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06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066A
KR20190089066A KR1020197019675A KR20197019675A KR20190089066A KR 20190089066 A KR20190089066 A KR 20190089066A KR 1020197019675 A KR1020197019675 A KR 1020197019675A KR 20197019675 A KR20197019675 A KR 20197019675A KR 20190089066 A KR20190089066 A KR 2019008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 node
ran
enb
node
g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317B1 (ko
Inventor
쑤지안
변대욱
김석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long-term evolution), 즉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과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간의 이중 연결인 EN-DC(E-UTRAN-NR dual connectivity)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제1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는 상기 제1 RAN 노드가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와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의 인터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LTE 목표인 사용자와 사업자의 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커버리지 확장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해 많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3GPP LTE는 상위 레벨 필요조건으로서 비트당 비용 절감, 서비스 유용성 향상, 주파수 밴드의 유연한 사용, 간단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및 3GPP에서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사양을 개발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NR 시스템은 new RAT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3GPP는 긴급한 시장 요구와 ITU-R(ITU radio communication sector)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20 프로세스가 제시하는 보다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모두 적시에 만족시키는 NR을 성공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NR은 먼 미래에도 무선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임의의 스펙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type-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배치 시나리오, 사용 시나리오, 요구 사항을 다루는 단일 기술 프레임 워크를 대상으로 한다. NR은 본질적으로 순방향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NR을 포함하는 5G 코어 네트워크 및 5G RAN(radio access network)을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에 따라, 단말(UE; user equipment)이 처리량(throughput) 및 UE 경험 측면에서 보다 잘 서비스 될 수 있다. 또한,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tight interworking)도 논의 중이다.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에 따라 UE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다중 연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UE 이동성을 위한 시그널링이 단순화 될 수 있다.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중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와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의 인터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5G RAN(radio access network) 아키텍처에서 이중/다중 접속을 위한 향상된 셀 특정 절차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에 의한 X2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RAN 노드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이중 연결(EN-DC; E-UTRAN-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제1 RAN 노드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RAN 노드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이중 연결(EN-DC; E-UTRAN-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RAN 노드는 eNB(eNode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gNB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eNB ID(identifier)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RAN 노드는 gN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eNB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eNB ID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RAN 노드는 상기 제2 지시를 기반으로 상기 EN-DC와 관련한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이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될 수 있다.
도 1은 3GPP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NG-RAN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3은 EN-DC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4는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3/3a를 나타낸다.
도 5는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4/4a를 나타낸다.
도 6은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7/7a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RAN 노드가 X2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일한 특징을 갖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3GPP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LTE(long-term evolution) 시스템 구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10),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UE(10)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통신 장치이다. UE(10)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를 포함하고, 하나의 셀에 복수의 UE가 존재할 수 있다. eNB(2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끝 지점을 UE(10)에게 제공한다. eNB(20)는 일반적으로 UE(10)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eNB(20)는 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은 eNB(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상향링크(UL; uplink)는 UE(10)에서 eNB(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사이드링크(SL; sidelink)는 UE(10)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DL에서 송신기는 eNB(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일 수 있다. UL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eNB(20)의 일부일 수 있다. SL에서 송신기와 수신기는 UE(10)의 일부일 수 있다.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GW(serving gateway)를 포함한다. MME/S-GW(30)은 네트워크의 끝에 위치한다. MME/S-GW(30)은 UE(10)를 위한 세션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의 끝 지점을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MME/S-GW(30)은 "게이트웨이"로 단순히 표현하며, 이는 MME 및 S-GW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PDN(packet dana network) 게이트웨이(P-GW)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MME는 eNB(20)로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inter CN(core network) 노드 시그널링, 아이들 모드 단말 도달 가능성(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 포함),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아이들 모드 및 활성화 모드인 UE을 위해), P-GW 및 S-GW 선택, MME 변경과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이러 설정을 포함한 베어러 관리 기능, PWS(public warning system: ETWS(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및 CMAS(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포함) 메시지 전송 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S-GW 호스트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예를 들면, 심층 패킷 검사를 통해), 합법적 차단, 단말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 DL에서 전송 레벨 패킹 마킹, UL/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등급 강제, APN-AMBR(access point name aggregate maximum bit rate)에 기반한 DL 등급 강제의 갖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트래픽 전송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UE(10)와 eNB(20)은 Uu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UE(10) 간은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eNB(20) 간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이웃한 eNB(20)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한 망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NB(20)와 게이트웨이(30)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5G 시스템은 5G AN(access network), 5G CN(core network) 및 UE로 구성된 3GPP 시스템이다. 5G AN은 5G CN에 연결되는 비-3GPP 접속 네트워크 및/또는 NG-RAN(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를 포함하는 접속 네트워크이다. NG-RAN은 5G CN에 연결된다는 공통 특성을 가지고, 다음 옵션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이다.
