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34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344A
KR20210040344A KR1020210043818A KR20210043818A KR20210040344A KR 20210040344 A KR20210040344 A KR 20210040344A KR 1020210043818 A KR1020210043818 A KR 1020210043818A KR 20210043818 A KR20210043818 A KR 20210043818A KR 20210040344 A KR20210040344 A KR 2021004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storage
cold air
supply duc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239B1 (ko
Inventor
한탁원
한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13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853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2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이루어진 전체 공간을 개폐하는 하나의 도어; 상기 하나의 저장실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다른 양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제2냉기 공급 덕트; 상기 도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저장실로 인입 또는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저장실에서 온도를 서로 다르게 유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의 하부에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냉장고의 무게중심과 조립의 효용성 및 진동저감을 위해 냉장고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장치가 설치되어, 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를 냉동/냉장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장치는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채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변화된 저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등으로 구성된다.
냉장고에는 다수 개의 분리된 저장실이 구비되고, 각각의 저장실은 하나의 제어 온도에 의해서 동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특히 냉장실용으로 설계된 저장실은 냉장실에서 제공가능한 온도 범위에 한정되도록 제어되고, 냉동실용으로 설계된 저장실은 냉동실에서 제공가능한 온도 범위에 한정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공간이 넓은 하나의 저장실에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저장물을 보관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저장실에서 서로 온도가 다르게 유지되는 복수 개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이 김치가 숙성되거나 보관될 수 있도록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장실 내에 분리된 두 개의 저장부의 제어 온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치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이루어진 전체 공간을 개폐하는 하나의 도어; 상기 하나의 저장실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다른 양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제2냉기 공급 덕트; 상기 도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저장실로 인입 또는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좌측에 마련되는 제1저장부, 우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를 분리하는 단열부, 상기 제1저장부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저장부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커버와 별도로 이동가능한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는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하나의 저장실을 여러 개의 분리된 공간으로 사용해서 다양한 온도에서 구분해서 저장해야 하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그 내부에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는 상기 제1저장부 또는 상기 제2저장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단열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단열 격벽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 격벽에는 상기 단열부가 이동가능하게 그 하방을 지지하는 롤러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 격벽을 포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단열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개스킷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가 상기 도어를 바라보는 면에는 제1돌출편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돌출편은 상기 도어를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가 상기 저장실 내측을 바라보는 면에는 제2돌출편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돌출편은 상기 저장실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하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의 토출구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저장실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해 중앙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후방면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후방면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공기가 함께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센서와, 상기 저장실의 우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온도 센서와, 상기 제2온도센서는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저장실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안내 리브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천정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단열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개스킷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의 천정벽 외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개스킷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천정벽에는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의 상측에는 상기 경사면에 면접촉되는 개스킷 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개스킷 하우징은 상기 저장실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와 상기 제1저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제1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제2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는, 상기 제1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와, 상기 제2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는 각각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는 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저장실의 후방 보다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 더 밀도가 높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저장실의 후방보다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저장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면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캐비닛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것을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저장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면부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저장부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제2저장부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상면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상면부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입력부와 상기 제2입력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정보를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1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인력에 영향을 받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저장부와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인력에 영향을 받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은 상기 제2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부도 함께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는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부에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댐퍼와 제2댐퍼가 각각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가 가동되면,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제1히터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 공급하는 냉기보다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가 가동되면,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제2히터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 공급하는 냉기보다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와, 상기 제2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설정 온도 차이가 커지면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가동되는 히터의 운전율도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설정 온도 차이가 커지면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실의 상측에 상기 저장실로부터 격리되는 냉장실과,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실의 하측에 상기 저장실로부터 격리되는 냉동실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에는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는 0도 이상의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2저장부는 0도 이하의 온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냉장실의 제어 온도와 유사하게 제어되고,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냉동실의 제어 온도와 유사하게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저장실에 서로 온도가 다르게 유지되는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가 구비되어서, 사용자는 하나의 저장실에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물을 보관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를 모두 냉동실로 사용하거나 제1저장부와 제제2저장부를 모두 냉장실로 사용하거나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실 내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와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가 구비되어서, 저장실의 온도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와 냉기 공급 덕트를 이용해서 저장실의 제어 온도의 범위가 넓어져서, 다양한 저장물이 저장실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에 구비된 제1저장부는 상측에 마련된 냉장실과 유사한 온도로 제어되고, 우측에 구비된 제2저장부는 하측에 마련된 냉동실과 유사한 온도로 제어되어서, 사용자가 저장실에 마련된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의 제어 온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서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서,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가 하나의 저장실에 수용되더라도,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저장실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저장실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절개도.
