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77A -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577A
KR20190090577A KR1020180009442A KR20180009442A KR20190090577A KR 20190090577 A KR20190090577 A KR 20190090577A KR 1020180009442 A KR1020180009442 A KR 1020180009442A KR 20180009442 A KR20180009442 A KR 20180009442A KR 20190090577 A KR20190090577 A KR 2019009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ain
user
eeg
brain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554B1 (ko
Inventor
유경진
Original Assignee
유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진 filed Critical 유경진
Priority to KR102018000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61B5/04012
    • A61B5/04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84Recording apparatus or 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을 제공하는 제1 의료기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처방전에 기초한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 송신하는 제2 의료기관; 및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상기 2차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뇌파 컨텐츠를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SYSTEM FOR EGG INFORMATION BAN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료기관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뇌파정보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뇌파 컨텐츠를 다른 의료기관, 사용자, 제3자, 제조업체 및 비영리기관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뇌계발은 물론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파는 기능적인 단위인 신경집단에서 집단간의 상호작용으로 진동이 발생되며, 뇌파진동의 특성은 사람의 두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측정한 파장을 말하고, 뇌파는 각 부위에 따라 수십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차(위상각)를 가지고 있다.
뇌파는 그 주파수에 따라 구분되는데, 구체적으로 주파수가 0.1~3.99Hz인 델타(δ)파, 4~7.99Hz인 세타(θ)파, 8~12.99Hz인 알파(α)파, 13~30Hz인 베타(β)파 및 30Hz~80Hz인 감마(γ)파로 구분되며, 이렇게 구분된 뇌파는 그 기능이 다르며 인간의 각성상태, 정신활동과 의식상태를 나타내는 생체신호로써 다양한 뇌의 기능적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종래기술은 뇌파의 자극요법과 뇌파를 알파파 상태로 유도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방법 또는 뇌의 일부분 전전두엽에서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뇌파 게임을 함으로써 뇌를 활성화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뇌파를 이용하여 로봇 및 각종 장난감 등을 개발하는 추세이다.
뇌의 일측부분 전전두엽에서 소량의 정보를 받아 이를 피드백하는 두뇌계발장치들이 있으나, 다양한 증상의 환자들의 경우, 일측의 소량의 뇌파 정보만을 가지고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효과 또한 미미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뇌파융합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으나, 이러한 뇌파융합 피드백 치료의 경우 의료기관과의 협업이 필수적인 점을 고려해 볼 때, 복수 개의 의료기관들과 사용자 사이를 매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의료기관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572호에는 이러닝 시스템에서의 뇌파정보 및 이에 기반한 사용자 피드백을 활용한 학습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은 제1 의료기관에서의 전체 뇌파 검출 데이터인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뇌기능 정보은행에 저장하되, 뇌기능 정보은행에 저장된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환자의 뇌치료를 수행하는 제2 의료기관에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소지하고 있는 피드백 장치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뇌파 최적화 데이터를 통하여 용이하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뇌파를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3자가 유상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비영리단체 등에 기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자원을 자원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을 제공하는 제1 의료기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처방전에 기초한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 송신하는 제2 의료기관; 및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상기 2차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뇌파 컨텐츠를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뇌기능 치료기기 및 두뇌계발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되,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를 전달받는 제조기업;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 비영리단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은, 상기 제1 의료기관과의 정보 송수신을 관리하기 위한 제1 의료기관 관리부; 상기 제2 의료기관과의 정보 송수신을 관리하기 위한 제2 의료기관 관리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1차 뇌파정보를 저장하는 1차 뇌파정보 저장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저장하는 2차 뇌파정보 저장부;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를 융합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성명, 연령, 성별, 진료 기록, 처방전 기록, 계좌 정보,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드 이력, 1차 뇌파정보와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제조기업 및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딩할 경우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인증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동의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은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현된 쇼핑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가 상기 