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263A - 식품 저장고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263A
KR20190086263A KR1020180004583A KR20180004583A KR20190086263A KR 20190086263 A KR20190086263 A KR 20190086263A KR 1020180004583 A KR1020180004583 A KR 1020180004583A KR 20180004583 A KR20180004583 A KR 20180004583A KR 20190086263 A KR20190086263 A KR 2019008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oom
food
door
in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05B1 (ko
Inventor
유수찬
김명상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및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저장고 {Food storage}
본 발명은 식품을 상온 또는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며, 펜트리(pantry)는 식품을 상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으로서 이해된다.
식품에는 저온 상태로 보관해야만 하는 저온보관 식품이 있는 반면, 상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상온보관 식품이 존재한다.
상온이란, 명확히 규정되지는 않으나 연간을 통한 평균 온도로서 15도 내지 25도 내외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상온보관 식품의 경우, 저온 상태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내 또는 펜트리 등과 같은 수납장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외기 온도가 30도 이상이 되는 여름철 날씨의 경우, 실내공간 또는 펜트리가 위치된 공간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온보관 식품에 대한 상온보관이 어려워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온도 상승에 따른 식품 변질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기 온도가 비교적 높은 여름철에는 상온보관 식품을 냉장고에 보관하는 방법이 있으나, 냉장고의 저장 용량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고,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기 위하여 냉장고 도어를 수시로 개방할 경우,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전력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냉장고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에 출원(이하, 선행문헌)을 실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공개일) : 10-2016-0099911 (2016년 8월 23일)
2. 발명의 명칭 : 냉장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보관 식품과 저온보관 식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저장실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실의 냉기에 의한 간접 냉각 방식에 의하여 수납 공간의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한 제어온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실의 실내 온도뿐 아니라, 저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는 수납공간의 실내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식품 저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및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고내 부하가 적어지고 소비전력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됨으로써, 수납공간에 보관된 식품이 장기간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캐비닛이 접촉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됨으로써, 내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저장실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저장실 내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구획된 다수 개의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구획된 다수 개의 저장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실 표시부와, 상기 저장실의 실내 온도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구간 설정부와, 상기 저장실에 보관되고 있는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보관메뉴 설정부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한 제어온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저장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저장실과 마주하는 수납공간의 현재 실내 온도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저장실뿐 아니라, 저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는 수납공간의 실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와, 배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외부 도어가 제공되므로,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 도어의 수납부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기 위하여, 외부 도어만을 개방할 경우, 저장실 내의 냉기가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고내 부하가 적어지고 소비전력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 도어를 개방할 경우, 저장실을 차폐하는 내부 도어의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도어만을 개방하여도 저장실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캐비닛 내의 저장실은 냉기에 의하여 직접 냉각되고, 외부 도어의 배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상기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므로, 수납공간의 실내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어, 상온보관 식품 및 저온보관 식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한 제어온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고, 저장실의 실내 온도뿐 아니라 저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는 수납공간의 실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식품 저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식품 저장고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가 모두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냉각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품 저장고의 외부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식품 저장고의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가 모두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10)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11)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 또는 물품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실은 제 1 저장실(111), 제 2 저장실(112), 제 3 저장실(113) 및 제 4 저장실(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11) 및 제 2 저장실(112)은, 상기 제 3 저장실(113) 및 제 4 저장실(1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111) 및 제 3 저장실(113)은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저장실(112) 및 제 4 저장실(114)은 도면상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실(111,112,113,114)은 다수의 격벽(12,13,14)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저장실(111) 및 제 2 저장실(112)과, 상기 제 3 저장실(113) 및 제 4 저장실(114)은 제 1 격벽(12)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12)은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1)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저장실(111)과 