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91A - Optical fine dust sensor - Google Patents

Optical fine dus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691A
KR20190084691A KR1020180002745A KR20180002745A KR20190084691A KR 20190084691 A KR20190084691 A KR 20190084691A KR 1020180002745 A KR1020180002745 A KR 1020180002745A KR 20180002745 A KR20180002745 A KR 20180002745A KR 20190084691 A KR20190084691 A KR 2019008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scattered
fine dus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3640B1 (en
Inventor
채규욱
권혁준
Original Assignee
채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규욱 filed Critical 채규욱
Priority to KR102018000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40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ne dust sensor, which comprises: a chamber having an opening unit used as an inflow and outflow passage of dust;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incident light to the opening unit;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first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dust in a first particle size range;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second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dust in a second particle size range. The reliability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range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Optical fine dust sensor}[0001] Optical fine dust sensor [0002]

본 발명은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수광부들을 포함하는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ne dus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fine dust sensor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ortions.

일반적으로 광학식 먼지 센서는 먼지 검출 대상 영역에 광원의 광을 조사하고, 수광부에서 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먼지 농도를 판단하는 구성을 갖는다. 예컨대, 종래 광학식 먼지 센서들의 구조는 LED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와 같은 수광소자, 그리고 수광소자로부터 획득한 수광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광학식 먼지 센서들은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평행광이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수광함으로써 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In general, the optical dust sensor has a structure for irradiating light of a light source to a region to be dust-detected and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the dust at the light-receiving portion to determine the dust concentration.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optical dust sensor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or a laser diode, a light receiving element such as a photodiode or a phototransistor,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obtained from a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voltage. Such optical dust sensors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ust by receiving th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by using the light receiving element.

한편, 미세먼지는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의 먼지로 PM(Particulate Matter)10 이라고 한다. 자동차 배출가스나 공장 굴뚝 등을 통해 주로 배출되며 중국의 황사나 심한 스모그때 날아오는 크기가 작은 먼지를 말한다. 미세먼지 중 입자의 크기가 더 작은 미세먼지를 초미세먼지라 부르며 지름 2.5㎛ 이하의 먼지로서 PM2.5라고 한다. On the other hand, fine dust is PM (Particulate Matter) 10 with a diameter of 10 μm (micrometer, 1 μm = 1/1000 mm) or less. It is mainly emitted by automobile exhaust gas or factory chimney, and is dust of small size coming out in China's yellow dust or severe smog. Fine dust particles with smaller particle size are called ultra fine dust particles and have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They are called PM2.5.

종래 광학식 먼지 센서들은 단일의 수광소자 및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획득한 출력 신호의 강도(intensity)에 따라 PM10과 PM2.5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그러나, 출력 신호의 강도(intensity)가 크다는 것은 먼지의 입자 크기가 큰 경우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가 여럿인 경우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수광소자 및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측정한 PM10과 PM2.5의 미세먼지 농도 값은 작은 크기의 입자들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하는 오류를 내포할 수 있다.Conventional optical dust sensors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s of PM10 and PM2.5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n output signal obtained using a singl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signal processing section. However, since the intensity of the output signal is large, it is possible to include not only a large particle size of the dust but also a small number of dust particles,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f PM2.5 may contain errors including measurements on small sized particles.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 범위의 미세먼지 농도를 복수의 수광부들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입자 크기 범위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농도 값의 신뢰성이 향상된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ne dust sensor in which the reliability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a particle size range is improved by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different particle size ranges us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ortions There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먼지의 유출입 통로로 이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챔버; 상기 개구부로 입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제1 입자 크기 범위의 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1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 및 제2 입자 크기 범위의 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2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사광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일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수광부는 제1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광부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배치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fine dust sensor comprising: a chamber having an opening used as an inflow / outflow passage for dust;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irradiating incident light to the opening portion;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first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dust in a first particle size range;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second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dust in a second particle size range, wherei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는 0°보다 크되, 10°이하이고, 상기 제2 각도는 10°보다 크되, 30°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but less than 10 degrees, and the second angle is greater than 10 degrees, but less than 30 degre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8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include an LED or a laser diode for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800 nm to 1200 n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광부와 결합하는 제1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 수광부와 결합하는 제2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들의 각각은 노이즈 제거부 및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coupled with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s may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and an amplifying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평면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in a plan view.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자 크기 범위는 PM10이고, 상기 제2 입자 크기 범위는 PM2.5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article size range may be PM10 and the second particle size range may be PM2.5.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 범위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각각 수광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수광부들과 이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신호처리부들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입자 크기 범위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값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provided to receiv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particles of different particle size ranges and a plurality of signal processing uni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s, By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reliability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rang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광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산란 입자의 크기(x)에 따른 산란광의 산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 도 2에 대응되는 평면도들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of Fig. 1. Fig.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light-receiv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Fig. 1.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scattering shapes of scattered light according to the size (x) of the scattering particles.
FIG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modifications of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 2.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indicate a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an unscrupulous infringer of precisely or absolutely stated disclosur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광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of Fig. 1. Fig.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light-receiv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발광부(10), 복수의 수광부들(20a, 20b), 복수의 신호처리부들(30a, 30b), 제어부(40) 및 챔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n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0,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20a and 20b, a plurality of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40) and a chamber (50).