도 5는 냉기 공급 덕트와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저장실의 정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저장실의 상측 구조물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제1저장부에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제2저장부에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12는 저장실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a는 도어의 상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b는 제1저장부에 관련해서 선택가능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3c는 제2저장부에 관련해서 선택가능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저장실의 측벽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저장부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인너 케이스(20)을 포함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20)에는 복수 개의 독립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은 상측은 상온으로 식품이 저장가능한 냉장실(30)이 마련되고, 하측은 영하의 온도에서 식품이 저장가능한 냉동실(4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과 상기 냉동실(40)의 사이에는 상기 냉장실(30)과 상기 냉동실(40)로부터 분리된 저장 공간으로 저장실(50)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50)은 상기 냉장실(30)과 상기 냉동실(40)의 내부로 냉기가 공급되는 덕트와는 다른 덕트에 의해서 냉기가 공급된다. 즉 상기 저장실(5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는 상기 냉장실(30) 또는 상기 냉동실(4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와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상기 냉장실(30) 또는 상기 냉동실(40)에 냉기를 공급하는 덕트가 상기 저장실(50)에 냉기를 공급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저장실(5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가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50)은 상기 냉장실(30)과 상기 냉동실(40)과는 격리된 별도의 저장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저장실(5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획된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하나의 도어(70)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50)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50)을 개방하기 위해서 하나의 도어(70)을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도어(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저장실(50)의 전체 공간이 개방되고, 상기 도어(7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저장실(50)의 전체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70)는 그 상측에 상면부(72)을 포함하는데, 사용자는 상기 도어(70)를 상기 저장실(50)로부터 인출한 후에 상기 상면부(72)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70)를 상기 저장실(50)을 밀폐하기 위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면부(72)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상면부(72)에 접근할 수 없다.
상기 도어(7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71)와, 상기 전방부(71)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부(71)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70)에 손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70)는 상기 저장실(50)의 내측벽에 제2레일(800)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레일(800)은 상기 도어(70)가 상기 저장실(50)로부터 멀어지면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거나, 상기 도어(70)가 상기 저장실(50)로부터 가까워지면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800)은 복수 개의 링크로 이루어져서, 복수 개의 상기 제2레일(800)의 링크들이 서로 중첩되어 접혀지게 되면, 상기 도어(70)는 상기 저장실(50)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복수 개의 상기 제2레일(800)의 링크들이 서로 중첩되는 면적이 줄어들도록 펼쳐지게 되면, 상기 도어(70)는 상기 저장실(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800)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00)가 안착되어서, 상기 제2레일(800)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일(800)이 펼쳐져서 상기 도어(7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저장부(100)도 상기 도어(70)를 따라 전방으로 인출된다. 반면에 상기 제2레일(800)이 접혀져서 상기 도어(70)가 후방으로 인입되면 상기 저장부(100)도 상기 도어(70)를 따라 후방으로 인입된다.
