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751A -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 Google Patents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751A
KR20190085751A KR1020180003995A KR20180003995A KR20190085751A KR 20190085751 A KR20190085751 A KR 20190085751A KR 1020180003995 A KR1020180003995 A KR 1020180003995A KR 20180003995 A KR20180003995 A KR 20180003995A KR 20190085751 A KR20190085751 A KR 20190085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ir
damper
air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성범
Original Assignee
벨리모서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리모서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벨리모서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751A/en
Publication of KR2019008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system for controlling a smoke air volume comprising a damper body part, a plurality of blade parts, and a driving part. The damper body part is individually installed in each of the air outlets branched in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building. The plurality of blade parts is installed inside the damper body part, is connected to the damper body part by a rotating shaft, and varies the opening rate for an air outlet by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angle by the rotating shaft. The driving par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by being installed in the damper body part, and transmits power to the blade part for a switching operation for the blade part. The driving part individu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ade part to differently vary the opening rate of the air outlet depending o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opening rate in air conditioning. The driving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moke detecting device of the building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to allow the opening rate of the air outlet to be 100% or 0% in case of fire.

Description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본 발명은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 시 미리 설정된 개도율이 적용됨 댐퍼를 통해 급기와 배기를 조절하고, 화재 시 해당 댐퍼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도록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that adjusts air supply and exhaust through a damper and opens and closes a damper .

일반적으로, 아파트, 백화점 등과 같은 고층 건물 뿐만 아니라, 문화 시설, 운동 시설 등에는 화재 발생 시 연기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층마다 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in addition to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and department stores, cultural facilities and athletic facilities are equipped with smoke-free facilities on each floor to prevent casualties caused by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이러한 제연설비는 제연덕트 및 볼륨댐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재 발생 시 공조덕트는 제연구획에 맞춰 설계된 컨셉에 따라 제연용 급배기 덕트로 제연을 담당하게 된다.These ventilation systems consist of ventilation ducts and volume dampers. When a fire occurs, ventilation ducts are provided with ventilation ducts for ventilation ducts according to the concept designed for the ventilation compartment.

여기서, 각 층 제연구역에 설치된 볼륨댐퍼는 평소에는 공조 목적을 가지며 특정 개도율로 설정되어 있으나, 화재 발생 시에는 그 목적에 따라 개폐되어 제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volume damper installed at each floor ventilation area has a purpose of air conditioning and is set at a specific opening rate, but when a fire occurs, the volume damp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urpose to perform the ventilation function.

하지만, 볼륨댐퍼는 기설정된 개도율로 인해 제연 시 볼륨댐퍼의 블레이드에 의한 압력 손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조 시 설정된 50% 개도치를 유지할 경우, 제연 시에 100% 열리지 못하고 50% 고정된 상태로 제연이 진행되기 때문에, 원활한 연기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However, the volume damper may cause a pressure loss problem due to the blade of the volume damper during the ventilation due to the predetermined opening rate. For example, if the 50% opening value set during the air conditioning is maintained, 100% Smoke is advanced in a fixed state, so that smooth smoke control can not be achieved.

따라서, 화재 구역에서는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인접 구역에서는 외기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들을 인접한 안전한 지역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people in the fire area can be quickly evacuated to adjacent safe areas by allowing smoke to escape in the fire zone and allowing outside air to enter the adjacent zone.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시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를 가변시켜 공조풍량이 유지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 시 제연풍량 조절 댐퍼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연풍량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제연풍량 조절 댐퍼가 공조 시 또는 화재 발생 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varying the angle of the blad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during air conditioning so as to maintain the air conditioning air volume a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moke- And a dam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damper to be used for both air conditioning and fire.

