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775A - 장전식 채혈기 - Google Patents

장전식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775A
KR20190085775A KR1020180004037A KR20180004037A KR20190085775A KR 20190085775 A KR20190085775 A KR 20190085775A KR 1020180004037 A KR1020180004037 A KR 1020180004037A KR 20180004037 A KR20180004037 A KR 20180004037A KR 20190085775 A KR20190085775 A KR 2019008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od
hole
loading
bloo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025B1 (ko
Inventor
김휘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굿유니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굿유니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굿유니폼
Priority to KR102018000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90)는 채혈바늘(600)이 발사되도록 하여 채혈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으로 개방구(110)가 형성되고 측방으로 측방홀(120)이 관통된 하우징(100)과, 상기 측방홀(120)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판형의 것으로서 상기 채혈바늘(600)이 장전되는 장전부(200)와, 상기 장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발사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장전부(200)의 회전판(220)에 다수의 채혈바늘(600)을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검사 시 일일이 채혈바늘(600)을 장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채혈바늘(600)은 발사된 후 피부에 꽂힌 후 다시 역방향으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채혈바늘(600)에 묻은 혈액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오염시킨 후, 교체된 채혈바늘(600)이 세균과 병균으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전식 채혈기(90)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공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전식 채혈기 {BLOOD COLLECTION TUBE OF LOADING TYPE}
본 발명은 장전식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수 개의 채혈바늘을 장전하여 사용하므로 채혈할 때마다 일일이 채혈바늘을 장전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채혈바늘이 발사된 상태에서 복귀되지 않도록 하므로, 혈액 오염으로 질병을 유발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전식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을 수시로 체크하므로 고혈당 내지는 저혈당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혈당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서 혈당계와 상기 혈당계에 삽입되는 검사지 및 환자의 신체에서 혈액을 채취하는 채혈기가 사용된다. 즉, 상기 혈당계에 검사지를 삽입한 후 상기 채혈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로부터 혈액을 채취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지에 채취한 혈액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혈당계는 혈당을 수치로 표시한다.
이처럼, 혈당 체크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 중에서 상기 채혈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하우징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탈착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된 캡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노출되는 발사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발사부에 장전되는 채혈바늘이 구성된다.
상기 발사부는 하우징의 측방으로 관통된 버튼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통해서 내부로 관통되는 로드가 구성되며, 상기 로드에 상기 채혈바늘이 장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혈기의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된 로드의 전방으로 상기 채혈바늘을 끼워서 장전한다. 이때, 상기 로드는 채혈바늘을 끼우는 과정에서 후진하여 상기 버튼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캡을 체결한다. 그러고 나서 캡을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로드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채혈바늘이 발사되어 신체 부위에 꽂힌 후 다시 하우징 속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신체 부위에서는 혈액이 배출되고, 상기 혈액을 혈당계에 삽입된 검사지에 공급하므로 혈당을 체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사용되는 채혈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매번 혈당을 체크할 때마다, 상기 캡을 열고 상기 발사부에 채혈바늘을 장전한 후, 다시 캡을 하우징에 체결시켜야 하는 일련의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채혈바늘은 상기 발사부의 작동에 의해서 신체에 꽂힌 후 다시 캡의 내부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채혈바늘에 묻은 혈액이 상기 캡과 하우징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어, 세균 내지는 혈액에 포함된 병균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새로운 채혈바늘을 장전하게 되면, 상기 세균과 병균에 오염되므로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에이즈(AIDS) 환자의 혈당을 체크한 후 상기 채혈기의 내부에 새로운 채혈바늘을 장전하였다고 하더라도 에이즈 균에 상기 채혈바늘은 노출된 상태이므로 에이즈를 전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http://kkamjamart.blog.me/220993454012 (2017년 04월 27일)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매번 혈당을 체크할 때마다, 상기 캡을 열고 상기 발사부에 채혈바늘을 장전한 후, 다시 캡을 하우징에 체결시켜야 하는 일련의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 채혈바늘은 신체에 꽂힌 후 다시 캡의 내부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채혈바늘에 묻은 혈액이 상기 캡과 하우징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어 혈액에 포함된 세균과 병균이 번식하게 되므로 새로 교체된 채혈바늘이 오염되어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는 채혈바늘이 발사되도록 하여 채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으로 개방구가 형성되고 측방으로 측방홀이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측방홀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판형의 것으로서 상기 채혈바늘이 장전되는 장전부와, 상기 장전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발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측방홀의 전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장전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발사부가 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후방단부에 관통된 후방홀과, 상기 장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사부의 전진 작동을 저지하는 리브(rib)를 포함한다.
