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642A -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642A
KR20190089642A KR1020180008457A KR20180008457A KR20190089642A KR 20190089642 A KR20190089642 A KR 20190089642A KR 1020180008457 A KR1020180008457 A KR 1020180008457A KR 20180008457 A KR20180008457 A KR 20180008457A KR 20190089642 A KR20190089642 A KR 20190089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epth
magnetic
stopp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964B1 (ko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엠씨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페이 filed Critical (주)엠씨페이
Priority to KR102018000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는 IC 카드를 결제할 때는 카드를 파지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확보될 정도만 카드를 결제 장치에 삽입하도록 하고, MS 카드를 결제할 때는 완전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되, 카드 삽입 깊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스토퍼를 구비한다. 대부분의 결제가 발생하는 IC 카드에 대해 IC 카드 결제전용 단말기로 사용하고, 일부 마그네틱 결제에 한정하여 선택버튼과 스토퍼를 통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 CARD PATMENT}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 카드 및 마그네틱 카드를 함께 결제할 수 있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드 결제 장치는 MS((Magnetic Stripe) 카드와 IC(Integrated Circuit)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여러 이점으로 IC 카드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MS 카드 또한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카드에 IC 칩과 마그네틱 스트립을 모두 구비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겸용 카드도 보급되고 있다. 카드 결제 단말 중 매립형 결제 단말의 경우, 단말이 돌출 설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카드를 단말기의 전방에서 삽입하여 결제하는 구조를 취할 수 밖에 없다.
현재 대부분의 결제는 IC 카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히 일부의 결제만이 MS 카드로 이루어지고 있다. 카드의 표면에 위치한 IC 칩의 접촉만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IC 카드와 달리, 마그네틱 카드의 경우 자성 스트립을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부 읽어야 하기 때문에 마그네틱 헤드가 투입구 바깥으로 돌출되거나, 카드가 투입구에 완전하게 삽입한 후 빼내면서 읽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투입구로 완전하게 카드를 삽입하고 빼내는 과정은 불편한 조작을 초래한다. 특히, 완전하게 삽입된 카드는 사용자가 카드를 파지할 공간이 매우 적어 더욱 조작을 불편하게 한다. 또한, 대부분의 카드 결제 장치가 IC 카드와 마그네틱 카드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서, IC 카드의 IC 칩을 읽기 위한 리더 모듈도 카드가 투입구에 완전하게 삽입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IC 카드 결제 시에도 카드를 투입구로 완전히 삽입해야 하고, 불합리하게 마그네틱 카드를 결제할 때와 같은 동일한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20-2010-04569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적어 결제 빈도가 적은 마그네틱 카드의 결제 시에는 상대적인 사용의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여 결제 빈도가 월등히 높은 IC 카드의 결제 시에는 IC 카드 전용 리더기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다중 결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는 IC 카드를 결제할 때는 카드를 파지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확보될 정도만 카드를 결제 장치에 삽입하도록 하고, MS 카드를 결제할 때는 완전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되, 카드 삽입 깊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스토퍼를 구비한다.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는 카드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 내에 설치된 스토퍼가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로 돌출되어 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막는 상태로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대부분의 결제가 발생하는 IC 카드 결제를 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택버튼이 눌러지면 스토퍼가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에서 벗어나, 삽입된 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마그네틱 카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택버튼은 스토퍼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기적 장치를 통해 동작시킬 수 있다. 스토퍼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거나 개방하도록 움직이는 차단구와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은 선택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될 경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를 개방한다. 차단구 개방을 통해 삽입된 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마그네틱 카드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는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 대기하며, IC 카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가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에서 벗어나, 삽입된 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마그네틱 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안된 다중 카드 결제 장치는 비록 사용자가 적어 결제 빈도가 적은 마그네틱 카드의 결제 시에는 상대적인 사용의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여 결제 빈도가 월등히 높은 IC 카드의 결제 시에는 IC 카드 전용 리더기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부분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IC 카드에 대해 IC 카드 전용 리더와 같이 카드 전체가 아닌 결제에 필요한 일부만을 삽입하여 편리하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빈도수가 매우 적은 마그네틱 카드 결제에 대해서만 버튼을 통해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IC 카드 결제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의 마그네틱 카드 인식을 설명하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IC 카드 결제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의 마그네틱 카드 인식을 설명하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100)는 몸체부(110)와, 마그네틱 헤드부(120)와, IC 카드 리더부(130)와, 스토퍼(140) 및 선택버튼(15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카드가 삽입되는 투입구(112)와, 투입구(112)의 좌우에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카드의 측면을 안내하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111)을 가진다. 투입구(112)는 카드(10)의 폭에 맞추어 매립형 카드 단말 몸체의 전면에 타공된다. 투입구(112)의 좌우에서 카드의 측면이 상하로 여유를 가지고 안내하도록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홈(111)이 몸체부(110)에 별도의 모듈로 설치된다.