상기 저장부(100)는 분리되는 두 개의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저장부(100)의 좌측에는 제1저장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저장부(200)는 제1커버(21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0)의 우측에는 제2저장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부(300)은 제2커버(31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70)를 따라 상기 저장부(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는 상기 도어(70) 또는 상기 저장부(100)의 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저장부(1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에 의해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거나 식품을 상기 제1저장부(200)에 넣기 위해서 상기 제1커버(210)를 이동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거나 식품을 상기 제2저장부(300)에 넣기 위해서 상기 제2커버(310)를 이동시켜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저장물이 저장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50), 상기 저장실(50)로 이루어진 전체 공간을 개폐하는 하나의 도어(70), 상기 도어(7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저장실(50)로 인입 또는 상기 저장실(50)로부터 인출되는 저장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100)는, 좌측에 마련되는 제1저장부(200), 우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부(300), 상기 제1저장부(200)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210), 상기 제2저장부(300)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커버(210)와 별도로 이동가능한 제2커버(310)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저장부(200)는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1커버(210)에 의해서 저장공간이 상기 저장실(50)의 공간으로부터 밀폐될 수 있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측에 마련된 상기 제2커버(310)에 의해서 저장공간이 상기 저장실(50)의 공간으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서로 밀폐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저장실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저장실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절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저장부에 마련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00)는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를 분리하는 단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부(400)는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부(400)는 상기 제1저장부(200) 또는 상기 제2저장부(300)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상기 제1저장부(200)의 벽이나 상기 제2저장부(300)의 벽보다 단열 성능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제2저장부(300)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가 개별적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것이 좋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식품이 보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100)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단열부(400)는 상기 제1저장부(200)나 상기 제2저장부(300)보다 두껍게 형성해서, 상기 저장부(1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400)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장된 리브(410)가 구비된다. 상기 리브(410)는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상기 제2저장부(300)가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브(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지만, 상기 리브(410)는 상기 단열부(400)의 양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개별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410)는 상기 단열부(400)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열부(400)보다는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브(410)는 상기 단열부(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부(400)를 감싸는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리브(410)에 의해서 상기 단열부(400)가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400)는 단열 성능이 높되, 강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50)에는 상기 저장실(50)의 하부 공간의 외관을 이루는 바닥면(74)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74)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에서 상기 저장실(50)의 하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74)에는 단열 격벽(500)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격벽(500)도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의 사이에 공기가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공기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 냉기가 쉽게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온도가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격벽(500)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단열 격벽(500)을 포용하는 하우징(51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510)도 상기 단열 격벽(500)에 비해서 강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단열 격벽(5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서, 상기 단열 격벽(500)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 격벽(500)은 상기 단열부(400)에 비해서 상하 방향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상기 단열 격벽(500)은 상기 저장부(100)와 함께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열부가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100)를 이동시킬 때에 작은 힘으로 상기 저장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 격벽(500)은 복수 개의 단차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 격벽(500)의 단차진 형상은 상기 단열부(400)에도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단열부(400)가 상기 단열 격벽(500)의 상측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단열부(400)와 상기 단열 격벽(500)은 좌우 방향의 공기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리브(520)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520)는 상기 리브(4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서로 맞물리는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에 있는 공기들이 서로 쉽게 혼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410)와 상기 리브(520)의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에 있는 공기가 혼합되기 위해서 공기가 이동되어야 하는 경로를 복잡하게 만들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가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0)가 상기 저장실(50)으로 인입되면, 상기 단열부(400)의 하방에 배치되는 단열 격벽(500)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410)과 상기 리브(5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서, 공기 이동 경로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 격벽(500)에는 상기 단열부(400)가 이동가능하게 그 하방을 지지하는 롤러(53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5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상기 단열 격벽(500)은 상기 단열부(400)의 다양한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0)가 상기 저장실(50)의 내부에서 이동하려면, 상기 단열 격벽(500)과 상기 단열부(400)의 사이에 간격이 있어야만 한다. 이런 필수적인 간격을 통해서 공기가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브(410)와 상기 리브(5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롤러(530)는 상기 단열부(400)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단열 격벽(500)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리브(410)에 접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형성되어야 하는 상기 단열부(400)와 상기 단열 격벽(500)의 간격은 상기 리브(410)가 상기 단열 격벽(500)을 향해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롤러(5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롤러(530)에 의해서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 공기의 유동이 좌우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두 개의 구분된 저장 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큰 바스켓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부(4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를 연결하는 부분이 마련되고, 그 상측에는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이 안착될 수 있는 리브(4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브(430)는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는 개스킷(600)이 구비된다.