상기 제 2 저장실(112)은 제 2 격벽(13)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제 2 격벽(13)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부공간의 내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1)의 상부공간을 좌측의 상기 제 1 저장실(111)과 우측의 상기 제 2 저장실(112)로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저장실(113)과 상기 제 4 저장실(114)은 제 3 격벽(14)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제 3 격벽(14)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부공간의 내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1)의 하부공간을 좌측의 상기 제 3 저장실(111)과 우측의 상기 제 4 저장실(112)로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식품 저장고(10)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 1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21), 상기 제 2 저장실(11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22), 상기 제 3 저장실(113)을 개폐하는 제 3 도어(23) 및 상기 제 4 저장실(114)을 개폐하는 제 4 도어(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도어(21,22,23,24)는, 각각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도어(211,221,231,241)와, 상기 캐비닛(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외부 도어(213,223,233,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내부 도어(211,221,231,241)는, 상기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내부 도어(211,221,231,241)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을 냉각시키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각 저장실의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내부 도어(211,221,231,241)와 상기 캐비닛(11)이 접촉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도어(213,223,233,243)는, 상기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저장실을 밀폐하고 있는 내부 도어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 도어를 필수적으로 개방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211)는 투명창(211a)를 포함한다. 즉, 상기 내부 도어(211)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2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도어(211)가 닫혀있더라도, 상기 내부 도어(211)의 투명창(211a)을 통하여, 해당 저장실에 어떠한 식품이 보관되어 있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내부 도어(211) 및 외부 도어(213)를 모두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즉, 상기 외부 도어(213)만을 개방하더라도 해당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외부 도어(213)의 개방에 의하여 해당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도어(213,223,233,243)의 배면에는 식품이 수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213a,223a,233a,243a)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13a,223a,233a,243a)는 식품 또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일례로, 선반 또는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납부 (213a,223a,233a,243a)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도어(213,223,233,243)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도어(213,223,233,243)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제 1 외부 도어(21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식품 보관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식품 저장고(10) 내에 보관된 식품 종류, 각 저장실의 설정 온도 및 각 수납공간의 현재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후벽에는, 상기 다수의 저장실(111,112,113,114)로 냉기를 각각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냉기 토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일 저장실에 해당하는 캐비닛(11)의 후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기 토출부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1)의 후벽에는 총 4개의 냉기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저장고(10)는, 각 저장실의 후측에 배치되어 각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도 4의 71,72,73,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각 저장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각 저장실에 공급된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식품 저장고(10)는, 상기 식품 저장고(10)의 후방 하부, 즉 상기 제 3 저장실(113) 또는 상기 제 4 저장실(114)의 후방에는 식품 저장고의 주요 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기계실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냉각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10)는, 다수의 저장실을 각각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각 사이클은,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과포화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50)와, 상기 압축기(50)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고온 고압의 과포화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포화 액상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60)와, 상기 응축기(60)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고온 고압의 포화 액상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미도시) 및 상기 팽창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50), 응축기(60), 팽창장치 및 증발기(70)는 냉매배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냉매배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한다.
특히, 상기 증발기(70)는, 상기 제 1 저장실(111)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저장실(111)을 냉각하는 제 1 증발기(71), 상기 제 2 저장실(112)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저장실(112)을 냉각하는 제 2 증발기(72), 상기 제 3 저장실(113)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저장실(113)을 냉각하는 제 3 증발기(73) 및 상기 제 4 저장실(114)에 배치되어, 상기 제 4 저장실(114)을 냉각하는 제 4 증발기(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사이클은, 상기 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 1 내지 제 4 증발기(71,72,73,74)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유동조절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동조절밸브는, 냉매를 상기 제 1 내지 제 4 증발기(71,72,73,74)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5방밸브(five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 1 내지 제 4 증발기(71,72,73,74)로 흐르는 냉매량이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량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의 내부 온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은 