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345A - Head mount device - Google Patents

Head mou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345A
KR20190085345A KR1020180003357A KR20180003357A KR20190085345A KR 20190085345 A KR20190085345 A KR 20190085345A KR 1020180003357 A KR1020180003357 A KR 1020180003357A KR 20180003357 A KR20180003357 A KR 20180003357A KR 20190085345 A KR20190085345 A KR 2019008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rtual environment
display
camera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0027B1 (en
Inventor
김상훈
안길재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0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27B1/en
Publication of KR2019008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 device which comprises: a body unit worn on the head of a user; a display displaying a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 a camera unit photograph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to the user; a prism unit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camera unit; and a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o the outside. The camera unit is provided with a changeable photographing angle to photograph the virtual environment or photograph an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a virtual reality a user sees with others.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0001] Head mount device [0002]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 apparatus.

최근 3차원 영상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영화, 게임,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용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증강 현실 이후에 등장한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은 현실의 이미지와 3차원 모델링 데이터로 구현된 가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실과 가상 이미지의 경계가 없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Recently, as 3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services using virtual reality (VR) or augmented reality (AR) have been provi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ovies, games, and interiors. Mixed Reality (MR), which emerged after the Augmented Reality, combines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image implemented with 3D modeling data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mage that does not have a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image.

한편, 이러한 다시점 실감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장치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 장치가 있으며, 허상 광학 장치의 일종이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head mount display (HMD) device as a device that interacts with the user about the multi-viewable content, and is a kind of virtual image optical device.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눈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상광을 정밀한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 가상의 대형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초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확대된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The head mount display forms a focus so that a virtual large screen can be formed at a long distance by using a precision optical device, which is generated in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eye, so that a user can view an enlarged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은 원래 군사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가 비약적으로 진행되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몸에 착용하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개념이 제시되었고, 현재 항공 우주, 비디오 게임, 실습, 레저 분야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Although the optical system for the head mount display was originally used for military use, the computer system has been rapidly advanced in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and the concept of a wearable computer has been proposed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display device.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ame, practice, and leisure.

또한, 건축물의 설계 분야에서도 설계 데이터를 3차원 모델링 데이터화하여 보다 입체감 있게 건축물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Also, in the field of the design of the building, a technique for making the structure data of the building more three-dimensionally by the 3D data of the modeling data is being developed.

따라서, 현재에는 이러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지고 다수의 니즈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at present,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such a head-mounted display, and a large number of needs arise, and thus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는 가상환경을 카메라를 통해 타 인원과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 mount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share a virtual environment through a camera with other peop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몸체부;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환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프리즘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상기 가상환경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 mount apparatus including: a body portion to be worn on a user's hea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to the user; A prism unit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camera unit;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camera unit photographs the virtual environment or photographs an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the photographing angle being changeable .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ism unit may transmit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user and the camera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외의 자가 상기 가상환경을 공유하는 경우, 상기 프리즘부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기록하기 위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방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and the non-user share the virtual environment, the camera unit switches the direction to the prism unit to photograph the virtual environment, and when reco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by switching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부로 상기 가상환경을 송신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가상환경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 상기 프로젝터로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 상기 사용자에게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ism portion includes: the display; A projector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camera unit; And a reflector that receives the virtual environment from the display and transmits the virtual environment to at least some of the projectors and reflects the virtual environment to some of the other users.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터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리즘부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ism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play and the projector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reflector is connected in an oblique direction between the display and the prism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는 안경테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측에 글라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 상기 카메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yeglass frame having a body and a hook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a glass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hook portions The camera unit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걸이부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글라스부의 전방으로 'ㄱ' 자 형태의 직각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글라스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단부에, 상기 프리즘부가 형성되고, 상기 'ㄱ'자 형태의 모서리에,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상기 가상환경을 기록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단부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외부로 송신하는 상기 송신부가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mera unit may have a shape of a right-angled bar of 'a'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ok to the front of the glass part, the prism part is formed at an end formed in front of the glass part, A camera for reco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virtu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shap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virtu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nd th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 렌즈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카메라에 가상환경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는 가상 현실을 타 인원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virtual environment to a user's eyes and a camera using a digital single-lens reflex type lens, thereby sharing a virtual reality that a user sees with other peop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가상환경을 타 인원에서 송출하는 카메라를 방향 전환하여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액션캠과 같은 초소형 캠코더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so acting as a miniature camcorder such as an action cam, by making it possible to photograph an external video by redirecting a camera that sends out a virtual environment from another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가상환경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이를 혼합한 혼합현실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 것임을 주지바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virtual environ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 virtual reality, an augmented reality, and a mixed reality in which the mixed reality is mix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일부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 head mou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1)는, 몸체부(10), 글라스부(20), 프리즘부(30), 카메라부(40)를 포함한다. 1 to 4, a head mou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glass portion 20, a prism portion 30, a camera portion 40, .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몸체부(10)는,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의 머리에 착용되며, 후술하는 글라스부(20), 프리즘부(30) 및 카메라부(40)를 구비한다. The body portion 10 is worn on the head of a user (not shown) and includes a glass portion 20, a prism portion 30, and a camera portion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몸체부(10)는, 몸체(11), 몸체(1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이부(12)로 구성되어, 안경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0 includes a body 11 and a pair of hook portions 12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11,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yeglass frame.