본 발명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건물의 공조덕트에서 분기된 복수개의 급기구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 본체부, 상기 댐퍼 본체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축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급기구에 대한 개도율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댐퍼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한 개폐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공조 시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서로 다르게 가변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건물의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에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100% 또는 0% 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mper main body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ir supply units branched from an air conditioning duct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damper main body parts connected to the damper main body by a rotation shaft, A damper main body provided at the damper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lad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ade unit, Wherein the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so as to vary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during air conditioning, And when the fire is generated,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supply mechanism is 100% or 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ccentric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상기 댐퍼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조 시 상기 개도율 범위가 설정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설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한다.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unit installed in the damper main body and individually adjusting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so that the opening rate range is set during air conditioning.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댐퍼 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며, 공조 시 상기 공조덕트와 연결된 공조팬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비례하여 상기 개도율 범위가 커지도록 회전시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unit is formed in a dial shap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damper main body and rotates so that the opening rate range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he air conditioner fan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increases,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한편, 상기 댐퍼 본체부는 상기 공조덕트 및 상기 공조덕트와 연결된 제연덕트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제연덕트와 연결된 제연팬에서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공조덕트를 통해 상기 급기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연덕트 측에 설치된 상기 댐퍼 본체부의 상기 블레이드부를 개방시킨다.In the meantime, the damper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air duct and the ventilation duct connected to the air duct, and the driving unit controls the air supplied from the ventilation fan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uct when the fire occurs, The damper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amper duct is opened.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구역에서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0% 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화재 발생 주변 구역에서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100% 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air supply unit is 0% in a fire occurrence area when a fire occurs, and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unit is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댐퍼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수직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급기구를 개폐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다.The bla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lade rotatably installed in the damper body portion and a first blad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blad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la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lade, And a second blad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eed mechanism together with the blade.

여기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복수의 링크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링크 구조에 의해 상기 급기구에 대한 개방 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플레이드가 동일한 회전 반경 및 회전 속도를 따르며 함께 회전되도록 제어한다.Here, the second blade is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by a plurality of links and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drive unit, when opened by the plurality of link structures, opens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And controls the paddle to rotate together along the same radius of rotation and speed of rotation.

본 발명은, 공조 시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를 가변시켜 공조풍량이 유지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 시 제연풍량 조절 댐퍼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연풍량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제연풍량 조절 댐퍼가 공조 시 또는 화재 발생 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blades is var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during air conditioning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volume is maintain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for controlling the smoke airflow rate is selectively controlled when the fire occurs, The damper can be used for both air conditioning and fire.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모든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배출량이 소규모 구역 및 대규모 구역에 따라 소방법규에 의해 기설정된 배출량 범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비제연구역에서 발생된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to all the smoke-free zones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emission range according to the small-scale zone and large-scale zone, so that the smoke generated in the non-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blocked.

그리고, 본 발명은 공조 시 공조팬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 제연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압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공조구역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어 원활한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set the opening rate of each of the smoke-extinguishing damper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air-conditioning fan becomes longer during air conditioning, so that the pressure loss with respect to the supplied air can be minimized, Air can be supplied to the air-conditioning area, so that the air-condition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블레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급기구의 개도율 100 % 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급기구의 개도율 0 % 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lade portion for a smoke flow control damp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rate of 100% of the air supply mechanism for the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rate of 0% of a supply mechanism for a damper system for controlling a smoke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블레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mper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lade part for a damper system for controlling the smoke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급기구의 개도율 100 % 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대한 급기구의 개도율 0 % 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an opening rate of 100% of the air supply device for a damper system for controlling the smoke volume of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ning ratio of 0%.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대한 공조 시에 요구되는 풍량은 제연 시 요구되는 풍량과 다르지만, 많은 건설 현장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덕트(10)와 제연덕트(20)를 겸용하고 있다.Generally, the air volume required for air conditioning in the building differs from the air volume required for ventilation, but in many construction sites,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and the smoke duct 20 are also used as shown in FIG.

여기서, 공조덕트(10)가 분기되는 복수의 지점에는 볼륨댐퍼가 설치되는데, 볼륨댐퍼의 풍량이 조정(balancing)되도록 하여 공조 시에 풍량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volume damper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where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is branched, so that the air volume of the volume damper is balanced so that the air volume can be distributed at the time of air conditioning.