마그네틱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에 제1 깊이로 삽입되는 카드의 자기 스트립(210)에 근접하도록 투입구(112)측에 설치되며, 마그네틱 카드의 자기 스트립을 판독한다. 마그네틱 헤드부(120)는 슬라이드 홈(111)의 제1 깊이까지 완전하게 삽입된 카드(10)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카드(10)의 자기 스트립(11)을 판독하여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마그네틱 헤드부(120)는 자기 스트립(11)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모두를 판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2)에 밀착하여 설치된다.
IC 카드 리더부(130)는 몸체부(110)에 제1 깊이보다 얕은 제2 깊이로 삽입되는 카드(10)의 IC 칩(220)과 접촉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IC 카드 정보를 읽는다. 즉, IC 카드 리더부(130)는 슬라이드 홈(111)의 제1 깊이와 투입구(112)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IC 카드 리더부(130)가 설치되는 대응 위치는 시장에 유통되는 카드의 IC 칩 위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택버튼(150)은 스토퍼(140)의 동작을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다중 카드 결제 장치(100)의 카드 결제 방식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선택버튼(150)의 조작 유무를 통해 IC 카드를 결제할 지 또는 마그네틱 카드를 결제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버튼(150)은 몸체부(110)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일례로서, 선택버튼(150)은 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하거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버튼(150)은 일례로서,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 형태, 내부로 눌러지는 버튼 형태, 소정의 각도로 왕복하는 레버 형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버튼(150)의 위치 및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위치와 버튼의 형태는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스토퍼(140)는 몸체부(110)에 삽입되는 카드(10)의 삽입 깊이를 제2 깊이로 제한하도록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선택버튼(150)이 눌러지면 몸체부(110)에 삽입되는 카드(10)가 제1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111)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140)와 선택버튼(150)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선택버튼(150)이 눌러지면 스토퍼(140)가 올라가서 투입구(112)의 슬라이드 홈(111)을 가로막아 카드가 깊이 삽입되는 것을 막는다. 선택버튼(150)이 해제되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힘에 의해 스토퍼(140)는 원 위치로 복귀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다중 카드 결제 장치(100)는 제2 깊이까지 삽입된 카드(10)의 IC 칩(12)과 접촉한 IC 카드 리더부(130)를 통해 IC 카드 정보를 읽어 들이는 IC 카드 결제 모드 및 제1 깊이까지 삽입된 카드(10)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카드(10)의 자기 스트립(11)과 접촉한 마그네틱 헤드부(120)를 통해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판독하는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를 지원한다. 다중 카드 결제 장치(100)는 스토퍼(140)의 돌출 여부를 통해 IC 카드 결제 모드 및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를 전환한다. 이때 다중 결제 카드 장치(100)의 결제 설정은 대부분의 고객이 IC 카드를 사용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IC 카드 결제 모드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인 IC 카드 모드에서 다중 결제 카드 장치(100)는 스토퍼(140)를 돌출시켜 카드(10)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깊이까지 삽입된 카드(10)의 IC 칩(12)과 접촉한 IC 카드 리더부(130)를 통해 IC 카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IC 카드 정보는 카드 결제 및 승인에 활용된다.
