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517A - 신원 검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원 검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517A
KR20190088517A KR1020197018257A KR20197018257A KR20190088517A KR 20190088517 A KR20190088517 A KR 20190088517A KR 1020197018257 A KR1020197018257 A KR 1020197018257A KR 20197018257 A KR20197018257 A KR 20197018257A KR 20190088517 A KR20190088517 A KR 2019008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operation information
selection operation
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900B1 (ko
Inventor
징 리
리앙 리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으로, 가상 현실 장면에서 신원 인증이 구현될 수 있고 인증 프로세스가 효율적이고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원 검증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식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는 가상 신원(예를 들어, 등록된 가상 계정)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및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계정 로그인, 정보 수정 및 온라인 지불과 같은 상황에서, 보안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자 신원 인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술에서, 신원 인증 방법은 보통 SMS 검증 코드, 얼굴 인식, 지문 인식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가상 현실 디바이스(예를 들어, 가상 현실 안경)를 착용하고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실감형 가상 장면에 참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에서 이전의 신원 인증 방법을 직접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가상 현실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신원 인증 솔루션이 시급하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출원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신원 인증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이 효율적이고 편리할 수 있도록 신원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의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신원 인증 방법이 제공되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신원 인증 장치가 제공되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복수의 가상 현실 물품이 가상 현실 장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이들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해 올바른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신원을 정확하게 인증한다는 것을 상기의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물품 디스플레이 및 선택과 같은 프로세스가 관련 기술의 신원 인증 방법과 비교하여 가상 현실 장면에 통합되므로, 본 출원은 가상 현실 장면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고, 신원 인증 프로세스는 효율적이고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1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2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3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4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신원 인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출원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 구현예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2: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신원 인증 솔루션은 관련 기술에서 임의의 형태의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올인원(all-in-one) 디바이스, 즉 데이터 처리 모듈, 이미지 렌더링 모듈,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듈 등이 통합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분할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구조와 이미지 처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구조는 가상 현실 안경, 가상 현실 헬멧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구조를 사용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상기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등함)를 볼 수 있다. 이미지 처리 구조는 데이터 처리 기능(상기의 데이터 처리 모듈과 동등함) 및 이미지 렌더링 기능(상기의 이미지 렌더링 모듈과 동등함)과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휴대 전화, 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신원 인증을 위한 "정답"과 동등하고,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정답"에 있는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나의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종래의 생각에 기초하여, 비인증 사용자는 이러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하는 대신,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 중에서 일부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하거나 이러한 가상 현실 물품을 순차적으로 정렬(연속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확실히 고려한다. 그러나 실제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 및 이러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과 선택 순서를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선택 동작 정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을 올바른 순서로 선택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는 신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되지 않은 간섭 가상 현실 물품 모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상기의 "정답"에 있는 가상 현실 물품뿐만 아니라 간섭자의 역할을 하는 몇 개의 간섭 가상 현실 물품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나의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상기의 "정답"에 있는 가상 현실 물품 및 간섭자의 역할을 하는 간섭 가상 현실 물품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며, 인증된 사용자만이 가상 현실 물품(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식별하고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하면,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하면,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생각은 상기의 솔루션에서 사용된 생각과 동일하다.
다른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 및 이러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과 선택 순서를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선택 동작 정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을 식별하고 구별하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을 올바른 순서로 선택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는 신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의 후보 가상 현실 물품 순서의 정의에 따라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상이하며, 미리 결정된 차원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론,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 물품 카테고리: 상이한 카테고리의 물품은 대개 상이한 모양을 갖는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펜, 컵, 램프 등이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베개, 텔레비전 세트, 칫솔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이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2) 물품 사양: 동일한 카테고리의 물품은 물품 사양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사양"은 다수의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황에서, "사양"은 물품의 크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작은 크기의 컵이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더 큰 크기의 컵일 수 있다. 또 다른 상황에서, "사양"은 물품의 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유리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플라스틱 컵일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컵이 동일한 용량을 가지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상이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물론, "사양"은 다른 측면으로 더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고,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3) 공간적 자세: 동일한 카테고리 및 사양의 물품은 물품의 공간적 자세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개구부가 위를 향한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개구부가 아래를 향한 컵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펜팁이 왼쪽을 향한 만년필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펜팁이 앞을 향한 만년필일 수 있다.