예를 들어, 공조팬(1)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된 볼륨댐퍼의 경우 개도율이 약 30%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반면, 공조팬(1)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볼륨댐퍼의 경우에는 개도율이 100% 인 완전 열림 상태가 되도록 조작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원활한 공조가 이루어지게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olume damper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air conditioning fan 1, the opening rate is set to be about 3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olume damper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air conditioning fan 1 So that the air conditioner can be operated in a completely open state in which the opening ratio is 100%.

하지만, 볼륨댐퍼는 개도율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공조 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연 시에는 상기와 같은 위치에 따른 개도율 차이로 인해 적절한 제연 풍량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며, 화재 발생 구역으로 작업자가 들어가 개도율을 설정할 수도 없기 때문에, 연기로 인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pening ratio of the volume damper must be set manually, there is no problem in air conditioning. However, in the case of ventilation, a proper ventilation air amount can not be ensured due to the difference in opening rate depending on the above- The opening rate can not be set, and thus, it may cause injury due to smok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조덕트(10)와 별도로 화재 발생 시에만 연기 공급하도록 하는 제연덕트(20)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공조덕트(10)와 제연덕트(20)를 함께 설치하게 될 경우, 설치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ventilation duct 20 for supplying smoke only when a fire occurs separately from the ventilation duct 10,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ventilation duct 10 and the ventilation duct 20 togeth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secure installation spac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공조덕트(10)와 제연덕트(20)를 겸용으로 적용하면서도, 제연팬(2)과의 거리에 관계 없이 전 실내 공간에 대한 제연 풍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구역 밖으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 거주자가 대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smoke-damper-controlled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ffectively applies the smoke-blowing air volume to the entire indoor space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ventilation fan 2, while applying the air-conditioning duct 10 and the smoke- So that the smok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fire occurrence area, thereby ensuring that the residents have enough time to evacuat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본체부(100), 블레이드부(200), 구동부(300)를 포함한다.2, 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amper body 100, a blade 200, and a driving unit 300.

댐퍼 본체부(100)는 공조덕트(10)에서 분기된 복수개의 급기구(12)에 각각 설치된다.The damper main body 100 i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ir supply devices 12 branched from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블레이드부(200)는 댐퍼 본체부(10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댐퍼 본체부(100) 내부의 폭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로 설치되고, 댐퍼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blade portion 20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damper main body 10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inside of the damper main body 100,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by a rotary shaft.

이러한 블레이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210) 및 제2블레이드(220)를 구비한다.The blade portion 200 includes a first blade 210 and a second blade 220, as shown in FIG.

제1블레이드(210)는 댐퍼 본체부(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blade 21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amper main body 100.

제2블레이드(220)는 제1블레이드(21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 본체부(100)의 하부에 배치된 제1블레이드(210)와 수직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며, 회전축(220a)이 후술 될 구동부(300)와 연결된다.The second blade 220 is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blade 21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lade 210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amper body 10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220a) is connected to a driv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2블레이드(220)는 제1블레이드(210)와 복수의 링크(220b 내지 220e)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블레이드(210)와 함께 급기구(12)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blad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210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220b to 220e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each other and the feed mechanism 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blade 210 Respectively.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구(12)의 개폐를 위하여 구동부(300)를 이용하여 회전축(220a)을 회전시키게 되면, 링크바(220b)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링크바(200b)와 연결된 연결링크(220c)가 제2블레이드(220)를 회전시키는 한편, 링크바(220b)가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바(220b)와 연결된 대향 링크바(220d)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대향 링크바(220d)와 연결된 대향 연결링크(220e)가 제1블레이드(210)를 제2블레이드(2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부(200)를 통한 급기구(12)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3, when the rotating shaft 220a is rotated using the driving unit 300 to open and close the feed mechanism 12, the link bar 220b is pulled downward, The connected link 220c rotates the second blade 220 while the link bar 220b moves and the opposite link bar 220d connected to the link bar 220b is opened. The opposite connection link 220e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220d rotates the first blade 2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lade 220 so that the feed mechanism 12 through the blade part 200 as shown in FIG. Is opened and clos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링크 구조를 통해 제2블레이드(220)의 회전축(220a)에 대한 회전만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 및 속도를 따르며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210) 및 제2블레이드(220), 총 4개의 블레이드에 대한 설치 각도가 함께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blade 210 and the second blade 220, which have the same rotation radius and speed as the rotation of the second blade 22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220a through the link structure, The install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blade can be adjusted together, so that the opening rate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mechanism 12 can be easily set.

