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35A - 더치커피 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35A
KR20190087135A KR1020180005547A KR20180005547A KR20190087135A KR 20190087135 A KR20190087135 A KR 20190087135A KR 1020180005547 A KR1020180005547 A KR 1020180005547A KR 20180005547 A KR20180005547 A KR 20180005547A KR 20190087135 A KR20190087135 A KR 2019008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ter
water
coffe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8000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7135A/ko
Publication of KR2019008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치커피 장치에 있어서, 정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 내측면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또는 외부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프레임 내부 둘레로 온수 또는 냉수를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온냉각순환부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면에 장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장치{DUTCH COFFEE DEVIC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적식으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더치커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 영어식으로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는 뜻으로 콜드 브루(cold brew)라고도 한다.
종래에 더치커피 장치는 점적식 더치 기구를 통하여 추출하는 방식이었다. 점적식 더치 기구를 통한 추출하는 방식은 일정한 속도로 찬물을 커피가루에 투과시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원두 조건이 같다 할지라도, 원두 입자와 물 온도, 물이 떨어지는 속도의 가변성 때문에 일정한 맛을 찾아내기 난해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점적식 더치커피 장치를 사용하는 초보자는 원두량과 입자크기, 떨어지는 물 속도를 반복을 통해 익혀야 되서 접근하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점적식 더치커피 장치는 장시간 추출동안 일정한 물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라면 도구의 오염과 커피 원액의 변질, 세균 감염에 쉽사리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커피원두와 물을 용기에 한번에 넣고 여과를 거쳐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인 침적식을 사용하는 더치커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에 있어서, 정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정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 내측면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또는 외부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프레임 내부 둘레로 온수 또는 냉수를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온냉각순환부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면에 장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커피원두와 물을 넣을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용기; 상기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제한하도록 개폐하는 개폐장치; 상기 제1 용기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임시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제3 용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용기의 사이로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냉각순환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온수 또는 냉수로 전환시키는 온냉각장치; 상기 프레임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온냉각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파이프 및 상기 순환파이프와 연결되며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용기로부터 하방으로 통과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는 제1 여과필터; 상기 제1 여과필터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여과필터와 함께 2차 여과하도록 형성된 제2 여과필터 및 외주면이 내측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용기로부터 하방으로 통과된 혼합물에 들어있는 미세가루를 걸러내어 상기 더치커피가 추출되도록 형성된 제3 여과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는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는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3 용기는 상기 제3 여과필터 하단 일측에 형성된 온수탱크 및 상기 제3 여과필터 하단 타측에 형성된 냉수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파여지는 마개홈 및 상기 마개홈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치커피 장치는 상기 돌출부 각 하단과 상기 마개홈 내부에 형성된 UV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기는 외주면 후단부 일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들어있는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마개는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피원두를 내부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하단에 형성되되,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되고 남은 찌꺼기를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찌꺼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커피원두와 물을 한번에 넣어 추출시키므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데 보다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제1 내지 제3 여과필터를 포함한 필터부가 형성됨으로써 더욱 청량한 더치커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밀페형으로 형성된 마개가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커피원두의 고유의 맛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더치커피 장치 사용 초보자도 간편조작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취향에 맞게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온냉각장치가 형성됨으로써, 더치커피의 차가운 온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추출 후 살균작용에 의하여 더치커피 장치내의 모든 기구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UV램프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내에 더치커피 장치내의 모든 기구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찌거기 배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찌꺼기를 처리하지 않고, 간편조작으로 용이하게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추출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개와 교반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추출부와 냉각순환부 및 프레임을 후면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제어부와 추출부 및 온냉각순환부 사이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추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추출부의 일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a는 도 5의 마개의 분해를 저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5의 외부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나타낸 더치커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추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마개와 회전원통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1 용기와 찌꺼기 배출부를 배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a) 및 (b)는 도 11의 제1 용기와 찌꺼기 배출부의 작동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찌꺼기 배출부의 작동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모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추출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마개와 교반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추출부와 온냉각순환부 및 프레임을 후면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제어부와 추출부 및 온냉각순환부 사이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더치커피 장치는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돌출부(30), 추출부(100), 온냉각순환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는 내부에 구성된 장치들을 보호하는 것으로, 정면에는 문이 형성되어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문이 개폐되는 방식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방식 또는 문 일측면에 힌지를 결합하여 힌지축으로 회동하도록 개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한정적이지 아니하다.