1) 독립형 NR(new radio).
2) NR은 E-UTRA 확장을 갖는 앵커이다.
3) 독립형 E-UTRA.
4) E-UTRA는 NR 확장을 갖는 앵커이다.
도 2는 NG-RAN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NG-RAN은 하나 이상의 NG-RAN 노드를 포함한다. NG-RAN 노드는 하나 이상의 gNB 및/또는 하나 이상의 ng-eNB를 포함한다. gNB는 UE를 향하여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한다. ng-eNB는 UE를 향하여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한다.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 및 ng-eNB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CN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gNB 및 ng-eNB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연결되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user plane function)에 연결된다.
gNB 및 ng-eNB는 다음의 기능을 제공한다.
-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기능: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허용 제어, 연결 이동 제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UE에 대한 자원의 동적 할당(스케줄링);
- 데이터의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 UE에 의해 제공된 정보로부터 AMF로의 라우팅이 결정될 수 없을 때, UE 부착시 AMF의 선택;
- UPF를 향하여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라우팅;
- AMF를 향하여 제어 평면 정보의 라우팅;
- 연결 설정 및 해제;
- (AMF로부터 시작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 (AMF 또는 O&M(operations & maintenance)로부터 시작되는) 시스템 방송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 이동성 및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 및 측정 보고 구성;
- 상향링크에서의 전송 레벨 패킷 마킹;
- 세션 관리;
- 네트워크 슬라이싱 지원;
- QoS(quality of service) 흐름 관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로의 맵핑;
- RRC_INACTIVE 상태에 있는 UE의 지원;
-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배포 기능;
- 무선 접속 네트워크 공유;
- 이중 연결;
- NR과 E-UTRA 간의 긴밀한 연동.
AMF는 다음의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 NAS 신호 종단;
- NAS 신호 보안;
- AS 보안 통제;
-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인터 CN 노드 시그널링;
- 아이들 모드 UE 도달 가능성(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 포함);
- 등록 영역 관리;
- 시스템 내 및 시스템 간 이동성 지원;
- 액세스 인증;
- 로밍 권한 확인을 포함한 액세스 권한 부여;
- 이동성 관리 제어(가입 및 정책);
- 네트워크 슬라이싱 지원;
-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선택.
UPF는 다음의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 인트라/인터-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적용 가능한 경우);
-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연결의 외부 PDU(protocol data unit) 세션 포인트;
-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 패킷 검사 및 정책 규칙 집행의 사용자 평면 부분;
- 트래픽 사용 보고;
- 데이터 네트워크로 트래픽 흐름 라우팅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분류;
- 멀티 홈 PDU 세션을 지원하기 위한 지점;
- 사용자 평면에 대한 QoS 처리(예를 들어, 패킷 필터링, 게이팅, UL/DL 요금 집행);
- 상향링크 트래픽 검증(SDF(service data flow)에서 QoS 흐름 맵핑);
- 하향링크 패킷 버퍼링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지 트리거.
SMF는 다음의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 세션 관리;
- UE IP 주소 할당 및 관리;
- 사용자 평면 기능의 선택 및 제어;
- 트래픽을 적절한 대상으로 라우팅 하기 위해 UPF에서 트래픽 전환 구성;
- 정책 집행 및 QoS의 제어 평면 부분;
- 하향링크 데이터 통지.
