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31Y1 -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 Google Patents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31Y1
KR200489231Y1 KR2020170001624U KR20170001624U KR200489231Y1 KR 200489231 Y1 KR200489231 Y1 KR 200489231Y1 KR 2020170001624 U KR2020170001624 U KR 2020170001624U KR 20170001624 U KR20170001624 U KR 20170001624U KR 200489231 Y1 KR200489231 Y1 KR 200489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witching means
reader
switch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12U (ko
Inventor
오재필
윤상진
이새종
이태훈
임영하
최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1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3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C 카드가 삽입되는 IC 카드 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IC 카드 회로 기판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가 단부까지 삽입된 경우 접점되는 제1 스위칭 수단; 상기 카드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의 삽입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1 스위칭 수단 또는 제2 스위칭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IC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IC CARD READER WITH A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C 카드는 IC칩을 내장한 플라스틱 카드로, IC칩에는 메모리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고, IC 카드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하는 장치인 IC 카드 리더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원 및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한다.
IC 카드 리더는 IC 카드의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개의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IC 카드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하우징으로서의 리더 커버를 포함한다.
한편, IC 카드 리더는 일반적으로 카드의 삽입에 따라 온오프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에 인가하는 접점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카드를 삽입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끝단 위치까지 밀어 넣음으로써, 스위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회로와 집적 회로칩을 내장한 1C 모듈을 통해 기록된 내용을 읽어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때, 카드의 삽입시 카드통로의 공차로 인한 유격이 심해 그로 인한 안정성이 결여되고, 상기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의 반력으로 카드가 뒤로 밀려 온오프 동작에서 접점 변환의 오동작이 발생한다.접점 스위치는 카드가 삽입됨으로 인한 커넥터 전원 인가를 수행하여야 하나, 오동작 발생으로 인해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상적으로 카드 정보가 독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의 접점 변환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이 카드 삽입통로 내에 필요하다.
또한, 상기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 가제의 고장이나, 리더 내부에 쌓인 먼지 등으로 인해 접점 스위치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는 IC 카드 리더를 분해하고 나서 해당 접점 스위치를 교체하거나 혹은 리더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또한,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점 스위치의 정상적인 접점 변환 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카드 삽입 동작을 재차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IC 카드 리더는 내부에 먼지가 쌓이면 IC 카드가 삽입되면서 먼지를 IC 카드 리더의 단부에 적층시키게 되므로 그 먼지에 의해 IC 카드가 끝까지 정상 삽입되지 않아, 터미널 단자와 IC 모듈의 접속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접점 스위치의 정상동작이 방해받게 되며, 전원 인가 및 카드 인식률 저하에 따라 IC 카드 리더를 주기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리더의 본체에 결합되는 리더 커버의 일 측부에 소형 배출구를 형성하여 먼지가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구조들이 제안되고는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본체의 중단 측면으로만 배출되므로 먼지나 이물질이 하단에 적층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먼지나 이물질의 경우 IC 카드를 카드 수용홈을 향해 수직 아래 방향으로 반복 삽입함에 따라 IC 카드 리더의 단부측 바닥부에 주로 먼지가 적층되는데, 이는 적층된 이물질 및 먼지에 의해 접점 스위치의 동작과 IC 카드 인식이 불량해진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리더 커버 하부의 카드 삽입통로 단부 및 전면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되는 IC 카드의 움직임 및 방향성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배출구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IC 카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더 커버의 내측면 에, 회로상의 접점 스위치와 인접하는 영역에 대면하여 형성되며,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을 접점 스위치 측으로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의 변환 동작, 전원 인가 및 이에 따른 카드 정보 리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IC 카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카드 삽입통로 내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상에 구비되는 기존의 접점 스위치와 함께, 상기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상에 구비되는 검출 스위치를 마련함으로써,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가 오작동하거나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삽입 검출 및 커넥터로의 전원 인가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 IC 카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가 삽입되는 IC 카드 리더는, IC 카드 회로 기판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가 단부까지 삽입된 경우 접점되는 제1 스위칭 수단; 상기 카드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의 삽입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1 스위칭 수단 또는 제2 스위칭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IC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더 커버 하부의 카드 삽입통로 단부 및 전면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되는 IC 카드의 움직임 및 방향성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배출구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더 커버의 내측면 에, 회로상의 접점 스위치와 인접하는 영역에 대면하여 형성되며,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을 접점 스위치 측으로 가이드하는 돌기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의 변환 동작, 전원 인가 및 이에 따른 카드 정보 리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삽입통로 내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상에 구비되는 기존의 접점 스위치와 함께, 상기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상에 구비되는 검출 스위치를 마련함으로써, 카드의 삽입시 접점 스위치가 오작동하거나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삽입 검출 및 커넥터로의 전원 인가 동작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회로 기판 및 리더 커버의 결합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 커버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돌기부와 그 주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일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고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고안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회로 기판(20) 및 리더 커버(10)의 결합된 형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IC 카드 리더(10)는 IC 카드 회로 기판(20)과 리더 커버(10)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어셈블리일 수 있다. 여기서, 리더 커버(10)의 카드 삽입부로부터 단부까지 형성된 리더 커버의 내측 부분을 카드 삽입통로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IC 카드 리더(10)는 IC 카드의 접촉단자와 IC 카드 리더의 중앙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2)와 삽입된 IC 카드를 검출하여 상기 커넥터(12)의 동작 전원을 인가하게 하는 제1 스위칭 수단(26) 및 제2 스위칭 수단(27)이 전기적으로 연결 배치되는 IC 카드 회로 기판(20), 및 이 IC 카드 회로 기판(20)에 결합하여 상기 IC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상에 상기 삽입통로가 구비되는 리더 커버(22)를 포함한다.
