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098A -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 Google Patents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098A
KR20190086098A KR1020180004183A KR20180004183A KR20190086098A KR 20190086098 A KR20190086098 A KR 20190086098A KR 1020180004183 A KR1020180004183 A KR 1020180004183A KR 20180004183 A KR20180004183 A KR 20180004183A KR 20190086098 A KR20190086098 A KR 2019008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re door
outside sheathing
sheath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11B1 (ko
Inventor
최강진
Original Assignee
최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진 filed Critical 최강진
Priority to KR102018000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 형성되는 실내측 판체와 실외측 판체간 연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 외측 판체를 상호 분리 이격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50)를 삽입하되, 연결부를 구성하는 판체 중 적어도 일측의 판체를 절첩하여 중첩부를 형성하고, 이 중첩부에 대공(61)과 소공(62)을 사전 천공한 후 동심(同心)으로 중첩함으로써, 단열재(50)에 의하여 이격된 연결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방화문의 실내측 판체와 실외측 판체를 분리함으로써, 방화문의 판체를 통한 실내외간 열전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절기 방화문 내부 판체의 외곽부에서 빈발하는 표면 냉각 및 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SEPARATED END TYPE ANTI DEWING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 형성되는 실내측 판체와 실외측 판체간 연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 외측 판체를 상호 분리 이격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50)를 삽입하되, 연결부를 구성하는 판체 중 적어도 일측의 판체를 절첩하여 중첩부를 형성하고, 이 중첩부에 대공(61)과 소공(62)을 사전 천공한 후 동심(同心)으로 중첩함으로써, 단열재(50)에 의하여 이격된 연결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화문은 화염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는 출입문으로서, 통상 강철제 판체로 제작되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317217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317217호를 비롯한 종래의 방화문은 강철제 판체를 재단 및 절곡한 후 용접 또는 리벳 등을 통하여 접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건물 벽체(90)에 고정 설치된 문틀프레임(70)에 본체의 일단부가 힌지(95)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도 1의 발췌 확대부는 종래 방화문 본체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를 확대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판체인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가 실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는 다시 방화문 본체의 중심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는 다시 실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외판내횡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실내측 판체인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내판횡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외판내횡부(13)와 내판횡부(21)가 용접 또는 리벳 체결 등의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외판(10)과 내판(20)이 방화문 본체의 단부에서 상호 접합된다.
한편, 도 1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방화문 본체가 장착되는 문틀프레임(70) 역시 반복 절곡된 평단면 구조를 가지는데, 문프레임의 실외측 판체가 실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외횡판(71)이 형성되고, 외횡판(71)이 다시 방화문 중심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종판(72)이 형성되며, 종판(72)이 다시 실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중횡판(73)이 형성되고, 문틀프레임(70)의 실내측 판체가 실외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내횡판(75)이 형성되고, 문틀프레임(70)의 중횡판(73)과 내횡판(75) 사이에는 신축성 패킹(79)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방화문 및 문틀프레임(70)은 폐문상태에서 문틀프레임(70)의 패킹(79)에 내판(20)의 말단부 즉, 내판(20)의 외곽부가 밀착됨으로써, 실내외간 기밀이 유지되며, 따라서 도 1의 발췌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外氣)가 방화문 본체와 문틀프레임(70)간 유격(裕隔)을 경유하여 유입되어도, 패킹(79)과 내판(20)간 밀착 구조로 인하여 외기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며, 반대로 실내 공기의 외부 유출 역시 차단되어, 공기의 유동을 통한 열유동은 구조적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도 1의 발췌 확대부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판체인 외판(10)과 내판(20)간의 열전도를 통한 냉기의 유입 내지 내판(20)의 열손실 즉, 내판(20)의 냉각이 불가피하며, 이로 인하여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외곽부에 수증기가 응결되는 결로 현상이 빈발하게 된다.
이러한, 방화문의 실내측 내판(20) 외곽부의 결로 현상은 직접 접촉된 내판(20)과 외판(10)간의 왕성한 열전도로 인하여 내판(20)의 외곽부가 급속하게 냉각되고, 이로써 실내 기온과 내판(20) 표면 온도간 격차가 심화됨에 따라 유발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불편은 물론 장기적으로 방화문 및 주변 시설의 부식 및 노후화를 촉진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종래의 방화문은 도 1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내판(20)의 말단부가 패킹(79)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문틀프레임(70)과 방화문 단부간 유격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가 내판(20)의 내판횡부(21) 표면에 직접 접촉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내판(20)이 지속적으로 냉각되어 결로 현상이 악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화문에서는 내판(20)과 외판(10)간 연결을 위한 판체간 접합부가 면대면 직접 접촉으로 구성되는 바, 외기에 내판(20)의 말단부가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내판(20)의 외기 노출에 전술한 외판(10)으로부터의 냉기 전도가 복합 작용함으로써, 방화문 실내측 내판(20) 외곽부의 극심한 냉각 및 결로 현상이 유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내판횡부(21)가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외판중첩부(1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 단열재(50) 및 내판횡부(21)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이다.
