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13A - 차량용 램프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13A
KR20190086313A KR1020180004682A KR20180004682A KR20190086313A KR 20190086313 A KR20190086313 A KR 20190086313A KR 1020180004682 A KR1020180004682 A KR 1020180004682A KR 20180004682 A KR20180004682 A KR 20180004682A KR 20190086313 A KR20190086313 A KR 2019008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enerating
optical
vehic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173B1 (ko
Inventor
김영일
김용재
송명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173B1/ko
Priority to CN201811093174.1A priority patent/CN110030524B/zh
Priority to EP19151148.4A priority patent/EP3511610B1/en
Priority to DE202019000134.4U priority patent/DE202019000134U1/de
Priority to US16/245,694 priority patent/US10731815B2/en
Publication of KR2019008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60Q1/38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with several light sources activated in sequence, e.g. to create a sweep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3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extrem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H05B33/0824
    • H05B33/08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렌즈; 상기 커버 렌즈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공간 안에서, 제1 방향(차량 진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는 광출력부; 및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광출력부와 마주보는 제1 표면; 및 상기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예각을 이루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차량{Lamp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에는, 탑승자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램프(예를 들면, 헤드 램프, 포그 램프)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램프(예를 들면, 턴 시그널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동적으로 소정의 패턴을 가지면서 광을 출력하는 기술까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제한된 부피 내에서 다수의 부품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램프를 포함한 차량용 부품은, 차지하는 부피를 가능한 작게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적으로 소정의 패턴을 가지면서 광을 출력하면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커버 렌즈; 상기 커버 렌즈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공간 안에서, 제1 방향(차량 진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는 광출력부; 및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광출력부와 마주보는 제1 표면; 및 상기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예각을 이루는 제2 표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광 출력 패턴에 의해, 광을 통한 신호 전달시,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사람이 보다 명확하게 신호를 인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광 출력 패턴을 구현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 광원의 개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셋째, 광출력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전장 부품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에서 본 서로 겹쳐진 상태의 어레이 모듈을 예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옆에서 본 서로 겹쳐진 상태의 어레이 모듈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라이트 가이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의 옵틱 패턴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의 광경로 전환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옵틱 패턴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광 경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출력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레이 모듈(200m)은 하나 이상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레이어에는, 하나의 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차량용 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헤드 램프(100a),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 포그 램프(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룸 램프(room lamp), 턴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데이타임 런닝 램프(daytime running lamp), 백 램프(bak lamp), 포지셔닝 램프(positioning lamp)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광출력부(160), 프로세서(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입력부(11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및 자세 조정부(165)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용 램프(1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터치 입력 장치, 기계식 입력 장치, 제스쳐 입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광출력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광출력부(160)의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20)는,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광출력부(16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10) 외부의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와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프로세서(170)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세서(170)에서 생성된 정보,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량(10)에 구비된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 오브젝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오브젝트 검출 장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는,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선, 타 차량, 보행자, 이륜차, 교통 신호,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1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차량용 램프(100) 각 유닛에 대한 기본 데이터, 각 유닛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차량용 램프(1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램프(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광출력부(16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광출력부(160)는, 복수그룹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array module)(200m)을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은, 플렉서블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레이(200)가, 폴리이미드(PI : polyimde) 상에 유연 전도 기판(FCCL :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이 배치되고, 유연 전도 기판 상에 수 마이크로 미터(um) LED 칩이 전사되어 형성됨으로써, 어레이(200)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LED 어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레이 모듈(200m)은, 복수의 어레이(200)가 상호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칩은, 마이크로 LED 발광 소자 패키지로 명명될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칩은, 내부에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칩은, 크기가 수 마이크로 미터(um)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LED 칩의 크기는, 5-15um일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칩의 발광 소자는, 기판에 전사될 수 있다.