마그네틱 카드의 경우 사용자의 선택버튼(150) 조작을 통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하여 스토퍼(140)가 슬라이드 홈(111)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다중 결제 카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깊이까지 삽입된 카드(10)가 외부로 배출될 때 카드(10)의 자기 스트립(11)을 마그네틱 헤드부(120)를 통해 판독하여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마그네틱 카드 정보는 카드 결제 및 승인에 활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다중 카드 결제 장치(100)는 IC 카드로 결제하는 대부분의 경우 카드(10)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카드(10)의 일부가 몸체부(110)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카드 파지의 용이함으로 카드 결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일부 마그네틱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카드(10)를 제1 깊이까지 삽입하여 결제하면 되기 때문에 결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양상에 따르면 다중 카드 결제 장치(200)는 몸체부(미도시), 마그네틱 헤드부(220), IC 카드 리더부(230), 스토퍼(240) 및 선택버튼(250)을 포함한다.
스토퍼(140)는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양상이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140)는 제어부(243)와, 액츄에이터(242)와 그리고 차단구(241)를 포함한다. 제어부(243)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프로그램이 선택버튼(250)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될 경우 액츄에이터(242)를 구동하여 차단구(241)를 제2 위치로 고정하는 마그네틱 카드 모드 구동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구(241)는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제1 위치와 개방하는 제2 위치간에 움직인다. 차단구는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제1 위치에 고정되어 투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홈으로 삽입된 카드가 제2 깊이까지만 진입하고 제1 깊이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액츄에이터(242)는 차단구(241)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간에 구동한다. 액츄에이터(242)는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차단구(241)를 슬라이드 홈을 막는 제1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차단구를 슬라이드 홈(111)을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4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 및 압전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 액츄에이터(242)는 모터 및 압전소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구(241)를 구동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에서,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다중 카드 결제 장치(200)가 결제에 성공하면 제어부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동 복귀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200)는 기본 상태에서 IC 카드 결제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액츄에이터(242)를 통해 차단구(241)를 개방하여 마그네틱 카드의 결제를 진행한 후, 자동 복귀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통해 액츄에이터(242)가 차단구(241)를 다시 제1 위치로 복귀시켜 IC 카드 결제 모드로 복귀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30)는 마그네틱 카드를 결제한 이후 별다른 조작 없이 IC 카드 결제 모드로 다중 카드 결제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제4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에서,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IC 카드 리더부(230)를 통해 IC 카드 결제를 시도할 때 만약 IC 카드의 IC 칩을 통해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제어부(243)가 액츄에이터(242)를 구동하여 차단구(241)를 제2 위치로 고정시키는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C 카드의 IC 손상이나 IC 카드 리더부(230)의 오작동 등 다양한 이유로 IC 카드 정보의 리딩에 실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통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사용자(30)가 IC 카드 결제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별다른 조작 없이 마그네틱 카드 모드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보급되는 대다수의 카드는 IC 칩과 자기 스트립을 모두 구비한 혼용방식의 카드이기 때문에, 사용자(30)는 제2 깊이까지 삽입된 카드(10)를 제1 깊이까지 더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제5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에서,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IC 카드 리더부(230)를 통한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IC 카드 리더부(230)를 비활성화시키고, 마그네틱 헤드부(220)를 활성화시키는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 블록을 통해 차단구(241)를 개방하여, 자성 스트립을 통해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카드(200)가 외부로 배출되어 마그네틱 헤드부(220)에 자성 스트립이 판독되는 과정 또는 카드(200)가 제2 깊이에서 제1 깊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카드(200)의 IC 칩과 IC 카드 리더부(230)가 접촉하여 잘못된 정보 리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43)의 제어 프로그램은 IC 카드 리더부(230)를 비활성화시킨다.