프레임(20)은 돌출부(30)와 함께 추출부(100)의 장치들을 지지하는 하나의 구성이며, 외부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의 정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0)는 추출부(100)에 구성된 각각의 장치를 지지해주는 것으로, 프레임(20)의 양 내측면 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2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추출부(100)는 커피원두와 물을 한번에 넣어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돌출부(30) 또는 외부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00)는 제1 용기(110), 개폐장치(111), 제2 용기(120), 제3 용기(130) 및 필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110)는 커피원두와 물이 한번에 투입되도록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기(110)에 한번에 투입된 커피원두와 물은 교반장치(160)에 의하여 혼합될 수 있는데, 교반장치(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용기(110)에 담는 커피원두의 입자크기는 한정적이지 않으나, 에스프레소 보다는 굵게 핸드드립보다 잘게 갈아서 제1 용기(110)에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갈아진 커피원두와 물의 접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더치커피 성분의 추출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갈아진 커피원두는 바로 제1 용기(110)에 담거나, 갈아진 커피원두를 여과망에 넣어서 제1 용기(110)에 담을 수 있으나, 이들 중 커피원두를 여과망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더치커피를 추출 후에 더치커피 액상과 찌꺼기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이하부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은 혼합물로 정의한다.
개폐장치(111)는 제1 용기(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 용기(110) 내부에 있는 혼합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제한하도록 개폐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111)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임시 저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용기(130)는 제2 용기(120)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저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용기(130)에 저장된 혼합물은 최종 추출된 더치커피이다.
또한, 제3 용기(130)는 저장된 더치커피를 제3 용기(130) 전단부에 형성된 수전꼭지(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테인레스가 잘 녹슬지 않고 부식에 강하며, 항박테리아 성질을 지니고 있고,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테인레스는 산화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테인레스 위에 세라믹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세라믹이 인체에 해로운 퍼플루오로옥타노익 에시드(PFOA),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납, 카드뮴 등을 사용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산화 변질을 막아주는 역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는 산화력이 약한 스테인레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과 더불어 더치커피 장치의 기대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필터부(140)는, 제1 용기(110) 내부에 있는 혼합물이 하방으로 흘러가면서 혼합물에 들어있는 불순물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40)는 제1 여과필터(141), 제2 여과필터(142), 제3 여과필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필터(141)는 개폐장치(111)의 개폐에 의해 제1 용기(10)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142)는 제1 여과필터(141)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여과필터(141)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2차 여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여과필터(141, 142)는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여과필터(142)의 메쉬크기는 제1 여과필터(141)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여과필터(141)에서 여과되지 못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및 이물질을 더 걸러내어 커피원두의 향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및 제2 여과필터(141, 142)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은 제2 용기(120)로 유입되어 제2 용기(120) 내부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제3 여과필터(143)는 제2 용기(120)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가루를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여과필터(143)의 둘레면은 내측으로 향하면서 하부가 점점 좁혀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여과필터(143)의 하면은 메쉬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여과필터(143)의 메쉬크기는 제2 여과필터(142)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여과필터(143)의 둘레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 용기(120)로부터 하방으로 통과된 혼합물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뭉쳐지고, 이 혼합물이 제3 여과필터(143)에 머물면서 소정의 양으로 더치커피를 추출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추출부(100)에 필터부(140)를 포함함으로써, 더욱 청량한 더치커피로 추출되고, 고유의 커피의 향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00)는 마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150)는 제1 용기(110)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용기(110) 상단에 일부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150)는 제1 용기(110) 상단 일부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제1 용기(1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기(110)에 있는 혼합물을 우려내는 동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방지할 수 있고, 커피원두의 향을 보존된 상태에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50)의 하단에는 교반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장치(160)는 제1 용기(110) 내부에 있는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팬(fa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교반장치(160)는 마개(150)가 제1 용기(110) 상단에 일부 삽입되어 거치되고 나면, 제1 용기(110)에 들어있는 커피원두와 물이 자동으로 교반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조를 형성하는 추출부(100)가 형성됨으로써, 더치커피를 추출하는데 보다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과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마개(150), 필터부(140)를 포함한 추출부(100)는 전후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온냉각순환부(2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온수 또는 냉수로 설정하고 프레임(20) 내부 둘레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프레임(20) 내부 및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온냉각순환부(200)는 물탱크(210), 온냉각장치(220), 순환파이프(230) 및 펌프(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탱크(210)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외부케이스(10)와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온냉각장치(220)는 물탱크(2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온수 또는 냉수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물탱크(210)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냉각장치(220)의 냉수는 커피추출시간 동안 더치커피 장치 내부에 있는 모든 구성들을 냉장 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장온도는 2°C 내지 3°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냉각장치(220)의 온수는 더치커피 추출이 완료된 후,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와 필터부를 소독 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독시키기 위한 온수의 온도는 60°C 내지 70°C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파이프(230)는 프레임(20)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파이프(230)는 일단에 온냉각장치(220)와 연결되고 타단에 물탱크(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온냉각순환부(200)는 물탱크(210) 내부에 있는 물을 온냉각장치(220)로 이동시켜 냉수 또는 온수가 되도록 하고, 냉수 또는 온수가 된 물을 순환파이프(240)로 유입시킨다.