회원관리부에서 설정된 저장기한이 만료되고, 상기 사용자의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증관리부는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다운로딩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a 단계;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a 단계;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a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a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a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딩하는 제6a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b 단계;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b 단계;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b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b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b 단계; 뇌기능 치료기기 및 두뇌계발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는 제조기업이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신청하는 제6b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기업의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인증하는 제7b 단계; 상기 제조기업이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제8b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c 단계;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c 단계;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c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c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c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쇼핑몰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제3자가 구매 가능할 수 있도록 쇼핑몰에 업데이트하는 제6c 단계; 제3자가 상기 쇼핑몰에 업데이트된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의 구매를 신청하는 제7c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 및 상기 제3자의 결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8c 단계; 상기 제3자가 상기 인증관리부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단말기에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는 제9c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d 단계;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d 단계;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d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d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d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회원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의 만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기부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d 단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비영리단체의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의 다운로딩을 허가하는 제7d 단계 및 상기 비영리단체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를 다운로딩하는 제8d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은 제1 의료기관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되, 이러한 사용자의 1차뇌파정보를 개인 인증 과정을 거쳐서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의료기관 이외의 다른 의료기관이나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용이하게 뉴로융합피드백을 이용하여 두뇌신경가소성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뇌신경가소성을 효율적으로 발달시킬 건강한 뇌파로, 융합피드백뇌파로, 최적화된 뇌파로, 사용하도록 뇌기능 정보은행에 적립해 두었다가 언제든지 평생동안 활용하고, 남을 위해 제3자에게 제공, 또는 기부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자원인 뇌파를 자산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중 뇌기능 정보은행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중 뇌기능 정보은행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의료기관(100), 뇌기능 정보은행(200), 제2 의료기관(300), 사용자 단말기(400), 제조업체(500), 비영리단체(600) 및 금융기관(7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의료기관(100)은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를 획득하는 기관으로, 병원, 연구소 등의 의료전문기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의료기관(100)은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대뇌 다채널(21 채널 이상) 뇌파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장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두피에 다수의 채널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뇌파에서 잡음(Nosie)를 제거하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 후, 대역별 분석, 뇌전체와 뇌부위별 정량화 분석, 기능적 주파수 및 진폭의 분석, 뇌파 주파수/진폭의 평균값, 임계값, 중심값, 대칭여부(좌뇌 vs 우뇌), 위상동기화 수치, 가중수치, 지속성, 반응성 등을 분석한다.
아울러 상기 장치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배경뇌파, 3D 그래프, 도형, 도표, 맵 등을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뇌파판독 전문의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뇌파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뇌파판독 전문의는 상기 출력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담당 주치의와 질변 정도에 따라 협진을 통해 사용자의 최적화뇌파의 범위(연령별)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처방전 및 1차 뇌파정보를 생성한다.
즉, 1차 뇌파정보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뇌전체 21채널 이상의 다수의 채널을 보유한 뇌파측정장비로 뇌전체 뇌파검사를 한 뇌파정보를 판독한 결과 뇌파융합이 필요하다는 소견을 받은 자의 뇌파를 1차 뇌파정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의료기관(100)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뇌파 검출과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뇌파 검출은 그 목적이 상이하다.
