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11B1 -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11B1
KR101432611B1 KR1020110139154A KR20110139154A KR101432611B1 KR 101432611 B1 KR101432611 B1 KR 101432611B1 KR 1020110139154 A KR1020110139154 A KR 1020110139154A KR 20110139154 A KR20110139154 A KR 20110139154A KR 101432611 B1 KR101432611 B1 KR 10143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amper
damper housing
rota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1754A (en
Inventor
백종만
Original Assignee
백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만 filed Critical 백종만
Priority to KR102011013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11B1/en
Publication of KR2013007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실내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덕트를 통해 단일의 메인덕트로 흡기 또는 반대로 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이 각 보조덕트의 환기댐퍼의 설치 위치(방향)에 따라 에어커튼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각 실내로 공기의 흡배기가 균등하게 동작될 수 있어, 다수의 각 실내로 공기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기 위한 동력의 용량을 줄여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적정량의 유량 공급 및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의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는, 개방된 일측의 분기덕트측(27)이 개개의 분기덕트(30)에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덕트측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 개방된 타측의 메인덕트측(26)은 메인덕트(10)의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댐퍼하우징(21)과, 바구니 형태로서 힌지축(24)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의 지지축(28)을 따라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댐퍼하우징의 메인덕트측(26)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동작되는 회전도어(25)와, 상기 회전도어(25)에 대한 개폐동작이 조절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21) 외측으로 상기 지지축(28)의 외측 단부가 개폐레버(23)로 연결된 구성관계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from flowing into a single main duct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ducts connected to each room, The structure of the air curtain is structurally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direction) of the indoor air, so that the air intake / exhaust device can be operated uniformly in the entire room,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nergy saving by making it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and control an appropriate amount of flow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ranch duct side (27) on one side connected to an individual branch duct (30)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duct 10 is opened to a relatively large extent and is connected to the damper housing 21 installed at the opening portion of the main duct 10 and a hinge shaft 24 hinged to the hinge shaft 24, A rotary door 25 which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rotary door 28,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shaft (28)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lever (23) outside the housing (21).

Description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분기된 각 실내로 송풍기에 의해 강제로 공기의 흡기 및 배기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덕트공조시스템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각 실내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덕트를 통해 단일의 메인덕트로 흡기 또는 반대로 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이 각 보조덕트의 환기댐퍼의 설치 방향(위치)에 따라 에어커튼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각 실내로 공기의 흡배기가 균등하게 동작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device for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for forced air intake and exhaust operation by a blower to each branched indoor space. The damper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ducts connected to each indoor unit, Air flow can be structurally prevented from generating air curtai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position) of the ventilation damper of each auxiliary duct, so that the air intake / exhaust device can be operated uniformly in each room as a wh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일반적으로 도시의 일반 건축물은 외부의 공해 차단 및 내부의 냉난방을 위해서 창문이나 출입문을 닫고 생활하는데, 그로 인한 냉난방과 환기시설을 목적으로 덕트시설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덕트시설이 적용되는 공조설비의 역할은, 실내의 공기온도,습도,청정도 및 공기의 흐름을 항상 실내의 사용목적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전과 보수관리가 필요하다.Generally, the general building of the city is closed to windows and doors for outside pollution interception and internal cooling and heating, and the duct facility is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cooling / heating and ventilation facilitie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o which such a duct facility is applied is to adjust the air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and air flow of the room to the condition most suitable for the indoor use purpose at all times. In order to continuously exhibit this, Maintenance is required.

통상 덕트시설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중 냉난방 공조덕트 시설은 공조조화기(Air Hndling Unit) 1대의 설치로 여러개의 분기된 설치(사용) 장소(주로 실내,Room)를 동시에 냉난방할 수 있는 기능의 장점이 있는데, 이때 공기를 각 설치장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덕트시설은 혼탁해진 개개의 설치된 장소인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급기 및 배기) 시설이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ducting facilities in general. Among them, the air conditioning ducting facility is composed of one air hindling unit, which can be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several branching installation sites (mainly indoor, There is an advantage of the function, in this case, the air will be delivered to each installation location. In addition, the duct facility has ventilation (air supply and exhaust) facilities for discharging polluted air from the room, which is the individual installed place, which is turbid, and for introducing fresh air.