내부 온도가 10도 내지 25도 사이의 온도로 유지 및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의 설정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저장고(10)의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에는, 곡류, 과일류, 야채류, 장류, 주류 등 저온 또는 상온 보관이 필요한 다양한 식품이 보관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경우, 곡류 또는 주류의 식품은, 10도 내지 15도 사이의 온도로 자동 설정되어 보관될 수 있고, 야채류 또는 장류의 식품은 10도 내지 25도 사이의 온도로 자동 설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과일류의 식품은 15도 내지 22도 사이의 온도로 자동 설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처럼, 식품종류에 따라 자동 설정되는 온도 구간은, 상기 식품 저장고(10)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값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수의 저장실뿐 아니라, 상기 외부 도어(213,223,233,243)의 배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213a,223a,233a,243a)에도 다양한 식품이 보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납부(213a,223a,233a,243a)는, 상기 증발기(70)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직접 냉각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수납부(213a,223a,233a,243a)가 상기 각 저장실과 인접 또는 마주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각 저장실 내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증발기의 냉기에 의하여 각 저장실이 냉각되고, 각 저장실과 상기 수납부를 구획하는 내부 도어를 통한 열 전도 현상에 의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외기 온도가 비교적 높은 여름철의 경우, 증발기의 냉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냉각되는 저장실뿐 아니라, 각 저장실에 인접한 수납부의 내부가 서늘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온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효율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외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도어가 닫혀있더라도, 상기 내부 도어의 투명창을 통하여, 해당 저장실에 어떠한 식품이 보관되어 있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해당 저장실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저장실의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저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외부 도어(213)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각 저장실의 실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현재 선택된 저장실을 보여주기 위한 저장실 표시부(31)와, 상기 저장실 표시부(31)를 통해 선택된 저장실에 대한 식품 보관정보를 보여주는 식품 보관정보 표시부(32)가 표시된다.
상기 저장실 표시부(31)에는, 상기 식품 저장고(10)의 각 저장실, 즉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아이콘(311,312,313,314)이 표시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아이콘(311,312,313,314)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저장실(111,112,113,114)이 상기 식품 저장고(10)에서 실제로 위치되는 영역에 표시된다. 즉, 상기 제 1 아이콘(311)은 상기 저장실 표시부(31)의 좌측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 2 아이콘(312)은 상기 저장실 표시부(31)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 3 아이콘(313)은 상기 저장실 표시부(31)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고, 상기 제 4 아이콘(314)은 상기 저장실 표시부(31)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아이콘(311,312,313,314)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 3 아이콘(313)이 선택된 경우, 제 3 아이콘(313)은 선택되지 않은 다른 아이콘들에 비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반대로,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들은 선택된 제 3 아이콘(313)에 비하여 어둡게 표시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 3 아이콘(313)이 선택되면, 제 3 아이콘(313)에 해당하는 제 3 저장실(113)에 대한 식품 보관정보가 상기 식품 보관정보 표시부(32)를 통해 표시된다.
일례로, 상기 식품 보관정보 표시부(32)에는, 선택된 저장실의 설정 온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 구간 설정부(321)와, 선택된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를 선택 및 표시하기 위한 보관메뉴 표시부(322)가 포함된다.
상기 온도 구간 설정부(321)는, 선택된 저장실의 설정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구간 설정부(321)에는 "10도~15도", "15도~20도", "20도~30도" 등과 같이, 소정 온도 범위가 다수 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다수의 표시된 온도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온도 범위로 해당 저장실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온도 범위는, 선택되지 않은 온도 범위에 비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반대로, 선택되지 않은 온도 범위는 선택된 온도 범위에 비하여 어둡게 표시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메뉴 표시부(322)는, 선택된 저장실에 보관되고 있는 식품종류를 선택 및 표시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메뉴 표시부(322)에는 "곡류", "주류", "장류", "과채류" 등과 같이, 구분될 수 있는 식품종류가 다수 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다수의 표시된 식품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식품종류가 하이트라이트 표시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 표시부(31)를 통해 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저장실의 온도 설정 범위 및 보관되고 있는 식품종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관정보 표시부(32)에는, 도어 수납부 온도(323)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 온도(323)란, 상기 외부 도어(213,223,233,243)의 배면에 구비된 수납부(213a,223a,233a,243a)가 위치하는 수납공간의 실내 온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수납부에도 다양한 식품이 보관될 수 있는바, 상기 도어 수납부의 실내 온도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의 온도는 설정된 저장실의 제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저장실의 실내 온도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직접 냉각되는 것에 반하여, 수납부의 실내 온도는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간접 냉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수납부 온도(323)는 일례로 18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사용자는 일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종류를 입력할 수 있고, 일 저장실의 제어 온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간접 냉각되는 도어 수납부의 현재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 보관에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외부 도어 개방시 유출되는 냉기를 막을 수 있으므로 전기요금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저장실에 대하여 설정 온도 범위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정 온도 범위는 자동으로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메뉴 표시부(322)를 통하여 사용자가 "과채류"를 선택할 경우, 과채류를 보관함에 있어 적당한 온도 범위를 표시하여 추천해줄 수 있다.