이는, 만일 제1블레이드(210) 및 제2블레이드(220)가 각각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급기구(12)를 일부 개방하는 경우, 발생된 연기가 블레이드부(200)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댐퍼 본체부(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부(200)가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if the first blade 210 and the second blade 220 rotate at the same angle to partially open the air supply mechanism 12, the generated smoke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200, So that the blade unit 200 is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from occurring.

한편, 구동부(300)는 댐퍼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220a), 더 자세하게는 제2블레이드(220)의 회전축(220a)과 연결되며,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의 조절을 위하여 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ing unit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amper main body 100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20a, more specifically to the rotating shaft 220a of the second blade 220, Deliver power for control.

구동부(300)는 일반적인 모터로 이루어지고, 회전축(220a)의 단부에 형성된 치합부(230)와 맞물림 결합되어, 치합부(230)를 정회전 및 역회전 회전 구동시킴을 통해 블레이드부(200)에 대한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general motor and is meshed with the mating unit 230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220a to rotate the mating unit 23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동부(300)는 제연설비가 구비된 아파트, 백화점,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등과 같은 건물에 일반적으로 설치된 연기감지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블레이드부(200)에 대한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The driving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moke detector (not shown)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 department store, a culture and assembly facility, a religious facility, a sports facility,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그에 따라, 구동부(300)는 블레이드부(2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제연덕트(20)와 연결된 제연팬(2)에서 공급되는 가압 공기, 즉 공조팬(1)에서 공급되는 공기 보다 강한 압력을 가진 공기가 공조덕트(10)를 통해 급기구(12)로 이동하도록 제연덕트(20)에 설치된 댐퍼 본체부(100')를 개방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구역으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0 controls the blade unit 200 so that the fan unit 200 can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ventilation fan 2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uct 20, The damper main body 100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uct 20 is opened so as to move the air having a strong pressure to the air supply duct 12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so that the smoke moves to the area where the fire is not generated You can block things.

즉, 구동부(300)는 연기감지기(미도시)를 통해 연기를 감지하여 만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덕트(10) 및 제연덕트(20) 각각 설치된 댐퍼 본체부(100', 100'')의 동작을 제어,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조덕트(10)의 댐퍼 본체부(100'')를 차단함과 동시에, 제연덕트(20)의 댐퍼 본체부(100')를 개방시키도록 블레이드부(200)를 제어함으로써, 제연팬(2)을 통해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공조덕트(10)를 통해 각각의 급기구(12)로 이동하도록 한다.1, the driving unit 300 senses smoke through a smoke detector (not show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damper main body 100 installed with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and the ventilation duct 20, More specifically, the damper main body 100 ''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is blocked while the damper main body 100 '' of the ventilation duct 20 is controlled, So that the pressurized air supplied through the ventilation fan 2 is moved to each of the air supply ducts 12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

또한, 구동부(300)는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이 100% 또는 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0 may se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200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plurality of the feeding devices 12 is 100% or 0% in order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smoke.

다시 말해, 구동부(300)는 건물 내부에 기설치된 연기감지기(미도시)를 통해 연기 발생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때 화재 발생 구역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구(12)의 개도율이 0%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구역의 주변 구역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하는 복수개의 급기구(12)의 개도율이 10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driver 300 receives a fir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smoke generation through a smoke detect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is case, 4,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200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air supply mechanism 12 is 0%,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air supply units 12 Of the blade unit 200 is 100%.