한편, 덕트시설을 할 때에는 개개의 설치된 실내에서 공기의 유량을 골고루 원활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해 각 가지관에 댐퍼(Damper) 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지금까지 소개된 덕트시설의 댐퍼장치는 도 4a(기존 댐퍼장치의 배기구조) 및 도 4b(기존 댐퍼장치의 급기구조)에서 보는 것처럼, 그 역할 및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해 엄청난 전기적 낭비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다.Meanwhile, in the duct installation, a damper devic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branch pipes in order to smoothly transfer the flow rate of the air in the individual installed rooms. The damper device of the duct facility, As shown in Fig. 4B (air supply structure of existing damper device) and Fig. 4B (air supply structure of existing damper device), its role and function are not operated properly, resulting in enormous electrical waste and economic loss.

기존 공기조화기의 덕트시설(덕트공조시스템)에 설치되어 적용된 댐퍼장치의 작동구조를 보면, 기본적으로 메인덕트(10)의 송풍기(Fan)(40)를 통해 각 분기덕트(30)에 설치된 댐퍼수단(장치)인 환기댐퍼(50)에서 강재로 공기를 불어주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각 환기댐퍼(50)에서 단일의 송풍기(40)를 통해 메인덕트(10)로 흡기되거나 또는 반대로 다수의 각 환기댐퍼(50)를 통해 각 실내로 연결된 보조덕트(30)로 배기되는 각 환기댐퍼(50)의 공기들이 메인덕트(10)의 직선구간을 통해 균등하게 흡배기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The operation of the damper device installed in the duct facility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existing air conditioner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damper device installed in each branch duct 30 through the fan 40 of the main duct 10 Air is blown from the ventilation damper 50 as a means to the steel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dampers 50 through the single blower 40 to the main duct 10 or vice versa,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the air of each ventilation damper 50 exhausted to the auxiliary duct 30 connected to each room through the ventilation damper 50 can not be uniformly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traight section of the main duct 10. [

이는 단일의 메인덕트(10)을 통해 여러 개(구간)의 가지관인 이들 분기덕트(30)에 골고루 공기를 배분해 주어야 하는데, 단일의 송풍기(40)를 통해 먼 거리까지 강제 송풍을 하다보니 도면의 유량 흐름 화살표에서 보는 것처럼, 유량의 가속에 의해 각 보조덕트(30)로부터 메인덕트(10)로 흡배기 동작되는 공기가 먼거리부터 에어커튼(Aircurtain) 역할이 되면서 직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에어커튼의 방해 동작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되는 끝 지점에 비해 송풍기(40)쪽에 가까운 지점의 분기덕트(30)로는 유량의 흐름(풍량 및 풍속)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This means that air must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30 through a single main duct 10. In order to blow air to a large distance through a single blower 40, The air flowing from the respective auxiliary ducts 30 to the main duct 10 through the auxiliary ducts 30 travels from the long distance to the air curtain as an air curtain, The flow rate (air flow rate and wind speed) of the branch duct 30 at the point near the blower 40 side is relatively weakened and decreased compared with the end point where the disturbance operation of the airflow is relatively less.

즉, 메인덕트(10)의 송풍기(40)에 의해 보조덕트(30)로 배기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덕트(30)를 통해 흡기되는 각 실내의 공기가 해당 보조덕트(30)의 위치에 따라 에어커튼의 영향을 받게되면서 차별적으로 유량의 흐름 정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결국 각 분기덕트(30)의 위치에 따라 풍량의 속도가 줄면서 전체적으로 처음의 분기덕트(30)로까지 골고루 배분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풍량을 소비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기적 낭비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That is, the air in each room, which is exhausted to the auxiliary duct 30 by the blower 40 of the main duct 10 or is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duct 30,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the flow rate of the flow can be differentiated differently.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anch ducts 30, the speed of the airflow decreases and the entire airflow is distributed evenly to the first branch ducts 30, so that more airflow is consumed and unnecessary electrical waste is inevitable.

이는 결국 개개의 실내(Room)에 설치된 해당 분기덕트(30)의 환기댐퍼(50)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일정수준까지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송풍기(40)의 모터 용량이 과다하게 늘어나 필요 이상의 전기적 손실은 물론, 모터의 수명 및 기능까지도 위협받는 요인이 되면서 경제적으로도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As a result, in order to generate the air volume to a certain level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damper 50 of the corresponding branch duct 30 installed in each room, the motor capacity of the blower 40 is inevitably increased excessively, As a result, not only the electrical loss but also the lifetime and function of the motor are threatened, which causes unnecessary losses economically.