순환파이프(240)에 유입된 물은 펌프(240)의 펌핑작용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처럼, 프레임(20)의 내부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프레임(20)내부 타단측에 이동된 물은 다시 물탱크(20)로 들어오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더치커피 장치에 온냉각순환부(200)가 형성됨으로써, 더치커피의 차가운 온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추출 후 살균작용에 의하여 더치커피 장치내의 모든 기구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추출부(100)와 온냉각순환부(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외부케이스(10)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더치커피의 추출하려는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추출부(100)로 전송하여 추출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로부터 개폐장치(111)의 자동 또는 수동모드 중 하나를 입력받아 개폐장치(111)로 전송하여 진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프레임(20)내부에 순환하려는 물의온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온냉각순환부(200)로 전송하여 물을 순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가 시간, 온도, 개폐모드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추출을 진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더치커피 장치 사용 초보자도 간편조작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취향에 맞게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추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추출부의 일부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9a는 도 5의 마개의 분해를 저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도 5의 외부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나타낸 더치커피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장치는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돌출부(30), 추출부(100), 온냉각순환부(200), 제어부(300) 및 UV램프(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부(100)는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마개(150), 교반장치(160), 필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V램프(L), 제1 용기(110), 마개(150), 교반장치(160), 제3 용기(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UV램프(L), 제1 용기(110), 마개(150), 교반장치(160), 제3 용기(130)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3 용기(130)는 온수탱크(131)와 냉수탱크(132)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온수탱크(131)는 제3 여과필터(143)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이 저장되어 수전꼭지(40)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제3 여과필터(143) 하단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온수탱크(131)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히팅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여과필터(143)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의 온도를 50°C 내지 90°C로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탱크(132)는 제3 여과필터(143)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이 저장되어 수전꼭지(40)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제3 여과필터(143) 하단에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수탱크(132)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냉각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여과필터(143)로부터 여과된 혼합물의 온도를 2°C 내지 10°C로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용기는 온수탱크(131)와 냉수탱크(132)로 형성됨으로써, 더치커피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각각 선호하는 취향에 따라 더치커피를 마실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110)의 후단부 일부에는 교반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용기(110)에 투입된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원리는 같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160)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교반장치(160)는 교반모터(M), 샤프트(S), 블레이드(B)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모터(M)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프레임(20) 후면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샤프트(S)는 교반모터(M)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블레이드(B)로 전달하는 회전축으로 형성된 것으로, 프레임(20) 후단부 상부 일부와 제1 용기(110) 후단부의 일부를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기(110)의 후단부 일부에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B)는 교반모터(M)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샤프트(S)를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제1 용기(110) 내부에 들어있는 커피원두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B), 샤프트(S), 교반모터(M)는 서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장치(160)가 제1 용기(110)에 형성되며, 교반장치(160)에 형성된 각각의 구성들이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됨으로써, 교반장치(160) 따로 보관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함과 더불어 장치의 기대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110)의 상단에는 마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개(1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개(150)의 원리는 동일하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150)는 마개홈(151) 및 덮개(15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홈(151)은 마개(152)의 하면에서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에서 상방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152)는 