어레이(200)는, 기판 및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단위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어레이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단위 어레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어레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어레이는, 원, 다각형, 부채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은, 유연 전도 기판(FCCL :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도 5의 911) 및 제1 전극(도 5의 912)은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도 8의 911) 및 제2 애노드(도 8의 912b)는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어레이 모듈(200m)은, 면광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이 틸팅(tilt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160)의 틸팅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은 상하 방향(예를 들면, 전고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이 패닝(pann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160)의 패닝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은 좌우 방향(예를 들면, 전폭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 자세 조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생성부(예를 들면, 모터,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가 로우 빔을 생성하는 경우, 하이빔을 생성하는 경우보다 아래쪽을 향해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16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165)는, 광출력부(160)가 하이 빔을 생성하는 경우, 로우빔을 생성하는 경우보다 위쪽을 향해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16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광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광출력부(160)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광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영역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 영역별로 배치된 마이크로 LED 칩에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영역별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레이어 별로 제어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의 복수의 레이어는 복수의 어레이(20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레이어 별로 서로 다른 양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레이어 별로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차량용 램프(100) 각 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10)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차량용 램프로 헤드 램프(100a)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광출력부(160), 리플렉터(310) 및 렌즈(320a)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310)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킨다. 리플렉터(310)는, 광이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사되도록 유도한다.
리플렉터(310)는, 반사율이 좋은 알루미늄(Al), 은(Ag)재질 등으로 제조되거나, 빛을 반사시키는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렌즈(320a)는, 광출력부(160) 및 리플렉터(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렌즈(320a)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되는 광 또는 리플렉터(310)에서 반사되는 광을 굴절시키고 투과시킨다. 렌즈(320a)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렌즈(320a)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렌즈(320a)는, 투명한 합성 수지 또는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출력부(160)는, 전고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출력부(160)는, 전장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c는, 차량용 램프(100)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b)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200)는, 광출력부(160) 및 렌즈(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320b)는, 광출력부(160)를 커버한다. 렌즈(320b)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되는 광을 굴절시키고 투과시킨다. 렌즈(320b)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렌즈(320b)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렌즈(320b)는, 투명한 합성 수지 또는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레이(200)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이 배치될 수 있다.
어레이(200)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이 전사될 수 있다.
어레이(200)는, 전사 간격에 따라, 마이크로 LED 칩(920)이 배치되는 간격, 밀도(단위 면적 당 마이크로 LED 칩의 개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어레이(200)는, 복수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어레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200)는, 베이스(911) 및 하나 이상의 단위 어레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11)는, 폴리이미드(PI : polyimd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911)는, 폴리이미드(PI : polyimde) 및 폴리이미드 상에 배치되는 유연 전도 기판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단위 어레이(411)는, 베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단위 어레이(411)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이 배치될 수 있다.
유연 전도 기판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이 배치되어, 메인 어레이를 형성한 상태에서, 어레이가 절단되어 단위 어레이(411)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절단되는 모양에 따라 단위 어레이(411)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어레이(411)는, 2차원 도형의 형상(예를 들면, 원, 다각형, 부채꼴)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레이(200)는, 폴리 이미드 층(911), 유연 전도 기판(912), 반사층(913), 층간 절연막(914),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 제2 전극(915), 광 스페이서(916), 형광층(917), 컬러 필터 필름(918) 및 커버 필름(919)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PI : : polyimide) 층(911)은, 플렉서블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연 전도 기판(FCCL :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912)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 전도 기판(912)은, 제1 전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폴리이미드 층(911)은, 베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는 투광성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912)은,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제2 전극(915)은,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제1 전극(912) 및 제2 전극(915)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니켈(Ni),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로듐(Rh), 탄탈(Ta), 몰리브덴(Mo), 티탄(Ti), 은(Ag), 텅스텐(W), 구리(Cu), 크롬(Cr), 팔라듐(Pd), 바나듐(V), 코발트(Co), 니오브(Nb), 지르코늄(Zr),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알루미늄산화아연(AZO, aluminum zinc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912)은, 폴리이미드 필름(911) 및 반사층(9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915)은, 층간 절연막(9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유연 전도 기판(9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층(913)은, 은(A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은, 반사층(9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는, 유연 전도 기판(9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 각각은, 솔더(solder) 또는 도전볼(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반사층(913) 또는 유연 전도 기판(930)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LED 칩(920)은, 칩의 사이즈가 10-100㎛인 LED 칩을 의미할 수 있다.
광 스페이서(916)는, 층간 절연막(9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 스페이스(916)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와 형광층(917)과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형광층(917)은, 광 스페이서(91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층(917)은, 형광체가 골고루 분산된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에는 마이크로 LED 칩(9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청색 발광 형광체, 청록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황녹색 발광 형광체, 황색 발광 형광체, 황적색 발광 형광체, 오렌지색 발광 형광체, 및 적색 발광 형광체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형광체는 마이크로 LED 칩(920)에서 방출되는 제1 빛을 가지는 광에 의해 여기 되어 제2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층(91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층(917)을 거친 광에 소정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컬러 필터 필름(9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어레이(2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출력부(160)는, 복수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어레이 모듈(200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부(160)는, 제1 어레이(210) 및 제2 어레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레이(21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위치, 복수의 마이크로 LED의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 어레이(220)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위치 및 복수의 마이크로 LED의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 어레이(210)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밀도는, 단위 면적당 마이크로 LED칩의 배치 갯수를 의미한다.