이는, 화재 발생 구역으로 가압 공기가 공급되게 되면, 화재를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구역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급기구(12)의 개도율이 0%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그 주변 구역으로는 복수개의 급기구(12)의 개도율이 10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 화재 발생 구역 주변 구역으로 공급되는 제연 풍량을 확보하여 그에 따른 압력을 상대적으로 높임으로써, 화재 발생 구역에서 발생된 연기가 주변 구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pread the fire when the pressurized air is supplied to the fire occurrence area, so tha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part 200 is set to be 0%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devices 12 corresponding to the fire occurrence area is 0%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so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plurality of the air supply units 12 is 100%, and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zone around the fire generation zone So as to prevent the smoke generat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from moving to the surrounding area.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도율 조절을 통해 화재 발생 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배출량이 소규모 구역 및 대규모 구역에 따라 소방법규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배출량 범위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 구역의 연기가 그 주변 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by controlling the opening rat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to the fire-generating area is maintained within the preset range of the amount of fire according to the small-sized area and the large-sized area,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urrounding area.

한편, 구동부(300)는 상기와 같은 제연을 위한 구동 이후, 다시 공조를 위한 구동을 위하여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로 급기구(12)의 개도율이 가변(복귀)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driving for the ventilation, the driving unit 300 drives the blade unit 200 such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unit 12 is changed (returned)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io range for driving for air conditioning again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즉, 구동부(300)는 공조 시 공조덕트(10)와 연결된 공조팬(1)과의 거리가 멀수록 복수개의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이 기설정된 범위를 따르며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각각의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duct 10 and the air conditioning fan 1 is increased, the drive unit 300 increases the opening ratio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units 12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200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구체적으로는, 구동부(300)는 공조팬(1)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된 개도율이 약 3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고, 공조팬(1)과 멀어질수록 개도율이 순차적으로 커지게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공조팬(1)과 가장 멀리 위치된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이 10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300 adjust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so that the opening ratio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air-conditioning fan 1 is about 30%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portion 200 is adjusted so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blade portion 200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opening ratio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device 12 located farthest from the air conditioning fan 1 is 100% ) Can be controlled.

상기와 같은 개도율 범위에 대한 설정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컨트롤러부(400)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컨트롤러부(400)는 댐퍼 본체부(100)에 설치되고, 공조 시 30%, 100% 등과 같이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가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In order to set the opening rate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smoke control air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unit 400. The controller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damper body unit 100, Such as 30%, 100%, or the like, when the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to se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즉, 컨트롤러부(400)는 예를 들어 공조 시 구동부(300)를 통해 공조팬(1)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된 개도율이 약 30%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컨트롤러부(400)를 회전시켜 개도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컨트롤러부(400)를 통해 30%로 개도율 범위를 설정하게 되면, 공조를 위한 구동부(300)의 동작 시 미리 설정된 30%의 개도율 범위를 따르며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가 가변되게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unit 400 adjust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so that the opening ratio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air conditioning fan 1 through the driving unit 300 during the air conditioning is about 30% The opening rate range can be set by rotating the controller unit 400. For example, if the opening rate range is set to 30% through the controller unit 400, the operating range of the driving unit 300 for air condition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to be variab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io range of 30%.

컨트롤러부(400)는 댐퍼 본체부(100)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30, 40, … 과 같은 숫자로 표시된 게이지(미도시)에 해당하도록 댐퍼 본체부(100)를 회전시켜 개도율 범위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개도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unit 400 is preferably formed in a dial shap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amper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set the opening rate rang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by rotating the damper main body 100 so that the opening rate range can be set to correspond to a gauge (not shown) such as a number.