또한,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내횡부(13)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종방향으로 배치된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고,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중판중첩부(35)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며, 중판중첩부(35)와 외판내횡부(13) 사이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중판중첩부(3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중판중첩부(35), 단열재(50) 및 외판내횡부(1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과, 내판중첩부(25), 단열재(50) 및 중판내횡부(3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이다.
또한,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종방향으로 배치된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며,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외횡부(31)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와 중판외횡부(31) 사이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외판중첩부(1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 단열재(50) 및 중판외횡부(31)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과, 내판중첩부(25), 단열재(50) 및 중판내횡부(3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방화문의 실내측 판체와 실외측 판체를 분리함으로써, 방화문의 판체를 통한 실내외간 열전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절기 방화문 내부 판체의 외곽부에서 빈발하는 표면 냉각 및 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화문 실내측 내판(20)이 외기(外氣)에 일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판(20)의 냉각을 억제하고, 결로 현상을 일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판체간 이격 분리에도 불구하고, 절첩된 중첩부가 구성되고 대공(61)과 소공(62)의 복합 구성을 통한 안정적인 블라인드리벳(65)의 체결 및 수용이 가능한 바, 방화문의 구조적 안정성 및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화문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방식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판금방식 설명도
도 6은 내판경사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은 내판절곡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도 6 실시예에 내판절곡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요부 발췌 대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 대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단형 실시예의 조립방식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 다단형 실시예의 판금방식 설명도
도 12는 외판중첩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3은 접판절곡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4는 중판절곡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 요부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 즉, 방화문인 본 발명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방화문 본체와, 방화문 본체와 힌지(95)로 연결되는 문틀프레임(70)과, 문틀프레임(70)이 고정되는 벽체(90) 일부의 평면상 단면을 폐문상태를 상정하여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70)에 힌지(95)로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실외측 판체인 외판(10)과 실내측 판체인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으로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가 절곡되어 외판외횡부(11), 외판종부(12) 및 외판중첩부(15)가 순차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내판횡부(21)로 절곡되어, 이들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 사이에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로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가 블라인드리벳(65)으로 접합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벽체(90)에 고정되는 금속제 문틀프레임(70)에는 문틀프레임(70)의 실외측 판체(板體)가 폐문시 방화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횡판(71)이 형성되고, 외횡판(71)의 실내측 말단에는 방화문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종판(72)이 형성되며, 종판(72)의 방화문측 말단에는 방화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중횡판(73)이 형성되고, 중횡판(73)과 평행한 내횡판(75)이 중횡판(73)의 실내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중횡판(73)의 실내측 단부 즉, 중횡판(73)과 내횡판(75) 사이에는 신축성 패킹(79)이 장착되어 방화문의 폐문시 패킹(79)과 방화문의 단부가 상호 접촉되면서 기밀성이 부여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방화문 본체의 내판(20) 표면이 패킹(79)에 직접 접촉되고, 문틀프레임(70)측 내판(20) 단부의 내판횡부(21)가 외기(外氣)에 완전히 노출되어 내판(20)이 말단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극심하게 냉각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패킹(79)을 기준으로 내판(20)은 전체 구성이 완전히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외기와 내판(20)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판(20)의 표면 온도와 실내 기온간의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방화문 양단에 설치되는 문틀프레임(70)은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방화문 본체의 중심선을 축으로 평단면상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방화문의 일측 단부와 문틀프레임(70)은 피봇힌지 등의 힌지(95)로 연결되어, 힌지(95) 축을 축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된다.
방화문의 본체는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으로 구성되는데, 방화문의 단부 즉, 폐문시 방화문과 문틀프레임(70)이 만나는 부분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상호 접합되며, 문틀프레임(70)과 같이,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방화문 본체의 중심선을 축으로 방화문 본체의 단면 형상 역시 대칭을 이룬다.
도 2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 즉, 실내측으로 방화문 본체를 직교하여 횡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중심측 종방향 즉, 방화문 본체 중심측으로 방화문 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외판(10)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외판중첩부(15)는 한쌍의 판체가 절첩(折疊)되되 절첩된 판체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도록 압착 절첩되는 부분이다.