상기 리더 커버(22)의 배면에는 커넥터(12) 및 스위칭 수단(26, 27)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 영역(29)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2)가 상기 IC 카드 회로 기판과 리더 커버(22) 사이에 형성된 카드 삽입통로 내에서 IC 카드의 접촉단자와 접촉하게 한다.
커넥터(12)는 IC 카드의 접촉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 영역(29)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스위칭 수단(26) 또는 제2 스위칭 수단(27)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IC칩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메모리로 기록한다.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은 접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1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커넥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은 상기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26)은 그의 일단부가 IC 카드의 인식을 위해 리더 커버(2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제1 접점 수단(26a)과 상기 제1 접점 수단(26a)의 상기 일단부와 접점이 형성되도록 'ㄱ'자로 절곡되는 제2 접점 수단(26b)을 포함하는 리프 스위치 형태일 수 있고, 카드 삽입시 상기 제1 접점 수단(26a)의 상기 돌출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카드와의 접촉에 따라 눌림으로써, 상기 제1 접점 수단(26a)이 상기 제2 접점 수단(26b)과 접촉되면, 전원 인가를 위한 접점 변환을 하여 커넥터(12)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상기 커넥터(12)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상에 구비되는 검출 스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카드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영역은 상기 삽입통로의 단부와 그 주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보다 상기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로부터 더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보다는 카드 삽입부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칭 수단(27)은 IC 카드 회로 기판 내에서 제1 스위칭 수단(26)보다 소정 거리만큼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카드가 삽입 진행될 때, IC 카드의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보다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에 먼저 도달하게 하여, 슬라이딩을 통한 검출 스위칭이 시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카드 삽입시 삽입통로 내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움직임과 방향에 따른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검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카드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검출돌기가 지속적으로 눌러짐으로써 토글 스위칭되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방식의 검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27)은 제1 스위칭 수단(26)과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과 제2 스위칭 수단(27)은 상기 커넥터(12)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더 커버(22) 하부의 카드 삽입통로 단부 및 전면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28, 32)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되는 IC 카드의 움직임 및 방향성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배출구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IC 카드 리더(1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는 리더 커버(22) 전면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구한 제1 배출구(28)와, 하부의 카드 삽입통로 단부를 개구한 제2 배출구(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IC 카드의 움직임 및 방향성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을 하부 전면 및 단부 방향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 커버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 커버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돌기부와 그 주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리더 커버(22) 내에 돌기부(30) 및 제1 배출구(28)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돌기부(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더 커버(22)의 내측면에, 회로(20)상의 제1 스위칭 수단(26)과 인접하는 영역에 대면하여 형성되며,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을 접점 스위치(26) 측으로 가이드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0)는 리더 커버(22) 내에서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에 인접하는 부분에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0)는 도 3 및 도 4에서 리더 커버(22)의 전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 배출구(28)에는 상측으로부터 제1 스위칭 수단(26)과 