이러한 컨트롤러부(400)의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동일한 목적을 위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unit 40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form for the same purpose.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공조 시 컨트롤러부(400)에 의해 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르며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한편, 화재 발생 시에는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이 100% 또는, 0% 가 되도록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just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according to the opening rate range set by the controller unit 400 during air condition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20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io is 100% or 0%.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통해 공조 시에는 공조팬(1)과 멀어질수록 복수개의 급기구(12) 중 해당하는 급기구(12)에 대한 개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하여 실내 모든 구역에 대한 원활한 공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 시에는 블레이드부(200)가 100% 또는 0% 의 범위를 따르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주변 구역으로의 연기 이동을 차단, 발생된 연기를 피해 거주자가 대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time of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smoke-flow-rate control damper system, the opening rate for the corresponding air supply mechanism 12 among the plurality of air supply mechanisms 12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air conditioning fan 1 increases Thereby allowing smooth air conditioning for all the rooms in the room. In addition, when the fire occurs, the blade unit 20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the range of 100% or 0% Allow the resident to have time to evacuate from the generated smok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 중 어느 하나의 실내 영역에 대한 공조 및 제연 시에 따른 급기구의 개도율이 선택적으로 가변 또는 개폐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건물 전체, 예를 들어 건물 각각의 층마다의 공조 및 제연 시 적용되어 급기구의 개도율이 동일하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연기가 다른 층 또는 비상 계단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air supply mechanism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for any one indoor area of the building is selectively changed or opened or closed, but this corresponds to only one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air conditioning and smoke removal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mechanism is changed equally so that the smok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other floor or the emergency stair side when a fire occurs.

본 발명은, 공조 시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를 가변시켜 공조풍량이 유지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 시 제연풍량 조절 댐퍼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연풍량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제연풍량 조절 댐퍼가 공조 시 또는 화재 발생 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blades is var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during air conditioning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volume is maintain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for controlling the smoke airflow rate is selectively controlled when the fire occurs, The damper can be used for both air conditioning and fire.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모든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배출량이 소규모 구역 및 대규모 구역에 따라 소방법규에 의해 기설정된 배출량 범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비제연구역에서 발생된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to all the smoke-free zones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emission range according to the small-scale zone and large-scale zone, so that the smoke generated in the non-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blocked.

그리고, 본 발명은 공조 시 공조팬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 제연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압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공조구역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어 원활한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set the opening rate of each of the smoke-extinguishing damper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air-conditioning fan becomes longer during air conditioning, so that the pressure loss with respect to the supplied air can be minimized, Air can be supplied to the air-conditioning area, so that the air-condition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some of the elements (s) may be optionally construct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공조팬 2 : 제연팬
10 : 공조덕트 12 : 급기구
20 : 제연덕트 100 : 댐퍼 본체부
200 : 블레이드부 210 : 제1블레이드
220 : 제2블레이드 220a : 회전 축
220b : 링크바 220c : 연결링크
220d : 대향 링크바 220e : 대향 연결링크
230 : 치합부 300 : 구동부
400 : 컨트롤러부
1: Air conditioning fan 2: Ventilation fan
10: air conditioning duct 12:
20: Smoke duct 100: Damper main body
200: blade portion 210: first blade
220: second blade 220a: rotating shaft
220b: link bar 220c: connection link
220d: opposing link bar 220e: opposing connecting link
230: mating portion 300: driving portion
400:

Claims (7)