또한,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내판(20)의 판체가 방화문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내판횡부(21)가 형성되고, 내판횡부(21)의 말단부에는 전술한 외판중첩부(15)에서와 같이 판체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절첩된 말단중첩부(27)가 형성되며, 말단중첩부(27)가 형성됨에 따라 내판(20) 말단부의 기하학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방화문 본체는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이 접합되어 구성되되, 외판(10)은 직각으로 3회 절곡된 후 말단부가 완전 절첩되고, 내판(20)은 직각으로 1회 절곡된 후 말단부가 완전 절첩되는 것으로, 각 판체간 접합부가 이격되고 판상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접합되는 것이다.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는 판체가 밀착 절첩되어 구성되는 중첩부로서, 그 자체가 보강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내판(20)과 외판(10)간 연결부에 단열재(50)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강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판중첩부(15)를 구성하는 양측 판체에 각각 대공(大孔)(61)과 소공(小孔)(62)을 형성함으로써, 블라인드리벳(65)의 안정적인 체결 및 블라인드리벳(65) 헤드(66)의 수용(收容)이 가능하게 된다.
절곡 내지 절첩 가공된 외판(10)과 내판(20)은 도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되어 방화문 본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0)의 외판중첩부(15)와 내판(20)의 내판횡부(21)가 각각 사전 천공된 상태에서, 이들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를 삽입한 후, 외판중첩부(15), 단열재(50) 및 내판횡부(21)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을 체결함으로써 외판(10)과 내판(20)을 접합하게 된다.
이렇듯 내판(20)의 외판중첩부(15)와 내판(20)의 내판횡부(21)를 상호 결속하는 수단으로서 블라인드리벳(65)을 적용함으로써, 외판(10)의 외측 즉, 외판중첩부(15) 외측에서의 조작만으로 판체간 접합 조립이 가능하며,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를 사전 천공함에 있어서는, 대공(61)과 소공(62)을 외판중첩부(15)의 절첩 이전에 사전 천공한 후 이들을 동심(同心)으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블라인드리벳(65)의 결합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블라인드리벳(65) 헤드(66)의 완벽한 수용 내지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블라인드리벳(65)이 결합되는 외판중첩부(15)는 외판(10)의 판체를 완전히 절첩(折疊)하여 2층의 판체가 밀착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천공된 대공(61) 및 소공(62)에 블라인드리벳(65)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내판(20)과 접합되는데, 이러한 외판중첩부(15)의 형성을 통하여 외판(10)과 내판(20)간 접합부를 보강하는 효과와 더불어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를 수용하여 방화문 단부 표면을 평탄하게 조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외판(10)의 외판종부(12) 말단부 판체를 절곡하여 외판중첩부(15)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단 외판종부(12)의 외판(10) 판체가 실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후 다시 실외측으로 180도 절첩되는데, 외판중첩부(15)의 절첩 작업전 외판중첩부(15)를 구성하는 판체에 서로 다른 직경의 대공(61) 및 소공(62)을 미리 천공한 상태에서 절첩하되, 기 천공된 대공(61)과 소공(62)이 외판중첩부(15)의 절첩시 동심(同心)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의 문틀프레임(70)측 판체에 천공된 대공(61)에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대공(61)은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 직경을 소폭 상회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되, 외판중첩부(15)의 절첩시 대공(61)과 소공(62)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용이하도록 대공(61)이 헤드(66) 직경의 1.5배 내지 2배의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공(62)은 블라인드리벳(65)의 섕크(67) 직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간 접합에 있어서, 블라인드리벳(65)의 섕크(67)를 대공(61) 및 소공(62)을 통과하도록 삽입하고, 대공(61)내 소공(62) 외곽면에 헤드(66)가 밀착된 상태에서 맨드렐(68)을 인발하면, 섕크(67)가 압축 변형되면서 말단부 외경이 확장되어 블라인드리벳(99)이 내판(20)의 내판횡부(21)와 외판(10)의 외판중첩부(15)를 비로소 압착 접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는 대공(61) 내부에 안착 수납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의 문틀프레임(70) 측 표면에 일체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외판(10)의 외판중첩부(15)와 내판(20)의 내판횡부(21) 사이에 삽입되는 판상 단열재(50)의 실내측 단부 표면은 내판(20)의 실내측 표면과 직선을 이루도록 제작 및 결합하게 되며, 따라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폐문시 단열재(50)의 실내측 단부 표면과 패킹(79)의 실외측 표면이 밀착되면서 실내외간 기밀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통하여, 방화문 본체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 표면과 문틀프레임(70)의 방화문 본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裕隔)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외판(10)에만 접촉될 뿐, 실내측의 내판(20)과는 일체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외곽부 온도와 실내 기온간 차이가 감소되어, 종래 방화문에서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방화문 실내측 외곽부 표면의 결로(結露)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0)과 내판(20)간 일체의 접점이 형성되지 않는 바, 외판(10)을 따라 전도되는 냉기가 차단되어 내판(2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방화문 