제1 의료기관(100)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뇌파 검출의 경우 뇌파융합피드백 치료를 위한 사용자의 건강하고 안정된 뇌파인 1차 뇌파정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함에 반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뇌파 검출의 경우 질병의 진단을 위하여 극파, 예파, 다극파, 복합파 등 비정상적인 뇌파를 검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뇌기능 정보은행(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의료기관(100), 제2 의료기관(300), 사용자 단말기(400), 제조업체(500), 비영리단체(600) 및 금융기관(700)과 유무선으로 연동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뇌기능 정보은행(200)은 상술한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나아가 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여 다른 구성들에게 전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의료기관(300)은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사용자에게 상기 처방전에 기초하여 치료 처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의료기관(300)은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2 의료기관(300)은 사용자의 제2 뇌파정보를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송신하며, 뇌기능 정보은행(200)은 제2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2 뇌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400)와 유무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400)란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사용자 등록된 회원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렛 PC 뿐만 아니라 뉴로피드백 치료에 전문적으로 사용되는 피드백 장치 등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제2 의료기관(300)에서 치료받지 못할 상황이거나 또는 제2 의료기관(300)에서 제공받은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를 분실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계정에 저장된 제2 뇌파정보 또는 융합뇌파를 직접 다운로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뇌파정보들은 함부로 외부에 유출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때, 견고한 인증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은 뇌기능 치료기기, 두뇌계발기기, 의료기기, 뇌파 게임기, S/W 프로그램 및 의료기 소모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거는 제조업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의료기관의 소개를 통하여 새롭게 휴대용 피드백 장치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제조업체(500)는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로그인하여 피드백 장치를 구매하는 사용자의 뇌파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할 피드백 장치에 다운로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및 제조업체의 시스템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또한 사용자의 뇌파정보의 무분별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인증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비영리단체(600)는 사용자가 뇌기능 정보 은행(200)과의 계약기간이 만료되었거나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어려운 이웃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기관이나 단체를 의미한다.
금융기관(700)은 뇌기능 정보은행(2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제3자, 제조업체 등과 해당 치료나 뇌파 정보의 이용시 결제를 중개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구성 중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뇌기능 정보은행(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 제1 뇌파정보 저장부(220), 제2 의료기관 관리부(230), 제2 뇌파정보 저장부(240), 회원관리부(250), 융합뇌파정보 저장부(260), 인증관리부(270) 및 쇼핑몰 관리부(2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는 제1 의료기관(100)과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제1 뇌파정보 저장부(220)는 제1 의료기관(100)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및 사용자의 처방전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제2 의료기관 관리부(230)는 제2 의료기관(100)과의 정보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제2 뇌파정보 저장부(240)는 제2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2 뇌파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260)는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를 융합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원관리부(260)는 사용자의 성명, 연령, 성별, 진료 기록, 처방전 기록, 계좌 정보, 융합 뇌파 컨텐츠 다운로드 이력, 1차 뇌파정보와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관리부(270)는 사용자 단말기(400), 제조업체(500), 비영리단체(600)가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딩할 경우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쇼핑몰 관리부(280)는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250)에서 생성한 융합뇌파 컨텐츠에 기초하여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쇼핑몰 관리부(280)의 경우, 먼저 사용자가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로그인한 후 제1 의료기관(100)에서 발행한 처방전을 선택하고 쇼핑몰 카테고리에 들어가게 되면, 해당 쇼핑몰에는 해당 처방전에 적합한 융합뇌파 컨텐츠 및 해당 융합뇌파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쇼핑몰에서 원하는 융합뇌파 컨텐츠 및 프로그램의 구매를 결정하면, 인증관리부(270)의 인증 절차를 거쳐서 해당 컨텐츠 및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쇼핑몰에는 치료 목적의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집중력, 기억력, 인지능력개발, 오감발달, 감성기능발달 등의 프로그램의 제공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및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를 이용하여 융합뇌파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융합피드백 치료나 두뇌계발 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인이 아닌 제3 자의 1차 뇌파정보를 이용하여 융합피드백 치료나 두뇌계발 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심각한 특정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인의 뇌파가 아닌 가족 또는 제3자의 1차 뇌파정보를 이용하여 융합피드백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질환의 환자는 본인이 아닌 제3자의 뇌파를 융합하여 정보를 지원받는 1차 뇌파정보를 가지고 융합뉴로피드백, 신경가소성 융합피드백, 융합뇌파기능성게임 등을 통해 신경가소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받아야 할 대상자이다.
① 신경결핍(결신) 발작의 특징소견을 받은자
② 근대성 근경련 발작의 특징소견을 받은자
③ 정신운동발작(측두엽간질)의 특징소견을 받은자
④ 자율신경발작(측두엽 간질)의 특징소견
⑤ 전신발작(Generalizure)의 특징의 소견을 받은자
⑥ 이완성, 무근장성, 실조발작(Atonic seizure)
⑦ 지나친 극파(주기 80msec이하의 날카로운 파, 지속시간 1/12sec,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뇌파가 다량 출현자.