챔버(50)는 발광부(10) 및 수광부들(20a, 20b)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챔버(50)는 대체로 원통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챔버(50)의 적어도 일 면에는 외부의 미세먼지(d, 이하, 먼지로 지칭될 수 있다)의 유출입 통로로 이용되는 개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개구부(55)는 챔버(5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5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개구부들(55)은 챔버(5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들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거나 오프셋 될 수 있다. The chamber 50 may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For example, the chamber 50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or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hamber 5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55 which is used as an inflow and outflow passage for external fine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st). From a plan viewpoint, the opening 55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amber 50.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The openings 55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55 may be formed on mutually facing sides of the chamber 50 and may face each other or be offset from each other.

발광부(10)는 개구부(55)를 향해 입사광(L1)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적외선 영역의 광을 생성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광(L1)은 예컨대, 약 8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may include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incident light L1 toward the opening portion 55. [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laser diode that generates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The incident light L1 may have a wavelength of, for example, about 800 nm to 1200 nm.

수광부들(20a, 20b)은 발광부(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입사광(L1)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D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부들(20a, 20b)은 제1 방향(D1)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제1 수광부(20a) 및 제1 방향(D1)에 대해 제2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제2 수광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는 0°보다 크되, 10°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각도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제2 각도는 10°보다 크되, 30°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각도는 15°내지 30°일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nd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L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include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20a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inclin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The second angl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For example, the first angle may be greater than 0 degrees, but less than 10 degrees. Preferably, the first angle may be between 5 [deg.] And 10 [deg.]. The second angle may be greater than 10 degrees but not greater than 30 degrees. Preferably, the second angle may be between 15 ° and 30 °.

발광부(10)로부터 개구부(55)로 조사된 입사광(L1)은 챔버(50)내로 유입된 미세먼지(d)에 의해 미산란(Mie scattering) 될 수 있다. 미산란(Mie Scattering)은 대기에 떠돌아다니는 수증기 또는 부유입자와 같이 입자의 크기가 입사광의 파장과 거의 같거나 큰 경우에 나타나는 산란으로서, 이 경우 입사광의 산란은 입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편중된 형태(즉, 전방 산란)로 진행될 수 있다. 미산란된 산란광의 산란 형태는 산란 입자 크기(x)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산란 입자의 크기(x)란 아래 식 1로 정의되는 무차원 매개 변수이다.Incident light L1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to the opening portion 55 may be Mie scattered by the fine dust d flowing into the chamber 50. [ Mie scattering is a scattering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size of a particle is almost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incident light, such as water vapor or suspended particles floating in the atmosphere. In this case, scattering of incident light occur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ident direction (I.e., forward scattering). The scattering form of the non-scattered scattered ligh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attered particle size (x). Here, the size (x) of the scattering particles is a dimensionless parameter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x=2πr/λ (식 1)x = 2? r /? (1)

여기서, r은 입자의 반지름이고, λ는 입사광의 파장이다. Where r is the radius of the particle and lambda i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산란 입자의 크기(x)에 따른 산란광의 산란 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산란 입자의 크기(x)에 따른 산란광의 산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5 and 6, scattering shapes of scattered light according to the size (x) of scattered partic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5 and 6 are views showing scattering shapes of scattered light according to the size (x) of the scattering particles.