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이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저장부(100)가 상기 저장실(50)로 인입된 상태에는 상기 단열부(400)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스킷(600)을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이 상기 개스킷(600)을 고정하고,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이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은 상기 저장실(50)의 천정면을 바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50)의 천정면 바깥쪽 벽에는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50)의 천정면을 사이에 두고 하방에는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이 배치되고 상방에는 상기 고정 부재(630)가 배치되어서 상기 개스킷(600)이 상기 저장실(50)의 하방으로 향해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은 냉기가 전후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저항이 크지 않은 플라스틱 또는 ABS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상적으로 냉장고의 인너 케이스에 적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을 이루는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 상기 개스킷(600)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저장실(50)의 좌우로 냉기 또는 공기가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100)를 중심으로 하측에는 상기 단열 격벽(500)이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개스킷(600)이 구비되어서, 상기 저장실(50)의 내부 공기는 좌우로 쉽게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단열 격벽(500)은 상기 저장부(100)를 지지해야 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개스킷(600)보다는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에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저장부(100)를 지지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한할 뿐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냉장고를 제조하는 데에 단가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실(50)의 전방(즉 상기 도어(70)를 바라보는 부분)에는 상기 저장부(100)을 향해서 돌출부(580)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580)에는 리브(590)가 마련되어서, 상기 저장실(50) 내에서 좌우로 공기가 혼합되는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400)에는 상기 리브(590)을 바라보는 방향에 제1돌출편(7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편(700)은 상기 리브(590)에 맞물리는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리브(590)와 상기 제1돌출편(700)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50)의 전방에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에 배치되는 공기들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편(700)은 상기 도어(70)를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50)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상기 리브(590)는 하나의 돌출된 부재를 이루고, 상기 제1돌출편(700)은 상기 리브(590)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서, 상기 리브(59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리브(590)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50)의 후방(즉 상기 도어(70)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부분)에는 상기 저장부(100)을 향해서 단열 부재(56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 부재(560)는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560)에는 리브(570)가 상기 도어(70)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570)는 복수 개의 돌출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50)에서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400)가 상기 저장실(50) 내측을 바라보는 면에는 제2돌출편(750)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돌출편(750)은 상기 저장실(50)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50)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돌출편(750)은 상기 리브(570)을 감싸도록 복수 개가 상기 리브(57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브(57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돌출편(750)과 상기 리브(570)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50)의 내부 중 좌우에 배치된 공간에서 공기가 서로 쉽게 혼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저장된 식품은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냉기 공급 덕트와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저장실의 외곽선은 제거되고 저장부와 냉기 공급 덕트만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저장실(5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다른 양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이 구비된다. 하나의 저장실(50)에 각각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덕트가 두 개 구비되어서, 하나의 저장실(50)에서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50)은 그 내부에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즉 두 개의 냉기 공급 덕트가 하나의 저장실(50)에 배치되어서 하나의 공간에서 냉기를 공급하지만, 두 개의 냉기 공급 덕트가 서로 다른 양의 냉기를 공급하게 되어서, 하나의 저장실(50)에서 내부에서 서로 다른 온도 분포가 발생되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식품들이 구분되어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냉기를 주로 공급하고,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 냉기를 주로 공급한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는 상기 제1저장부(200)를 향해서 냉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상기 제2저장부(300)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은 상기 제1저장부(200)를 향해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은 상기 제2저장부(300)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2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냉기가 공급되는 하나의 덕트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1000)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로 분배되어서 상기 저장실(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1000)와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가 만나는 부분에는 제1댐퍼(1120)와 제2댐퍼(1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댐퍼(1120)가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덕트부(1000)에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로 냉기가 이동되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50)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1130)가 냉기를 공급하는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덕트부(1000)에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로 냉기가 이동되어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50)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모두 상기 덕트부(1000)에 연결되지만, 상기 제1댐퍼(1120)와 상기 제2댐퍼(1130)에 의해서 유로의 개폐가 개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각각 서로 다른 양의 냉기가 공급될 수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은 서로 다른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상기 저장실(50)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하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기는 온도가 차갑기 때문에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그러한 경향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나 상기 제2저장부(300)에 효율적으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의 토출구(111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의 토출구(1210)는 상기 저장실(50)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해 중앙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의 토출구(111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의 토출구(1210)는 상기 제1저장부(200)과 상기 제2저장부(300)의 전후 방향 길이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1000)는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공급받거나,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덕트부(1000)에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으면, 냉동실용 증발기에 비해서 높은 온도의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상기 저장실(50)의 내부 온도를 좀 더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에서 토출되는 냉기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서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리브, 돌출부, 돌출편 등의 형상으로 인해서, 혼합되기 위해서 공기가 이동되어야 하는 통로가 복잡하고 길어지기 때문에, 쉽게 혼합되지는 않고, 온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해서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정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저장실(50)의 후방면에 형성된 배출구(8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50)로부터 배출된다.