이하, 멀티 RAT 이중 연결(multi-RAT dual connectivity)에 대해서 설명한다. NG-RAN은 복수의 RX/TX를 가진 RRC_CONNECTED 내의 UE가 2개의 별개의 스케줄러에 의해 제공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멀티 RAT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멀티 RAT 이중 연결은 E-UTRA 이중 연결의 일반화이다. 2개의 별개의 스케줄러는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2개의 서로 다른 NG-RAN 노드에 위치한다. 2개의 서로 다른 NG-RAN 노드 중 하나는 마스터 노드(MN; master node)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 하나는 세컨더리 노드(SN; secondary node)의 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스케줄러는 MN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스케줄러는 SN에 위치한다. 2개의 서로 다른 NG-RAN 노드는 E-UTRA 접속(NG-RAN 노드가 ng-eNB인 경우) 또는 NR 접속(NG-RAN 노드가 gNB인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ng-eNB는 UE를 향하여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고, EN-DC(E-UTRAN-NR dual connectivity)에서 SN으로 동작하는 노드이다. Ng-eNB는 UE를 향하여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고,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에 연결되는 노드이다. MN과 SN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적어도 MN은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 RAT 이중 연결은 서로 다른 노드 간의 비이상적인 백홀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멀티 RAT 이중 연결은 이상적인 백홀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EN-DC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E-UTRAN은, UE가 M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eNB 및 S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en-gNB에 연결되는, EN-DC를 통해 멀티 RAT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eNB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에 연결되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en-gNB에 연결된다. en-gNB는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에 연결될 수 있고,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en-gNB에 연결될 수 있다.
5G CN 또한 멀티 RAT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NG-RAN은, UE가 M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ng-eNB와 S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gNB에 연결되는, NG-RAN E-UTRA-NR 이중 연결(NGEN-DC)을 지원한다. ng-eNB는 5G CN에 연결되고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ng-eNB에 연결된다. 또한, NG-RAN은, UE가 M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gNB와 SN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ng-eNB에 연결되는, NR-E-UTRA 이중 연결(NE-DC)을 지원한다. gNB는 5G CN에 연결되고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에 연결된다.
상술한 멀티 RAT 이중 연결 및/또는 LTE/NR의 단단한(tight) 인터워킹을 지원하기 위하여, LTE와 NR의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3/3a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옵션 3/3a에서, LTE eNB는 비독립형(non-standalone) NR과 함께 EPC에 연결된다. 즉, NR 제어 평면은 EPC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LTE eNB를 통해서 연결된다. EPC로의 NR 사용자 평면 연결은, LTE eNB를 통해 연결되거나(옵션 3) 또는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옵션 3a). 옵션 3/3a는 도 3에서 상술한 EN-DC 아키텍처에 대응한다.
도 5는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4/4a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옵션 4/4a에서, gNB는 비독립형 E-UTRA와 함께 NGC에 연결된다. 즉, E-UTRA 제어 평면은 NGC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gNB를 통해서 연결된다. NGC로의 E-UTRA 사용자 평면 연결은, gNB를 통해 연결되거나(옵션 4) 또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옵션 4a). 옵션 4/4a는 상술한 옵션 3/3A에서 E-UTRA와 NR이 서로 뒤바뀐 형태에 해당한다.
도 6은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을 위한 배치 시나리오의 옵션 7/7a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옵션 7/7a에서, eLTE eNB(즉, ng-eNB)는 비독립형 NR과 함께 NGC에 연결된다. 즉, NR 제어 평면은 NGC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eLTE eNB를 통해서 연결된다. NGC로의 NR 사용자 평면 연결은, eLTE eNB를 통해 연결되거나(옵션 7) 또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옵션 7a).
상술한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 옵션에 따라 멀티 RAT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이 논의 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RAT 이중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2개의 노드(예를 들어, eNB, gNB, ng-eNB, en-gNB) 사이에 많은 선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 옵션 중 어느 옵션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거시 LTE 기반 시스템에서는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및 QoS(quality of service)가 사용되며, 이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상술한 옵션 3/3a에 적용된다. 옵션 3/3a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EPC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옵션 4/4a 및 7/7a의 경우, 새롭게 도입되는 플로우 개념, 플로우-QoS 맵핑 규칙, RRC 시그널링, 노드 간의 UE 능력 조정 등의 새로운 특징들이 채택될 수 있다. 옵션 4/4a 및 7/7a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NGC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프로딩 절차(즉, 멀티 RAT 이중 연결)를 트리거 하기 위한 절차가 레거시 LTE의 이중 연결 절차와 다를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멀티 RAT 이중 연결을 위한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 옵션에 따라, RAN 노드가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방법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대한 해결 방법을 제안한다.