(4) 다른 가상 현실 물품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동일한 카테고리 및 사양의 물품은 물품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 위에 있는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티 테이블 위에 있는 컵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의 테스크톱의 왼쪽 위 모서리에 있는 만년필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의 데스크톱의 오른쪽 위 모서리에 있는 또는 서랍에 있는 만년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 동작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응답(즉, 복수의 표준 선택 동작 정보)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응답은 각각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며, 사용자는 가상 현실 장면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는 항상 동일한 가상 현실 장면 및 응답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응답 유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가상 현실 장면 사이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보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에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을 선택하고 올바른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는 신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잘못된 가상 현실 장면에서 올바른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거나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에서 잘못된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면, 사용자는 신원 인증에 실패한다.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 프로세스가 로그인 프로세스인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표준 장면 1이 될 수 있고, 개시 프로세스가 지불 프로세스인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표준 장면 2 또는 표준 장면 3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개시 프로세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정보 보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모든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에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즉,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있다). 즉, 사용자가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에서 올바른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는 신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응답(즉, 복수의 표준 선택 동작 정보)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응답은 각각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며, 사용자는 먼저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을 선택하고 그런 다음 가상 현실 장면에서 올바른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신원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더욱 도움을 준다.
상기의 구현예들 중 일부에 기초하여, 아마도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들이 존재하며, 이들 가상 현실 장면들 각각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즉, "응답")가 있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그러나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반드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상호 독립적이며,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완전히 상이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정확히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104: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106: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일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하고,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 동작 정보로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하는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가상 현실 물품인 경우, 사용자가 이들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나 순서에 관계없이,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상기의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는 것 이외에,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더 결정할 수 있고, 선택 순서를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하고 선택 순서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의 표준 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을 올바른 순서로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가상 현실 물품인 경우에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는 신원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가 선택 동작 정보와 표준 선택 동작 정보 간의 매칭을 수행할 때, 하나의 상황에서,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며; 다른 상황에서, 선택 동작 정보가 몇 개의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포함하고 연속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실시간 선택 동작이 "정답"을 포함하면, "정답"의 앞 또는 뒤에 임의의 선택 동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의 앞 또는 뒤에 간섭용으로 일부 무관한 선택 동작 정보를 사전 대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복수의 가상 현실 물품이 가상 현실 장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인증된 사용자만이 이들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해 올바른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신원을 정확하게 인증한다는 것을 상기의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물품 디스플레이 및 선택과 같은 프로세스가 관련 기술의 신원 인증 방법과 비교하여 가상 현실 장면에 통합되므로, 본 출원은 가상 현실 장면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고, 신원 인증 프로세스는 효율적이고 편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구현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상 현실 장면에서의 사용자 신원 인증은 전체 구현으로부터 설정 단계와 인증 단계로 분할될 수 있다.
단계 1: 설정 단계
설정 단계에서, 각 사용자는,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을 선택하거나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한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자신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답"에 기초하여 설정을 수행한다.
특히,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자체를 설정 모드로 구성하고 사용 가능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설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을 기록하며,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모든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장면 옵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설정 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 동작은 아래에 설명된 인증 단계에서의 동작과 상호 연관된다. 예를 들면, 설정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가상 현실 장면 선택은 인증 단계에서의 가상 현실 장면 선택과 유사하고, 설정 단계에서 사용자의 표준 선택 동작 정보의 생성 프로세스는 인증 단계에서의 선택 동작 정보의 생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다음 인증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이 생략된다.
단계 2: 인증 단계
구현예 1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든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하여 신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1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신원 인증 절차는 미리 정의된 기능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기능은 로그인 기능, 지불 기능, 계정 정보 질의 기능, 패스워드 변경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구현예에서, 신원 인증 절차는 현재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특정 사용자와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미리 구성하거나,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특정 사용자에게 미리 바인딩됨),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위한 "정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204: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하고, 이러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선택함"이라고 가정한다. 가상 현실 다비이스는 상기의 후보 가상 현실 물품으로서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사용할 수 있고, 현재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206: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해 현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동작 정보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물품의 ID 정보, 즉 상기의 "A", "B", "C"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 동작 정보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선택함"일 수 있다.