일예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환기덕트(50)가 설치 적용된 급기-배기 환기유니트 시스템(덕트공조시스템)은 각 실내(Room)의 오염된 공기를 송풍기(Fan)가 끌어당기는 강제 송풍방식이 일반적인데, 도 4b에서와 같은 각 실내로의 배기동작시 도면에 표시한 유량 흐름 화살표의 진행방향과 같이 이 또한 유량의 가속에 의해 에어커튼 역할이 되어, 전체적으로 끝 부분(위치)의 보조덕트(30)쪽만 배기동작이 잘되고 상대적으로 반대편의 보조덕트쪽의 환기는 거의 미미하게 작동한 경우가 빈번한 것이 현실이다.For example, in the air supply / exhaust ventilation unit system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uct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4A and 4B is installed, a fan blows the polluted air in each room The forced air blowing is generally performed. As shown in FIG. 4B, when the air is exhausted into each of the indoor units as shown in FIG. 4B, the air curtain also acts as an air curtain by accelerating the flow rate, And the ventilation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duc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duct is operated only slightly.

실제로 덕트 배관작업에 관련하여 현직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은 환기덕트를 통한 덕트공조시스템의 각 실내로의 흡배기가 정상적으로 균등하게 잘 되지 않는 불안감 때문에 실평수의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의 송풍기를 소비자들에게 권장하고 있으며, 또한 설계도면에 의한 시공도 운용상의 결과는 만족하지 않고 현장에서는 하자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Indeed, in the context of duct ducting, in-service workers are encouraged to ventilate duct ventilation systems to consumers with larger capacity than their full capacity due to the insufficiency of normal ventilation to the roo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onstruction drawings by the design drawings are unsatisfactory and the defects are occurring in the field.

참고로 각 실내에 연결된 보조덕트(30)에 설치되는 환기댐퍼(50)는 유량을 조절해줄 수 있는 볼륨 댐퍼(Volume Damper)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볼륨 댐퍼의 역할은 각 실내로 연결되는 메인덕트(10)의 가지관인 보조덕트(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 T자형의 덕트 내부에 유량을 조절해주는 스프리트 댐퍼(Splitter Damper)나, 국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미국 등의 해외에서는 제법 많이 사용되는 에어엑스트렉트 댐퍼(Air Eztractor Damper) 또는 스핀칼라 댐퍼(Spin Collor Damper)가 있지만, 내부 삽입 고정방식이라 한번 시공하면 조절이 되지 않아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52는 기존의 볼륨 댐퍼인 각 분기덕트(30)의 환기댐퍼(50)가 메인덕트(10)의 연결부위에 최대한 근접될 수 있도록 설치 연결시키기 위한 댐퍼연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or reference, a ventilation damper (50) installed in an auxiliary duct (30) connected to each room is usually provided with a volume damper capable of controlling a flow rate. The role of the volume damper is to control the main And functions to regulate or shut off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auxiliary duct (30), which is the branch of the duct (10). In addition, Splitter Damper, which controls the flow rate inside the T-shaped duct, and Air Jettractor Damper or Spin Color Damper, Spin Collor Damper), but it is not used well because it can not be adjusted if it is built once because it is an internal insertion fixing method. Reference numeral 52 denotes a damper connector for installing and connecting the ventilation damper 50 of each branch duct 30, which is a conventional volume damper, so a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in duct 10 .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의 통상적인 볼륨 댐퍼를 적용시킨 덕트공조시스템의 댐퍼장치에서 발생된 제반 불편한 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각 실내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덕트를 통해 단일의 메인덕트로 흡기 또는 반대로 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이 각 보조덕트의 환기댐퍼 설치 위치(방향)에 따라 에어커튼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각 실내로 공기의 흡배기가 균등하게 동작될 수 있어, 다수의 각 실내로 공기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기 위한 동력의 용량을 줄여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적정량의 유량 공급 및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in a damper device of a conventional duct damper system using a conventional volume damper, The flow of the air sucked by the duct or the air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tructurally prevents the air curtain from be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direction) of the ventilation damper of each auxiliary duct, so that the air intake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apacity for equalizing the flow of air to each room of the air condition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and control an appropriate amount of flow, thereby enabling the air curtain of the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damper from being damag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는, 개방된 일측의 분기덕트측이 개개의 분기덕트에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덕트측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 개방된 타측의 메인덕트측은 메인덕트의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댐퍼하우징과, 바구니 형태로서 힌지축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의 지지축을 따라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댐퍼하우징의 메인덕트측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동작되는 회전도어와, 상기 회전도어에 대한 개폐동작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지지축의 외측 단부가 개폐레버로 연결된 기본적 구성관계로서 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mper device for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anch duct side of one opened side is connected to an individual branch duct, A damper housing installed on an open portion of the main duct, the damper housing being hinged to a hinge shaft in a basket form and rotated or rotated along a central support shaft to be opened or closed against the main duct side of the damper housing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lever to the outside of the damper housing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door can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rated.