건물의 공조덕트에서 분기된 복수개의 급기구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 본체부;
상기 댐퍼 본체부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축에 의해 상기 댐퍼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급기구에 대한 개도율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댐퍼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한 개폐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공조 시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서로 다르게 가변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건물의 연기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에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100% 또는 0% 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A damper main body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supply units branched from the air conditioning duct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inside the damper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damper main body by a rotating shaft and having an installation angle adjusted by the rotation axis to vary the opening ratio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mechanism; And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damper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blad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ade unit,
The driving unit includes: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unit is var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ning rate range at the time of air conditioning and the opening ratio of the air suppl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oke detector of the building, 100% or 0% of the total amount of the exhaust g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조 시 상기 개도율 범위가 설정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설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unit installed in the damper main body and separately controlling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blade unit so that the opening rate range is set when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댐퍼 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며, 공조 시 상기 공조덕트와 연결된 공조팬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비례하여 상기 개도율 범위가 커지도록 회전시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unit,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formed in a dial shap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damper main body and rotates so that the opening ratio range is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he air conditioning fan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increases, Wherein the damper is a dam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부는,
상기 공조덕트 및 상기 공조덕트와 연결된 제연덕트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제연덕트와 연결된 제연팬에서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공조덕트를 통해 상기 급기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연덕트 측에 설치된 상기 댐퍼 본체부의 상기 블레이드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duct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he air conditioning duct,
Wherein the driving unit opens the blade portion of the damper main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ntilation duct so that the pressurized air supplied from the ventilation fan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uct when the fire occurs is moved to the air supply duct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Damping system for controlling smoke f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구역에서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0% 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화재 발생 주변 구역에서는 상기 급기구의 개도율이 100% 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air supply unit is 0% in a fire occurrence area in case of fire, and the operation of the blad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air supply unit is 100% The smoke damper air damper system which featu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댐퍼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수직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급기구를 개폐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portion includes:
A first blade rotatably installed in the damper main body; And
And a second blade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blad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la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lad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eed mechanism together with the first blade. Damping system for controlling smoke flow.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복수의 링크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링크 구조에 의해 상기 급기구에 대한 개방 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플레이드가 동일한 회전 반경 및 회전 속도를 따르며 함께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blade
A second blade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by a plurality of links and rotat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he drive unit controls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ame rotation radius and rotational speed when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are opened by the plurality of link structures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mechanism .
KR1020180003995A 2018-01-11 2018-01-11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KR201900857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95A KR20190085751A (en) 2018-01-11 2018-01-11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95A KR20190085751A (en) 2018-01-11 2018-01-11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51A true KR20190085751A (en) 2019-07-19

Family

ID=6751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995A KR20190085751A (en) 2018-01-11 2018-01-11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57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625B1 (en) * 2020-01-17 2021-07-06 임태섭 Smoke volume motorized damper system
KR102367917B1 (en) 2020-12-16 2022-02-25 김충회 Smart smoke removing system having two way sensor and combined with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98031B1 (en) * 2021-09-23 2022-05-12 윤성환 Smoke control system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625B1 (en) * 2020-01-17 2021-07-06 임태섭 Smoke volume motorized damper system
KR102367917B1 (en) 2020-12-16 2022-02-25 김충회 Smart smoke removing system having two way sensor and combined with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98031B1 (en) * 2021-09-23 2022-05-12 윤성환 Smoke control system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056B2 (en) Integrated underground ventilation system
KR20190085751A (en)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KR20120044795A (en) Supply damper of separating the leakage air flow and the supplementary air flow,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09791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 of evacuation door, and operating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473282Y1 (en) Automatic switch for composition damper
KR102058079B1 (en) Smoke extraction system with ventilation and fire suppression damper
KR101185801B1 (en) Firefighting damper system of high-rise building
JP6475951B2 (en) Damper device having pressure adjusting function and fire door provided with damper device having pressure adjusting function
KR101402304B1 (en) Proportional Control Systems of Air Supply Damper at Smoke Control Room
JP2018173207A (en) Variable air volume device
KR10123628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amount and direction of air
KR100969278B1 (en) Damper apparatus of over pressure exhaust
KR100421806B1 (en) smoke control damper for high building
KR20130006253U (en) Smoke System Damper
JP3077584B2 (en)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KR102394431B1 (en) Smoke damper
KR200353393Y1 (en) multi-function damper
KR200322851Y1 (en) Smoke Damper For Fire-Fighting
KR100297973B1 (en) The method of fire smoke exclusion of high building for living and apparatus
KR2022015133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oke of high-rise building
KR102369227B1 (en) Damper wing angle adjustment device of air supply damper
KR200179827Y1 (en) Automatic damper modulator
KR101432611B1 (en)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90079830A (en) Smoke damper
JPH0557032A (en) Life saving method in fire prevention and smoke discharge facility and device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