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567A -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567A
KR20190085567A KR1020170183887A KR20170183887A KR20190085567A KR 20190085567 A KR20190085567 A KR 20190085567A KR 1020170183887 A KR1020170183887 A KR 1020170183887A KR 20170183887 A KR20170183887 A KR 20170183887A KR 20190085567 A KR20190085567 A KR 2019008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567A/ko
Publication of KR2019008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02B27/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어지러움증을 유발하지 않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각각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화소,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한다.

Description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Multi-Layer Based Three-Dimensio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된 이후,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곳에 적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3차원의 입체화상에 대한 수요가 있어, 이를 위해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3차원 입체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홀로그래피, 스테레오스코피 등의 기술들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홀로그래피는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로서, 파동의 공간적 퍼짐이 균일하고 위상이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광, 즉 코히어런트인 레이저광이 필요하고, 사이즈가 큰 경우, 촬영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스테레오스코피는 양안 시차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안경 등의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안경방식과 안경 등의 보조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된다. 안경방식에는 보색관계의 적색과 청색으로 좌우 화상을 그리고 색 필터로 좌우상을 선택, 분리하여 양안에 각각 적색과 청색의 색안경을 쓰고 보는 방법으로 안경 외에 별도의 장비 없이 다양한 출력 매체에서 입체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애너글리프 방식, 양안시차가 구현된 두 개의 화면을 동기화된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에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방식인 셔터 글래스 방식 및 필름패턴형광은 공간 분할 기술을 사용하는 필름타입패턴편광 방식이 있다.
또한, 무안경방식은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렌티큘러 렌즈방식 등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착시에 의해 가상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시청범위에 한계가 있으며, 눈의 피로도가 심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2307은 다수의 깊이방향으로 이격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깊이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시간차를 두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을 구동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시간차를 두어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구동함으로써, 여전히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있지 못하며, 심한 경우, 어지러움증을 유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2307호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어지러움증을 유발하지 않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각각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화소,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높이에 따라 슬라이스한 후, 스라이스된 이미지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지 3차원 이미지인지를 판별하는 영상신호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 경우, 상기 평면 이미지를 슬라이스하는 영상신호 슬라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 슬라이스부는, 상기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상기 특징점을 연산하는 특징점 연산부, 및 상기 특징점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따라서 이미지를 파악하는 이미지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들의 맨 후단에 부착된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어지러움증을 유발하지 않아 안정적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별도의 3차원 이미지의 촬영이 없어도, 2차원 이미지에 깊이감을 부여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흡수되는 광량을 보상하여 균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측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영상신호 슬라이스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측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어부(도시안됨)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액정표시패널(LCD)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깊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가장 가까운 투명 디스플레이(d1)는 관측자에게 가장 가까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정면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투명 디스플레이일수록 관측자에게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체감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3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정면에서 가장 가까운 투명 디스플레이(d1)는 반지름 r1만큼의 원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2)는 반지름 r1에서 반지름 r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3)는 반지름 r2에서 반지름 r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4)는 반지름 r3에서 반지름 r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4)는 반지름 r3에서 최대 반지름 r4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5) 이하는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5)는 불투명한 단색이미지(예컨대, 블랙)를 디스플레이하며, 그 이하의 투명 디스플레이(d6, d7,...)는 계속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후방에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d1, dn)는 가장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그 다음에 배치된 디스플레이(d2, dn-1)는 그 다음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정면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균일성을 추구할 수 있다. 즉, 표면에서 깊숙히 위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광은 상대적으로 많은 투명 디스플레이들을 관통하여야 하며,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흡수되므로,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표면에서 깊숙히 위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광량을 크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들(d1, d2, d3, ..., dn)의 맨 후단에 부착된 불투명 디스플레이(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맨 후단에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부착시키는 경우, 이미지가 관통되어 후면이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각각은 게이트 배선(GL1, GL2,...), 데이터 배선(DL1, DL2,...), 화소, 게이트 구동회로(10) 및 데이터 구동회로(2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10)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을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0)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DL1, DL2,...)을 구동한다.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GL1, GL2,...) 및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으로 정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GL1, GL2,...)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각각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화소에는 스위칭소자(SW)와 발광다이오드(LED)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구동회로(10)를 통해서,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이 활성화되며, 이때, 데이터 구동회로(10)는, 데이터 배선들(DL1, DL2, ...)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생성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10)가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을 활성화시킨 이후, 두번째 게이트 배선(GL2)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을 활성시키고, 데이터 구동회로(10)는, 데이터 배선들(DL1, DL2, ...)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생성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메트릭스 형상의 화소의 광량을 조절하여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영상신호 수신부(121) 및 영상신호 판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영상신호 슬라이스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121)는 외부의 영상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121)는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이 2차원적인 평면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각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별로 슬라이스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신호 판별부(122)는 상기 영상신호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지 각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별로 슬라이스된 3차원 이미지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영상신호 슬라이스부(123)는, 상기 영상신호 판별부(122)에서 판별된 외부에서 수신된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 경우, 상기 평면 이미지를 슬라이스한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영상신호 슬라이스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신호 슬라이스부(123)는 특징점 추출부(123a), 특징점 연산부(123b) 및 이미지 파악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점 추출부(123a)는 상기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가 원격 회의를 위한 아바타 장치등에 사용되는 경우,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회의 참석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에서 수신된 평면 이미지가 얼굴인 경우, 원형의 검은 색상 외측에 흰색의 일부가 타원형상으로 배치되고,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특징점으로 파악하여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과정은 후술할 이미지 파악부(123c)에 의해 파악하게 되지만, 눈, 코, 입 등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상기 특징점 연산부(123b)는 특징점을 연산한다. 예컨대, 추출된 특징점들, 즉, 눈에 대응하는 특징점, 코에 대응하는 특징점, 입에 대응하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들의 위치관계를 연산한다.
상기 이미지 파악부(123c)는 상기 특징점 연산부(123c)의 연산결과에 따라, 두 눈 사이의 하단부에 코가 위치하고, 그 하단부에 입이 위치하는 등의 매핑 결과에 따라서, 얼굴의 이미지를 파악하게 된다.
이렇게 파악된 얼굴 이미지는 기 설정된 슬라이스 룰, 예컨대, 코의 하단부는 가장 근접한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설정된 깊이에 따라서, 후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입체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어지러움증을 유발하지 않아 안정적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별도의 3차원 이미지의 촬영이 없어도, 2차원 이미지에 깊이감을 부여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제어부
121: 영상신호 수신부
122: 영상신호 판별부
123: 영상신호 슬라이스부
123a: 특징점 추출부
123b: 특징점 연산부
123c: 이미지 파악부
10: 게이트 구동회로
20: 데이터 구동회로
DL1, DL2 : 데이터 라인
GL1, GL2 : 게이트 라인
SW: 스위칭 소자