특히 회전도어는 회전동작을 통한 댐퍼하우징의 메인댐퍼측 개방 또는 밀폐시 힌지축을 중심으로 이탈되지 않고 회전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 내부의 지지축에 대해 관절구조의 개폐링크로써 결합되고, 상기 댐퍼하우징에 대한 회전도어의 밀폐동작시 상기 회전도어가 접촉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의 중간부위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ry door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inside the damper housing as an open / close link of a joint structure so that the rotary door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disengaged about the hinge axis when the damper housing is opened or closed on the side of the main damper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amper housing is bent so that the rotary door can be hermetically contacted when the rotary door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또한 댐퍼하우징은 그 단면이 설치장소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적용되며, 상기 댐퍼하우징의 메인덕트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덕트측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회전도어는 설치된 메인덕트와 해당 분기덕트의 사용환경에 따라 공기의 흐름(풍량 및 풍속)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 외측에 설치된 개폐레버의 회전조작을 통해 작동되되, 상기 댐퍼하우징의 메인덕트측이 메인덕트의 개방부위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댐퍼하우징의 회전도어는 상기 메인덕트 공간으로 회전동작되어 다수의 분기덕트로부터 흡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이 에어커튼의 발생 없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amper housing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 rotary do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duct of the damper housing to close or open the side of the main duct may include a main duct Wherein the main duct side of the damper housing is operated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of an opening / closing lever provided outside the damper housing so as to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 the air flow (air flow rate and wind spe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f the branch duct, The rotary door of the damper housing is rotated to the main duct space so that the flow of the air sucked /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can be uniformly adjusted as a whole without generating air curtains As a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의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는, 각 실내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덕트를 통해 단일의 메인덕트로 흡기 또는 반대로 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이 각 보조덕트의 환기댐퍼 설치 방향(위치)에 따라 에어커튼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각 실내로 공기의 흡배기가 균등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다수의 각 실내로 공기의 흐름을 균등하게 하기 위한 동력의 용량을 줄여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적정량의 유량 공급 및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air curtain of the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m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ir curtains from being sucked into the single main duct through the plurality of auxiliary ducts connected to each room, (Position) to prevent air curtains from being generated structurally, so that the intake / exhaust device of air can be operated evenly in each room as a whole. This reduces the power capacity for equalizing the flow of air to each of a plurality of room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aximize the energy saving by making it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and control an appropriate amount of flow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structural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덕트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위치)에 따라 에어커튼이 발생되지 않도록 메인덕트쪽으로 바가지 형상의 회전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 설치되어 개방 및 밀폐동작된 기본 형태의 댐퍼장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의 용용 형태로서 회전되어가 메인덕트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댐퍼하우징이 보조덕트에 결속된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의 개폐작동 단면구조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댐퍼장치가 메인덕트의 각 분기덕트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들이 해당 분기덕트에 설치된 환기덕트의 개방된 회전도어에 의해 메인덕트의 공간에서 에어커튼이 발생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공기의 흡기동작이 이루어지거나 각 분기덕트에 연결된 실내 공간으로 공기의 배기동작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는 작동원리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통상적인 볼륨댐퍼가 환기덕트로 적용 설치되어 각 분기덕트로부터의 흡배기되는 공기가 에어커튼의 발생에 의해 진행 방향(위치)에 따라 유량의 흐름(풍량 및 풍속)이 차이날 수밖에 없게 동작되는 작동원리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status.
FIG. 2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per housing is coupled to an auxiliary duct in a state in which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nd opened toward the main duct.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amper device for preventing the air curtain of the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am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each branch duct of the main duct, air curtains are not generated in the space of the main duct by the opened rotary door of the ventilation duct provided in the branch duct, , An operation principle in which the intake operation of the air is uniformly performed as a whole, or the air exhaust operation is uniformly performed in the indoor space connected to each branch duct.
5A and 5B show a conventional volume damper which is applied as a ventilation duct so that the air sucked and discharged from each branch duct flow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direction (air flow rate and wind speed) The principle of operation that is inevitably differ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a damper device for preventing an air curtain of a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preferred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은 공기의 흡배기 동작시 다수의 분기된 보조덕트를 통해 흡배기되는 메인덕트 공간 내의 유량(공기)의 다수 흐름에 따른 유량(공기)의 흐름(풍량 및 풍속)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에어커튼의 문제점에 대해, 바구니 형태로서 회전동작되어 각 보조덕트 입구에 설치 노출된 환기댐퍼(20)의 작동구조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구성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기존 환기덕트(도 4a 및 도 4b의 50 참조)에 적용된 통상의 볼륨 댐퍼(Volume Damper)와는 달리 스트리트 댐퍼(Splitter Damper)의 기능까지 혼합 적용시킨 새로운 스프리트 볼륨 댐퍼(S.V.D : Splitter Volume Damper)의 구성관계로서 설치되어 작동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urtain which has been generated due to a flow (air flow) of an air flow (air flow rate and air velocity) in accordance with a large flow of a flow amount (air) in a main duct space which is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branching auxiliary ducts during an air intake / 4a and Fig. 4b). The ventilation damper 20 is rotatably operated in the form of a basket to form a constitutional relationship that can be solved by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damper 20 installed and exposed at the entrance of each auxiliary duct. (Split Volume Damper), which is a mixture of the functions of a street damper (Split Damper), unlike a normal volume damper applied to a conventional damper (refer to FIG.