즉 상기 저장실(50)의 후방면에는 상기 저장실(5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8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80)는 상기 후방면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저장실(50)에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는 좌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배출구(80)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모두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50)의 후방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실(5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배출구(8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구(80)에 인접한 부분은 공기의 유동이 많아서, 온도 변화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가 공급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쉽게 온도가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80)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상기 저장실(50)의 실제 온도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저장실(50)의 좌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센서(1300)와, 상기 저장실(50)의 우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센서(1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온도 센서(1300)는 상기 배출구(8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저장실(50)의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온도 센서(1400)는 상기 배출구(8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저장실(50)의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온도 센서(1300)는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 센서(1400)는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1300)와 상기 제2온도 센서(1400)도 떨어져서 배치되기 때문에, 두 개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1300)와, 상기 제2온도센서(1400)는 상기 배출구(8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위치에 해당되는 온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저장실의 정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상기 저장부(100)가 상기 저장실(50) 내에 삽입된 상태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은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을 관통해서 상기 토출구(1110)와 상기 토출구(121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1110, 1210)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저장실(5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이동된다.
상기 저장실(50)의 측벽에는 상기 저장부(100)가 안착되는 제2레일(800)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100)는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레일(8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레일(810)은 상기 제1커버(210), 상기 제2커버(310)의 양단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810)은 상기 제2레일(800)에 안착되어서, 상기 제2레일(8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50)의 바닥면(74)에는 상기 저장실(5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안내 리브(9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 리브(90)는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상이 순차적으로 분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 리브(90)는 상기 저장실(50)의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연장되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서 공기가 좌우 방향이 아닌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 리브(90)의 올록볼록한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50)에 위치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기 보다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 리브(90)는 상기 바닥면(74)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내 리브(90)는 상기 바닥면(74)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서, 상기 저장실(5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저장실의 상측 구조물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인너 케이스(20)에서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을 이루는 부분에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개스킷(600)을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 설치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600)을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에 우선 고정시킨 후에,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을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 고정하는 것이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에는 관통공(640)이 형성되어서, 상기 저장실(50)의 천정의 상측을 통해서 고정 부재(630)가 상기 관통공(640)을 관통해서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부재(630)와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은 상기 저장실(50)의 천정, 즉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공(640)을 통해서 상측과 하측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저장실(50)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서, 상기 저장실(50)에서 좌우 방향으로 공기가 쉽게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은 상기 저장실(5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상기 개스킷(600)의 상측에는 상기 경사면(22)에 면접촉되는 상기 개스킷 하우징(6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제1저장부에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면 상기 토출구(1110)을 통해서 상기 제1저장부(200)로 냉기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는 상기 제1커버(210)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에서 공급된 냉기가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에 저장된 식품은 간접 냉각에 의해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110)로부터 배출된 냉기는 상기 제1커버(210)의 상측을 지나서 상기 도어(70)가 위치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70)와 상기 제1저장부(200)의 사이에는 냉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이룰 수 있도록 제1이격 공간(57)이 마련된다. 상기 제1이격 공간(57)을 통해서 냉기가 상기 제1저장부(200)의 전방을 감싼 후에, 상기 저장실(50)의 바닥면을 통과하고, 상기 토출구(8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110)를 통해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1저장부(200)의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에서 배출되는 냉기 자체의 흐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성분이 크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리브, 좌우 방향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는 복수 개의 리브, 단열 격벽과 단열부 등의 배치로 인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부분으로 이동되기 보다는 도 10에 도시되 것과 같이, 상기 제1저장부(200)를 감싸면서 전방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제1저장부(200)를 감싸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1저장부(200)을 감싸면서 상기 제1저장부(200)에 충분히 열교환되고, 상기 제1저장부(200)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제2저장부에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면 상기 토출구(1210)을 통해서 상기 제2저장부(300)로 냉기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기 제2커버(310)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2저장부(300)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공급된 냉기가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부(300)에 저장된 식품은 간접 냉각에 의해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10)로부터 배출된 냉기는 상기 제2커버(310)의 상측을 지나서 상기 도어(70)가 위치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7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는 냉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이룰 수 있도록 제2이격 공간(58)이 마련된다. 