제1 어레이(210)는,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이 제1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은,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위치,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의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어레이(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레이(210)는,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이 제1 패턴과 다른 제2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은,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위치,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의 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어레이(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의 배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과,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레이(210)와 제2 어레이(220)이 겹쳐진 상태로 위에서 볼때,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과 겹쳐지지 않도록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이 제1 어레이(2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레이(220)와 제1 어레이(210)이 겹쳐진 상태로 위에서 볼때,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과 겹쳐지지 않도록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이 제2 어레이(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의 광출력에 대한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부(160)는, 3개 이상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에서 본 서로 겹쳐진 상태의 어레이 모듈을 예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옆에서 본 서로 겹쳐진 상태의 어레이 모듈을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영역(201 내지 209)별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영역 별로 제어 함으로써 배광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은, 복수의 영역(201 내지 209)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영역(201 내지 209) 각각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레이어 별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어레이 모듈(200m)을 레이어 별로 제어함으로써, 출력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은,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는, 복수의 어레이 각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레이에 의해 어레이 모듈(200m)의 제1 레이어가 형성되고, 제2 어레이에 의해 어레이 모듈(200m)의 제2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어레이 모듈(200m)에 포함된 제1 어레이(210) 및 제2 어레이(220)을 예시하나, 어레이 모듈(200m)은, 3개 이상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어레이 모듈(200m)은, 폴리 이미드 층(911), 제1 어레이(210), 제2 어레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레이 모듈(200m)은, 형광층(917), 컬러 필터 필름(918) 및 커버 필름(919)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 이미드 층(911)는, 플렉서블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는, 베이스(9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폴리 이미드 층(911) 및 제2 애노드(912b)로 구성되는 층은 베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폴리이미드 층(911)은, 베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는, 제1 어레이(210)과 베이스(9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는, 제2 애노드(anode)(912b), 반사층(913), 제2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b), 제2 그룹 마이크로 LED 칩(920b), 제2 광 스페이서(916b), 제2 캐소드(cathode)(9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는, 유연 전도 기판일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 및 제2 캐소드(915b)는, 투과성 전극일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는 및 제2 캐소드(915b)는 투명 전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어레이(220)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 및 제2 캐소드(915b)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니켈(Ni),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로듐(Rh), 탄탈(Ta), 몰리브덴(Mo), 티탄(Ti), 은(Ag), 텅스텐(W), 구리(Cu), 크롬(Cr), 팔라듐(Pd), 바나듐(V), 코발트(Co), 니오브(Nb), 지르코늄(Zr),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알루미늄산화아연(AZO, aluminum zinc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애노드(912b)는, 베이스(911) 및 반사층(9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소드(915b)는, 제2 층간 절연막(914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제2 애노드(912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913)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층(913)은, 은(A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b)은, 반사층(9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b)는, 제2 애노드(912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b) 각각은, 솔더(solder) 또는 도전볼(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반사층(913) 또는 제2 애노드(912b)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광 스페이서(916b)는, 제2 층간 절연막(914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 스페이서(916b)는,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b)와 제1 어레이(210)과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어레이(210)은, 제2 어레이(2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레이(210)은, 제1 애노드(anode)(912a), 제1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b), 제1 그룹 마이크로 LED 칩(920a), 제1 광 스페이서(916a), 제1 캐소드(cathod)(91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는, 유연 전도 기판일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 및 제1 캐소드(915a)는, 투과성 전극일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 및 제1 캐소드(915a)는, 투명 전극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어레이(210)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 및 제1 캐소드(915a)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니켈(Ni),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로듐(Rh), 탄탈(Ta), 몰리브덴(Mo), 티탄(Ti), 은(Ag), 텅스텐(W), 구리(Cu), 크롬(Cr), 팔라듐(Pd), 바나듐(V), 코발트(Co), 니오브(Nb), 지르코늄(Zr),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알루미늄산화아연(AZO, aluminum zinc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912a)는, 제2 광스페이서(916b) 및 제1 층간 절연막(914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소드(915a)는, 제1 층간 절연막(914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914a)은, 제1 애노드(912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는, 제1 애노드(912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 각각은, 솔더(solder) 또는 도전볼(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제1 애노드(912a)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광 스페이서(916a)는, 제1 층간 절연막(914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 스페이서(916a)는,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와 형광층(917)과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형광층(910)은, 제1 어레이(210) 및 제2 어레이(2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층(917)은, 제1 광 스페이서(916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형광층(917)은, 형광체가 골고루 분산된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에는 제1 및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 920b)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청색 발광 형광체, 청록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황녹색 발광 형광체, 황색 발광 형광체, 황적색 발광 형광체, 오렌지색 발광 형광체, 및 적색 발광 형광체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형광체(917)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 LED 칩(920a, 920b)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형광체(917)는, 제1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에서 생성되는 제1 광 및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b)에서 생성되는 제2 광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층(91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형광층(917)을 거친 광에 소정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컬러 필터 필름(918)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컬러 필터 필름(9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919)은, 어레이 모듈(200m)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2 어레이(2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b)는, 제1 어레이(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a)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b)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920a)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방향은, 어레이 모듈(200m)이 적층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 920b)는, 수직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수평 방향은, 제1 및 제2 그룹의 마이크로 LED 칩(920a, 920b)가 배치되는 방향일 수 있다.