단계 208: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한 경우,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선택 동작 정보와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즉 선택 동작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포함하는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면, 선택 동작 정보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구현예에서 현재 사용자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해 다음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선택 동작 정보 및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모두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선택함"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된 모든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하므로, 이에 의해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한다.
종래의 신원 인증 설계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모든 옵션을 선택하는 대신,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제공된 옵션(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과 동등함)에서 하나의 "올바른" 옵션을 선택하거나, 다수의 옵션을 정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본 구현예에서, 종래의 디자인 아이디어의 생각 관성이 사용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선택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다.
구현예 2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대응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현실 장면을 선택한 후에,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는 신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2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2: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모든 가상 현실 장면에 대한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장면 옵션 선택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사용자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방법으로 가상 현실 장면을 더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가상 현실 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스터디 룸"인 경우, "스터디 룸"과 관련된 가상 현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또는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거실"인 경우, "거실"과 관련된 가상 현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보다 실감형 경험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304: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모든 가상 현실 장면은 상호 독립적이며,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상호 독립적이다. 다시 말해서, 본 구현예에는 다수의 "정답"이 있다. 이에 상응하여, 일 구현예에서, 신원 인증은 현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선택 동작 정보가 임의의 "정답"을 충족하면 완료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현예에서, 현재 사용자는 적어도 미리 결정된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해 대응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필요가 있고, 선택 동작 정보가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개별적으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306: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구현예에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대응한다. 따라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고,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308: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후보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해 현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동작 정보는, (1)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 및 (2)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의 경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206)와 유사하게,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물품의 ID 정보, 즉 상기의 "A", "B", "C"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택 동작 정보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선택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의 "선택 순서"의 경우, 현재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연속적으로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대응하는 선택 순서는 A → B → C일 수 있다. 또는, 현재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C, B 및 A를 연속적으로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대응하는 선택 순서는 C → B → A일 수 있다. 선택 순서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사용자는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여러 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순서가 A → C → A → B → A → B인 경우, 이는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를 3번, 가상 현실 물품 B를 2번, 가상 현실 물품 C를 1번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310: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한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연속 선택 동작 정보는 선택 동작 정보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즉,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한 경우,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인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이면,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선택 동작 정보가 "B → A → B → C → B"인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를 포함하더라도,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연속 선택 동작 정보는 선택 동작 정보의 일부일 수 있고, 연속 선택 동작 정보 자체는 연속 정보이어야 하고 다수의 분리된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형성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인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B → A → B → C → B"이면,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선택 동작 정보가 연속 선택 동작 정보 "A → B → C"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B → C"이면, "A → B"와 "C"가 포함되어 있어도, "A → B"와 "C"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현재 사용자는 입력 프로세스 동안 다른 사용자가 엿보는 것에 기인한 정보 유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속 선택 동작 정보의 앞 또는 뒤 또는 앞과 뒤에 간섭용으로 무관한 콘텐츠를 추가하여, 이에 의해 정보 보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서의 기술적 특징은 또한 도 2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가상 현실 장면과 관련된 기술적 방법은 또한 도 2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고유하거나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관련되므로, 이에 의해 정보 보안을 향상시킨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은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 및 "선택 순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실시는 또한 도 2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정보 보안을 향상시킨다. 다른 예를 들어, 단계(310)에서 사용된 기술적 방법은 또한 도 2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선택 동작 정보는 선택 동작 정보의 복잡성 및 무작위성을 증가시키며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의 동작을 관찰하여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추론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연속 선택 동작 정보 및 다른 무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정보 보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이 또한 다른 구현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이 생략된다.
구현예 3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든 가상 현실 장면은 동일한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사용하지만, 사용자는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을 선택하고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 후에만 신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3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2: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특정 사용자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 및 현재 사용자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을 별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신원 인증 절차는 현재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특정 사용자와 미리 연관되어 있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 및 표준 장면을 획득하고,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을 위한 "정답"으로 표준 선택 동작 정보 및 표준 장면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404A: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302)와 유사하게,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결정할 수 있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이 생략된다.