Claims (5)

  1.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되는 화소,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서로 접하도록 겹쳐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높이에 따라 슬라이스한 후, 슬라이스된 이미지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부;
    수신된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지 3차원 이미지인지를 판별하는 영상신호 판별부; 및
    상기 이미지가 2차원 평면 이미지인 경우, 상기 평면 이미지를 슬라이스하는 영상신호 슬라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슬라이스부는,
    상기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상기 특징점을 연산하는 특징점 연산부; 및
    상기 특징점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따라서 이미지를 파악하는 이미지 파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KR1020170183887A 2017-12-29 2017-12-29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KR20190085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87A KR20190085567A (ko) 2017-12-29 2017-12-29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87A KR20190085567A (ko) 2017-12-29 2017-12-29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567A true KR20190085567A (ko) 2019-07-19

Family

ID=6751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87A KR20190085567A (ko) 2017-12-29 2017-12-29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5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564A (ko) 2021-02-05 2023-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화 피막 및 적층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07B1 (ko) 2009-07-0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07B1 (ko) 2009-07-0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564A (ko) 2021-02-05 2023-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화 피막 및 적층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694B2 (en) Minimized-thickness angular scanner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CN112042186B (zh) 具有增强偏角分离的超立体显示器
KR102185130B1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3999A (ko) 눈 위치를 사용하는 삼차원 무안경 광 필드 디스플레이
EP3205088B1 (en) Telepresence experience
CN103982818A (zh) 一种裸眼3d背光模组、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103605211A (zh) 平板化无辅助立体显示装置及方法
CN103926704A (zh) 透镜显示设备、液晶显示设备和驱动显示的方法
CN104104942B (zh) 立体图像显示设备及其眼睛追踪方法
KR1022083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751988A (zh) 一种景深调节方法、装置及双目近眼显示设备
US107157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541165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利用した3次元映像表示装置
US11973926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lenticular-based steerable backlighting
KR20200134227A (ko) 눈-근접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13272710A (zh) 通过分色扩展视场
CN111308698B (zh) 一种定向显示屏与一种感应式三维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20190085567A (ko)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
CN105892076A (zh) 视差光栅面板、显示基板、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显示方法
WO2018094895A1 (zh) 裸眼立体显示控制方法、装置及显示设备
JP2012252276A (ja) 3d表示システム
CN114268780B (zh) 基于柱透镜的自由立体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US201500427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 3d image
JP2006285113A (ja) 3次元表示装置
US9678354B2 (en) Glassless multi-view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