수평 방향은, 베이스(911), 제1 및 제2 애노드(912a, 912b) 또는 형광층(917)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0)는, 어레이 모듈(200m)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램프(100)는, 제1 배선(219) 및 제2 배선(2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219)은, 제1 어레이(2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배선(219)은,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배선(219)은, 제1 애노드(912a) 및/또는 제1 캐소드(915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선(229)은, 제2 어레이(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배선(229)은,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배선(229)은, 제2 애노드(912b) 및/또는 제2 캐소드(915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서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10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칩이 배치되는 어레이 모듈(200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커버 렌즈(999), 하우징, 광출력부(160) 및 라이트 가이드(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렌즈(999)는, 하우징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렌즈(999)는, 하우징과 결합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커버 렌즈(999)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렌즈(999)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렌즈(999)는, 차량(10) 외부로 광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 렌즈(999)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옵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렌즈(999)는, 아우터 렌즈로 명명될 수 있다.
하우징은, 커버 렌즈(999)와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은, 커버 렌즈(999)와 결합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은,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과 커버 렌즈(999)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차량용 램프(100)의 각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출력부(160)는, 커버 렌즈(999)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출력부(16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은, 커버 렌즈(999)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의 직선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전장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전장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헤딩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헤딩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직진 주행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후진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후진 주행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배치로 인해,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량용 램프(100)를 바라볼 때,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일부만 보이게 된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제1 표면(10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배치로 인해, 차량용 램프(100)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를 포함하는 어레이 모듈(200m)로 구성될 수 있다.
어레이 모듈(200m)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은, 백열등, 할로겐등, HID(High intensity Discharge), LED(light emitting diode) 및 LD(laser di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광출력부(160)에서 생성된 광을 차량(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커버 렌즈(999)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입체적 형성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광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라이트 가이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라이트 가이드(1000)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입체적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트 가이드(1000)는, 윗면과 아래면의 면적이 둘레면 전체의 면적보다 크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제1 표면(1010), 제2 표면(1020) 및 제3 표면(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1010)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입체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표면(1010)은, 광출력부(160)와 마주볼 수 있다.
제1 표면(101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의 직선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표면(1010)에는, 광경로 전환부(1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면(1010)에 형성되는 광경로 전환부(1200)에 의해, 제1 표면(1010)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광경로 전환부(1200)는, 라이트 가이드(10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면(1020)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입체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표면(1020)은, 제1 표면(1010)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표면(102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의 직선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은, 전폭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전폭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표면(1020)에는, 옵틱 패턴부(13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면(1020)에 형성되는 옵틱 패턴부(1300)에 의해, 제2 표면(1200)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옵틱 패턴부(1300)는, 라이트 가이드(10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표면(1030)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입체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표면(1030)은, 제2 표면(1020)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3 표면(1030)은, 제1 표면(1010)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3 표면(1030)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면(1010), 제2 표면(1020) 및 제3 표면(1030)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둘레면을 정의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제5 표면 및 제6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표면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입체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제5 표면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윗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6 표면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입체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제6 표면은, 라이트 가이드(1000)의 아래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5 표면 및 제6 표면은, 대략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2에 예시된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개수, 옵틱 패턴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광출력부(16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 각각은, 하나의 광원으로 구성되거나, 2개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생성 그룹이 향하는 방향은, 나머지 광생성 그룹이 향하는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 중, 제1 광생성 그룹(1110)의 지향각은, 제2 광생성 그룹 내지 제5 광생성 그룹(1120, 1130, 1140, 1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지향각과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라이트 가이드(1000) 내에서의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 각각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광의 경로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은, 각각 복수의 옵틱 패턴(1310, 1320, 1330, 1340, 1350)을 향한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광출력부(160)는, 제1 내지 제5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000)는, 옵틱 패턴부(1300) 및 광경로 전환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옵틱 패턴부(1300)는, 제2 표면(1020)에 형성될 수 있다.