몸체(11)는, 하측에 글라스부(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막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11 may be formed with a glass portion 20 on the lower side and may have a rod shape as a whole.

걸이부(12)는, 몸체(1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적어도 일부에 곡률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 카메라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anging part 12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11 to the back and at least partially curved so as to be caught by the user's ear and a camera part 4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lower side .

몸체부(10)는, 본 발명의 기술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기재한 예로서, 상기 기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면 어떠한 형태이든지 가능할 수 있다. The body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글라스부(20)는, 몸체(11)의 하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시야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lass part 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 and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visual field of the user.

글라스부(20)는,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태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으며, 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glass part 20 is formed to protect the eyes of the user. The shape of the glass part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 screen (not shown) that can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프리즘부(30)는, 디스플레이(31)에서 표시되는 가상환경을 카메라부(4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prism unit 30 transmits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31 to the camera unit 40 or transmits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

구체적으로 프리즘부(30)는, 사용자에게 가상환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 카메라부(40)로 가상환경을 송신하는 프로젝터(32) 및 디스플레이(31)로부터 가상환경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 프로젝터(32)로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 사용자에게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ism unit 30 includes a display 31 for displaying a virtual environment to a user, a projector 32 for transmitting a virtual environment to the camera unit 40, and a display unit 31 for receiving a virtual environment from the display 31, And a reflector 33 that transmits the light to the other user and reflects the light to some other users.

디스플레이(31)는, 영상(Image)을 표시하는 소자로 LCD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가상환경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31 is an elemen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LCD panel can be used, and a virtual environment can be displayed by being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outside.

일례로 디스플레이(31)는,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Digital Light Processing; DLP), 광원이 결합된 마이크로 LCD 소자 또는 자체발광하는 마이크로 OLED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는 1인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display 31 may be a reflection type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digital light source (DLP), a micro LCD device coupled with a light source, or a micro OLED May be used, and the size is preferably 1 inch or less.

한편, 마이크로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 마이크로 LCD 소자는 자체 발광이 아니므로 외부에서 광원이 결합되어야 하므로, 백라이트를 사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LCD 패널 또는 프론트 라이트(Frontlight)를 사용한 반사형 마이크로 LCD 패널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OLED 패널은 자체 발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없으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Since the microlens type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digital light source display device, and the micro LCD device are not self-luminescent, a light source must be coupl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a transmission type micro LCD panel using a backlight or a reflection type micro light source using a front light LCD panel is possible. Since the micro OLED panel can self-emit light,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needed, so that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can be made smaller.

이러한 디스플레이(31)는, 표시된 가상환경을 리플렉터(33)로 입사광의 형태로 송출하게 된다. The display 31 transmits the displayed virtual environment to the reflector 33 in the form of incident light.

프로젝터(32)는, 리플렉터(33)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켜 카메라부(40)로 송출할 수 있다. The projector 32 can transmit the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reflector 33 as it is to the camera unit 40.

리플렉터(33)는, 편광 성분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하는 반사투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31)에서 송출되는 입사광 중 P파는 리플렉터(33)를 투과하여 프로젝터(32)로 입사되고, S파는 리플렉터(33)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입사될 수 있다. The reflector 33 may be formed as a reflective or transmissive surface that is reflected or transmitted depending on the polarized light component. For example, the P wave among the incident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31 passes through the reflector 33 and enters the projector 32, and the S wave can be reflected by the reflector 33 and incident on the user.

여기서 디스플레이(31)와 프로젝터(32)는 평행하게 형성되고, 리플렉터(33)가 디스플레이(31)와 프로젝터(32)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플렉터(33)는, 디스플레이(31) 및 프로젝터(32)와 각각 45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31 and the projector 32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reflector 3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diagonally between the display 31 and the projector 32. Preferably, the reflector 33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display 31 and the projector 32, respectively.