인접하는 영역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기부 지지체(33)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 지지체(33)상의 소정 위치에 돌기부(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서는 리더 커버(22)의 돌기부 지지체(33) 내측면 소정 위치에 돌기부(30)가 형성되는 것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30)는 IC 카드 삽입시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6)의 제1 접점 수단(26a)에 대한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을 상기 제1 접점 수단(26a)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스위치(26)의 카드 인식률이 증대되며, 먼지나 이물질이 다소 끼이더라도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돌기부 지지체(33)로부터 돌출하면서 그 두께가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를 위한 경사 영역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태를 갖는 돌기부(30)에 의해, 상기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이 상기 제1 접점 수단(26a)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제1 접점 수단(26a)에 대한 접촉력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제1 배출구(28) 및 제2 배출구(32)는 IC 카드 리더의 카드 삽입통로 내에 쌓이는 먼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리더 커버(22) 중 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이다. 즉 상기 제1 배출구(28) 및 제2 배출구(32)는 먼지가 카드 삽입통로 내에서 단부에 주로 쌓이는 것을 감안하여,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상기 제1 배출구(28) 및 제2 배출구(32)는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 쪽에 위치하는 리더 커버(22) 중, 안쪽으로 돌기부(30)가 형성된 상기 돌기부 지지체(33)를 제외한 전면 영역(28)과, 제1 스위칭 수단(26)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제외한 하면 영역(32)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구(28) 및 제2 배출구(32)의 형태 및 그 형성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 방향으로 IC 카드가 삽입되어 제1 접점 수단(26a)과 접촉하게 되면, 제1 스위칭 수단(26)에 의한 반력이 생기더라도 상술한 형태를 갖는 돌기부(30)에 의해 상기 카드가 카드 삽입통로 내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삽입시 제1 스위칭 수단(26)에 의한 접점 변환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일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6은 IC 카드 리더의 일 측면에 카드 삽입부(31)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카드 삽입부(31)는 카드 삽입통로의 삽입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통로 단부측에 제1 스위칭 수단(26) 방향으로 돌기부(30)가 돌출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7은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IC 카드 리더 커버(22)의 하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하면 일부에 제2 배출구(32)가 개구되어 마련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제2 배출구(32)는 리더의 카드 삽입통로 내에 쌓이는 먼지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리더 커버(22) 중 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이다. 이에 반해, 상기 제1 배출구(28)는 리더의 카드 삽입통로 내에 쌓이는 먼지가 전면 하단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구(32)도 먼지가 카드 삽입통로 내에서 하단부 쪽에 주로 쌓이는 것을 감안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삽입통로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드가 카드 삽입부(31)로부터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까지 삽입 진행할 경우, 상기 제2 배출구(32)는 상기 카드가 제2 배출구(32) 외부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출구(32)가 형성되는 IC 카드 리더 커버의 일 측면의 전체 길이의 대략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배출구(32)의 크기, 형태 및 그 형성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상기 제2 배출구(32)가 제1 스위칭 수단(26)의 접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스위칭 수단(26)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제외한 범위영역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출구(32)는 상기 제1 배출구(28)보다도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므로, 하방으로의 먼지나 이물질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고안은 먼지 배출 기능을 하는 상기 제1 배출구(28) 및 상기 제2 배출구(32)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리더 구조보다 먼지와 이물질 배출의 효과 면에서도 현저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IC 카드 리더(10)는, 커넥터(12), 제어부(50), 스위칭부(52), 데이터 판독부(53), 데이터 기록부(54) 및 메모리부(55), 전원 공급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52)는 제1 스위칭 수단(26), 제2 스위칭 수단(27)을 포함한다.