단계 404B: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몇 개의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되지 않은 간섭 가상 현실 물품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간섭자의 역할을 하여 비인증 사용자를 간섭하고 혼란시키므로, 이에 의해 신원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본 구현예에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는 상이하다. 다음은 다양한 미리 결정된 차원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1) 물품 카테고리: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는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펜, 컵, 램프 등이라고 가정하고,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베개, 텔레비전 세트, 칫솔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이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2) 물품 사양: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는 상이한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사양"은 다수의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서, "사양"은 물품의 크기, 즉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비율로서 이해될 수 있다.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작은 크기의 컵이라고 가정한다.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더 큰 크기의 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으로서 사용된 컵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비율(즉, ×1)을 사용할 수 있고, 간섭 가상 현실 물품으로서 사용된 컵은 ×5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상황에서, "사양"은 물품의 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유리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플라스틱 컵일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컵이 동일한 용량을 가지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상이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500ml 용량의 유리 컵이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3000ml 용량의 유리 컵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컵이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상이한 가상 현실 물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물론, "사양"은 다른 측면으로 더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고,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3) 공간적 자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는 상이한 공간적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개구부가 위를 향한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개구부가 아래를 향한 컵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펜팁이 왼쪽을 향한 만년필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펜팁이 앞을 향한 만년필일 수 있다.
(4) 다른 가상 현실 물품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물품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간섭 가상 현실 물품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 위에 있는 컵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티 테이블 위에 있는 컵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의 테스크톱의 왼쪽 위 모서리에 있는 만년필일 수 있으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장면에서 가상 현실 데스크의 데스크톱의 오른쪽 위 모서리에 있는 또는 서랍에 있는 만년필일 수 있다.
물론,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이 펜이고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이 칫솔인 경우, 두 개의 물품은 물품 사양, 공간적 자세 및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관련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른 미리 결정된 차원을 충족시키는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상기의 미리 결정된 차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시키는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406: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본 구현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206)와 유사하게, 선택 동작 정보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308)와 유사하게, 선택 동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 및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의 선택 순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와는 달리, 본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물품은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포함하므로, 선택 동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예를 들어, ID 정보와 같은 설명 정보) 또는 선택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현실 디바이스의 후속 처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여전히 선택 동작 정보와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일 수 있고,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가상 현실 물품 D 및 E일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206)에 도시된 솔루션과 유사한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및 C를 선택함"이면, 선택 동작 정보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B, C를 선택함"인 경우에만, 선택 동작 정보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선택 동작 정보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물품 A, D 및 C를 선택함"이면, 선택 동작 정보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308)에 도시된 솔루션과 유사한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이고, 선택 동작 정보가 "A → B → C"이면,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택 동작 정보가 "A → D → C"이면,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선택 동작 정보의 일부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의 매칭을 위한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형성하는 것이 허용되면, 선택 동작 정보가 "D → A → B → C → E"인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연속 선택 동작 정보 "A → B → C"를 포함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여전히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08: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10: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 아니거나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고정된 장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현재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때마다 "스터디 룸"일 수 있다. 또는,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동적 장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장면은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원 인증 절차가 "로그인 기능"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스터디 룸"일 수 있고, 신원 인증 절차가 "지불 기능"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거실" 등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의 기술적 특징은 또한 도 2, 도 3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가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몇 개의 간섭 가상 현실 물품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적 방법은 또한 도 2, 도 3 또는 본 출원에 제공된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 가능하여, 신원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유사하게,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이 또한 다른 구현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이 생략된다.
구현예 4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다수의 가상 현실 장면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대응한다. 사용자는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을 선택하고 표준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 후에만, 신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 3에 따른 신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2: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개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 및 표준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동적 장면일 수 있다. 동적 장면은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원 인증 절차가 "로그인 기능"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스터디 룸"일 수 있고, 신원 인증 절차가 "지불 기능"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거실" 등일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304)와 유사하게,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모든 가상 현실 장면은 상호 독립적이며,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는 상호 독립적이다. 그러나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만이 본 구현예에서 "정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올바른 가상 현실 장면에서 "정답"을 충족시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만, 현재 사용자는 신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 504: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을 결정한다.
