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항균성 화장료, 자외선 흡수 물질, 자외선 반사 물질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금속유기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기구조체는 UV 조사 후 금속 및 리간드 사이의 결합은 유지되는 것인, 금속유기구조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금속유기구조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폭탄, 군사기밀문서, 촉매, 화학적 분리제, 센서, 독성 신경작용제 파괴제, 에너지 저장체, 에너지 방출체, 가스 포집제, 및 필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용인, 조성물.
KR1020190009781A 2018-01-25 2019-01-25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1094 WO2019147065A1 (ko) 2018-01-25 2019-01-25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9120 2018-01-25
KR1020180009120 201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21A true KR20190090721A (ko) 2019-08-02
KR102188686B1 KR102188686B1 (ko) 2020-12-08

Family

ID=6761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81A KR102188686B1 (ko) 2018-01-25 2019-01-25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86A1 (ko) * 2020-03-06 2021-09-10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8900A (ko) * 2021-06-17 2022-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유기 골격체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박막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감지용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508A (en) 1995-11-22 1997-07-15 Nalco Chemical Company Crystalline metal-organic microporous materials
US6965026B2 (en) 2001-02-23 2005-11-1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Nanoscale faceted polyhed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508A (en) 1995-11-22 1997-07-15 Nalco Chemical Company Crystalline metal-organic microporous materials
EP0790253A2 (en) 1995-11-22 1997-08-20 Nalco Chemical Company Novel crystalline metal-organic microporous materials
US6965026B2 (en) 2001-02-23 2005-11-1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Nanoscale faceted polyhedra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 Korean Chem. Soc. 2013, Vol. 34, No. 9, pp. 2800-2802 *
Stuart R. Miller et al., "Biodegradable therapeutic MOFs for the delivery of bioactive molecules" Chem Commun (Camb). 2010 Jul 7;46(25), pp 4526-4528
Veronica San Miguel et al., "Wavelength-selective caged surfaces: How many functional levels are possible?" J. Am. Chem. Soc. 2011, 133, pp 5380-5388
Xiaowei Shi et al., "Degradable Poly(lactic acid)/Metal-Organic Framework Nanocomposites Exhibiting Good Mechanical, Flame Retardant, and Dielectric Properties for the Fabrication of Disposable Electronics" Ind. Eng. Chem. Res., 2017, 56 (14), pp 3887-389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86A1 (ko) * 2020-03-06 2021-09-10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12914A (ko) 2020-03-06 2021-09-1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8900A (ko) * 2021-06-17 2022-12-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유기 골격체와 유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박막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감지용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86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Zirconium-based nanoscale metal–organic framework/poly (ε-caprolactone) mixed-matrix membranes as effective antimicrobials
Ma et al. Recent advances of discrete coordination complexes and coordination polymers in drug delivery
Abazari et al. Morphology-and size-controlled synthesis of a metal-organic framework under ultrasound irradiation: An efficient carrier for pH responsive release of anti-cancer drugs and their applicability for adsorption of amoxicillin from aqueous solution
JP4964585B2 (ja) 第二鉄有機化合物、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istone et al. Hydroxyapatite-magnetite-MWCNT nanocomposite as a biocompatible multifunctional drug delivery system for bone tissue engineering
WO2021154038A1 (ko)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서방출형 금속유기 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8686B1 (ko)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017719B2 (en) Injectable drug carrier comprising layered double hydroxide
KR102120992B1 (ko) 신규한 금속 층상수산화물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8551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경피투여용 금속유기 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Verma et al. Hydroxyapatite-based composites: Excellent materials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Arabbaghi et al. Zn-MOF: an efficient drug delivery platform for the encapsulation and releasing of Imatinib Mesylate
Ju et al. Biohybrid based on layered terbium hydroxide and applications as drug carrier and biological fluorescence probe
WO2019147065A1 (ko)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398112A1 (en) Spray-dried metal-organic frameworks for treatment and/or diagnosis of pulmonary disease
Khonina et al. Bioactive silicon-iron-containing glycerohydrogel synthesized by the sol—Gel method in the presence of chitosan
Groenke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solution stability, and potential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the Nano-TiO 2 bioencapsulation matrix and the model product of its biodegradation TiBALDH
KR20210029499A (ko) 사이클로덱스트린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3525B1 (ko) 약물의 안정화 및 전달을 위한 혼성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hang et al. Polyiodo Azole-Based Metal–Organic Framework Energetic Biocidal Material for Synergetic Sterilization Applications
KR102232255B1 (ko) 다기능성 물질 흡방출용 금속-유기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Bao et al. Taste masking of a drug by pH-responsive coordination polymer-coa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KR20190019027A (ko) Zif계 분말을 포함하는 백색 안료, 고분자 수지 필름 및 백색 안료를 사용하여 매질의 색을 변경하는 방법
KR102371886B1 (ko)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
Namazi et al. Facil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buprofen-mesoporous hydroxyapatite nanohybrid as a sustained drug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