상기 장전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양측의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측방홀로 일부가 수용되는 원판형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채혈바늘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장전홀과, 상기 회전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장전홀이 배치된 배열의 내측에, 각각의 장전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쪽의 상기 지지판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볼플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리브를 통과하고 상기 후방홀을 통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장전홀에 대응되고, 상기 장전홀에 삽입된 채혈바늘을 타격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롤과, 상기 롤과 상기 하우징 내측의 후방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에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의 전방에 배치되는 관통구와, 상기 로드의 측면에 일측이 상기 관통구의 전방에 부착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를 커버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관통구에 수용되어 상기 판스프링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상대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버튼의 전방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돌출된 것으로서, 하단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인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와 함께 작동되는 상기 버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핀과, 상기 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핀에서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된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핀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핀에서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핀을 수용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상단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인 것이다.
상기 채혈바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장전홀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전면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와, 상기 바디의 전방단부에 돌출된 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핀과, 상기 핀의 전방단부에 연결되어 피부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발사된 상기 채혈바늘의 전진을 저지하는 멈춤판을 포함한다.
상기 멈춤판은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플랜지가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멈춤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다수의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장전부의 회전판에 다수의 채혈바늘을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검사 시 일일이 채혈바늘을 장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채혈바늘은 발사된 후 피부에 꽂힌 후 다시 역방향으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채혈바늘에 묻은 혈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오염시킨 후, 교체된 채혈바늘이 세균과 병균으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전식 채혈기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공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패드는 다양한 두께의 것으로 다수 구비하므로 다양한 피부의 두께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로서 발사부가 채혈바늘을 타격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발사부가 채혈바늘을 타격하여 채혈바늘이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로드가 후진하면서 걸림구가 버튼에 걸리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버튼을 눌러서 로드가 전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채혈바늘이 발사되어 멈춤판에 도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멈춤판의 후면에 두께 조정용 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원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90)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서 피부에 채혈바늘(600)을 쏘아 피부 밖으로 혈액을 유출시키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채혈바늘(600)을 장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채혈바늘(600)이 발사된 후 복귀하지 않도록 하므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로서 발사부가 채혈바늘을 타격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발사부가 채혈바늘을 타격하여 채혈바늘이 발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로드가 후진하면서 걸림구가 버튼에 걸리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버튼을 눌러서 로드가 전진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채혈바늘이 발사되어 멈춤판에 도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전식 채혈기에서 멈춤판의 후면에 두께 조정용 패드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으로 개방구(110)가 형성되고 측방으로 측방홀(120)이 관통된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측방홀(120)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판형의 것으로서 상기 채혈바늘(600)이 장전되는 장전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발사부(300)가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은 펜처럼 잡기 용이한 파이프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측방홀(120)의 전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장전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판(140)이 구성되고, 상기 발사부(300)가 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후방단부에 관통된 후방홀(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사부(300)의 전진 작동을 저지하는 리브(150, rib)가 구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버튼(350)의 전방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돌출된 것으로서, 하단(163)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인 걸림돌기(16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홀(120)은 후술하는 회전판(220)이 채혈바늘(600)이 삽입된 상태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조정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장전부(2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측의 상기 지지판(140)에 고정되는 샤프트(210)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210)가 관통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측방홀(120)로 일부가 수용되는 원판형의 회전판(220)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20)과 샤프트(21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220)의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채혈바늘(60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장전홀(221)이 구성된다. 상기 장전홀(221)은 일정한 원주피치로 배치되므로, 상기 원주피치만큼 회전판(2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단일 개의 장전홀(221)이, 후술하는 로드(310, 발사부(300)에 구성된 것)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220)의 전면(225) 또는 후면(227)에, 상기 장전홀(221)이 배치된 배열의 내측에, 각각의 장전홀(2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22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223)이 형성된 쪽의 상기 지지판(140)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홈(223)에 삽입되는 볼플런저(23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20)을 장전홀(221)의 원주피치만큼 1클릭씩 돌릴 수 있고, 회전판(220)이 겉도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장전홀(221)이, 후술하는 로드(310, 발사부(300)에 구성된 것)에 대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사부(3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브(150)를 통과하고 상기 후방홀(130)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장전홀(221)에 대응되고, 상기 장전홀(221)에 삽입된 채혈바늘(600)을 타격하는 로드(310)가 구성된다. 상기 로드(310)의 전방부는 상기 장전홀(221)에 삽입되어 채혈바늘(600)을 타격할 수 있도록 폭이 조정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310)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15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150)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브(150)의 둘레를 따라 다수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롤(325)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장전홀(221)의 중심을 따라 로드(310)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로드(310)가 가변적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325)과 하우징(100) 내측의 후방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330)이 구성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330)이 압축된 상태에서 팽창할 때 로드(310)가 전방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310)에 측방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150)의 전방에 배치되는 관통구(311)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310)의 측면에 일측이, 상기 관통구(311)의 전방에 부착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311)를 커버하는 판스프링(31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311)에 수용되어 상기 판스프링(313)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3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구(340)가 구성된다. 상기 걸림구(340)는 상단(345)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이다.