⑧ 지나친 예파(파의 폭(주기)이 80~200msec, 다량 출현자.
⑨ 학동기 lennox-Gastaut (레녹스가스토)증후군(경련, 발달부진, 충동조절장애, 행동장애)의 특징소견 받은자.
⑩ 과잉행동(ADHD), 양극성장애, 조현병, 치매, 분노조절장애, 장애인으로써 기타 질병등으로 산만하여 장시간 앉아서 치료가 여려운 환자로서 소견을 받은 자,
⑪ 지나친 뇌기능이 저하 된 자 (무기력증, 비활성환자, 본인의 의지, 동기부여 등) 증세로 제3자의 뇌파융합피드백이 필요하다고 소견을 받은 자
즉, 사용자의 융합피드백 치료시 제3자의 제1 뇌파정보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제3자는 뇌기능 정보은행(200)에 가입된 자여야 하며, 제3자의 동의를 구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3자의 신상정보는 공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아울러, 제3자의 제1 뇌파정보의 활용은 신중히 수행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인증절차를 추가적으로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추가적 인증절차는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인증관리부(270)가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에 대한 설명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a),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a),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a),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a),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a) 및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 단계(S600a)로 이루어진다.
제1a 단계(S100a)는 구체적으로 제1 의료기관(100)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이고, 제2a 단계(S200a)는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가 제1 의료기관(100)으로부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고, 1차 뇌파정보는 제1 뇌파정보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처방전은 회원 관리부(25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후, 제2 의료기관(300)이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사용자에게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a 단계(S300a)가 수행되고, 이어서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230)가 제2 의료기관(300)으로부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제2 뇌파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하는 제4a 단계(S400a)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260)가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a 단계(S500a)가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다운로딩하는 제6a 단계(S600a)가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제조업체에서 뇌기능 정보은행을 활용하기 위한 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b),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b),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b),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b),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b), 제조업체 다운로딩 신청 단계(S600b), 제조업체 다운로딩 인증 단계(S700b) 및 제조업체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 단계(S800b)로 이루어진다.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b),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b),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b),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b),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b)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융합 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b) 이후에는 제조업체 다운로딩 신청 단계(S600b)가 수행되는데, 이는 구체적으로 뇌기능 치료기기 및 두뇌계발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는 제조업체가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신청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후,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업체의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인증하는 단계(S700b) 및 상기 제조업체가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제8b 단계(S800b)가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제3자가 다른 사람의 1차 뇌파정보 등을 활용하기 위한 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c),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c),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c),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c),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c), 프로그램 쇼핑몰 업데이트 단계(S600c), 제3자 프로그램 구매 신청 단계(S700c), 제3자 프로그램 구매 가부 결정 단계(S800c) 및 제3자 프로그램 다운로딩 단계(S900c)로 이루어진다.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c),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c),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c),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c),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c)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융합 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c) 이후에는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쇼핑몰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제3자가 구매 가능할 수 있도록 쇼핑몰에 업데이트하는 제6c 단계(S600c)가 수행되고, 이어서 제3자가 상기 쇼핑몰에 업데이트된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의 구매를 신청하는 제7c 단계(S700c)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 및 상기 제3자의 결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8c 단계(S800c)가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3자가 상기 인증관리부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단말기에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는 제9c 단계(S900c)가 수행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비영리단체(600)가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등을 활용하기 위한 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d),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d),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d),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d),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d), 기부 동의 여부 확인 단계(S600d), 비영리단체 다운로딩 허가 단계(S700d) 및 비영리법인 다운로딩 단계(S800d)로 이루어진다.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생성 단계(S100d),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 저장 단계(S200d), 2차 뇌파정보 생성 단계(S300d), 2차 뇌파정보 저장 단계(S400d),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d)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융합 뇌파 컨텐츠 생성 단계(S500d) 이후에는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회원관리부(250)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의 만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기부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d 단계(S600d)가 수행되고, 이어서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인증관리부(270)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비영리단체(600)의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의 다운로딩을 허가하는 제7d 단계(S700d)가 수행된다.