실내측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내판(20) 표면의 결로 현상을 일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비롯한 방화문은 금속제 판체로 제작되는 판금 가공물로서, 실내측 판체의 열이 실외측 판체로 전도되면서 실내측 판체에 열손실이 발생되고 실내측 판체의 표면 온도가 하강하게 되는데, 결로 현상을 유발하는 실내측 판체의 냉각 작용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열손실 경로의 역경로인 냉기의 전도 경로를 도 2의 발췌 확대부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문에서는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간에 평단면상 일체의 직접 접점(接點)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전도를 통한 냉기의 전파가 차단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 실내측 외곽부 표면의 결로 현상을 일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내판(20)과 외판(10)간에는 일체의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블라인드리벳(65)의 체결부에 국한하여 블라인드리벳(65)을 통한 간접 연결이 허용되고 있으나, 블라인드리벳(65)은 방화문 본체의 측면상 간헐적으로 체결되는 것인 바, 블라인드리벳(65)을 경유한 열전도는 미미하다.
즉, 평단면상 외판(10)과 내판(20)이 직접 접촉되는 접점이 일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판(10)과 내판(20)간의 열전도가 차단되는 구조로서, 실내측 내판(20)의 열이 외판(10)으로 전도되어 손실되거나, 실외측 외판(10)의 냉기가 내판(20)으로 전도되어 내판(20)이 냉각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실내 기온과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외곽부 표면의 온도차를 축소할 수 있어, 내판(20)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되는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폐문시 문틀프레임(70)의 패킹(79)과 방화문 본체간 접촉부는 금속제 판체인 내판(20) 표면이 아닌 단열재(50)의 말단부 표면에 형성되는 바, 패킹(79)과 반복하여 접촉되는 과정에서 단열재(50)가 손상되거나, 패킹(79)과 단열재(50) 표면간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 내판경사부(22)를 형성하여, 패킹(79)과 내판(20)간 접촉을 유도하고, 방화문의 개폐과정에서 반복되는 충격을 내판(20)과 단열재(50)가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50)의 가용 수명을 연장하고 폐문시의 기밀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를 실외측으로 절곡하되, 절곡부가 방화문 중심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절곡하여 내판경사부(22)를 형성하고, 내판경사부(22)를 재차 문틀프레임(70)측으로 절곡하여 방화문과 직교하는 횡방향의 내판횡부(21)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판(10)의 외판중첩부(15)와 접합되는 내판횡부(21)와 실내측 내판(20) 사이에는 평단면상 내판(20)과 경사를 이루는 내판경사부(22)가 형성되되, 내판경사부(22)와 내판(20)의 사이의 각도는 예각을 이루게 되어,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말단부가 내판횡부(21)에 비하여 문틀프레임(70)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폐문시 내판(20)의 실내측 표면이 패킹(79)에 접촉되어, 패킹(79)과 내판(20)간 긴밀한 밀착 및 고도의 기밀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판횡부(21)의 실외측 말단부에는 말단중첩부(27)가 형성되어, 내판(20)을 비롯한 전체 방화문의 기하학적 강성을 보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판체의 중첩 내지 절곡을 통한 방화문의 구조적 보강으로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내판절곡부(2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방화문 본체의 단면 구조상 취약부라 할 수 있는 외판(10) 말단부의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로 구성되는 돌출부를 내부에서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와 같이 방화문 폐문시 단열재(50)와 패킹(79)이 접촉되는 실시예에 내판절곡부(28)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6에서와 같이 내판경사부(22)가 형성된 실시예에 내판절곡부(28)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듯 내판횡부(21)의 실외측 말단부를 문틀프레임(70)측으로 절곡하여 내판절곡부(28)를 형성하고, 외판(10) 말단부의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단열재(50)에 내판절곡부(28)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 말단에 단면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방화문의 개폐 충격이 반복 작용하는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 형성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는 내판(20) 및 외판(10) 외에 중판(30)을 추가하여 방화문을 다단형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는 본 발명 다단형 실시예의 평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는 문틀프레임(70)에 힌지(95)로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실외측 판체인 외판(10)과 실내측 판체인 내판(20)과 이들 내판(20) 및 외판(10)을 연결하는 중판(3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결속되는 방화문으로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가 절곡되어 외판외횡부(11), 외판종부(12) 및 외판내횡부(13)가 순차 형성되고, 중앙부가 방화문과 평행판 판체인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으로 절곡되어 중판중첩부(35)가 형성되며 중판(30)의 방화문 본체 중심측 단부는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으로 절곡되어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어, 외판(10)의 외판내횡부(13)와 중판(30)의 중판중첩부(35) 사이에 판상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로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고, 내판(20)의 내판중첩부(25)와 