제6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240)는 알림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3)는 IC 카드 리더부(230)를 통한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차단구(241)를 제2 위치로 고정하여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함을 알림부(244)를 통해 사용자(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알림부(244)는 사용자(30)에게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됨을 전달하여 사용자(30)가 카드(10)를 제2 깊이에서 제1 깊이로 더 삽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알림부(244)는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알림음 및 램프 알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통해 사용자(30)에게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 전환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림부(244)는 알림음 또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부저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자메시지 또는 오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신호를 위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양상에 따른 다중 결제 카드 장치에서 마그네틱 헤드부(220), IC 카드 리더부(230), 선택버튼(250) 및 몸체부(미도시)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은 선택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시(S301)하고, 선택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02).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는 대중적으로 보급된 IC 카드에 대한 결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IC 카드 결제 모드로 대기한다.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 스토퍼는 제1 위치로 동작하여 삽입되는 카드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도록 한다.
만약 선택버튼 입력이 없을 시, 제2 깊이로 삽입된 카드의 IC 칩을 읽는다(S303). IC 카드 결제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대기 상태에서 카드가 투입구로 제2 깊이까지 삽입되면, IC 카드 리더부를 통해 삽입된 카드의 IC 칩으로부터 IC 카드 정보를 읽는다.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카드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IC 카드 리더부가 IC 카드의 IC 칩에 접촉하여 IC 카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IC 칩으로부터 취득된 IC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의 결제를 진행한다(S305).
S302 단계에서 선택버튼이 눌러지는 것이 확인되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한다(S306).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는 슬라이드 홈 내에서 제1 위치로 돌출된 스토퍼에 의해 카드가 제1 깊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마그네틱 카드 결제를 위해 스토퍼를 개방하여 삽입되는 카드가 몸체부의 제1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S307). 스토퍼가 개방되면, 사용자에 의해 카드는 제2 깊이에서 제1 깊이로 추가 삽입되고, 제1 깊이로 삽입된 카드의 자성 스트립을 판독한다(S308). 카드의 자성 스트립으로부터 마그네틱 카드 정보가 판독되면, 판독된 마그네틱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의 결제를 진행한다(S305).
IC 카드 정보 및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취득하고, 스토퍼를 개방하는 방법은 앞서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다른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은 도 3의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 IC 카드 결제의 오류 발생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마그네틱 결제 모드로 전환되는 결제 방법이다.
다른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은 선택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시(S401)하고, 선택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402).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는 대중적으로 보급된 IC 카드에 대한 결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IC 카드 결제 모드로 대기한다.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 스토퍼는 제1 위치로 동작하여 삽입되는 카드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도록 한다.
만약 선택버튼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IC 카드 결제 모드를 유지하고 카드가 투입구로 제2 깊이까지 삽입되면, 삽입된 카드의 IC 칩으로부터 IC 카드 정보를 읽는다(S403).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카드가 제2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IC 카드 리더부가 IC 카드의 IC 칩에 접촉하여 IC 카드 정보를 취득한다. S403 단계에서 IC 카드 정보가 정상적으로 취득되어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IC 칩으로부터 취득된 IC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의 결제를 진행한다(S405).
S402 단계에서 선택버튼 입력이 확인되거나, S404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한다(S406). IC 카드 결제 모드에서는 슬라이드 홈 내에서 제1 위치로 돌출된 스토퍼에 의해 카드가 제1 깊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마그네틱 카드 결제를 위해 스토퍼를 제2 위치로 동작시켜 제1 깊이를 개방한다(S407). 그리고 마그네틱 헤드로 자성 스트립과 접촉하여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IC 칩과 IC 카드 리더부의 접촉에 의해 잘못된 정보가 취득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IC 카드 리더부를 비활성화한다(S408). 스토퍼가 개방되고 IC 카드 리더부가 비활성화되면, 사용자에 의해 카드는 제2 깊이에서 제1 깊이로 추가 삽입되어, 제1 깊이로 삽입된 카드의 자성 스트립을 판독한다(S409). 그리고 카드의 자성 스트립으로부터 마그네틱 카드 정보가 판독되면, 판독된 마그네틱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의 결제를 진행한다(S405).