옵틱 패턴부(1300)는, 복수의 옵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옵틱 패턴은, 제2 표면(10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옵틱 패턴부(130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복수의 옵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옵틱 패턴부(1300)는, 제1 내지 제5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5 옵틱 패턴(1310, 1320, 1330, 1340, 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옵틱 패턴(1310, 1320, 1330, 1340, 1350)은,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제2 표면(1020)에 형성될 수 있다.
광경로 전환부(1200)는, 제1 표면(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광경로 전환부(120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광이 복수의 옵틱 패턴(1310, 1320, 1330, 1340, 1350) 각각으로 입사되도록 광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광경로 전환부(120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복수의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경로 전환부(1200)는, 제1 내지 제5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1150)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5 렌즈(1210, 1220, 1230, 1240, 1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5 렌즈(1210, 1220, 1230, 1240, 1250)는, 콜리메이터일 수 있다.
제1 광생성 그룹(1110)에서 생성된 광은, 제1 콜리메이터(1210)를 투과하여, 제1 옵틱 패턴(131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옵틱 패턴(1310)으로 입사된 광은, 제1 옵틱 패턴(131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경우, 제1 광생성 그룹(1110)은, 제1 옵틱 패턴(1310)을 거친 광이 커버 렌즈(999)를 향할 수 있게 최적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생성 그룹(1120)에서 생성된 광은, 제2 콜리메이터(1220)를 투과하여, 제2 옵틱 패턴(132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옵틱 패턴(1320)으로 입사된 광은, 제2 옵틱 패턴(132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경우, 제2 광생성 그룹(1120)은, 제2 옵틱 패턴(1320)을 거친 광이 커버 렌즈(999)를 향할 수 있게 최적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광생성 그룹(1130)에서 생성된 광은, 제3 콜리메이터(1230)를 투과하여, 제3 옵틱 패턴(133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3 옵틱 패턴(1330)으로 입사된 광은, 제3 옵틱 패턴(133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광생성 그룹(1130)은, 제3 옵틱 패턴(1330)을 거친 광이 커버 렌즈(999)를 향할 수 있게 최적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광생성 그룹(1140)에서 생성된 광은, 제4 콜리메이터(1240)를 투과하여, 제4 옵틱 패턴(134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4 옵틱 패턴(1340)으로 입사된 광은, 제4 옵틱 패턴(134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경우, 제4 광생성 그룹(1140)은, 제4 옵틱 패턴(1340)을 거친 광이 커버 렌즈(999)를 향할 수 있게 최적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제5 광생성 그룹(1150)에서 생성된 광은, 제5 콜리메이터(1250)를 투과하여, 제5 옵틱 패턴(135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5 옵틱 패턴(1350)으로 입사된 광은, 제5 옵틱 패턴(135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경우, 제5 광생성 그룹(1150)은, 제5 옵틱 패턴(1350)을 거친 광이 커버 렌즈(999)를 향할 수 있게 최적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의 옵틱 패턴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옵틱 패턴부(13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옵틱 패턴 각각은, 복수의 돌출 구조 및 복수의 함몰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출 구조 및 복수의 함몰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러프니스(roughness)로 명명될 수 있다.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의 크기는, 광출력부(160)에서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옵틱 패턴(1320)에서 돌출 구조의 크기는 제1 옵틱 패턴(1310)에서 돌출 구조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옵틱 패턴(1310) 내에서 복수의 돌출 구조의 크기는, 광출력부(160)에서 멀리 배치될 수록 더 클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는, 꼭지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는, 삼각형 형상의 횡단면(1361a, 1361b)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는, 톱니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돌출 구조의 꼭지점의 각도는, 복수의 옵틱 패턴별로 다를 수 있다.