또한, 상기 걸림구(340)의 상대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버튼(350)이 구성되는데, 상기 버튼(350)의 구성을 도 4 및 도 5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방을 관통하는 핀(351)이 구성되고, 상기 핀(35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핀(351)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수용된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35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35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핀(351)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된 헤드(355)가 구성되고, 상기 헤드(355)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핀(351)을 수용하는 압축스프링(357)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355)를 눌러서 핀(351)을 하강시킨 후 힘을 제거하면, 압축스프링(357)의 복원력에 의해서 핀(351)은 상승하여 복원된다.
상기 채혈바늘(600)의 구성을 도 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장전홀(221)의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바디(6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6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20)의 전면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620)가 구성된다. 상기 외측플랜지(620)는 하우징(100)의 개방구(110)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디(610)의 전방단부에 돌출되어 피부에 꽂히는 침(630)이 구성된다. 상기 바디(610)는 장전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상기 로드(310)의 타격에 의해서만 전방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610)의 폭이 조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핀(400)이 구성되고, 상기 핀(400)의 전방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발사된 상기 채혈바늘(600)의 전진을 저지하는 멈춤판(500)이 구성된다. 상기 멈춤판(500)은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플랜지(620)가 통과할 수 없도록 사이즈가 조정된 개방부(510)가 구성된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상기 멈춤판(500)의 후면(S)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면(S)과 동일하게 형성된 다수의 패드(520)가 구성되고, 상기 멈춤판(500)과 패드(520)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형성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패드(520)를 다양한 두께의 것으로 다수 개 구비하여 상기 멈춤판(500)에 부착하므로 상기 채혈바늘(600)의 침(630)이 피부에 뚫고 들어가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전식 채혈기(9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처럼, 상기 발사부(300)의 로드(310)를 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도 4에서처럼, 상기 걸림구(340)가 걸림돌기(160)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걸림돌기(160)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승하여 걸림돌기(160)의 후방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돌기(160)의 하단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이고, 걸림구(340)의 상단(345)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이므로, 걸림구(340)는 용이하게 걸림돌기(160)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13)에 의해서 걸림구(340)는 하강한 후 상방으로 복원되어 걸림돌기(160)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310)는 롤(325)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된 회전판(220)의 장전홀(221)의 중심을 따라 후진하게 되며, 롤(325)의 회전에 의해서 로드(310)를 용이하게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처럼, 상기 회전판(220)을 돌려가면서 상기 장전홀(221)의 전방으로 상기 채혈바늘(600)의 바디(610)를 끼운다. 그러면 채혈바늘(600)의 외측플랜지(620)가 회전판(220)의 전면(225)에 밀착되면서 바디(610)의 후진이 저지된다. 이때, 상기 측방홀(120)은 채혈바늘(600)이 삽입된 회전판(2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조정된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23)에 상기 볼플런저(230)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회전판(220)은 1클릭씩 회전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각각의 장전홀(221)은 상기 하우징(100)을 통과하게 되고, 하우징(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310)에 대응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을 잡고 상기 멈춤판(500)의 전면(T)이 채혈하고자 하는 피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도 5에서처럼, 상기 버튼(350)을 누른다. 그러면, 버튼(350)의 핀(351)이 상기 걸림구(340)를 누르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16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처럼, 로드(310)가 장전홀(221)에 삽입된 채혈바늘(600)의 후방을 가격하게 된다. 이때, 롤(325)이 하우징(100)이 내측면을 따라 구르게 되므로 로드(310)는 편심되지 않고 채혈바늘(600)의 후방단부를 가격할 수 있다.