단계 506: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구현예에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있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하여,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가상 현실 물품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물품은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표준 선택 동작 정보가 있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 아니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가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할 때,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실제로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반드시 지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완전히 무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현재 사용자는 "정답"을 충족시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또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은 상호 독립적인 표준 선택 동작 정보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이한 상황에서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대응하는 "정답"을 사용하여 "정답"의 양과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정보 보안 및 인증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단계 508: 가상 현실 디바이스는 선택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본 구현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의 단계(406)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이 생략된다.
단계 510: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512: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 아니거나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신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인증 단계에서, 현재 사용자의 연속적인 인증 실패의 수량이 인증 횟수의 수량에 도달할 때, 현재 사용자의 추가 인증 동작이 제한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인증 횟수의 수량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보안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특정 사용자가 예약한 연락처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선택 동작 정보 등을 식별하여 사용자가 가상 현실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신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 측면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602), 내부 버스(6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6), 메모리(608) 및 비휘발성 메모리(610)를 포함하고, 물론 다른 서비스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실행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610)에서부터 메모리(608)까지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신원 인증 장치가 논리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소프트웨어 구현 이외에, 본 출원은 다른 구현, 예를 들어, 로직 디바이스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다음의 처리 절차의 실행 본체는 각 논리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웨어 또는 로직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전자 디바이스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구현예에서, 신원 인증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71), 결정 유닛(72) 및 판정 유닛(7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71)은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결정 유닛(72)은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및 판정 유닛(73)은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71)은 구체적으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되지 않은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상이하며, 미리 결정된 차원은 물품 카테고리, 물품 사양, 공간적 자세, 및 다른 가상 현실 물품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72)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하고, 가상 현실 물품을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판정 유닛(73)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할 때,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72)은 구체적으로,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결정하고, 선택 순서를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판정 유닛(73)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이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하고 선택 순서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의 표준 순서와 일치할 때,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판정 유닛(73)은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한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선택 동작 정보가 몇 개의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포함하고 연속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한 경우, 선택 동작 정보가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장면 선택 유닛(74)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7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판정 유닛(73)은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장면 선택 유닛(75)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7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판정 유닛(73)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7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7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된다.
상기의 구현예에 도시된 시스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은 컴퓨터 칩 또는 엔티티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거나, 특정 기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전형적인 구현 디바이스는 컴퓨터이고, 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 랩톱 컴퓨터, 셀룰러 전화, 카메라 폰,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장치, 이메일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이들 장치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전형적인 구성에서,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비영구적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플래시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 저장을 구현할 수 있는 영구적, 비영구적,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한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로는 상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다른 타입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카세트 자기 테이프, 테이프 및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의 정의에 기초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캐리어와 같은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시적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한다", "구성한다"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으므로, 요소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이들 요소를 포함할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 많은 제약이 없으면, "~를 포함한다" 앞에 오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추가의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현예가 여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구현예의 예가 첨부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설명이 첨부 도면과 관련될 때, 상이한 첨부 도면에서의 동일한 번호는 다른 표시가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설명된 구현 방법은 본 출원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 방법을 나타내지 않는다. 대신, 이러한 구현 방법은 본 출원의 청구 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일부 양태와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 및 본 출원의 첨부된 청구 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의 용어 "a", "said" 및 "the"는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나열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타내며 포함한다.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동일한 타입의 정보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정보는 제 2 정보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본 명세서에 사용된 "만약"이라는 단어는 "~ 경우에" 또는 "~시점에"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동등한 대체 또는 개선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22)

  1.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되지 않은 간섭(distracting)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상기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상이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차원은 물품 카테고리, 물품 사양, 공간적 자세, 또는 다른 가상 현실 물품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을 상기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이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순서를 상기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이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하고 상기 선택 순서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의 표준 순서와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몇 개의(several)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상기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방법.