1. 제1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은 eNB이며, RAN 노드 2는 gNB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 및 RAN 노드 2는 eNB, gNB, ng-eNB, en-gN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역시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다른 다양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 본 실시예에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는 RAN 노드 1에 의하여 트리거 된다.
RAN 노드 1과 RAN 노드 2 간에 RAN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때, RAN 노드 1이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경우, RAN 노드 1은 대상 노드 역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고 싶어할 수 있다. 대상 노드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계 S100에서, RAN 노드 1은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RAN 노드 2로 전송한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의 대상 노드(즉,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는 RAN 노드 1의 글로벌 eNB ID일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 또는 RAN 노드 1의 글로벌 eNB I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 또는 글로벌 eNB ID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함을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X2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포함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2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UE 특정 절차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노드 2는 이중 연결 절차 또는 다중 연결 절차를 위하여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2에서, RAN 노드 2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RAN 노드 1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가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하면, 상기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함을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X2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포함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1은,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기반으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기반으로, RAN 노드 1은 레거시 LTE 이중 연결 절차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UE 능력, 플로우-DRB(data radio bearer) 맵핑 규칙 등이 SeNB 추가/수정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AN 노드 1은 SeNB 추가/수정 절차 중에 PDU 세션에 대한 QoS 형식을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2에서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기존의 eNB ID를 포함할 수 있는데, RAN 노드 1은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은 eNB이며, RAN 노드 2는 gNB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 및 RAN 노드 2는 eNB, gNB, ng-eNB, en-gN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역시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다른 다양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 본 실시예에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는 RAN 노드 2에 의하여 트리거 된다.
RAN 노드 1과 RAN 노드 2 간에 RAN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때, RAN 노드 2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경우, RAN 노드 2는 대상 노드 역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고 싶어할 수 있다. 대상 노드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계 S110에서, RAN 노드 2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RAN 노드 1로 전송한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의 대상 노드(즉, RAN 노드 1)가 옵션 3/3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함을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X2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포함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1은,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UE 특정 절차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노드 1은 이중 연결 절차 또는 다중 연결 절차를 위하여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2에서, RAN 노드 1은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RAN 노드 2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가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하면, 상기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는 상기 RAN 노드 1의 글로벌 eNB ID일 수 있다. 즉,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함을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X2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포함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2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기반으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기반으로, RAN 노드 2는 레거시 LTE 이중 연결 절차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UE 능력, 플로우-DRB 맵핑 규칙 등이 SeNB 추가/수정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AN 노드 2는 SeNB 추가/수정 절차 중에 PDU 세션에 대한 QoS 형식을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2에서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기존의 eNB ID를 포함할 수 있는데, RAN 노드 2는 이를 무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7 또는 도 8에서 설명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는 EN-DC X2 설정 절차일 수 있다. EN-DC X2 설정 절차의 목적은 eNB 및 en-gNB가 X2 인터페이스 상에서 올바르게 상호 운용되는 데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레벨 구성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다. EN-DC X2 설정 절차는 두 노드의 기존 어플리케이션 레벨 구성 데이터를 지우고, 수신한 정보로 대체한다. EN-DC X2 설정 절차는 재설정 절차와 같이 X2 인터페이스를 재설정한다. EN-DC X2 설정 절차는 비 UE-관련 시그널링을 사용한다.