특히 기존의 볼륨 댐퍼의 기능과 스트리트 댐퍼의 기능의 장점을 조합하여 결합시킨 전혀 새로운 작동구조로서 도 1a 내지 도 3의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일측인 분기덕트측(27)은 분기덕트(30) 쪽으로 결합되어 위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 개방된 타측인 메인덕트측(26)은 메인덕트(10))의 개방된 부위에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덕트측(26)에 힌지결합된 회전도어(25)가 회전동작되어 개폐될 수 있는 댐퍼하우징(21)의 형태를 갖는 댐퍼장치로서 본 발명의 환기댐퍼(20)가 구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drawings of FIGS. 1A to 3, as an entirely new operating struc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damper and the function of the street damper in combination, the branch duct side 27 Is connected to the branch duct 30 and is connect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main duct 10 while the other side of the main duct 26 which is relatively widely opened and opened is connected to the main duct side 26 The ventilation damp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s a damper device having the form of a damper housing 21 in which a hinged rotary door 25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즉, 본 발명의 환기댐퍼(20)를 구성하는 댐퍼하우징(21)은 개방된 일측의 분기덕트측(27)이 개개의 분기덕트(30) 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덕트측(27)보다 상대적으로 단부가 크게 확장되어 개방된 타측의 메인덕트측(26)은 메인덕트(10)의 개방부위에 설치되는데, 상기 댐퍼하우징(21)의 메인덕트측(26)에는 바구니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메인덕트측(26)의 개방 일측에 힌지축(24)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댐퍼하우징(21)의 개방된 메인덕트측(26)을 밀폐 및 개방동작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으로서의 형태로 형성된 회전도어(25)가 결합된다.That is, the damper housing 21 constituting the ventilating damp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branch duct side 27 on one side thereof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dividual branch duct 30,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main duct side 26. One end of the main duct side 26 is connected to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A rotation formed in the form of opening and closing means capable of closing and opening the opened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while being hinged to the opening side of the duct side 26 via the hinge shaft 24, The door 25 is engaged.