  12.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특유한 신원 인증 절차가 개시될 때, 다수의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을 포함하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 및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되지 않은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을 모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가상 현실 물품은 미리 결정된 차원에서 상기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상이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차원은 물품 카테고리, 물품 사양, 공간적 자세, 또는 다른 가상 현실 물품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현실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을 상기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이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 순서를 상기 선택 동작 정보로서 추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이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과 일치하고 상기 선택 순서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에 의해 지시된 후보 가상 현실 물품의 표준 순서와 일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몇 개의 가상 현실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연속 선택 동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동일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장면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다수의 미리 정의된 가상 현실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옵션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면 옵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장면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장면 옵션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현실 장면이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이고 상기 선택 동작 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준 선택 동작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동일한 가상 현실 물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가상 현실 장면에, 상기 선택된 가상 현실 장면과 미리 연관된 가상 현실 물품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표준 장면은 상기 신원 인증 절차의 개시 프로세스와 관련되는 것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신원 인증 장치.
KR1020197018257A 2016-11-25 2017-11-17 신원 검증 방법 및 장치 KR102151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070218.XA CN108111475B (zh) 2016-11-25 2016-11-25 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201611070218.X 2016-11-25
PCT/CN2017/111623 WO2018095282A1 (zh) 2016-11-25 2017-11-17 身份验证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17A true KR20190088517A (ko) 2019-07-26
KR102151900B1 KR102151900B1 (ko) 2020-09-03

Family

ID=6219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57A KR102151900B1 (ko) 2016-11-25 2017-11-17 신원 검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31876B2 (ko)
EP (1) EP3547605B1 (ko)
JP (1) JP6793835B2 (ko)
KR (1) KR102151900B1 (ko)
CN (2) CN108111475B (ko)
AU (2) AU2017364746A1 (ko)
BR (1) BR112019010272B8 (ko)
CA (1) CA3046835C (ko)
MX (1) MX2019005895A (ko)
PH (1) PH12019501155A1 (ko)
RU (1) RU2724656C1 (ko)
TW (1) TWI688876B (ko)
WO (1) WO2018095282A1 (ko)
ZA (1) ZA201904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1475B (zh) 2016-11-25 2020-05-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及装置
US10846733B2 (en) * 2018-12-11 2020-11-24 block.one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KR102044008B1 (ko) * 2019-05-07 2019-11-12 옥철식 가상 현실 세계의 신원 인증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548A (ko) * 2008-02-13 2009-08-18 홍성관 인증 기반 가상객체를 이용한 가상현실 구현 방법 및 그장치
KR20120007300A (ko) * 2010-07-14 2012-01-20 서진호 증강 현실 기반의 가상 입력장치 암호화를 이용한 전자거래 보안 방법 및 시스템
EP2887253A1 (en) * 2013-12-18 2015-06-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authentication via graphical augmented reality password
KR20150134952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1897B2 (en) * 2006-08-23 2012-10-30 Cisco Technology, Inc. Challenge-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CN102939139B (zh) * 2010-04-13 2015-03-04 索尼电脑娱乐美国公司 共享虚拟空间中便携式设备的校准
US10037421B2 (en) * 2010-11-29 2018-07-31 Biocatch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three-dimensional spatial user authentication
KR101191035B1 (ko) 2011-03-14 2012-10-12 유종빈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AU2011202415B1 (en) * 2011-05-24 201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cture gesture authentication
US8713703B2 (en) * 2011-07-31 201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vanced CAPTCHA using images in sequence
JP6101267B2 (ja) * 2011-08-18 2017-03-22 アザーヴァース デジタ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Utherverse Digital, Inc. 仮想世界の相互作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81245B2 (en) * 2012-09-28 2014-11-04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lf-service security applications