이렇게 발사된 채혈바늘(600)은 도 3 및 도 6에서처럼, 침이(630)이 멈춤판(500)의 개방부(510)를 통과하여 피부에 꽂히게 된다. 그리고 외측플랜지(620)에 의해서 채혈바늘(600)의 전진이 저지되므로 침(630)이 피부에 필요 이상으로 깊이 꽂히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에서처럼, 개방부(510)를 따라 멈춤판(500)을 측방으로 이탈시킨다. 이때, 하우징(100)을 잡고 당겨서 멈춤판(500)과 채혈바늘(600)을 동시에 피부에서 이탈시킬 수도 있지만, 이경우 유출되는 혈액이 멈춤판(500)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멈춤판(500)을 측방으로 이탈시킨 후 채혈바늘(600)을 뽑는 게 바람직하다. 이렇게 피부에 꽂힌 채혈바늘(600)를 뽑아서 피부에서 혈액이 유출되면 혈당 검사를 진행한다.
그런데, 사람에 따라서 피부의 두께가 상이하므로 피부가 얇은 사람은 도 7에서처럼, 멈춤판(500)의 후면(S)에 패드(520)를 부착하게 되면, 채혈바늘(600)의 침(630)이 피부에 꽂히는 깊이를 줄여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520)의 두께는 다양한 것으로 구비하므로 다양한 피부의 두께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드(520)와 멈춤판(500)은 자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과정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전부(200)의 회전판(220)에 다수의 채혈바늘(600)을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검사 시 일일이 채혈바늘(600)을 장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바늘(600)은 발사된 후 피부에 꽂힌 후 다시 역방향으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채혈바늘(600)에 묻은 혈액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오염시킨 후, 교체된 채혈바늘(600)이 세균과 병균으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전식 채혈기(90)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공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장전식 채혈기 100: 하우징
110: 개방구 120: 측방홀
130: 후방홀 140: 지지판
150: 리브 160: 걸림돌기 163: 하단 200: 장전부
210: 샤프트 220: 회전판
221: 장전홀 223: 걸림홈
225: 상면 227: 하면
230: 볼플런저 300: 발사부
310: 로드 311: 관통구
313: 판스프링 325: 롤
330: 압축스프링 340: 걸림구
345: 상단 350: 버튼 351: 핀 353: 플랜지
355: 헤드 357: 압축스프링
400: 핀 500: 멈춤판
510: 개방부 520: 팬드
600: 채혈바늘 610: 바디
620: 외측플랜지 630: 침

Claims (4)

  1. 채혈바늘(600)이 발사되도록 하여 채혈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으로 개방구(110)가 형성되고 측방으로 측방홀(120)이 관통된 하우징(100)과,
    상기 측방홀(120)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판형의 것으로서 상기 채혈바늘(600)이 장전되는 장전부(200)와,
    상기 장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발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측방홀(120)의 전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장전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판(140)과,
    상기 발사부(300)가 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후방단부에 관통된 후방홀(130)과,
    상기 장전부(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사부(300)의 전진 작동을 저지하는 리브(150, rib)를 포함하고,
    상기 장전부(200)는,
    양측의 상기 지지판(140)에 고정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에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측방홀(120)로 일부가 수용되는 원판형의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의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채혈바늘(60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장전홀(221)과,
    상기 회전판(220)의 상면(225) 또는 하면(227)에, 상기 장전홀(221)이 배치된 배열의 내측에, 각각의 장전홀(2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223)과,
    상기 걸림홈(223)이 형성된 쪽의 상기 지지판(140)에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홈(223)에 삽입되는 볼플런저(230)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부(300)는,
    상기 리브(150)를 통과하고 상기 후방홀(130)을 통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장전홀(221)에 대응되고, 상기 장전홀(221)에 삽입된 채혈바늘(600)을 타격하는 로드(310)와,
    상기 로드(310)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15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브(150)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브(150)의 둘레를 따라 다수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롤(325)과,
    상기 롤(325)과 상기 하우징(100) 내측의 후방단부(K)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전식 채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300)는,
    상기 로드(310)에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리브(150)의 전방에 배치되는 관통구(311)와,
    상기 로드(310)의 측면에 일측이 상기 관통구(311)의 전방에 부착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311)를 커버하는 판스프링(313)과,
    상기 관통구(311)에 수용되어 상기 판스프링(313)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대측은 상기 관통구(3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구(340)와,
    상기 걸림구(340)의 상대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버튼(35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버튼(350)의 전방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내측면에 돌출된 것으로서, 하단(163)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인 걸림돌기(16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350)은,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는 핀(351)과,
    상기 핀(35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핀(351)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수용된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353)와,
    상기 핀(35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핀(351)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된 헤드(355)와,
    상기 헤드(355)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핀(351)을 수용하는 압축스프링(357)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340)는,
    상단(345)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고 볼록한 라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전식 채혈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바늘(600)은,
    상기 장전홀(221)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바디(610)와,
    상기 바디(6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20)의 전면에 밀착되는 외측플랜지(620)와,
    상기 바디(610)의 전방단부에 돌출된 침(63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핀(400)과,
    상기 핀(400)의 전방단부에 연결되어 피부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발사된 상기 채혈바늘(600)의 전진을 저지하는 멈춤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멈춤판(500)은,
    상하방으로 관통되고 측방으로 개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플랜지(620)가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개방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전식 채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판(500)의 후면(S)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면(S)과 동일하게 형성된 다수의 패드(520)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판(500)과 패드(520)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형성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전식 채혈기.