IC 카드 정보 및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취득하고, 스토퍼를 개방하며, IC 카드 리더부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앞서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가능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0: 다중 카드 결제 장치
110: 몸체부 120: 마그네틱 헤드부
130: IC 카드 리더부 140: 스토퍼
150: 선택버튼
10: 혼용 카드
11: 자기 스트립 12: IC 칩

Claims (8)

  1. 카드가 삽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의 좌우에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카드의 측면을 안내하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을 가진 몸체부;
    몸체부에 제1 깊이로 삽입되는 카드의 자기 스트립에 근접하도록 투입구측에 설치되며, 마그네틱 카드의 자기 스트립을 판독하는 마그네틱 헤드부;
    몸체부에 제1 깊이보다 얕은 제2 깊이로 삽입되는 카드의 IC 칩과 접촉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IC 카드 정보를 읽는 IC 카드 리더부;
    선택버튼; 및
    몸체부에 삽입되는 카드의 삽입 깊이를 제2 깊이로 제한하도록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선택버튼이 눌러지면 몸체부에 삽입되는 카드가 제1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작동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는;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가로막는 제1 위치와 개방하는 제2 위치간에 움직이는 차단구;
    차단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간에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 프로그램이 선택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될 경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를 제2 위치로 고정하는 마그네틱 카드 모드 구동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다중 카드 결제 장치가 결제에 성공하면 제어부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동 복귀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제어부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단구를 제2 위치로 고정시키는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IC 카드 리더부를 비활성화시키고, 마그네틱 헤드부를 활성화시키는 자동 모드 전환 프로그램 코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스토퍼는,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차단구를 제2 위치로 고정하여 마그네틱 카드 결제 모드로 전환함을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알림음 및 램프 알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전달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장치.
  7. 선택버튼 입력여부를 감지하여 선택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선택버튼 입력이 없을 시 제2 깊이로 삽입된 카드의 IC 칩을 읽는 단계;
    선택버튼이 눌러지면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도록 스토퍼를 개방하여 삽입되는 카드가 몸체부에 제2 깊이보다 깊은 제1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제1 깊이로 삽입된 카드의 자성 스트립을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IC 카드 정보 리딩에 실패하면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벗어나도록 스토퍼를 개방하여 삽입되는 카드가 몸체부에 제2 깊이보다 깊은 제1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방법.
KR1020180008457A 2018-01-23 2018-01-23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KR10204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57A KR102048964B1 (ko) 2018-01-23 2018-01-23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57A KR102048964B1 (ko) 2018-01-23 2018-01-23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930A Division KR102048965B1 (ko) 2019-09-10 2019-09-10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42A true KR20190089642A (ko) 2019-07-31
KR102048964B1 KR102048964B1 (ko) 2019-11-26

Family

ID=6747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57A KR102048964B1 (ko) 2018-01-23 2018-01-23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ko)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KR101743120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3116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카드 리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ko)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KR101743120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3116B1 (ko) * 2016-04-18 2017-06-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 카드 리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카드 리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64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164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7011537B1 (en) SIM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ion mechanism
US6234844B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US20080041952A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and method of recognizing the same
KR102045292B1 (ko) 카드 오삽입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운용 방법
EP0893777A2 (en) A data card housing
WO1992015106A1 (en) Terminal apparatus with removable memory device
KR20060031795A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US20090042410A1 (en) Card for Information Equipment,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Equipment
JP2004086859A (ja) 多種の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が挿入できる汎用スロット
US7447522B2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US7238033B2 (en) Apparatus having card holding mechanism
KR20190089642A (ko)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US7372136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7189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rd swapping method thereof
KR102048965B1 (ko) 다중 카드 결제 장치 및 결제 방법
JP2005243434A (ja) カードコネクタ
US6421245B1 (en) IC card read/write apparatus
JP2002279377A (ja) プラグイン型icカード用アダプタ
KR200489233Y1 (ko) 배출구가 구비되는 ic 카드 리더
KR200489231Y1 (ko)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KR101980136B1 (ko) Ic 카드 리더 및 그 동작 방법
EP1808829A1 (en) Reader/writer uni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847783B1 (ko)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통행요금이 징수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US9311572B2 (en) Card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