즉, "과채류"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구간 설정부(321)에는 과채류 보관에 적당한 온도 범위인 "10도~15도"가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추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식품 저장고에 보관할 식품에 대한 적정 온도 범위를 알지 못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추천 및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식품 저장고(10)의 냉각 사이클이 다수의 증발기(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증발기(7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증발기(70)에서 생성된 냉기는 다수의 덕트(미도시)를 통하여 각각의 저장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저장실에는 각 저장실의 덕트로 냉기를 안내하는 댐퍼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및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내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에 의하여 간접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 및 상기 외부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식품 저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캐비닛이 접촉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실내 온도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구간 설정부와, 상기 저장실에 보관되고 있는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보관메뉴 설정부가 표시되는 식품 저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메뉴 설정부를 통해 식품의 종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식품에 대한 보관 온도범위가 추천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구획된 다수 개의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구획된 다수 개의 저장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실 표시부가 더 표시되는 식품 저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저장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저장실의 설정 실내 온도범위 및 선택된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가 표시되는 식품 저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저장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저장실과 마주하는 수납공간의 현재 실내 온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고.
KR1020180004583A 2018-01-12 2018-01-12 식품 저장고 KR10248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83A KR102482405B1 (ko) 2018-01-12 2018-01-12 식품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83A KR102482405B1 (ko) 2018-01-12 2018-01-12 식품 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63A true KR20190086263A (ko) 2019-07-22
KR102482405B1 KR102482405B1 (ko) 2022-12-29

Family

ID=6746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83A KR102482405B1 (ko) 2018-01-12 2018-01-12 식품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757A (ko) 2022-09-23 2024-04-01 권오태 온풍건조 우산제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434B1 (ko) * 1994-07-18 1998-04-04 이헌조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방치
KR20010003966A (ko) * 1999-06-26 2001-01-15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2975A (ko) * 2003-10-04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용 컨트롤부
KR20140124115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434B1 (ko) * 1994-07-18 1998-04-04 이헌조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방치
KR20010003966A (ko) * 1999-06-26 2001-01-15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2975A (ko) * 2003-10-04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용 컨트롤부
KR20140124115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757A (ko) 2022-09-23 2024-04-01 권오태 온풍건조 우산제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05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3923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0005944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1029074B2 (en) Refrigerator
US1122614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based on temperature of storage compartment
CN107289708A (zh) 冰箱和用于冰箱的冷空气循环模块
KR100828045B1 (ko)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CN210625073U (zh) 冷藏冷冻装置
KR20190086263A (ko) 식품 저장고
CN210220353U (zh) 冷藏冷冻装置
CN210625075U (zh) 冷藏冷冻装置
CN210220354U (zh) 冷藏冷冻装置
CN210625072U (zh) 冷藏冷冻装置
CN112393498A (zh) 风冷冰箱的控制方法与风冷冰箱
JP7280978B2 (ja) 冷蔵冷凍装置
US11421932B2 (en) Displ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3396307B (zh) 具有直接冷却门内室的冷藏器具
JP7333863B2 (ja) 冷蔵冷凍装置
KR102238538B1 (ko) 냉장고
KR100659238B1 (ko) 김치저장고의 냉각시스템
CN209101640U (zh) 冰箱
CN209101655U (zh) 冰箱
KR100659239B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도어 개폐구조
KR20210040344A (ko) 냉장고
KR100643136B1 (ko) 진공단열시트를 갖는 김치저장고
WO2022268622A1 (en) Household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