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519A -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519A
KR20090070519A KR1020070138550A KR20070138550A KR20090070519A KR 20090070519 A KR20090070519 A KR 20090070519A KR 1020070138550 A KR1020070138550 A KR 1020070138550A KR 20070138550 A KR20070138550 A KR 20070138550A KR 20090070519 A KR20090070519 A KR 2009007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health
information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권순영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13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519A/ko
Publication of KR2009007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는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는 분석부와,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콘텐츠 목록 및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콘텐츠를 저장부로부터 로딩하거나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딩부를 포함한다.
건강체크, 체온, 맥박, 생체정보

Description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serving health managemen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건강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가 높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시장 규모의 확대 및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의료비용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통신과 방송이 융합되고, 관련 IT 및 B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에 체온 및 맥박을 감지하는 센서(또는 측정 모듈)를 부착시킨 후, 센서에서 감지된 체온 및 맥박을 TV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리모콘 사용도중에 어느 때라도 체온 및 맥박을 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셋톱박스가 복수개의 무선센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원격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원격스테이션(또는 의료 전문가, 담당 의사)이 비디오신호를 전송하여 그 사람의 건강을 진단해 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 생체정보의 분석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의료 전문가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진단하는 방식이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달성하고, 자신에게 맞는 건강 진단 및 조언을 듣는 양방향 서비스 제공의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정보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는 콘텐츠 목록에서 자신의 필요에 따라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건강관리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건강관리를 위한 비용 절감 및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 터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및 의료 전문 지식을 통해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는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는 분석부와,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콘텐츠 목록 및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콘텐츠를 저장부로부터 로딩하거나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및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로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생체정보 수집부가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a) 단계와, 분석부가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는 (b) 단계와, 표시부가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c) 단계 및 콘텐츠 로딩부가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 목록에서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건강관리를 위한 비용절감 및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서비스 제공자의 건강관련 콘텐츠 제공에 따른 이익 창출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각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및 서비스의 다양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콘텐츠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자체적으로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성상 필요에 따라 원격지의 의료기관 서버(30)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종래에 의료기관 서버(3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다시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를 통보하던 수동적인 방법을 벗어나서, 사용자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는 콘텐츠 목록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전문화되고 다양한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접촉식 방법에는 리모콘, 마우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가 셋톱박스에 장착되어 있고, 셋톱박스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이하 텔레비전이라 함)(미도시) 및 필요에 따라 제1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의료기관 서버(30)과 연결되어 있는 환경을 가정하자. 여기서, 의료기관 서버(30)은 건강진료센터, 병원, 응급구조기관의 서버(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의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며, 리모콘(장치)에는 복수개의 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셋톱박스는 케이블 튜너 또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와 같은 텔레비전에 연관된 다른 기능들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에 장착된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리모콘 조작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소정 키(key) 버튼을 클릭하여 자신의 생체정보(예를 들어, 체온, 맥박 등)를 측정하도록 수동 조작하거나,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할 때 자동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측정되어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혈압, 체온, 맥박, 피부전도도, 심전도 등에 대한 생체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 대신 전용 모뎀이 사용될 경우에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가 전용 모뎀에 내장된 형태이거나 연동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비접촉식 방법에는 무선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가 내장된 셋톱박스가 복수개의 무선센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있고, 사용자의 화상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 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구비된 환경을 가정하자. 무선센서는 RF 또는 적외선과 같은 무선 매체 및 블루투스(bluetooth), RFID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셋톱박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센서는 경량이고 사람이 착용 가능하거나 또는 자체 설비일 수 있다. 카메라는 물리적인 사용자의 활동도를 영상으로 기록하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된다.
상술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텔레비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10) 망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에 전송되어, 해당 의료 전문가 또는 의료기관 서버(30)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분류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조치사항이 구별되게 의료기관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서버(30)는 즉각적으로 필요한 조치사항에 대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 전문가는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텔레비전 화면에 필요한 조치 사항을 동영상 또는 기타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하다고 판단된 경우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경찰, 의료 보조자 또는 앰뷸런스와 접촉하도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의료 전문가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이력, 식별 정보 등)들이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에 따라 의료 전문가에게 공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정보에 따라 필요한 콘텐츠(소프트웨어)를 제2 네트워크(20)로 연결된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목록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한다. 그러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콘텐츠를 검색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목록 및 콘텐츠가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에 자체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바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 목록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목록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들의 목록이고, 상기 콘텐츠는 전자 문서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전문가는 사용자에게 맞는 추천음식, 추천운동시간, 운동종류, 약물 복용 시간을 포함하는 건강 설정 정보를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지식) 정보들이 전자 문서로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생체정보 수신 부(210), 분석부(220), 표시부(230), 정보통신부(240), 및 콘텐츠 로딩부(25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 수신부(2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복수개의 장치들(수단들)로부터 수집(수신)하며, 이를 위해 제1 수신부(213) 및 제2 수신부(215)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3)는 사람의 생체에 대한 정보를 비접촉(또는 간접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제1 장치로부터 수집한다. 비접촉 방식이란,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와 간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장치는 무선센서,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동작, 활동도, 체온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13)는 제1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은 후술될 분석부(220)를 통해 기존 사용자의 정보들과 비교되어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수신부(215)는 사람의 생체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제2 장치로부터 수집한다. 직접 접촉 방식이란,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는 리모콘,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 또는 마우스에 장착된 복수개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혈압, 맥박, 심전도 등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 비만도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 장치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제1 수신부(213) 및 제2 수신부(215)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제공하 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의 접촉 방식은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반드시 해당 장치에 따라 명확히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된 제1 장치와 제2 장치에 포함되는 각종 장치(모듈)들은 일 예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분석부(220)는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후술될 표시부(23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거나 소정의 경고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또한, 분석부(220)는 후술될 정보통신부(240)를 통해 의료 전문가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분석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220)는 분석된 데이터를 기준정보를 기초로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석부(220)는 분류부(223)를 포함한다.