중판(30)의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로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 중판(30) 및 내판(20)이 평면상 다단의 계단식으로 접합되되, 이들 판체간 직접 접촉부가 일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 역시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 및 이들 외판(10)과 내판(20)을 연결하는 중판(30)으로 방화문 본체의 단부가 구성되고, 이들 다수의 판체가 다단의 계단형 단면을 이루며 접합되되, 각 판체의 면대면 접합부 사이에 판상 단열재(50)를 삽입하고, 각 판체의 말단부를 비롯하여 접합부 전반에 걸쳐 일체의 접점(接點)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벽체(90)에 고정되는 금속제 문틀프레임(70)에는 문틀프레임(70)의 실외측 판체(板體)가 폐문시 방화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횡판(71)이 형성되고, 외횡판(71)의 실내측 말단에는 방화문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종판(72)이 형성되며, 종판(72)의 방화문측 말단에는 방화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중횡판(73)이 형성되고, 중횡판(73)과 평행한 내횡판(75)이 중횡판(73)의 실내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중횡판(73)의 실내측 단부 즉, 중횡판(73)과 내횡판(75) 사이에는 신축성 패킹(79)이 장착되어 방화문의 폐문시 패킹(79)과 방화문의 단부가 상호 접촉되면서 기밀성이 부여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방화문 본체의 내판(20) 표면이 패킹(79)에 직접 접촉되고, 문틀프레임(70)측 내판(20) 단부의 내판중첩부(25)가 외기(外氣)에 완전히 노출되어 내판(20)이 말단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극심하게 냉각되는 반면,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패킹(79)과 중판(30)의 중판종부(32)가 접촉되면서 기밀성이 부여되고 내판(20)은 전체 구성이 완전히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외기와 내판(20)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판(20)의 표면 온도와 실내 기온간의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에 있어서, 방화문의 본체는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 및 이들 외판(10)과 내판(20)을 연결하는 중판(30)으로 구성되는데, 방화문의 단부 즉, 폐문시 방화문과 문틀프레임(70)이 만나는 부분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중판(3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문틀프레임(70)과 같이, 도 9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방화문 본체의 중심선을 축으로 방화문 본체의 단면 형상 역시 대칭을 이룬다.
도 9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 즉, 실내측으로 방화문 본체를 직교하여 횡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중심측 종방향 즉, 방화문 본체 중심측으로 방화문 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외판(10)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내횡부(13)가 형성된다.
내판(20)과 외판(10)을 연결하는 중판(30)은 중앙부 판체가 종방향 즉, 방화문 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판체로서,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고,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중판중첩부(35)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중판중첩부(35)는 전술한 도 2 실시예의 외판중첩부(15)에서와 같이, 한쌍의 판체가 절첩되되 절첩된 판체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도록 압착 절첩되는 부분이다.
또한,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내판(20)의 판체가 방화문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는데, 내판중첩부(25) 역시 한쌍의 판체가 절첩되되 절첩된 판체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도록 압착 절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중판중첩부(35) 및 내판중첩부(25) 등 판체가 완전 절첩되는 구조를 통하여 판체의 기하학적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후술할 블라인드리벳(65) 체결시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를 수용함으로써 외부 노출면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판(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절곡된 접판(40)이 추가되어 외판(10), 중판(30) 및 내판(20)간 접합부를 보강할 수도 있는데, 동 도면상 도시된 바와 같이, 접판(40)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외판(10)과 내판(20)간에는 일체의 직접 접촉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접판(40)은 중판(30)에서와 같이 그 중앙부 판체가 종방향 즉, 방화문 본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판체로서, 접판(40)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접판종부(42)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접판내횡부(43)가 형성되고, 접판(40) 접판종부(42)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접판외횡부(41)가 형성되는데, 도 9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외판(10)의 외판내횡부(13)와 접판(40)의 접판외횡부(41)가 밀착 접합되고, 중판(30)의 중판내횡부(33)와 접판(40)의 접판내횡부(43)가 밀착 접합됨으로써, 외판(10), 중판(30), 내판(20) 및 접판(40)이 긴밀하게 접합되면서도 접판(40)과 내판(20)간에는 일체의 접점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 다단형 실시예에 있어서 방화문 본체는 실외측의 외판(10)과 실내측의 내판(20) 및 내판(20)과 외판(10) 사이의 중판(30)이 접합되어 구성되되, 외판(10)은 직각으로 3회 절곡되고, 중판(30)은 직각으로 2회 절곡되되 실외측 말단부가 완전 절첩되며, 내판(20)은 직각으로 1회 절곡된 후 말단부가 완전 절첩되는 것으로, 각 판체간 접합부가 이격되고 판상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접합되는 것이다.