상기 제2이격 공간(58)을 통해서 냉기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전방을 감싼 후에, 상기 저장실(50)의 바닥면을 통과하고, 상기 토출구(8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10)를 통해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2저장부(300)의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배출되는 냉기 자체의 흐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성분이 크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리브, 좌우 방향의 공기 유동을 방해하는 복수 개의 리브, 단열 격벽과 단열부 등의 배치로 인해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부분으로 이동되기 보다는 도 11에 도시되 것과 같이, 상기 제2저장부(300)를 감싸면서 전방으로 이동했다가, 상기 제2저장부(300)를 감싸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2저장부(300)을 감싸면서 상기 제2저장부(300)에 충분히 열교환되고, 상기 제2저장부(300)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저장부(200)과 상기 제2저장부(300)은 상기 저장실(50)의 바닥면(74)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각각의 냉기 공급 덕트에서 분사된 냉기는 상기 제1저장부(200), 상기 제1저장부(300)와 상기 바닥면(74)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과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에서 배출된 냉기가 정해진 경로를 통해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저장부(200)과 상기 제2저장부(300)을 냉각하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을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하고, 냉각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저장실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에서 하방에는 상기 도어(70)가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면(74)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실(50)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히터가 매립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저장실(5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히터(1310)와 상기 저장실(5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히터(14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히터(1310)은 상기 제1저장부(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히터(1410)은 상기 제2저장부(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는 상기 바닥면(74)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저장부(200)에는 두 개의 김치통(1600)이 놓일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김치통(1600)은 상기 제1저장부(200)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놓이게 된다. 이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김치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김치를 숙성시키는 메뉴와 숙성된 김치를 보관하는 등의 다양한 메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김치를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열을 가해주어야 하는데,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에서 상기 저장실(50)에 열을 공급해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온도가 올라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1310)는 구동되는 반면에 상기 제2히터(1410)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히터(1410)는 구동되는 반면에 상기 제1히터(1310)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가 모두 구동되거나, 모두 구동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는 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저장실(50)의 후방 보다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 더 밀도가 높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는 상기 저장실(50)의 후방보다 상기 저장실(50)의 전방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김치가 보관된 김치통(1600)이 배치되면,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전후방향의 온도편차차가 전면쪽(상기 도어(70)에 가까운 쪽)이 낮게 나올 수 있는데,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에서 전면에 열을 더 많이 공급해서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는 서로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동일한 열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a는 도어의 상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7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70)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상기 도어(70)를 내려다볼 경우에 볼 수 있는 상면부(72)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부(72)에는 상기 저장실(50)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는 상술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아닌 상기 저장실(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5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70)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에, 상기 상면부(72)에 접근해서 상기 저장실(5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적용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를 선택해서 저장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적절한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제1입력부(15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입력부(1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은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저장실에 대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입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입력부(1500)는 상기 상면부(7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입력부(1520)는 상기 상면부(72)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입력부(1500)와 상기 제2입력부(15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1500)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입력부(1520)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해당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메뉴가 상기 저장실(50)의 어떤 부분에 관한 것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입력부(1500)와 상기 제2입력부(1520)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른 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72)에는 상기 저장실(50)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50)에 적용된 메뉴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1디스플레이부(1510)와 상기 제2저장부(300)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2디스플레이부(1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510)는 상기 상면부(7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1530)는 상기 상면부(72)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5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153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3저장부(300)의 온도 정보는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3 b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제공되는 메뉴에 관한 내용이고, 도 13 c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 제공되는 메뉴에 관한 내용이다.