이후, 비영리단체(600)의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의 다운로딩이 허가될 경우,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를 다운로딩하는 제8d 단계(S800d)가 수행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의료기관
200: 뇌기능 정보은행
300: 제2 의료기관
400: 사용자 단말기
500: 제조업체
600: 비영리단체
700: 금융기관

Claims (10)

  1.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처방전을 제공하는 제1 의료기관(100);
    상기 제1 의료기관(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뇌기능 정보은행(200);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처방전에 기초한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 송신하는 제2 의료기관(300); 및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상기 2차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뇌파 컨텐츠를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400);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뇌기능 치료기기 및 두뇌계발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되,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를 전달받는 제조기업(500);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 비영리단체(600);
    를 더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 은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은,
    상기 제1 의료기관과의 정보 송수신을 관리하기 위한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
    상기 제2 의료기관과의 정보 송수신을 관리하기 위한 제2 의료기관 관리부(220);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1차 뇌파정보를 저장하는 1차 뇌파정보 저장부(230);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저장하는 2차 뇌파정보 저장부(240);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를 융합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250);
    상기 사용자의 성명, 연령, 성별, 진료 기록, 처방전 기록, 계좌 정보,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드 이력, 1차 뇌파정보와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26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제조업체 및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다운로딩할 경우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관리부(270);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인증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동의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은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구현된 쇼핑몰 관리부(280);를 더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및 2차 뇌파정보가 상기 회원관리부(260)에서 설정된 저장기한이 만료되고, 상기 사용자의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증관리부(270)는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다운로딩을 허용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7.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a 단계(S100a);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가 상기 제1 의료기관(1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220) 및 회원관리부(250)에 각각 저장하는 제2a 단계(S200a);
    제2 의료기관(300)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a 단계(S300a);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230)가 상기 제2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240)에 저장하는 제4a 단계(S400a);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260)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a 단계(S500a);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융합뇌파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다운로딩하는 제6a 단계(S600a);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1 의료기관(100)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b 단계(S100b);
    뇌기능 정보은행(200)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210)가 상기 제1 의료기관(1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220) 및 회원관리부(250)에 각각 저장하는 제2b 단계(S200b);
    제2 의료기관(300)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200)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b 단계(S300b);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b 단계(S400b);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b 단계(S500b);
    뇌기능 치료기기 및 두뇌계발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는 제조업체가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신청하는 제6b 단계(S600b);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업체의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 다운로딩을 인증하는 제7b 단계(S700b);
    상기 제조업체가 상기 사용자의 융합뇌파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제8b 단계(S800b);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c 단계(S100c);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c 단계(S200c);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c 단계(S300c);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c 단계(S400c);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c 단계(S500c);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쇼핑몰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제2 뇌파정보 및 융합뇌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융합피드백 프로그램, 일반 뉴로 피드백 프로그램, 두뇌계발 뇌파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제3자가 구매 가능할 수 있도록 쇼핑몰에 업데이트하는 제6c 단계(S600c);
    제3자가 상기 쇼핑몰에 업데이트된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의 구매를 신청하는 제7c 단계(S700c);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 및 상기 제3자의 결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8c 단계(S800c);
    상기 제3자가 상기 인증관리부의 프로그램 구매 가능 여부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3자의 단말기에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는 제9c 단계(S900c);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1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의 전체 뇌파를 검출하여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생성하는 제1d 단계(S100d);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1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1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아 1차 뇌파정보 저장부 및 회원관리부에 각각 저장하는 제2d 단계(S200d);