이렇듯 절곡 내지 절첩 가공된 외판(10), 중판(30), 내판(20) 및 접판(40)은 도 10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되어 방화문 본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0)의 외판내횡부(13)와 중판(30)의 중판중첩부(35), 중판내횡부(33) 및 내판(20)의 내판중첩부(25)가 각각 천공된 상태에서, 이들 중판중첩부(35) 및 외판내횡부(13) 사이와 내판중첩부(25) 및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를 삽입한 후, 각 판체 및 단열재(50)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을 체결함으로써 외판(10), 중판(30) 및 내판(20)을 접합하게 된다.
또한, 내판(20), 중판(30) 및 내판(20)의 블라인드리벳(65) 체결시 방화문 본체의 내부에 전술한 접판(40)을 밀착하여 동반 체결함으로써, 체결부위를 보강하게 된다.
이렇듯 중판(30)의 중판중첩부(35)와 외판(10)의 외판내횡부(13) 등을 상호 결속하는 수단으로서 블라인드리벳(65)을 적용함으로써, 중판(30)의 외측 즉, 중판중첩부(35) 외측에서의 조작만으로 판체간 접합 조립이 가능하며, 특히,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중판중첩부(35)를 사전 천공함에 있어서는, 대공(61)과 소공(62)을 중판중첩부(35)의 절첩 이전에 사전 천공한 후 이들을 동심(同心)으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블라인드리벳(65)의 결합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블라인드리벳(65) 헤드(66)의 완벽한 수용 내지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블라인드리벳(65)이 결합되는 중판중첩부(35)는 중판(30)의 판체를 완전히 절첩하여 2층의 판체가 밀착된 상태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천공된 대공(61) 및 소공(62)에 블라인드리벳(65)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외판(10) 및 접판(40) 등과 접합되는데, 이러한 중판중첩부(35)의 형성을 통하여 판체간 접합부를 보강하는 효과와 더불어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를 수용하여 방화문 단부 표면을 평탄하게 조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중판(30)의 중판종부(32) 말단부 판체를 절곡하여 중판중첩부(35)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단 중판종부(32)의 중판(30) 판체가 실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후 다시 실내측으로 180도 절첩되는데, 중판중첩부(35)의 절첩 작업전 중판중첩부(35)를 구성하는 판체에 서로 다른 직경의 대공(61) 및 소공(62)을 미리 천공한 상태에서 절첩하되, 기 천공된 대공(61)과 소공(62)이 중판중첩부(35)의 절첩시 동심(同心)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중판중접부(35)의 문틀프레임(70)측 판체에 천공된 대공(61)에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대공(61)은 블라인드리벳(65)의 헤드(66) 직경을 소폭 상회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되, 중판중첩부(35)의 절첩시 대공(61)과 소공(62)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용이하도록 대공(61)이 헤드(66) 직경의 1.5배 내지 2배의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공(62)은 블라인드리벳(65)의 섕크(67) 직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구성된 본 발명의 다단형 방화문에서도 도 9에서와 같이, 폐문시 중판(30)의 중판종부(32)가 방화문 본체와 평행한 방향을 이루면서 패킹(79)에 안정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실내외간 기밀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를 통하여, 방화문 본체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 표면과 문틀프레임(70)의 방화문 본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裕隔)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외판(10) 또는 중판(30)에만 일부 접촉될 뿐, 실내측의 내판(20)과는 일체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외곽부 온도와 실내 기온간 차이가 감소되어, 종래 방화문에서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방화문 실내측 외곽부 표면의 결로(結露)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0)과 내판(20)간 일체의 접점이 형성되지 않는 바, 외판(10)을 따라 전도되는 냉기가 차단되어 내판(2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방화문 실내측 내판(20)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내판(20) 표면의 결로 현상을 일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열전달 차단의 원리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도 12는 접판(40)을 생략하되 중판(30)을 방화문 본체 내부에 구성함과 동시에 판상 단열재(50)를 외부로 노출시켜 단열재(50)와 패킹(79)이 접촉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로서, 방화문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내판(20)의 보온 및 열전도 차단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중판(30)이 아닌 외판(10)의 말단부에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어 외판(10)과 중판(30)간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며, 중판(30)의 실외측 단부에는 말단중첩부(37)가 형성되어 접판(40)의 생략에도 불구하고 중판(30)을 비롯한 방화문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단형 실시예에서는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외판(10)의 판체가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외판(10) 판체가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되, 외판중첩부(15)는 한쌍의 판체가 절첩(折疊)되되 절첩된 판체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도록 압착 절첩되는 부분이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내판(20)의 판체가 방화문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는데, 내판중첩부(25) 역시 한쌍의 판체가 절첩되되 절첩된 판체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도록 압착 절첩되는 부분이며, 중앙부 판체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내판(20)과 외판(10)을 연결하는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고,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중판외횡부(31)가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와 중판외횡부(31) 사이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 사이에 단열재(5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됨으로써, 외판(10), 중판(30) 및 내판(20)이 결속되는 것이다.