상기 제1저장부(200)에서는 맛지킴 김치, 야채/과일, 익힘, 유산균 김치에 관련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2저장부(300)에서는 육류/생선, 맛지킴 김치, 야채/과일, 와인에 관련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는 -1~6.5도까지의 범위에서 온도가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2.5~5도까지의 범위에서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200)에 대해서 상기 제1입력부(1500)에 의해서 맛지킴 김치에서 약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1도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저장부(300)에 대해서 상기 제2입력부(1520)에 의해서 육류/생선을 선택하면 -2.5도로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서로 다른 온도 범위를 가지되, 상기 제1저장부(200)가 상기 제2저장부(300)보다 제어 온도의 범위가 높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저장부(200)는 0도 이상의 온도로 제어하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0도 이하의 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50)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실(30)과 상기 제1저장부(200)를 유사한 온도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50)의 하측에 위치하는 냉동실(40)과 상기 제2저장부(300)을 유사한 온도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30)은 0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상기 냉동실(40)은 0도 이하로 유지하되,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실(50)은 상기 냉장실(30)과 상기 냉동실(40)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50)을 사용할 때에, 두 개의 저장부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관리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관리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냉장실, 냉동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가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가 서로 다른 양의 냉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저장부(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1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1310)가 가동되면,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는 상기 제1히터(1310)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 공급하는 냉기보다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50) 내에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은 리브, 돌출편, 단열벽 등과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서 공기 흐름이 제한되지만, 복사열이나 간혹 발생할 수 있는 대류로 인해서, 좌우 공간에서 공기가 혼합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1310)가 가동되어서, 원하지 않게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상승된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를 통해서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한다.
반면에 상기 제2저장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14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1410)가 가동되면,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는 상기 제2히터(1410)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 공급하는 냉기보다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50) 내에서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은 리브, 돌출편, 단열벽 등과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서 공기 흐름이 제한되지만, 복사열이나 간혹 발생할 수 있는 대류로 인해서, 좌우 공간에서 공기가 혼합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히터(1410)가 가동되어서, 원하지 않게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상승된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를 통해서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저장실(50)에서 상기 제1저장부(200)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300)가 위치한 공간은 서로 완전히 격리되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온도를 제어할 때에, 상대방 공간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저장부(200)에는 익힘이란 메뉴가 선택되어서 4.5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야채/과일에서 약을 선택해서 4.5도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가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는 냉기 공급이나 히터 제어에 관해서 고려해야하는 부분이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저장부(200)에는 유산균김치이란 메뉴가 선택되어서 6.5도를 유지하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육류/생선을 선택해서 -2.5도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사이에서 열교환 또는 복사열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부(200)는 상기 제1저장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이룰 때보다는 6.5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히터(1310)에서 열을 더 공급해야할 수 있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기 제2저장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이룰 때보다는 -2.5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을 통해서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해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이 상술한 메뉴와는 다른 메뉴들이 각각 선택된 경우에는 다른 고려에 의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 상기 제1히터(1310), 상기 제2히터(1410)을 제어해야 한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 차이가 커지면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가동되는 히터의 운전율도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히터 모두가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더 많은 시간동안 구동되어 더 많은 열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1310)와 상기 제2히터(1410)의 운전율은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온도차이가 2도가 될수록 운전율이 10%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온도 차이가 4도가 되면 20% 증가되고, 온도 차이가 6도가 되면 30%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 차이가 커지면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냉기 공급 덕트 모두가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의 설정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서 더 많은 시간동안 구동되어 더 많은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다른 보관 온도를 요구하는 두 개의 저장 공간으로 분리해서, 두 개의 저장 공간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유지하기 때문에 하나의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히터와 냉기 공급 덕트는 다른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히터와 냉기 공급 덕트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저장실 내에 두 개의 저장 공간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면, 다르게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히터와 냉기 공급 덕트가 하나의 밀폐된 공간을 제어할 때와는 다른 형태로 제어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저장부(200)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1히터(1310)에 의해서 온도가 관리되고, 상기 제2저장부(300)는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와 상기 제2히터(1410)에 의해서 온도가 관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는 서로 완전히 밀폐된 공간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부(200)의 온도를 관리할 때에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1200)와 상기 제2히터(1410)이 영향을 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저장부(300)의 온도를 관리할 때에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1100)와 상기 제1히터(1310)가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4는 저장실의 측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어(70)에 설치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15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15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2레일(800)에 전선(16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전선(1600)이 연결되어서, 상기 제2레일(800)을 통해서 상기 도어(7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800)은 