그리고 회전도어(25)는 기본적으로 댐퍼하우징(21) 외측에 노출 구성된 개폐레버(23)의 조작을 통해 회전 동작되는데, 바구니 형상으로 일단이 댐퍼하우징(21)의 메인댐퍼측(26) 일측에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동작되면서 반대편 타단은 상기 메인댐퍼측(26)의 절곡되어 좁아진 하측부위(댐퍼하우징 전체 형태에서는 중간부위에 해당됨)에 접근 밀착되는 작동구조를 이루며, 이때 회전도어(25)는 일단의 힌지결합된 힌지축(24)을 중심으로 안정된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댐퍼하우징(21)의 내부 중간쯤에 구성된 지지축(28)에 대해 관절구조의 개폐링크(22)을 매개로 회전도어(25)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도어(25)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동작되면서 메인댐퍼측(26)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댐퍼하우징(21)의 형태로서 분기댐퍼측(27)의 종방향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중간부위에서 절곡되어 확장된다.The rotary door 25 is rotatably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3 which is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damper housing 21. The rotary door 2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damper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damper 26 is rotated close to the hinge shaft 24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narrowed lower portion of the main damper side 26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entire shape of the damper housing) Closing link 22 of the articulat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28 formed about the middle of the damper housing 21 so as to enable stable rotation operation around the hinge shaft 24 of the hinge- And the main damper side 26 can be closed or opened while the rotary door 2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s a form of a damper housing 21, (27) It is extended is relatively largely bent at the middle portion.

그리고 메인댐퍼측(26) 일단의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하여 댐퍼하우징(21) 중간의 지지축(28)에 결속된 개폐링크(22)와 함께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메인댐퍼측(26) 타단의 절곡된 댐퍼하우징(21)의 중간부위에 대해 접근되어 밀폐되는 회전도어(25)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댐퍼하우징(21) 외측(지지축의 위치에 해당)에 설치되어 노출된 개폐레버(23)의 조작을 통해 회전동작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개폐레버(24)는 레버브래킷(29)을 매개로 상기 댐퍼하우징(21) 내부의 지지축(28)과 결합되어 일체구조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작업이 아닌 외부에서 원격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어 조절수단으로 상기 개폐레버(24)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main damper side 26 is rotated while be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opening / closing link 22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28 in the middle of the damper housing 21 about the hinge shaft 24 at the one end of the main damper side 26, The rotary door 25, which is closed and close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ent damper housing 21 at the other end, is manu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amper housing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haft)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4 is engaged with the support shaft 28 in the damper housing 21 via the lever bracket 29 to be operated in a unified structure . 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opening / closing lever 24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control adjusting means so as to be remotely controlled from the outside rather than by hand.

또한 댐퍼하우징(21)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에서 보는 것처럼, 그 단면이 설치장소에 따라 사각(기본형태) 또는 원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하우징(21)의 메인덕트측(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덕트측(26)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회전도어(25)는 설치된 메인덕트(10)와 해당 분기덕트(30)의 사용환경에 따라 공기의 흐름(풍량 및 풍속)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21) 외측에 설치된 개폐레버(23)의 회전조작을 통해 작동된다.2 and 3, the damper housing 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basic shape) or a circular shap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damper housing 21 The rotary door 2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duct side 26 and closes or opens the main duct side 26. The rotary door 25 rotatably supports the main duct 10 and the branch duct 30, (23) provided outside the damper housing (21) so as to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 the flow (air volume and wind speed).

이와 같은 회전도어(25)의 회전동작을 통한 댐퍼하우징(21)의 밀폐동작 및 개방동작을 통해 도 4a 및 도 4b의 작동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댐퍼장치인 환기댐퍼(20)가 메인덕트(10)의 각 분기덕트(30)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들이 해당 분기덕트(30)에 설치된 환기덕트(20)의 개방된 회전도어(25)에 의해 메인덕트(10)의 공간에서 에어커튼(종래 기술인 도 5a 및 도 5b 참조)이 발생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공기의 흡기동작이 이루어지거나 각 분기덕트(30)에 연결된 실내 공간으로 공기의 배기동작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4A and 4B through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amper housing 21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door 25, the ventilation damper 20, which is the dam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 the room installed in each branch duct 30 of the main duct 10 is discharged from the space of the main duct 10 by the opened rotary door 25 of the ventilation duct 20 installed in the branch duct 30 Air curtains (see Figs. 5A and 5B in the prior art) are not generated, the intake operation of the air is uniformly performed as a whole, and the exhaust operation of the air into the indoor spac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ranch ducts 30 can be performed evenly.