이렇듯, 도 12의 외판중첩부(15) 형성 다단형 실시예에서는 중판(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판(10)의 외판중첩부(15) 및 내판(20)의 내판중첩부(25)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외판중첩부(15)와 중판외횡부(31)간 블라인드리벳(65) 체결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간 블라인드리벳(65) 체결이 각각 수행됨으로써 판체간 접합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열전도 경로상 2개소의 단절 지점이 형성됨으로써 전도를 통한 내판(20)의 열손실 내지 냉기의 전도를 일층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외판중첩부(15) 형성 실시예에 있어서 외판(10)과 중판(30) 사이 및 내판(20)과 중판(30) 사이에 결합되는 판상 단열재(50)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 사전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단열재(50)의 실내측 노출면을 평탄하게 조성하여 문틀프레임(70) 패킹(79)과의 긴밀하고 안정적인 밀착을 도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판외횡부(31)의 실외측 말단부에는 말단중첩부(37)가 형성되어, 중판(30)을 비롯한 전체 방화문의 기하학적 강성을 보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판체의 중첩 내지 절곡을 통한 방화문의 구조적 보강으로서, 도 13의 접판절곡부(48) 및 도 14에서와 같은 중판절곡부(3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방화문 본체의 단면 구조상 취약부라 할 수 있는 외판(10) 말단부의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로 구성되는 돌출부를 내부에서 보강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에서와 같이 접판(40)이 적용된 실시예에 접판절곡부(48)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12에서와 같이 접판(40)이 생략된 실시예에 중판절곡부(38)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접판외횡부(41)의 실외측 말단부를 문틀프레임(70)측으로 절곡하여 접판절곡부(48)를 형성하거나, 도 14에서와 같이, 중판외횡부(31)의 실외측 말단부를 문틀프레임(70)측으로 절곡하여 중판절곡부(38)를 형성하고, 이들 접판절곡부(48) 또는 중판절곡부(38)가 외판(10) 말단부의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단열재(50)에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접판절곡부(48) 또는 중판절곡부(38)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방화문 말단에 단면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방화문의 개폐 충격이 반복 작용하는 외판외횡부(11) 및 외판종부(12) 형성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10 : 외판
11 : 외판외횡부
12 : 외판종부
13 : 외판내횡부
15 : 외판중첩부
20 : 내판
25 : 내판중첩부
30 : 중판
31 : 중판외횡부
32 : 중판종부
33 : 중판내횡부
35 : 중판중첩부
37 : 말단중첩부
38 : 중판절곡부
40 : 접판
41 : 접판외횡부
42 : 접판종부
43 : 접판내횡부
48 : 접판절곡부
50 : 단열재
61 : 대공
62 : 소공
65 : 블라인드리벳
66 : 헤드
67 : 섕크
68 : 맨드렐
70 : 문틀프레임
71 : 외횡판
72 : 종판
73 : 중횡판
75 : 내횡판
79 : 패킹
90 : 벽체
95 : 힌지

Claims (3)

  1.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내판횡부(21)가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와 내판횡부(21)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외판중첩부(1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 단열재(50) 및 내판횡부(21)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2.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내횡부(13)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종방향으로 배치된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고,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중판중첩부(35)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며;
    중판중첩부(35)와 외판내횡부(13) 사이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중판중첩부(3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중판중첩부(35), 단열재(50) 및 외판내횡부(1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과, 내판중첩부(25), 단열재(50) 및 중판내횡부(3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3. 문틀프레임(70)에 연결되어 개폐되되 본체가 외판(10)과 내판(20)으로 구성되고, 본체의 단부(端部)에서 외판(10)과 내판(20)이 접합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외판(1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외횡부(11)가 형성되고, 외판외횡부(11)의 실내측 단부에는 중심측 종방향으로 절곡된 외판종부(12)가 형성되며, 외판종부(12)의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외판중첩부(15)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종방향으로 배치된 중판(30)의 방화문 중심측 단부에는 실내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내횡부(33)가 형성되며, 중판(3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의 횡방향으로 절곡된 중판외횡부(31)가 형성되고;