돌출 구조의 꼭지점의 각도는, 각각의 옵틱 패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옵틱 패턴(1310)에서 돌출 구조의 꼭지점의 각도는, 제2 옵틱 패턴(1320)에서 돌출 구조의 꼭지점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옵틱 패턴(1310)은, 제2 옵틱 패턴(1320)에 비해, 광출력부(160)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커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돌출 구조 또는 함몰 구조는, 원의 일부 형상의 횡단면(1361c, 1361d)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돌출 구조의 곡률은, 복수의 옵팁 패턴별로 다를 수 있다.
돌출 구조의 곡률은, 각각의 옵틱 패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옵틱 패턴(1310)에서 돌출 구조의 곡률은, 제2 옵틱 패턴(1320)에서 돌출 구조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옵틱 패턴(1310)은, 제2 옵티ㄱ 패턴(1320)에 비해, 광출력부(160)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옵틱 패턴부(1300)는 복수의 옵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옵틱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돌출 구조(1361)는, 광출력부(160)에서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옵틱 패턴은, 제1 돌출 구조(1361) 및 제2 돌출 구조(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구조(1362)는, 제1 돌출 구조(1361)보다 광출력부(160)에서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제2 돌출 구조(1362)는, 제1 돌출 구조(1361)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옵틱 패턴부(1300)는, 복수의 옵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옵틱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돌출 구조 상호간의 간격은, 광출력부(160)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옵틱 패턴은, 제1 내지 제4 돌출 구조(1371, 1372, 1373, 13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 구조(1371, 1372, 1373, 1374)는, 순서대로 광출력부(16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구조(1371)는 제2 돌출 구조(1372) 옆에 배치되고, 제3 돌출 구조(1373)는, 제4 돌출 구조(1374)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출 구조(1373)와 제4 돌출 구조(1374) 사이의 간격은, 제1 돌출 구조(1371)와 제2 돌출 구조(1372)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옵틱 패턴의 구조로 인해,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이 광손실을 최소화하여 커버 렌즈(999)로 입사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의 광경로 전환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광경로 전환부(1200)는, 복수의 렌즈(도 12의 1210, 1220, 1230, 1240, 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1210, 1220, 1230, 1240, 125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도 12의 1110, 1120, 1130, 1140, 1150)에서 생성된 광이 복수의 옵틱 패턴(1310, 1320, 1330, 1340, 1350)에 입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1210, 1220, 1230, 1240, 1250)는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렌즈(1210, 1220, 1230, 1240, 1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은, 나머지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다를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시부호 1200a 또는 120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평평하고, 다른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시부호 120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옵틱 패턴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옵틱 패턴부(1300)는, 제1 옵틱 패턴(1310) 및 제2 옵틱 패턴(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옵틱 패턴(1320)은, 광출력부(160)와 제1 옵틱 패턴(13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제1 옵틱 패턴(1310)은, 광출력부(160)와의 최단 거리가 제1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옵틱 패턴(1320)은, 광출력부(160)와의 최단 거리가 제2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옵틱 패턴(1310)은, 제2 옵틱 패턴(1320)보다 커버 렌즈(999)에서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제1 옵틱 패턴(1310)은, 커버 렌즈(999)와의 최단 거리가 제3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옵틱 패턴(1320)은, 커버 렌즈(999)와의 최단 거리가 제4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제3 거리는 제4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광 경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광출력부(160)는, 제1 광생성 그룹(1110) 및 제2 광생성 그룹(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생성 그룹(1120)은, 커버 렌즈(999)와 제1 광출력 그룹(11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생성 그룹(1110)은, 커버 렌즈(999)와의 최단 거리가 제1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광생성 그룹(1120)은, 커버 렌즈(999)와의 최단 거리가 제2 거리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광경로 전환부(1200)는, 제1 콜리메이터(1210) 및 제2 콜리메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터(1210)에는, 제1 광생성 그룹(1110)에서 생성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터(1210)는, 입사된 광을 제1 옵틱 패턴(1310)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제2 콜리메이터(1220)에는, 제2 광생성 그룹(1120)에서 생성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터(1220)는, 입사된 광을 제2 옵틱 패턴(1320)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터(1210)에서 옵틱 패턴부(1300) 까지의 광 경로(1910)는, 제2 콜리메이터(1220)에서 옵틱 패턴부(1300) 까지의 광 경로(1920)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출력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광출력부(160)는, 턴 시그널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순차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광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광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주기내에서,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이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광출력부(1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생성 그룹이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턴 온되지 않은 나머지 광생성 그룹들이 순차적으로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이 모두 턴 온된 상태에서, 복수의 광생성 그룹이 함께 턴 오프(turn 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주기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전체가 소등된 제1 시점부터 다시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전체가 소등된 제2 시점까지의 시간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제1 주기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전체가 점등된 제1 