    제2 의료기관이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으로부터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을 전달받은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1차 뇌파정보 및 처방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화 피드백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측정 뇌파인 2차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제3d 단계(S300d);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제2 의료기관 관리부가 상기 제2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2차 뇌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뇌파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d 단계(S400d);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융합뇌파 컨텐츠 생성부가 상기 제1 뇌파정보 및 상기 제2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융합뇌파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5d 단계(S500d);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회원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의 저장기한의 만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1차 뇌파정보, 2차 뇌파정보 기부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6d 단계(S600d);
    상기 뇌기능 정보은행의 인증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기초하여 비영리단체의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의 다운로딩을 허가하는 제7d 단계(S700d) 및
    상기 비영리단체가 상기 사용자의 제1 뇌파정보 및 제2 뇌파정보를 다운로딩하는 제8d 단계(S800d);
    를 포함하는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80009442A 2018-01-25 2018-01-25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05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42A KR102055554B1 (ko) 2018-01-25 2018-01-25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42A KR102055554B1 (ko) 2018-01-25 2018-01-25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77A true KR20190090577A (ko) 2019-08-02
KR102055554B1 KR102055554B1 (ko) 2019-12-13

Family

ID=6761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42A KR102055554B1 (ko) 2018-01-25 2018-01-25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1141A (zh) * 2020-07-29 2021-09-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脑机、脑神经信号的购物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519A (ko) * 2007-12-27 2009-07-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27486A (ko) * 2011-06-21 2014-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관련 콘텐츠 전달
KR201500220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뇌파 공유 장치, 그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599A (ko)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소소 무선 통신을 이용한 뇌파/심박도 기반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콘텐츠 추천 방법
KR20160125544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519A (ko) * 2007-12-27 2009-07-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27486A (ko) * 2011-06-21 2014-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관련 콘텐츠 전달
KR201500220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뇌파 공유 장치, 그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599A (ko)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소소 무선 통신을 이용한 뇌파/심박도 기반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콘텐츠 추천 방법
KR20160125544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1141A (zh) * 2020-07-29 2021-09-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脑机、脑神经信号的购物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54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yss et al. Mobile crowdsensing services for tinnitus assessment and patient feedback
Cipresso et al. Is your phone so smart to affect your state?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Provenza et al. Long-term ecological assessment of intracranial electrophysiology synchronized to behavioral marker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human et al. Group music therapy impacts mood states of adolescents in a psychiatric hospital setting
Lotze et al. Contralesional motor cortex activation depends on ipsilesional corticospinal tract integrity in well-recovered subcortical stroke patients
Kekecs et al. Alterations in electrodermal activity and cardiac parasympathetic tone during hypnosis
Rovetti et al.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s a measure of listening effort in older adults who use hearing aids
Salimpour et al. Altering effort costs in Parkinson's disease with non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Javelot et al. Telemonitoring with respect to mood disorder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verview and presentation of the PSYCHE project
US20220359051A1 (en) Universal tinnitus management system (UTMS)
Knierim et al. Open-source concealed EEG data collection for Brain-computer-interfaces-neural observation through OpenBCI amplifiers with around-the-ear cEEGrid electrodes
Hixson et al. Digital tools for epilepsy: opportunities and barriers
Langheim et al. Functional connectivity in slow‐wave sleep: identification of synchronous cortical activity during wakefulness and sleep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Chabin et al. Are the new mobile wireless EEG headsets reliable for the evaluation of musical pleasure?
Balzekas et al. Invasive electrophysiology for circuit discovery and study of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in patients with epilepsy: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novel technologies
Aktürk et al. Enhancing memory capacity by experimentally slowing theta frequency oscillations using combined EEG-tACS
Min et al. New cognitive neurotechnology facilitates studies of cortical–subcortical interactions
De Marchi et al. An electronic health platform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s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the Brazilian public health system: protocol for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Marceglia et al. Web-based telemonitoring and delivery of caregiver support for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after deep brain stimulation: protocol
KR102055554B1 (ko)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Villani et al. Positive technology for helping people cope with stress
Wanniarachchi et al. Alterations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network properties induced by newsvendor problem in the human prefrontal cortex
van’t Wout-Frank et al. Virtual reality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inas et al. Neurophysiological impact of software design processes on software developers
Riposan-Taylor et al. Personal connected devices for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