마개홈(15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홈(151) 내부에 UV램프(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V램프(L)는 더치커피의 추출이 완료된 후, 추출부(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표면과 둘레면에 형성된 이물질들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작용 시키는 것으로, 마개홈(151) 내부뿐만 아니라, 돌출부(152) 각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152)는 UV램프(L)의 자외선을 제1 용기(110)의 내부면으로 투과시켜야 하므로,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UV램프(L)가 마개홈(151) 내부에 형성되는 개수는, 도 9a에서는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적이니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00) 각 하단과 마개홈(151) 내부에 UV램프(L)가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00) 각 하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필터부(140)의 표면과 내주면에 생긴 이물질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살균할 수 있음과 더불어 더치커피 장치의 내부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추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마개와 회전원통의 분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돌출부(30), 추출부(100), 온냉각순환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부(100)는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필터부(140), 마개(150) 및 회전원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원통(400)을 제외한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및 회전원통(400)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원통(400)은 제1 용기(110)에 투입된 커피원두와 물을 회전형으로 혼합시키는 것으로, 마개(150)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원통(400)은 하면이 폐쇄되어 있는 중공형태로, 커피원두 또는 커피원두가 들어간 여과망을 수용하도록 상단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원통(400)은 마개(150)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단 내주면 일부에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원통(400)의 둘레면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원통(400)은 내부에 커피원두 또는 커피원두가 들어간 여과망을 수용하여, 마개(150)와 결합된 후, 회전원통(400)과 결합된 마개(150)가 제1 용기(110)를 덮어 더치커피 장치를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마개(150) 내부에 있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원통(400)이 회전하면서 제1 용기(110)에 있는 물이 회전원통(400)에 유입되어 혼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마개(150) 하단에 회전원통(400)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추출하는 동안 커피원두의 커피원액과 남은 찌꺼기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제1 용기와 찌꺼기 배출부를 배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a) 및 (b)는 도 11의 제1 용기와 찌꺼기 배출부의 작동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1의 찌꺼기 배출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는 장치는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돌출부(30), 추출부(100), 온냉각순환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부(100)는 제1 내지 제3 용기(110, 120, 130), 필터부(140), 마개(150) 및 찌꺼기 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찌꺼기 배출부(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외부케이스(10), 프레임(20), 찌꺼기 배출부(500)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찌꺼기 배출부(500)는 제1 용기(110)에서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되고 남은 찌꺼기 또는 찌꺼기가 들어있는 여과망을 수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치커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찌꺼기 배출부(500)는 제1 용기(110)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찌꺼기 배출부(500)는 수용 플레이트(510), 이송플레이트(520), 이송안내부(530) 및 수위센서(WS)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플레이트(510)는 제1 용기(110)에서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되고 남은 찌꺼기 또는 찌꺼기가 들어있는 여과망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플레이트(510)는 먼저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용기(110)에 있는 혼합물이 제1 여과필터(141)로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이송플레이트(520)는 찌꺼기 또는 찌꺼기 들어있는 여과망이 수용된 수용 플레이트(520)를 전단측에서 후단측 또는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플레이트(520)는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상단에 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플레이트(510)가 후단측으로 이송되면서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각 홀(H)을 통과하여 찌꺼기 또는 찌꺼기 들어있는 여과망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송안내부(530)는, 이송플레이트(530)의 상면에 일부 홈이 형성된 것으로, 제1 용기(110)로부터 찌꺼기 또는 찌꺼기 여과망이 수용된 수용 플레이트(51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안내부(530)는 레일의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용 플레이트(510) 하단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WS)는 제1 용기(110) 상단 내주면 일부에 형성되어 제1 용기(110)에 들어있는 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찌꺼기 배출부(500)가 작동되는 원리를 설명하자면, 제1 용기(110)에 들어있는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되고 나면, 개폐장치(111)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혼합물이 제1 여과필터(141)로 향하여 이동된다.
혼합물이 제1 여과필터(141)로 이동이 완료되면, 제1 용기(110) 내주면 상단에 있는 수위센서(WS)가 감지하여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사이에 형성된 수용 플레이트(510)가 전단측으로 이송된다.