분류부(223)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혈압 및 비만에 문제가 있는 경우, 혈압과 비만에 관련된 정보들이 기준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데이터의 값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 및 그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된 데이터가 기준정보를 기초로 소정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에게 적절한 응급 조치가 취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데이터의 값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1 등급으로 분류되고, 제1 임계값 이하이거나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2 등급,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3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최우선 순위로 정해진 정보일 수 있으며, 분석된 데이터 중 기준정보와 관련된 값이 최우선 순위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혈압이 기준정보이고,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혈압이 위급 상태(제1 등급)라고 판단된 경우, 분석부(220)는 후술될 정보통신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응급 조치를 위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자, 응급 시설 기관에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소정 기준정보가 설정되고, 분석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따른 분석 데이터의 등급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최초 분석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의료 전문가의 시스템(외부 시스템)에 송부되고, 의료 전문가가 해당 분석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한 값이거나, 분석부(220)가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분석 데이터를 통해 설정한 값일 수 있으며, 최신 정보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 기준정보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독거노인이 자주 쓰러지는 증상이 심한 경우 독거노인의 동작정보가 기준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고혈압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고혈압이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상기 기준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데이터의 값이 정상 수치를 초과하거나 이상 증세를 보인 경우 기준정보를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곧 바로 경찰, 의료 보조자 또는 앰뷸런스와 접촉을 시도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가 보다 구체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등급에 따라 조치 상황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등급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응급 호출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 등급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호자에게 호출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3 등급인 경우에는 텔레비전 화면에 긴급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소정의 경고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류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표시를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등급인 경우 붉은색, 제2 등급인 경우 파란색, 제3 등급인 경우 녹색으로 보호자 및 기타 건강관리 기관에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구별되게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획일적인 건강관리를 벗어나 각 사용자에게 맞는 건강관리 및 서비스 제공, 필요한 응급 조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223)의 각 등급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조치 사항들은 분석부(22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하다고 판단된 경우 텔레비전 방송에 할당된 대역폭을 조절하여 분석된 데이터의 업로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주 긴급한 상황에 대해 텔레비전의 방송 화질을 떨어뜨리더라도 신속하게 사용자(또는 보호자)에게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23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고,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목록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하고, 후술될 콘텐츠 로딩부(250)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아 건강관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지식 정보가 전자문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서버(30)(의료전문가)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추천음식, 추천운동시간, 운동종류, 약물 복용 시간을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데이터는 후술될 저장부(255)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표시부(2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지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시 한번 의료 전문가의 조치 사항에 대한 주의를 주지시킬 수 있다.
정보통신부(240)는 분석된 데이터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의료기관 서버(30)은 건강진료센터, 병원, 응급구조기관의 서버(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망은 전화망, 무선 통신망, 인터넷 망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따라서, 의료전문가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부(240)를 통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어 보호자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다.
콘텐츠 로딩부(250)는 상기 분석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화면에 제공된 콘텐츠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부(253), 저장부(255) 및 로딩부(257)를 포함한다.
설정부(253)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취약 부분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 및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화면에 제공되는 콘텐츠 목록 중 소정 콘텐츠를 설정(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 체형인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비만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문서 및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콘텐츠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의료 전문가에 의해서 추천되는 소프트웨어가 화면에 제공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후술될 로딩부(257)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220)는 자체적으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구성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는 무료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외에도, 설정부(253)는 상기 기준정보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 각종 설정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55)는 콘텐츠 목록 및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의료기관 서버(30)(의료전문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추천음식, 추천운동시간, 운동종류, 약물 복용 시간 등에 대한 지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5) 기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료 지식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될 로딩부(257)는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로써, 의료 전문가의 의료지식들을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부(255)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술될 로딩 부(257)가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필요한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다.
로딩부(257)는 콘텐츠를 저장부(255)로부터 로딩하거나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부(255)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로딩부(257)는 다른 실시예에서 후술될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에서 상술된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접속부(310), 지불 요청부(320), 및 검색부(33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자의 소정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접속부(310)는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와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접속부(310)는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성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상으로 기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불 서비스 제공자(또는, 지불 서비스 제공 서버라 함)(미도시)와 접속부(310)간 인터넷 통신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불 요청부(320)는 사용자가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불 요청 창을 제공한다. 즉, 지불 요청부(320)는 사용자의 화면에 지불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및 지불 정보에 대한 입력 정보에 따라 지불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를 요청하게 된다. 따라 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에 따른 요금을 청구받게 되어, 불필요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 부담 감소 및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그에 따른 이익 창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불 요청부(320)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검색부(330)는 성공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해당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 또는 웹문서(전자문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검색부(330)는 상술된 분석 데이터 및 등급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소정 저장 수단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 목록으로 추천해 줄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생체정보 수집부(210)가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S401).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분석부(220)가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한다(S411). 여기서, 분석부(220)는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20)는 분류된 등급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30)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별되게 통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된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표시부(230)가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게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S421).
그리고, 사용자가 콘텐츠 목록 중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지불 요청부(320)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불 요청 창을 제공한다(S431).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된 도 3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단계(S431)는 다른 실시예에서 생략가능하며, 콘텐츠가 자체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거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무료로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의료 전문가가 입력한(전송한) 지식 정보가 전자 문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불 요청 창을 통해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색부(330) 가 선택된 항목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4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210: 생체정보 수신부
220: 분석부 230: 표시부
240: 정보통신부 250: 콘텐츠 로딩부
300: 콘텐츠 제공 서버 310: 접속부
320: 지불 요청부 330: 검색부