제어부(50)는 IC 카드 리더의 전체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판독부(53)는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부(54)는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는(55)는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커넥터(12)는 IC 카드의 접촉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스위칭부(52)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 공급부(5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데이터 판독부(53) 또는 데이터 기록부(54)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접촉된 카드의 IC 칩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메모리로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스위칭부(52)의 제1 스위칭 수단(26) 및 제2 스위칭 수단(2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C 카드의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먼저, IC 카드가 삽입되어 제1 스위칭 수단(26)에 접촉되면, 제2 스위칭 수단(27)의 접촉 여부와 관계없이, 제어부(50)는 IC 카드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는 데이터 판독부(53)를 통해 IC칩 내의 메모리부(5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또는 데이터 기록부(54)를 통해 IC칩 내의 메모리부(55)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1 스위칭 수단(26)이 고장이거나, IC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제1 스위칭 수단(26)의 접촉 여부와 관계없이, 제2 스위칭 수단(27)에 의한 IC 카드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는 데이터 판독부(53)를 통해 IC칩 내의 메모리부(5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또는 데이터 기록부(54)를 통해 IC칩 내의 메모리부(55)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2개의 스위칭 수단(26, 2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C 카드의 정상 삽입을 검출함으로써, 어느 하나가 오동작하더라도 다른 스위칭에 의한 접점 변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정상적인 커넥터(12)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 커넥터
20: IC 카드 회로 기판
22: 리더 커버
26: 제1 스위칭 수단
26a: 제1 접점 수단
26b: 제2 접점 수단
27: 제2 스위칭 수단
28: 제1 배출구
29: 개방 영역
30: 돌기부
31: 카드 삽입부
32: 제2 배출구
33: 돌기부 지지체
50: 제어부
52: 스위칭부
53: 데이터 판독부
54: 데이터 기록부
55: 메모리부
56: 전원 공급부

Claims (9)

  1. IC 카드가 삽입되는 IC 카드 리더에 있어서,
    리더 커버의 카드 삽입통로 단부에 대응하는 IC 카드 회로 기판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가 단부까지 삽입된 경우 접점되는 제1 스위칭 수단;
    상기 카드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IC 카드의 삽입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의 접점 스위칭 또는 제2 스위칭 수단의 슬라이딩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IC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삽입되는 IC 카드의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수단보다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에 먼저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IC 카드가 단부까지 삽입되어 제1 스위칭 수단에 접점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의 검출 스위칭 여부와 관계 없이 IC 카드의 정상 삽입을 판단하고, 제1 스위칭 수단이 접점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칭 수단의 접점 여부와 관계 없는 제2 스위칭 수단의 검출 스위칭에 따라 상기 IC 카드의 정상 삽입을 판단하여, 상기 커넥터에 대한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IC 카드 리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커넥터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카드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회로 기판상에 배치되는
    IC 카드 리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영역은 상기 IC 카드 회로 기판과 결합되는 리더 커버의 카드 삽입통로의 단부와 그 주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는
    IC 카드 리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칭 수단보다 상기 카드 삽입통로의 카드 삽입부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하는
    IC 카드 리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삽입통로 내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움직임과 방향에 따른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IC 카드 리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카드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검출돌기가 지속적으로 눌러짐으로써 토글 스위칭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IC 카드 리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제1 스위칭 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수단과 제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 기판상에 좌우 배치되는
    IC 카드 리더.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 및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IC 카드 리더.
KR2020170001624U 2017-03-31 2017-03-31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KR200489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24U KR200489231Y1 (ko) 2017-03-31 2017-03-31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24U KR200489231Y1 (ko) 2017-03-31 2017-03-31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12U KR20180002912U (ko) 2018-10-11
KR200489231Y1 true KR200489231Y1 (ko) 2019-05-20

Family

ID=6386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24U KR200489231Y1 (ko) 2017-03-31 2017-03-31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304B1 (ko) * 2019-11-28 2020-06-18 (주)오케이포스 양방향 ic 카드 소켓
KR102240752B1 (ko) * 2020-10-16 2021-04-19 (주)엘트정보기술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9978A (ja) * 1988-02-29 1989-09-01 Nippon Chemicon Corp Icカードの装着状態検出装置
JPH08180147A (ja) * 1994-12-27 1996-07-12 Oki Electric Ind Co Ltd Icカードアクセ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12U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923B2 (en) Switch structure of card connector
JP3635625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EP0704813B1 (en) Ic car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553519B1 (en) Adapter, memory card, and memory card module
US8827725B2 (en) Card read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vable card insertion mechanism
KR100794965B1 (ko)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및 이것의 인식 방법
JP2004086859A (ja) 多種の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が挿入できる汎用スロット
JP2002216906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489231Y1 (ko)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KR200489233Y1 (ko) 배출구가 구비되는 ic 카드 리더
TWI407644B (zh) Ic卡用連接器
KR19980703279A (ko) 스마트 카드 판독 장치용 판독기 프레임
US20030119365A1 (en) Card connector
EP2141774B1 (en) Connector
US8172587B2 (en) Card connector and detection switch
KR200489232Y1 (ko) 돌기부가 구비되는 ic 카드 리더
KR101980136B1 (ko) Ic 카드 리더 및 그 동작 방법
US20060065729A1 (en) Card conn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card connection device
US6869017B2 (en) Card connector
US20120077358A1 (en) Card connector, wiring board unit, and electronic device
JP2007242297A (ja) Icカードコネクタ
JP4640928B2 (ja) Icカードトレイ、icカードトレイを備えた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2009093890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20013442A (ja) カードリーダ
JP200910495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