상술한 도 7 또는 도 8에서 설명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가 EN-DC X2 설정 절차인 경우, 상술한 도 7에서 RAN 노드 1이 전송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상술한 도 8에서 RAN 노드 2가 전송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아래의 표 1에서 설명되는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개시 E-UTRAN 노드에 의해 이웃 E-UTRAN 노드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며, 두 노드 모두 EN-DC를 위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다.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TNL(transport network layer) 연관에 대한 초기화 정보를 전달한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9.2.13 YES reject
CHOICE Initiating NodeType M
>eNB
>>Global eNB ID M 9.2.22 YES reject
>en-gNB
>>Global en-gNB ID M <ref> YES reject
>>List of Served NR Cells 1 .. <maxCellinengNB> list of cells served by the engNB YES reject
>>>Served NR Cell Information M 9.2.y - -
>>>NR Neighbour Information O 9.2.x NR neighbors YES ignore
표 1을 참조하면,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이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글로벌 eNB ID("Global eNB ID" IE(information element)) 또는 글로벌 gNB ID("global en-gNB ID" I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eNB가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글로벌 e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gNB가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글로벌 g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7에서 RAN 노드 2가 전송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 또는 상술한 도 8에서 RAN 노드 1이 전송하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아래의 표 2에서 설명되는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이웃 E-UTRAN 노드에 의해 개시 E-UTRAN 노드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며, 두 노드 모두 EN-DC를 위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다.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TNL 연관에 대한 초기화 정보를 전달한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9.2.13 YES reject
CHOICE Responding NodeType M
>eNB
>>Global eNB ID M 9.2.22 YES reject
>en-gNB
>>Global en-gNB ID M <ref> YES reject
>>List of Served NR Cells 1 .. <maxCellinengNB> List of cells served by the en-gNB YES reject
>>>Served NR Cell Information M 9.2.y - -
>>>NR Neighbour Information O 9.2.x NR neighbors YES ignore
표 2를 참조하면,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이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글로벌 eNB ID("Global eNB ID" IE) 또는 글로벌 gNB ID("global en-gNB ID" I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gNB가 EN-DC X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글로벌 g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eNB가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글로벌 e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RAN 노드가 X2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제1 RAN 노드는 상기 제1 RAN 노드가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한다. 상기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술한 표 1을 따를 수 있다. 단계 S122에서, 제1 RAN 노드는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술한 표 2를 따를 수 있다. 상기 제1 RAN 노드는 상기 제2 지시를 기반으로 상기 EN-DC와 관련한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상기 제1 RAN 노드는 eNB일 수 있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gNB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eNB ID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RAN 노드는 gNB일 수 있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eNB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eNB ID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R을 포함하는 5G 코어 네트워크 및 5G RAN을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에 따라, UE가 처리량 및 UE 경험 측면에서 보다 잘 서비스 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절차와 함께 MN에 의하여 트리거 될 수 있는 이중/다중 연결에 따라,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에 따라 UE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다중 연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UE 이동성을 위한 시그널링이 단순화 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은 eNB이며, RAN 노드 2는 gNB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 및 RAN 노드 2는 eNB, gNB, ng-eNB, en-gN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Xn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역시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다른 다양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는 RAN 노드 1에 의하여 트리거 된다.
RAN 노드 1과 RAN 노드 2 간에 RAN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때, RAN 노드 1이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경우, RAN 노드 1은 대상 노드 역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고 싶어할 수 있다. 대상 노드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계 S200에서, RAN 노드 1은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RAN 노드 2로 전송한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이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이 옵션 4/4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이 옵션 7/7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의 대상 노드(즉, RAN 노드 2)가 옵션 3/3a 및/또는 옵션 4/4a 및/또는 옵션 7/7a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는 RAN 노드 1의 글로벌 eNB ID일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Xn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2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UE 특정 절차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노드 2는 이중 연결 절차 또는 다중 연결 절차를 위하여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2에서, RAN 노드 2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RAN 노드 1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가 RAN 노드 2가 옵션 3/3a 및/또는 옵션 4/4a 및/또는 옵션 7/7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하면, 상기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Xn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1은,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기반으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기반으로, RAN 노드 1은 레거시 LTE 이중 연결 절차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UE 능력, 플로우-DRB 맵핑 규칙 등이 SeNB 추가/수정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AN 노드 1은 SeNB 추가/수정 절차 중에 PDU 세션에 대한 QoS 형식을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옵션 3/3a와 옵션 4/4a/7/7a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시지 집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은 eNB이며, RAN 노드 2는 gNB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 및 RAN 노드 2는 eNB, gNB, ng-eNB, en-gN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Xn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역시 예시에 불과하며, RAN 노드 1과 RAN 노드 2의 RAN 인터페이스는 다른 다양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절차는 RAN 노드 2에 의하여 트리거 된다.