시점부터 다시 다시 복수의 광생성 그룹(1110, 1120, 1130, 1140) 전체가 점등된 제2 시점까지의 시간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광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160)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2110, 2120, 2130, 2140, 2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를 포함하는 어레이 모듈(200m)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주기내에서, 복수의 광생성 그룹(2110, 2120, 2130, 2140, 215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각각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광출력부(160)는, 제1 광생성 그룹(2110) 및 제2 광생성 그룹(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생성 그룹(2120)은, 제1 광생성 그룹(2110)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 온된 상태에서, 제2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생성 그룹(2110)은, 복수의 광생성 그룹(2110, 2120, 2130, 2140, 2150)의 가운데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에서 가운데 배치된 마이크로 LED부터, 제1 방향(2101) 및 제1 방향과 반대 방향(2102)으로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의 직선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전장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전장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헤딩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헤딩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직진 주행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의 후진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거나, 수평으로 후진 주행 방향과 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광출력부(160)는, 제2 광생성 그룹(2120) 및 제3 광생성 그룹(2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생성 그룹(2120)은, 제1 방향(2101)으로, 제1 광생성 그룹(2110)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광생성 그룹(2130)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2102)으로, 제1 광생성 그룹(2110)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광생성 그룹(2110)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제2 광생성 그룹(2120)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광생성 그룹(2110)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제3 광생성 그룹(2130)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광생성 그룹(2120)의 순차적인 턴온 제어와 제3 광생성 그룹(2130)의 순차적인 턴온 제어는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제2 광생성 그룹(2120)의 순차적인 턴온 제어와 제3 광생성 그룹(2130)의 순차적인 턴온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량
100 : 차량용 램프

Claims (21)

  1. 커버 렌즈;
    상기 커버 렌즈와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공간 안에서, 제1 방향(차량 진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는 광출력부; 및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광출력부와 마주보는 제1 표면; 및
    상기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예각을 이루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은,
    복수의 마이크로 LED를 포함하는 어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은,
    상기 제1 표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생성 그룹이 향하는 방향은, 나머지 광생성 그룹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차량용 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제2 표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옵틱 패턴을 형성하는 옵틱 패턴부; 및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광이 상기 복수의 옵틱 패턴 각각으로 입사되도록 광경로를 전환하는 광경로 전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복수의 옵틱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패턴은,
    복수의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 구조는, 상기 광출력부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차량용 램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패턴은,
    복수의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 구조 상호 간의 간격은, 상기 광출력부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차량용 램프.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 패턴부는,
    제1 옵틱 패턴; 및
    상기 광출력부와 상기 제1 옵틱 패턴 사이의 거리보다 더 멀리 배치된 제2 옵틱 패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옵틱 패턴은,
    상기 제2 옵틱 패턴보다 상기 커버 렌즈에 더 멀리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전환부는,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복수의 콜리메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제1 광생성 그룹; 및
    상기 커버 렌즈와 상기 제1 광출력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까이 배치된 제2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로 전환부는,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에서 생성된 광이 입사되는 제1 콜리메이터; 및
    상기 제2 광생성 그룹에서 생성된 광이 입사되는 제2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콜리메이터에서 상기 옵틱 패턴부까지의 광광경로는,
    상기 제2 콜리메이터에서 상기 옵틱 패턴부까지의 광경로보다 더 짧은 차량용 램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입체적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2 표면과 예각을 이루는 제3 표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면은, 상기 제1 표면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차량용 램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주기내에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이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출력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생성 그룹이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턴 온되지 않은 나머지 광생성 그룹들이 순차적으로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이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이 함께 턴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주기내에서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각각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제1 광생성 그룹; 및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제2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광생성 그룹의 가운데 배치되는 제1 광생성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에서 가운데 배치된 마이크로 LED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광생성 그룹; 및