JP2014092940A (ja) * 2012-11-02 2014-05-1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140282874A1 (en) * 2013-03-12 2014-09-18 Boston Light LLC System and method of identity verific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160055330A1 (en) * 2013-03-19 2016-02-25 Nec Solution Innovators, Ltd. Three-dimensional unlocking device, three-dimensional unlocking method, and program
US9251333B2 (en) * 2013-08-29 2016-02-02 Paypal, Inc. Wearable user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N104468101A (zh) * 2013-09-12 2015-03-25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一种用户身份的验证方法、装置和验证服务系统
JP6272688B2 (ja) * 2013-12-18 2018-01-31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表示デバイスでのユーザー認証
CN103701614B (zh) * 2014-01-15 2018-08-10 网易宝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方法及装置
US9460279B2 (en) * 2014-11-12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image presentation for authenticating a user
TWI540522B (zh) * 2015-02-26 2016-07-01 宅妝股份有限公司 採用虛擬實境與擴增實境技術的虛擬購物系統與方法
US20160262017A1 (en) 2015-03-04 2016-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onal assistant authentication
WO2016168814A1 (en) * 2015-04-16 2016-10-20 Tobii Ab Identification and/or authentication of a user using gaze information
CN105323073A (zh) * 2015-11-16 2016-0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方法、装置和系统
CN105807917A (zh) * 2016-02-29 2016-07-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用户识字的方法及装置
CN105867637A (zh) * 2016-04-29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设备的认证方法、装置及系统
US10063560B2 (en) * 2016-04-29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ze-based authentication
CN105955491B (zh) * 2016-06-30 2020-07-10 北京上古视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眼控及虹膜识别功能的vr眼镜
US10027657B1 (en) * 2016-07-06 2018-07-17 Wells Fargo Bank, N.A. Authentication/authorization without a password
CN106131057B (zh) * 2016-08-19 2018-1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场景的认证和装置
CN108111475B (zh) 2016-11-25 2020-05-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548A (ko) * 2008-02-13 2009-08-18 홍성관 인증 기반 가상객체를 이용한 가상현실 구현 방법 및 그장치
KR20120007300A (ko) * 2010-07-14 2012-01-20 서진호 증강 현실 기반의 가상 입력장치 암호화를 이용한 전자거래 보안 방법 및 시스템
EP2887253A1 (en) * 2013-12-18 2015-06-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authentication via graphical augmented reality password
KR20150134952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0272A2 (pt) 2019-09-10
PH12019501155A1 (en) 2020-02-24
BR112019010272B8 (pt) 2022-06-07
US10831876B2 (en) 2020-11-10
EP3547605A1 (en) 2019-10-02
BR112019010272B1 (pt) 2022-03-15
CA3046835A1 (en) 2018-05-31
AU2020267220A1 (en) 2020-12-10
EP3547605B1 (en) 2023-06-07
CN108111475A (zh) 2018-06-01
MX2019005895A (es) 2019-08-14
JP2020501256A (ja) 2020-01-16
JP6793835B2 (ja) 2020-12-02
TW201820195A (zh) 2018-06-01
CN108111475B (zh) 2020-05-05
KR102151900B1 (ko) 2020-09-03
RU2724656C1 (ru) 2020-06-25
AU2017364746A1 (en) 2019-06-06
CN111783046A (zh) 2020-10-16
US20190251244A1 (en) 2019-08-15
WO2018095282A1 (zh) 2018-05-31
ZA201904088B (en) 2021-05-26
EP3547605A4 (en) 2019-11-27
TWI688876B (zh) 2020-03-21
CA3046835C (en)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16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objects
TWI716008B (zh) 人臉識別方法及裝置
AU202026722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Azimpourkivi et al. Camera based two factor authentication through mobile and wearable devices
CN102968602A (zh) 一种键盘的设置方法和装置
CN103761460A (zh) 显示设备上的用户认证
KR20180121902A (ko) 검증 코드 기반의 검증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CN102982272A (zh) 键盘布局方法和装置
CN105354481A (zh) 网络验证方法和网络验证服务器
KR20190005870A (ko) 인증 방법 및 디바이스, 인증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6858147B2 (ja) ユーザ認証方法および端末
US20200201977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first user and corresponding first device and system
CN107948177B (zh) 验证问卷的生成方法和装置
CN112016067A (zh) 一种用户身份核验方法及装置
CN115362440A (zh) 经由凝视跟踪的认证和校准
CN108874696A (zh) 多权限安全存储设备的自动测试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729792B2 (ja) 認証制御装置、認証制御方法、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124027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processing game images
CN10459818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3807867A (zh) 测试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