즉, 이는 도 4a 및 도 4b의 작동구조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듯이, 메인덕트(10)의 각 개방부위와 각 분기덕트(30)들의 단부에 설치되어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댐퍼(20)들의 각 회전도어(25)가 회전동작되어 메인덕트(10) 내부 공간쪽으로 열려진 개방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각 분기덕트(30)의 공기가 메인덕트(10)를 통해 흡기되거나 배기될 때에 제한 없이 모두 경우에 상기 메인덕트(10)의 공간에서 발생되었던 에어커튼의 발생 자체가 개방된 상기 회전도어(25)을 통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4A and 4B, the ventilation damp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at each of the opening portions of the main duct 10 and the ends of the branch ducts 30, When the air of each branch duct 30 is sucked or exhausted through the main duct 10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rotary door 25 is rotated and open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duct 10, The generation of the air curtain, which has occurred in the space of the main duct 10, can be structurally prevented through the opened rotary door 25.

왜냐하면 기존에는 메인덕트(10)의 공간 내에서 송풍기로부터 가장 먼 쪽의 분기덕트(30)로부터 흡배기되는 강력한 공기의 흐름때문에 에어커튼이 발생되어 중간이나 가까운 쪽의 분기덕트(30)에서 흡배기되는 공기는 정상적으로 그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본 발명의 댐퍼수단인 환기덕트(20)의 회전도어(25)를 통해 각 분기덕트(30)로 공기의 흐름(풍량 및 풍속)이 방해받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작용될 수 있는 에어커튼 방지수단으로서 작동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ir curtains are generated due to a strong air flow from the branch duct 30 that is farthest from the blower in the space of the main duct 10 in the prior art and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from the branch duct 30 at the middle or near side The air flow (air flow rate and wind speed) is not disturbed by the respective branch ducts 30 through the rotary door 25 of the ventilation duct 20 which is the damp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ir curtain preventing means that can be operated to operate the air curtain.

또한 본 발명의 환기덕트(20)는 각 실내로 공기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해당 환기덕트(20)에 설치된 회전도어(25)의 개폐 수준을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수의 분기덕트(30)부터 흡배기되는 공기의 흐름 속에서 발생되었던 에어커튼의 발생 자체를 구조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전체적으로 균등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 조절할 수 있는바, 이는 결과적으로 덕트 배관작업에 관련하여 현직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은 환기덕트를 통한 각 실내로의 흡배기가 정상적으로 균등하게 잘 되지 않는 불안감 때문에 실평수의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의 송풍기를 적용시켜던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uc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level of the rotary door 25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uc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low of air to each room can be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air curtain which is generated in the flow of the air sucked /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30 to prevent it from being structurally completely blocked, As a result, the current occupants involved in the ducting work can apply a blower with a capacity greater than the full capacity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 duct ventilation ducts to suck in and out of each room. It can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10 : 메인덕트 20 : 환기댐퍼
21 : 댐퍼하우징 22 : 개폐링크
23 : 개폐레버 24 : 힌지축
25 : 회전도어 26 : 메인덕트측
27 : 분기덕트측 28 : 지지축
30 : 분기덕트 40 : 송풍기
10: main duct 20: ventilation damper
21: damper housing 22: open / close link
23: opening / closing lever 24: hinge shaft
25: rotating door 26: main duct side
27: branch duct side 28: support shaft
30: branch duct 40: blower

Claims (3)