    내판(20)의 문틀프레임(70)측 단부에는 실외측 횡방향으로 절곡되되 판체가 밀착 절첩되는 내판중첩부(25)가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와 중판외횡부(31) 사이 및 내판중첩부(25)와 중판내횡부(33) 사이에 판상(板狀) 단열재(50)가 삽입되고, 외판중첩부(15)에는 대공(61)과 소공(62)이 동심으로 형성되며, 외판중첩부(15), 단열재(50) 및 중판외횡부(31)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과, 내판중첩부(25), 단열재(50) 및 중판내횡부(33)를 관통하는 블라인드리벳(65)이 체결되어 외판(10)과 내판(2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KR1020180004183A 2018-01-12 2018-01-12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KR102073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83A KR102073911B1 (ko) 2018-01-12 2018-01-12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83A KR102073911B1 (ko) 2018-01-12 2018-01-12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29A Division KR102073913B1 (ko) 2019-07-10 2019-07-10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98A true KR20190086098A (ko) 2019-07-22
KR102073911B1 KR102073911B1 (ko) 2020-02-05

Family

ID=6746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83A KR102073911B1 (ko) 2018-01-12 2018-01-12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9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309B1 (ko) * 2020-06-11 2021-01-08 바른창호(주) 고성능 방화문
KR20210041695A (ko) * 2019-10-07 2021-04-16 (주)대덕알앤씨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KR102273019B1 (ko) * 2020-12-08 2021-07-02 김형도 방화문
KR102371730B1 (ko) * 2021-05-14 2022-03-04 백지영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102575594B1 (ko) * 2023-01-11 2023-09-06 (주)제일방화문 3피스 구조의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14970D0 (en) * 2020-09-22 2020-11-04 Iac Acoustic Company Uk Ltd Acoustic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785465B1 (ko) * 2017-03-13 2017-10-16 최강진 비접촉 판체형 결로 억제 방화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785465B1 (ko) * 2017-03-13 2017-10-16 최강진 비접촉 판체형 결로 억제 방화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95A (ko) * 2019-10-07 2021-04-16 (주)대덕알앤씨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KR102200309B1 (ko) * 2020-06-11 2021-01-08 바른창호(주) 고성능 방화문
KR102273019B1 (ko) * 2020-12-08 2021-07-02 김형도 방화문
KR102371730B1 (ko) * 2021-05-14 2022-03-04 백지영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102575594B1 (ko) * 2023-01-11 2023-09-06 (주)제일방화문 3피스 구조의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911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6098A (ko)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KR101889303B1 (ko) 판체 분리형 결로 억제 방화문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101491502B1 (ko)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JP6831073B2 (ja) 建具
KR101785465B1 (ko) 비접촉 판체형 결로 억제 방화문
KR20190086411A (ko)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CN209944706U (zh) 保温面板及空调箱
US5644874A (en) Light frame system
KR200400146Y1 (ko) 단열 패널과 체결 클립 및 이들의 조립 구조
KR102013454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JP3170384B2 (ja) 耐火性の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6246295B2 (ja) 建具
JP4117021B2 (ja) ドア枠とドア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KR20160002338A (ko) 이형재질의 프레임을 조립시킨 창틀프레임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ES2820327T3 (es) Perfil compuesto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 perfil compuesto para marcos de elementos de pared, puertas o ventanas
JP4083128B2 (ja) 断熱箱体
JP7223563B2 (ja) 連窓構造
JP6441438B2 (ja) 樹脂窓
KR101898531B1 (ko) 금속패널지붕의 구조
US20060183374A1 (en) Sealing end for a heat conduct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9470037B1 (en) Thermal break system and method for doors and windows
WO2020004292A1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