Claims (10)

  1.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콘텐츠 목록 및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거나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목록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들의 목록이고, 상기 콘텐츠는 전자 문서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조치사항 을 구별되게 의료기관 서버에 통보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의료 전문가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입력한 사용자의 추천음식, 추천운동시간, 운동종류, 및 약물 복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식 정보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에 포함시켜 화면에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5.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고,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로딩하여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불 요청 창을 제공하는 지불 요청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료 지식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8. 생체정보 수집부가 접촉 방식 및 비접촉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a) 단계;
    분석부가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는 (b) 단계;
    표시부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콘텐츠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c) 단계; 및
    로딩부가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석부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부가 상기 분류된 등급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별되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불 요청 창이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지불 요청 창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정상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콘텐츠가 로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38550A 2007-12-27 2007-12-27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070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50A KR20090070519A (ko) 2007-12-27 2007-12-27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50A KR20090070519A (ko) 2007-12-27 2007-12-27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19A true KR20090070519A (ko) 2009-07-01

Family

ID=4132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550A KR20090070519A (ko) 2007-12-27 2007-12-27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051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776A (ko)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버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45731B1 (ko) * 2011-12-02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80087633A (ko) 2017-01-25 2018-08-02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7876A (ko) 2018-04-30 2018-08-02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0577A (ko) * 2018-01-25 2019-08-02 유경진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90110987A (ko) 2019-09-24 2019-10-01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64727B1 (ko) * 2022-03-21 2022-11-09 에이치아이엘(주)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
WO2023074930A1 (ko) * 2021-10-26 2023-05-04 주식회사 인트인 체액관리서버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31B1 (ko) * 2011-12-02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30120776A (ko) 2012-04-26 2013-1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버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80087633A (ko) 2017-01-25 2018-08-02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0577A (ko) * 2018-01-25 2019-08-02 유경진 뇌기능 정보은행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80087876A (ko) 2018-04-30 2018-08-02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0987A (ko) 2019-09-24 2019-10-01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074930A1 (ko) * 2021-10-26 2023-05-04 주식회사 인트인 체액관리서버 및 방법
KR102464727B1 (ko) * 2022-03-21 2022-11-09 에이치아이엘(주)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0519A (ko)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085817B (zh) 医疗系统
US20070255115A1 (en) Remote diagnostic &amp; treatment system
US117910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ubjects having chronic gastrointestinal indications
CN103514357A (zh) 远程健康监护方法及其监护系统
US200900890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riatric care management service
JP2012510675A (ja) データの臨界性
WO2015091302A1 (en) Scheduling device for scheduling patient monitoring by patient-accessible devices
JP2008043702A (ja) 生体データ計測システム及び生体データ計測方法、並びに生体データ計測センサ
KR20200005952A (ko) 반려동물 상태 알림 시스템
KR20060082660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2233929B1 (ko)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1276230A (zh) 一种心脑血管疾病一体化分层管理系统及方法
KR102430758B1 (ko)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US20130035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health screening form
US117494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cal department selection and post-monitoring during telemedicine based on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 (PGHD) and DNA analysis data
KR101711886B1 (ko) 멀티건강체크 검사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26188B1 (ko) 센서 노드와 임베디드 기기에 기반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138313A (ko)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CN105989218B (zh) 一种信息化处理方法和装置
KR102645192B1 (ko)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욕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32663B1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KR20150000538A (ko) 네트워크를 통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agot et al. A flexible architecture for mobile health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