RAN 노드 1과 RAN 노드 2 간에 RAN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때, RAN 노드 2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경우, RAN 노드 2는 대상 노드 역시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고 싶어할 수 있다. 대상 노드가 LTE/NR 인터워킹을 위한 옵션 3/3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4/4a 아키텍처 및/또는 옵션 7/7a 아키텍처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계 S210에서, RAN 노드 2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RAN 노드 1로 전송한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가 옵션 3/3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가 옵션 4/4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가 옵션 7/7a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의 대상 노드(즉, RAN 노드 1)가 옵션 3/3a 및/또는 옵션 4/4a 및/또는 옵션 7/7a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는 Xn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1은,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UE 특정 절차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노드 1은 이중 연결 절차 또는 다중 연결 절차를 위하여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가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2의 글로벌 gNB I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2에서, RAN 노드 1은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RAN 노드 2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메시지가 RAN 노드 1이 옵션 3/3a 및/또는 옵션 4/4a 및/또는 옵션 7/7a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포함하면, 상기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는 글로벌 eNB ID일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는 Xn 인터페이스의 기존의 메시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메시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RAN 인터페이스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RAN 노드 2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기반으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3/3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4/4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이 옵션 7/7a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 및/또는 상기 RAN 노드 1의 향상된 eNB ID(또는, 글로벌 eNB ID)를 기반으로, RAN 노드 2는 레거시 LTE 이중 연결 절차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UE 능력, 플로우-DRB 맵핑 규칙 등이 SeNB 추가/수정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AN 노드 2는 SeNB 추가/수정 절차 중에 PDU 세션에 대한 QoS 형식을 이중 연결 절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옵션 3/3a와 옵션 4/4a/7/7a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시지 집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R을 포함하는 5G 코어 네트워크 및 5G RAN을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에 따라, UE가 처리량 및 UE 경험 측면에서 보다 잘 서비스 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절차와 함께 MN에 의하여 트리거 될 수 있는 이중/다중 연결에 따라,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LTE/NR의 단단한 인터워킹에 따라 UE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다중 연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UE 이동성을 위한 시그널링이 단순화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RAN 노드(즉, eNB, gNB, ng-eNB, en-gNB) 간의 이동/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 하기 위하여 RAN 노드를 돕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RAN 노드 1(800)은 프로세서(processor; 810), 메모리(memory; 820) 및 송수신부(transceiver; 8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83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RAN 노드 2(900)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송수신부(9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93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810, 910)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 9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30, 93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820, 9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10, 9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820, 920)는 프로세서(810, 9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810, 9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은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었다. 편의상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 설명되었으나, 청구된 본 발명의 특징은 단계들 또는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다른 단계와 상술한 바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에 의한 X2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RAN 노드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이중 연결(EN-DC; E-UTRAN-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N 노드는 eNB(eNode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g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eNB ID(identifier)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N 노드는 gN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eNB ID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를 기반으로 상기 EN-DC와 관련한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RAN 노드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이중 연결(EN-DC; E-UTRAN-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RAN 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RAN 노드가 상기 EN-DC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X2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RAN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N 노드는 eNB(eNode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g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eNB ID(identifier)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N 노드는 gNB이고,
    상기 제2 RAN 노드는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글로벌 gNB ID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시는 글로벌 eNB ID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X2 설정 요청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X2 설정 응답 메시지는 EN-DC X2 설정 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지시를 기반으로 상기 EN-DC와 관련한 이중 연결 절차를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RAN 노드
KR1020197019675A 2017-01-06 2018-01-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0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3003P 2017-01-06 2017-01-06
US62/443,003 2017-01-06
PCT/KR2018/000164 WO2018128406A1 (ko) 2017-01-06 2018-01-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066A true KR20190089066A (ko) 2019-07-29
KR102080317B1 KR102080317B1 (ko) 2020-02-21

Family