즉, 프리즘부(30)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 렌즈(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카메라(41)에 가상환경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는 가상환경을 타 인원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prism unit 30 can transmit a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s eyes and the camera 41 simultaneously using a 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It can be shared with other people.

여기서 프리즘부(30)는, 상기 기술한 디스플레이(31), 프로젝터(32) 및 리플렉터(33) 외에 구성되는 면들이 모두 렌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31)에 의해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 경로를 프로젝터(32)로 또는 사용자에게로 변경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경로에 의해 카메라(41)는 디스플레이(31)에 의해 입사되는 입사광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Here, the surfaces of the prism unit 30 other than the display 31, the projector 32, and the reflector 33 may be all in the form of a lens, and the surfaces of the display 31, And may be designed to change the optical path to the projector 32 or to the user. With such an optical path, the camera 41 can effectively receive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31.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프리즘부(30)의 구조를 통해서 디스플레이(31)에서 송출되는 가상환경을 사용자(U) 또는 카메라(41)로 매우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irtual environment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31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rism unit 30 can be efficiently supplied to the user U or the camera 41 as described above.

카메라부(40)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가상환경을 촬영하거나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한다. 즉, 카메라부(40)는, 촬영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상환경을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한다. The camera unit 40 photographs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to the user or photographs the outside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That is, the camera unit 40 photographs a virtual environment or photographs an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the photographing angle being changeable.

구체적으로, 카메라부(40)는 사용자와 사용자 외의 자가 가상환경을 공유하는 경우, 프리즘부(30)로 방향을 전환하여 가상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경우, 사용자의 전방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40)는, 변환레버(411)의 조작을 통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and the user other than the user share the virtual environment, the camera section 40 switches the direction to the prism section 30 to photograph the virtual environment. When the user photographs the fron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camera unit 40 can switch the direc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version lever 411.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1)는, 카메라부(40)를 통해서 가상환경을 타 인원에서 송출하는 카메라(41)를 방향 전환하여 외부환경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액션캠과 같은 초소형 캠코더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d mou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external environment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mera 41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from other persons through the camera unit 40, It can be used as a camcorder.

카메라부(40)는, 전체적으로 걸이부(12)의 하측에서부터 글라스부(20)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의 직각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각 막대 형상에서 글라스부(20)의 전방에 형성되는 단부에 프리즘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mera unit 40 can have a shape of a right angle bar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oking unit 12 to the front of the glass unit 20 as a whole, And a prism portion 30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ism portion 30 to be formed.

여기서 카메라부(40)는, 글라스부(20)의 전방이 아닌 후방에도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camera unit 40 may be provided not to the front but to the rear of the glass unit 20 as well.

카메라부(40)는, 직각 막대 형상인 'ㄱ'자 형태의 모서리에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가상환경을 기록하는 카메라(41)가 설치되며, 카메라부(40)의 카메라(41)로 촬영된 가상환경을 외부(도시하지 않음)로 송출하는 송신부(42)를 포함한다. The camera unit 40 is provided with a camera 41 for recording an external environment or a virtu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on a corner of a square shape having a right angle ba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camera 41 of the camera unit 40 And a transmitting unit 42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virtual environment to the outside (not shown).

카메라(41)는,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리즘부(30)로부터 전달되는 가상환경 또는 사용자의 전방에서부터 전달되는 외부환경을 송신부(4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카메라(41)의 회전은 변환레버(411)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The camera 41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cameras and may transmit the virtual environment transmitted from the prism unit 30 or the external environment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user to the transmitting unit 42, The rotation can be operated by the conversion lever 411.

송신부(42)는, 직각 막대 형상에서 걸이부(12)의 하측에 형성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4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가상환경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section 42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ging section 12 in the shape of a right angle bar and can transmit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virtu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camera 41 to the outside .

카메라부(40)는,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a), 배터리(Ba)에 저장된 동력의 공급을 온-오프(On-Off)제어하는 전원부(P), 프리즘부(30) 및 카메라부(40)의 다양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버튼(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40 includes a battery Ba for supplying power, a power source P for on-off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stored in the battery Ba, a prism unit 30, (B)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various devices of the display device (40).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부(30)와 카메라부(40) 사이에 집광렌즈(미도시)와 같은 광학계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system such as a condenser lens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ism unit 30 and the camera unit 40.

집광렌즈는, 카메라(41)의 빛 진행 방향 전방에 위치하여 입사광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광렌즈는 구면렌즈 또는 비구면렌즈 중 선택된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denser lens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ght advancing direction of the camera 41 and collects the incident light. The condensing lens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lens selected from a spherical lens and an aspherical lens.