복수 개의 링크로 이루어져서, 중첩되거나 펼쳐지는 동작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전선(1600)이 배치되어서 상기 전선(1600)이 구겨지는 등 변형으로 인해서 누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선(1600)은 상기 제1입력부(1500)와 상기 제2입력부(1520)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선(1600)에 의해서 상기 제1입력부(1500), 상기 제2입력부(1520),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510),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153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저장부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저장부(300)와 상기 제2커버(31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인력에 영향을 받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커버(310)가 상기 제2저장부(300)를 밀폐하면 냉기가 상기 제2저장부(300)의 내부로 직접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2저장부(300)가 냉기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온도가 변화되지 않고, 온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온도로 제어를 할 때에, 상기 제2저장부(300)가 상기 제2커버(310)에 의해서 밀폐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커버(310)에는 자석(32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저장부(300)에는 상기 자석에 붙을 수 있는 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300)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에 붙을 수 있는 부재(330)는 자석인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1커버(21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인력에 영향을 받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저장부(200)와 상기 제2저장부(300),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310)는 서로 대응되게 유사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캐비닛 20: 인너 케이스
50: 저장실 70: 도어
100: 저장부 200: 제1저장부
300: 제2저장부 400: 단열부
500: 단열 격벽 600: 개스킷
1100: 제1냉기 공급 덕트
1200: 제2냉기 공급 덕트
1300: 제1온도 센서 1400: 제2온도 센서
1310: 제1히터 1410: 제2히터

Claims (18)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 중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좌측에 마련되는 제1저장부 및 우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서 공급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를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덕트부에서 상기 제1저장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덕트부에서 상기 제2저장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기 공급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와 마주하는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부가 위치한 공간과 상기 제2저장부가 위치한 공간 사이에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격벽은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단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단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격벽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상기 단열 격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단열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개스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마주하는 상기 단열부의 일면에서 상기 도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제1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후방면과 마주하는 상기 단열부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실의 후방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제2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저장부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
    상기 제2저장부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커버와 별도로 이동가능한 제2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는,
    상기 제1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히터와,
    상기 제2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는 각각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제1저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제1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저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제2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하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는 일단이 상기 덕트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저장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는 일단이 상기 덕트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저장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저장부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후방면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에는 상기 제1냉기 공급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댐퍼와 상기 제2냉기 공급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10043818A 2018-04-10 2021-04-05 냉장고 KR10251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18A KR102511239B1 (ko) 2018-04-10 2021-04-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68A KR102238538B1 (ko) 2018-04-10 2018-04-10 냉장고
KR1020210043818A KR102511239B1 (ko) 2018-04-10 2021-04-05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68A Division KR102238538B1 (ko) 2018-04-10 2018-04-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344A true KR20210040344A (ko) 2021-04-13
KR102511239B1 KR102511239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18A KR102511239B1 (ko) 2018-04-10 2021-04-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975B1 (ko) * 1994-02-03 1998-07-01 김광호 김치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010010883A (ko) * 1999-07-23 2001-02-15 구자홍 냉장고용 야채실 냉기공급구조
KR20010070834A (ko) * 2001-06-12 2001-07-27 김종섭 온ㆍ냉 배선카용 트레이 홀더 개량 구조
KR20060041500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의 구조
KR20150027979A (ko) * 2013-09-05 2015-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975B1 (ko) * 1994-02-03 1998-07-01 김광호 김치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010010883A (ko) * 1999-07-23 2001-02-15 구자홍 냉장고용 야채실 냉기공급구조
KR20010070834A (ko) * 2001-06-12 2001-07-27 김종섭 온ㆍ냉 배선카용 트레이 홀더 개량 구조
KR20060041500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의 구조
KR20150027979A (ko) * 2013-09-05 2015-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239B1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2757B2 (en) Refrigerator
EP3023717B1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EP3524909B1 (en) Refrigerator
KR20040067643A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WO2018121664A1 (zh) 冰箱
KR20070025330A (ko) 투도어 타입 냉장고의 야채실 온도조절장치
KR1018708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0756512B1 (ko) 심온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2238538B1 (ko) 냉장고
KR102540352B1 (ko) 냉장고
KR20210040344A (ko) 냉장고
KR101437987B1 (ko) 내부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US11747073B2 (en) Refrigerator
US11747074B2 (en) Heater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US11512888B2 (en) Air passageways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US11346591B2 (en) Single air passageway and damper assembly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102206240B1 (ko) 냉장고
JP2006242464A (ja) 冷蔵庫
JP2001116420A (ja) 冷蔵庫
JP2000186883A (ja) 冷蔵庫
JP2002107033A (ja) 冷蔵庫
KR200144973Y1 (ko) 쇼케이스
CN112984912A (zh) 冰箱
CN115615101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