ID=6278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675A KR102080317B1 (ko) 2017-01-06 2018-01-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219095B2 (ko)
EP (1) EP3547793B1 (ko)
JP (1) JP7084409B2 (ko)
KR (1) KR102080317B1 (ko)
CN (1) CN110140421B (ko)
WO (1) WO2018128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06A1 (ko) 2017-01-06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18207775A1 (ja) * 2017-05-08 2020-03-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59836A1 (en) * 2017-09-22 2019-03-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UNITS IN A NETWORK NODE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DEVICE
US11129240B2 (en) * 2018-05-25 2021-09-21 Parallel Wireless, Inc. 5G interoperability architecture
WO2019243901A1 (en) * 2018-06-19 2019-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providing anchor change for ethernet pdu sessions and related network entities/nodes
US20190313272A1 (en) * 2018-06-25 2019-10-1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in system frame number (sfn) and frame timing difference measurements in new radio (nr)
CN112640555A (zh) * 2018-08-09 2021-04-09 苹果公司 新无线电(nr)相关通信中测量间隙配置的技术
CN110912661A (zh) * 2018-09-14 202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能力信息接收、发送方法及装置
US10827395B2 (en) * 2018-09-18 2020-11-03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ng gateway for a session of a user equipment (UE) in a mobile network having 5G non-standalone (NSA) architecture deployments
CN111726819B (zh) * 2019-03-19 2021-11-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站链路的建立与更新处理方法及装置
CN111726840B (zh) * 2019-03-21 2021-09-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的双连接配置处理方法及装置
CN110225553B (zh) * 2019-05-31 2022-05-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数据分流方法及设备、系统
CN113543258B (zh) * 2019-09-23 2023-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系统互操作的方法及装置
GB2587415B (en) * 2019-09-30 2022-06-08 British Telecomm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3068239B (zh) * 2020-01-01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5278815A (zh) * 2021-04-30 2022-11-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9615A1 (en) * 2009-05-04 2010-11-10 Alcatel Lucent Handover from non 3GPP to 3GPP access network
US20130142161A1 (en) 2010-08-17 2013-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97685B2 (en) 2012-07-26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upporting communication using two or more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same
WO2015046911A1 (en) * 2013-09-26 2015-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between enb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JP6207441B2 (ja) 2014-03-20 2017-10-04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アーキテクチャ情報取得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954266B (zh) 2014-06-23 2024-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双连接中分割承载的数据分配方法和装置
JP6453474B2 (ja) 2015-01-15 2019-01-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接続のための独立型ローカルゲートウェイサービス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886400B2 (ja) 2015-05-28 2021-06-1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10383915B (zh) * 2017-01-05 2023-05-09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接入网节点、无线终端及其方法和非瞬时性计算机可读介质
WO2018128406A1 (ko) 2017-01-06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C, R2-162889, Tight interworking between NR and LTE, 3GPP TSG RAN WG2 #93bis, 2016.04.02. 1부.* *
Nokia et al., R2-166243, On UE capability and network node coordination aspects in LTE- NR tight interworking, 3GPP TSG RAN WG2 #95bis, 2016.09.30. 1부.* *
Qualcomm Incorporated, R2-167065, Report of e-mail discussion [95#30] Capability coordination for NR and LTE, 3GPP TSG RAN WG2 #95bis, 2016.10.0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2892B2 (en) 2023-10-17
US20190380172A1 (en) 2019-12-12
CN110140421B (zh) 2022-04-05
JP7084409B2 (ja) 2022-06-14
JP2020504544A (ja) 2020-02-06
US20240008146A1 (en) 2024-01-04
US20220053608A1 (en) 2022-02-17
EP3547793B1 (en) 2020-11-11
EP3547793A4 (en) 2019-12-18
KR102080317B1 (ko) 2020-02-21
CN110140421A (zh) 2019-08-16
WO2018128406A1 (ko) 2018-07-12
US11219095B2 (en) 2022-01-04
EP3547793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3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39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rocedure for LTE/NR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39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path for IAB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933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multaneous connectivity between multiple E-NodeBs and user equipment
EP3550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3277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ffloading procedures for wlan-lte integration and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53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nd reporting measurement for LTE/NR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391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을 위한 서비스 해제를 통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6512A (ko) 백홀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60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terminal capabilities for LTE/NR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62286A1 (ja) 通信システム、無線アクセス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US9974107B2 (en) Radio nod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supporting plurality of radio network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210119505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WO20151053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for 3gpp lte-wlan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120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earer type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07130B1 (ko) 이종망 환경에서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32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se station chang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280745A (zh) 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