    상기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 광생성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모두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3 광생성 그룹의 복수의 마이크로 LED가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턴시그널 램프로 기능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004682A 2018-01-12 2018-01-12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11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82A KR102116173B1 (ko) 2018-01-12 2018-01-12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N201811093174.1A CN110030524B (zh) 2018-01-12 2018-09-19 车辆用灯及车辆
EP19151148.4A EP3511610B1 (en) 2018-01-12 2019-01-10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DE202019000134.4U DE202019000134U1 (de) 2018-01-12 2019-01-10 Fahrzeugleuchte und Fahrzeug
US16/245,694 US10731815B2 (en) 2018-01-12 2019-01-11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82A KR102116173B1 (ko) 2018-01-12 2018-01-12 차량용 램프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13A true KR20190086313A (ko) 2019-07-22
KR102116173B1 KR102116173B1 (ko) 2020-05-28

Family

ID=6501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682A KR102116173B1 (ko) 2018-01-12 2018-01-12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31815B2 (ko)
EP (1) EP3511610B1 (ko)
KR (1) KR102116173B1 (ko)
CN (1) CN110030524B (ko)
DE (1) DE202019000134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7218B (zh) * 2020-02-27 2021-01-2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鏡頭及其製造方法及車燈裝置
CZ308810B6 (cs) * 2020-03-30 2021-06-02 Varroc Lighting Systems, s.r.o. Světlovodivá optická jednotka pro světelné zařízení motorových vozid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ko)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차량용 램프
KR20110040070A (ko) * 2009-10-13 2011-04-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5528634A (ja) * 2012-08-31 2015-09-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光散乱粒子を有するライトガイド及び光角度選択モジュールに基づいた照明デバイス
JP2016091954A (ja) * 2014-11-10 2016-05-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WO2017033820A1 (ja) * 2015-08-21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4809A1 (fr) * 1998-12-07 2000-06-15 Nippon Zeon Co., Ltd. Plaque de transmission de lumiere
US6305813B1 (en) * 1999-08-11 2001-10-23 North American Lighting, Inc. Display device using a light guide for exterior automotive lighting
US6824284B2 (en) * 2002-06-25 2004-11-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dge-lit optical element having a manifold and lamp assembly utilizing such element
CN100370329C (zh) * 2004-11-12 2008-02-20 清华大学 导光板和背光模组
DE102004055015B4 (de) * 2004-11-15 2009-11-19 Truck-Lite Europe Gmbh Seitenblinkleuchte
CN101051148A (zh) * 2006-04-07 2007-10-10 扬昕精密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TW200839378A (en) * 2007-03-21 2008-10-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ght emitting element, backlight module and plane display apparatus
EP2201309A4 (en) * 2007-09-10 2010-12-01 Banyan Energy Inc COMPACT OPTICAL DEVICE FOR CONCENTRATION, AGGREGATION AND LIGHTING OF LIGHT ENERGY
US8764256B2 (en) * 2010-10-01 2014-07-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DE102011055431A1 (de) * 2011-11-17 2013-05-23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FR2992711B1 (fr) * 2012-06-28 2018-08-10 Valeo Vision Dispositif optique de vehicule automobile a elements dioptriques integres au conduit de lumiere
JP2015015104A (ja) * 2013-07-03 2015-0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源装置、車両用前照灯、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DE102014206593A1 (de) * 2014-04-04 2015-10-0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leuchte mit Wischeffekt
JP2017130316A (ja) * 2016-01-19 2017-07-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信号灯
JP6721453B2 (ja) * 2016-08-08 2020-07-15 マクセル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映像表示装置
CN106338047A (zh) * 2016-09-30 2017-01-18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Led动感转向车灯光学系统
CN106764795A (zh) * 2016-12-05 2017-05-31 重庆特巴斯科技有限公司 一种摩托车转向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ko)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차량용 램프
KR20110040070A (ko) * 2009-10-13 2011-04-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5528634A (ja) * 2012-08-31 2015-09-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光散乱粒子を有するライトガイド及び光角度選択モジュールに基づいた照明デバイス
JP2016091954A (ja) * 2014-11-10 2016-05-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WO2017033820A1 (ja) * 2015-08-21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9240A1 (en) 2019-07-18
US10731815B2 (en) 2020-08-04
CN110030524A (zh) 2019-07-19
KR102116173B1 (ko) 2020-05-28
EP3511610A1 (en) 2019-07-17
CN110030524B (zh) 2021-07-13
EP3511610B1 (en) 2022-06-29
DE202019000134U1 (de)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249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89101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89099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043063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82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EP3511610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982778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EP3511609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56169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80548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043062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959306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035132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