KR1020180004037A 2018-01-11 2018-01-11 장전식 채혈기 KR10208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7A KR102089025B1 (ko) 2018-01-11 2018-01-11 장전식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7A KR102089025B1 (ko) 2018-01-11 2018-01-11 장전식 채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75A true KR20190085775A (ko) 2019-07-19
KR102089025B1 KR102089025B1 (ko) 2020-03-13

Family

ID=6751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037A KR102089025B1 (ko) 2018-01-11 2018-01-11 장전식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364A (zh) * 2019-08-25 2019-11-19 青岛大学附属医院 用于取放生物流体的装置及生物流体检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7255A1 (en) * 2004-09-09 2006-03-16 Roche Diagnostics Gmbh Device for sampling bodily fluids
JP4700058B2 (ja) * 2004-09-04 2011-06-15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穿刺創傷を作るためのランセット装置
US20150313514A1 (en) * 2012-08-22 2015-11-05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Lancing Device for Obtaining Samples of Body Fluid
US9463463B2 (en) * 2014-04-16 2016-10-11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Glucose test device
US9737253B2 (en) * 2007-08-29 2017-08-22 Brighter Ab Portable medical apparatus including sampling, determining and injecting compon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058B2 (ja) * 2004-09-04 2011-06-15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穿刺創傷を作るためのランセット装置
WO2006027255A1 (en) * 2004-09-09 2006-03-16 Roche Diagnostics Gmbh Device for sampling bodily fluids
US9737253B2 (en) * 2007-08-29 2017-08-22 Brighter Ab Portable medical apparatus including sampling, determining and injecting components
US20150313514A1 (en) * 2012-08-22 2015-11-05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Lancing Device for Obtaining Samples of Body Fluid
US9463463B2 (en) * 2014-04-16 2016-10-11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Glucose test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kkamjamart.blog.me/220993454012 (2017년 04월 27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364A (zh) * 2019-08-25 2019-11-19 青岛大学附属医院 用于取放生物流体的装置及生物流体检测系统
CN110464364B (zh) * 2019-08-25 2022-02-15 青岛大学附属医院 用于取放生物流体的装置及生物流体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25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694B2 (en) Lancing device
US7775991B2 (en) Device for sampling blood
AU2011209847B2 (en) Analyte measurement device with a single shot actuator
US8556827B2 (en) Lancing device
US8197419B2 (en) Biopsy device having specimen length adjustment
KR101178746B1 (ko) 신속한 혈액 압착 및 샘플링
CN107072605B (zh) 一种弹卸式采血笔结构
US20060235454A1 (en) Blood sampling device
US20060241517A1 (en) Lancet Sensor Assembly and Meter
EP0414563A1 (en) Lancet ejector mechanism
TW200408419A (en) Minimal procedure analyte test system
JP2007502666A (ja) 無菌キャップ再配置機構を有するマルチランセット装置
JP2007185504A (ja) 再利用防止機能付き穿刺器具
JP2012510851A (ja) 穿刺デバイス
TWM513008U (zh) 具退針裝置的高速採血筆
WO2011152580A1 (ko) 란셋 재사용 방지장치
KR20190085775A (ko) 장전식 채혈기
KR101021922B1 (ko) 랜싱장치
CA2636811A1 (en) Lancet sensor assembly and meter
TW201912111A (zh) 免針筒式指尖負壓採血方法
KR20100114710A (ko) 란셋 재사용 방지장치
KR20210091844A (ko) 사혈기
CN107260185B (zh) 用于采血针的撞针自回弹机构
KR102558708B1 (ko) 사혈기
KR20150093550A (ko) 채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