개방된 일측의 분기덕트측(27)이 개개의 분기덕트(30)에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덕트측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 개방된 타측의 메인덕트측(26)은 메인덕트(10)의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댐퍼하우징(21)과, 바구니 형태로서 힌지축(24)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의 지지축(28)을 따라 회전동작되면서 상기 댐퍼하우징의 메인덕트측(26)에 대해 개방 또는 밀폐동작되는 회전도어(25)와, 상기 회전도어(25)에 대한 개폐동작이 조절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21) 외측으로 상기 지지축(28)의 외측 단부가 개폐레버(23)로 연결되게 구성되되,
상기 회전도어(25)는 회전동작을 통한 댐퍼하우징(21)의 메인댐퍼측(26) 개방 또는 밀폐시 힌지축(24)을 중심으로 이탈되지 않고 회전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21) 내부의 지지축(28)에 대해 관절구조의 개폐링크(22)로써 결합되고, 상기 댐퍼하우징(21)에 대한 회전도어(25)의 밀폐동작시 상기 회전도어(25)가 접촉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하우징(21)의 중간부위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
The one branch side duct side 27 opened to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dividual branch duct 30 and the other side main duct side 26 which is opened and expand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branch duct side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main duct 10 And a damper housing 21 mounted on the hinge shaft 24. The damper housing 21 is hinged to the hinge shaft 24 in the form of a basket and rotates along a central support shaft 28 to be opened or closed against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A rotary door 25 and an outer end of the support shaft 28 are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damper housing 21 by an opening and closing lever 23 so that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rotary door 25 can be controlled and operated. However,
The rotary door 25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damper housing 21 so that the rotary door 25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moved around the hinge shaft 24 when the main damper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is opened or closed. Closing link 22 of the articulat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28 of the damper housing 21 so that the rotary door 25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amper housing 21 when the rotary door 25 is closed Wherein the damper housing (21) is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to prevent an air curtain of the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하우징(21)은 그 단면이 설치장소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중 어느 하나로 적용되어 형성되며, 상기 댐퍼하우징(21)의 메인덕트측(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도어(25)가 상기 댐퍼하우징(21) 외측에 설치된 개폐레버(23)의 회전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메인덕트측(26)을 밀폐 또는 개방시켜 다수의 분기덕트(30)로부터 흡배기되는 공기들의 흐름(풍량 및 풍속)이 에어커튼의 발생 없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공조시스템의 에어커튼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housing 21 is formed by applying a rectangular or circular shape to an end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21. The damper housing 21 has a rotary door 25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duct side 26 of the damper housing 21 Is operated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lever 23 provided outside the damper housing 21 to close or open the main duct side 26 to thereby flow the air flowing in and out of the plurality of branch ducts 30 And the air velocity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uniformly adjusted as a whole without occurrence of the air curtain.
KR1020110139154A 2011-12-21 2011-12-21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32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54A KR101432611B1 (en) 2011-12-21 2011-12-21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54A KR101432611B1 (en) 2011-12-21 2011-12-21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54A KR20130071754A (en) 2013-07-01
KR101432611B1 true KR101432611B1 (en) 2014-08-26

Family

ID=4898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54A KR101432611B1 (en) 2011-12-21 2011-12-21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88B1 (en) 2014-05-22 2016-10-05 하성우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18B1 (en) 2009-08-21 2009-11-16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Duct connecting device having dam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18B1 (en) 2009-08-21 2009-11-16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Duct connecting device having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54A (en)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958B1 (en)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for underground
KR101512409B1 (en) Hood Cap for Anti-dew Condensation
CN104697044A (en) Air pipe type indo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05732A (en) Curtain wall with ventilation function and building provided with the same
CN106918116B (en)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air conditioner with multiple air supply modes
KR200431766Y1 (en) Sectional Ventilation Apparatus for cold weather condition
RU2583897C2 (en) Ventilation window, ventilation system, ventilation device, method of making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need for maintenance of ventilation device
KR101432611B1 (en) Damper equipment which will be able to prevent air curtain of air conditioning system
CN208075235U (en) A kind of underground fire protection control room is usually blown and smoke evacuation integrated system
KR100964979B1 (en) Device for hybrid ventilation
CA2967088C (en) Air curtain apparatus
US20180328610A1 (en) Air curtain apparatus
JPH037821A (en) Air conditioner
JPH11132496A (en) Air conditioner
KR101521196B1 (en) Ventil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KR200458580Y1 (en) district-unit ventilation equipment using motorized diffusers each of which integrates a damper and a diffuser
CN108616068A (en) A kind of prefabricated cabin nacelle and prefabricated cabin
CN113738681A (en) Electric roller shutter window for shading and sealing heat preservation of fan and using method of electric roller shutter window
CN114593458A (en) Air outlet structur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06940048B (en) Base station air conditioner with rotatable multi-air supply mode
KR200353393Y1 (en) multi-function damper
RU2678171C1 (en) Sectional ventilation shaft ventilating and heating plant
CN106839213B (en) Base station air conditioner with multiple air supply modes
KR20230062050A (en) window frame ventilation device
KR200299883Y1 (en) Structure for ventila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