여기서 카메라부(40)의 카메라(41)는, 프리즘부(30)의 프로젝터(32)와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카메라(41)는 프로젝터(32)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camera 41 of the camera unit 40 is illustrated a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or 32 of the prism unit 30 in some cases, the camera 41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rojector 32 as occasion demand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헤드 마운트 장치 10: 몸체부
11: 몸체 12: 걸이부
20: 글라스부 30: 프리즘부
31: 디스플레이 32: 프로젝터
33: 리플렉터 40: 카메라부
41: 카메라 411: 변환레버
42: 송신부
P: 전원부 B: 조작버튼
Ba: 배터리
1: Head mount device 10: Body part
11: body 12:
20: glass part 30: prism part
31: Display 32: Projector
33: Reflector 40:
41: camera 411: conversion lever
42:
P: Power source B: Operation button
Ba: Battery

Claims (7)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몸체부;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환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프리즘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된 상기 가상환경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A body part worn on the user's hea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user;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to the user;
A prism unit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camera unit;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o the outside,
The camera unit includes:
Wherein the photographing angle is changeable so that the virtual environment is photographed or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is photograp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카메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The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s the virtual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user and the camera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외의 자가 상기 가상환경을 공유하는 경우, 상기 프리즘부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가상환경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기록하기 위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방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user and the user other than the user share the virtual environment, the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prism section to photograph the virtual environment,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user to record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when reco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부로 상기 가상환경을 송신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가상환경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 상기 프로젝터로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 상기 사용자에게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4. The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A projector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camera unit; And
And a reflector that receives the virtual environment from the display and transmits the virtual environment to at least some of the projectors and reflects the virtual environment to some of the other us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젝터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리즘부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splay and the projector are formed in parallel,
Wherein the reflector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prism part in an oblique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는 안경테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측에 글라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 상기 카메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The eyeglass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yeglass frame having a body and a hook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A glass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the camera uni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hook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걸이부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글라스부의 전방으로 'ㄱ' 자 형태의 직각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글라스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단부에, 상기 프리즘부가 형성되고,
상기 'ㄱ'자 형태의 모서리에,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상기 가상환경을 기록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단부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방의 외부환경 또는 상기 가상환경을 상기 외부로 송신하는 상기 송신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Shaped bar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ok portion to the front side of the glass portion,
The prism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formed in front of the glass portion,
A camera for recording an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or the virtual environment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
Wherein the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ok portion to transmit the extern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or the virtual environment transmitted from the camera to the outside.
KR1020180003357A 2018-01-10 2018-01-10 Head mount device KR102010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57A KR102010027B1 (en) 2018-01-10 2018-01-10 Head mou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57A KR102010027B1 (en) 2018-01-10 2018-01-10 Head mou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345A true KR20190085345A (en) 2019-07-18
KR102010027B1 KR102010027B1 (en) 2019-08-12

Family

ID=6746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357A KR102010027B1 (en) 2018-01-10 2018-01-10 Head mou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31A (en)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카이비전 Ring type input apparatus
KR20220097727A (en)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카이비전 Object recogni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smart glasses
KR20220103214A (en) 2021-01-14 2022-07-22 주식회사 카이비전 Separation alarm method and system between smart device and pai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7176A (en) * 2004-05-17 2005-11-24 Toshiba Corp Personal information device and headset
US20150269777A1 (en) * 2014-03-19 2015-09-24 Benjamin Sax Optically Composited Augmented Reality Pedestal Vie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7176A (en) * 2004-05-17 2005-11-24 Toshiba Corp Personal information device and headset
US20150269777A1 (en) * 2014-03-19 2015-09-24 Benjamin Sax Optically Composited Augmented Reality Pedestal Vie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027B1 (en)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9719B2 (en) Video display device
US20110057862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10027B1 (en) Head mount device
CN112285934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quipment
JP2010004530A (en)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JP3789332B2 (en) 3D display device
US926816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single modulator
WO2023143505A1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image generation method
JP3205552B2 (en) 3D image pickup device
JP5077545B2 (en) Combiner optical system, wearable display device, and glasses
CN103837989A (en) Head-mounted imaging device and head-mounted intelligent terminal
KR20000077394A (en) Digital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via an optical viewfinder
CN207557586U (en) A kind of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8955975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circular light polarization
KR101875293B1 (en) Optical device for virtual image projection display
JP2010193287A (en) Camera
JP2004163528A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N219225208U (en) VR perspective system and VR equipment
JPH07110455A (en) Head mounted display
CN107908006A (en) A kind of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3330129B2 (en) Video display device
CN109960033A (en) Wear-type reality border device
JP3463960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US8944604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dual light modulators
KR100245332B1 (en) A head mount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