전단측으로 이송된 수용 플레이트(510)는 제1 용기(110)에서 혼합되고 남은 찌꺼기 또는 찌꺼기가 들어있는 여과망을 수용한 후, 후단측으로 이송되면서 프레임(20)과 외부케이스(10) 후면 상단에 형성된 각 홀(H)을 통과하여 찌꺼기 또는 찌꺼기가 들어있는 여과망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용기(110) 하단에 찌꺼기 배출부(50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찌꺼기를 처리하지 않고, 간편조작으로 용이하게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B: 블레이드
H: 홀
M: 교반모터
S: 샤프트
WS: 수위센서
10: 외부케이스
20: 프레임
30: 돌출부
40: 수전꼭지
100: 추출부
110: 제1 용기
111: 개폐장치
120: 제2 용기
130: 제3 용기
131: 온수탱크
132: 냉수탱크
140: 필터부
141: 제1 여과필터
142: 제2 여과필터
143: 제3 여과필터
150: 마개
151: 마개홈
152: 덮개
160: 교반장치
200: 온냉각순환부
210: 물탱크
220: 온냉각장치
230: 순환파이프
240: 펌프
300: 제어부
400: 회전원통
410: 기공
500: 찌꺼기 배출부
510: 수용 플레이트
520: 이송플레이트
530: 이송안내부

Claims (10)

  1. 더치커피 장치에 있어서,
    정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정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 내측면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또는 외부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프레임 내부 둘레로 온수 또는 냉수를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온냉각순환부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면에 장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커피원두와 물을 넣을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용기;
    상기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제한하도록 개폐하는 개폐장치;
    상기 제1 용기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임시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로부터 혼합물을 수용하여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제3 용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용기의 사이로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냉각순환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온수 또는 냉수로 전환시키는 온냉각장치;
    상기 프레임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온냉각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순환파이프 및
    상기 순환파이프와 연결되며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용기로부터 하방으로 통과된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는 제1 여과필터;
    상기 제1 여과필터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여과필터와 함께 2차 여과하도록 형성된 제2 여과필터 및
    외주면이 내측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용기로부터 하방으로 통과된 혼합물에 들어있는 미세가루를 걸러내어 상기 더치커피가 추출되도록 형성된 제3 여과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는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는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기는,
    상기 제3 여과필터 하단 일측에 형성된 온수탱크 및
    상기 제3 여과필터 하단 타측에 형성된 냉수탱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단에 형성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하측에서 상방으로 파여지는 마개홈 및
    상기 마개홈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더치커피 장치는,
    상기 돌출부 각 하단과 상기 마개홈 내부에 형성된 UV램프를 더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외주면 후단부 일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들어있는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피원두를 내부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원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용기 하단에 형성되되, 커피원두와 물이 혼합되고 남은 찌꺼기를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찌꺼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더치커피 장치
KR1020180005547A 2018-01-16 2018-01-16 더치커피 장치 KR20190087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47A KR20190087135A (ko) 2018-01-16 2018-01-16 더치커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47A KR20190087135A (ko) 2018-01-16 2018-01-16 더치커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35A true KR20190087135A (ko) 2019-07-24

Family

ID=6748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47A KR20190087135A (ko) 2018-01-16 2018-01-16 더치커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1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562A (ko) * 2019-12-17 2021-06-25 권혁창 드립커피장치
KR102379138B1 (ko) * 2020-11-03 2022-03-25 이강훈 교반력을 이용한 커피음료 브루잉 추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562A (ko) * 2019-12-17 2021-06-25 권혁창 드립커피장치
KR102379138B1 (ko) * 2020-11-03 2022-03-25 이강훈 교반력을 이용한 커피음료 브루잉 추출 방법 및 장치
WO2022098059A1 (ko) * 2020-11-03 2022-05-12 이강훈 교반력을 이용한 커피음료 브루잉 추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6509A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CN112654241B (zh) 离心泵宠物饮水器
KR20190087135A (ko) 더치커피 장치
CA2803053C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68612A1 (en) Rapid heatless extraction of flavors from a soluble substance, method and systems thereof
US20150296860A1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WO2004113232A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US11825822B2 (en) Centrifugal pump pet water fountain
US20210137306A1 (en) Beverage Brewer with Hot- and Cold-Brew Options
US4867875A (en) Combined water purifying beverage maker
KR101943753B1 (ko) 상온 추출 장치
US20030075057A1 (en) Apparatus for making sweetened beverages
US20200170442A1 (en) Beverage Brewer
JP6645156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CN208550881U (zh) 果茶机
CN207521419U (zh) 细胞间废弃物回收盒
CN113518569B (zh) 饮料冲泡机
DE4317902A1 (de)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Getränken, vorzugsweise Kaffee- oder Teegetränken, und vorzugsweise für diese Vorrichtung geeignete Filtereinheit
KR200485115Y1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US20190000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eped coffee using cyclonic agitation
DE8214035U1 (de) Küchengerät, insbesondere Kaffeemaschine
US20220061579A1 (en) Liquid infusion device
US20220160164A1 (en) Beverage Brewer with Hot- and Cold-Brew Options
WO1993004617A1 (en) Frying device
US202202258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and dispensing oils, and drying and heating infus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