도 5를 참조하면, x=30 인 경우, 산란광의 산란피크(Scattering peak)는 입사광의 진행 방향에 근접한 각도 범위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참조).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X=10 인 경우, 산란광의 산란피크(Scattering peak)는 도 5의 경우보다 더 넓은 각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도 6의 화살표들 참조). Referring to FIG. 5, when x = 30, the scattering peak of the scattered light is mainly distributed in an angle range clos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see arrows in FIG. 5).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when X = 10, the scattering peak of scattered light has a wider angle range than that of FIG. 5 (see arrows in FIG. 6).

일 예로, 입사광(L1)의 파장이 940nm 일 때, PM10의 미세먼지의 경우 x=33.4 이하의 값을 가지며, 이 경우 산란광의 산란형태는 도 5의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입사광(L1)의 파장이 940nm 일 때, PM2.5의 미세먼지의 경우 x=8.35 이하의 값을 가지며, 이 경우 산란광의 산란형태는 도 6의 형태를 따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L1 is 940 nm and the fine dust of the PM10 is x = 33.4 or less, the scattering shape of scattered light in this case can follow the shape of FIG. Further, when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L1 is 940 nm, x = 8.35 or less in the case of fine dust of PM2.5. In this case, the scattering form of the scattered light can follow the form of FIG.

따라서, 입사광(L1)이 PM2.5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예컨대, 제2 산란광(L2b))의 산란 범위는 PM10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예컨대, 제1 산란광(L2a))의 범위보다 넓을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2 산란광(L2b)의 최대 산란각(θb)은 제1 산란광(L2a)의 최대 산란각(θa) 보다 클 수 있다.Therefore, the scattering range of the scattered light (e.g.,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scattered by the fine dust of the PM2.5 of the incident light L1 is the scattered light (e.g., the first scattered light L2a) scattered by the fine dust of the PM10, ). ≪ / RTI > In other words,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B of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scattered angle? A of the first scattered light L2a.

요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제1 수광부(20a)는 입사광(L1)이 PM10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1 산란광(L2a)을 수광하기 위해 제1 방향(D1)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이고, 제2 수광부(20b)는 입사광(L1)이 PM2.5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2 산란광(L2b)을 수광하기 위해 제1 방향(D1)에 대해 제2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20a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ident light L1 is incident on the first direction D1 at a first angle (i.e.,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to receive the first scattered light L2a scattered by the fine dust of the PM10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is dispos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the incident light L1 receives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scattered by the fine dust of PM2.5 It may be inclined and arran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광부들(20a, 20b)은 적외선 영역의 산란광(L2a, L2b)을 수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들(20a, 20b)의 각각은 몸체(22), 수광 센서(24) 및 집광렌즈(2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2)는 수광 센서(24) 및 집광 렌즈(26(를 수용할 수 있으며, 챔버(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챔버(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광 센서(24)는 산란광(L2a or L2b)을 수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수광 센서(24)는 적외선 포토다이오드 또는 적외선 포토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집광렌즈(26)는 산란광(L2a or L2b)을 수광 센서(24)로 집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집광렌즈(26)를 통해 산란광(L2a or L2b)이 수광 센서(24)로 전달되면, 수광 센서(24)에서는 광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receive the scattered lights L2a and L2b in the infrared reg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may include a body 22, a light receiving sensor 24, and a condenser lens 26, as shown in FIG. 3A. The body 22 can receive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and the condenser lens 26 and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amber 50 to constitute a part of the chamber 50.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is a light-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may include an infrared ray photodiode or an infrared ray phototransistor. The condenser lens 26 converts the light L2a or L2b into an electric signal. And L2b are condens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When the scattered light L2a or L2b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through the condenser lens 26, do.

본 실시예에서, 집광렌즈(26)는 IR 코팅 처리된 집광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의 파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적외선 파장대의 광만 수광부로 입사되도록 IR 코팅이 된 집광렌즈(26)를 사용하여 외란광에 의한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IR 코팅이 된 집광렌즈(26)란 적외선 파장대의 빛만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대의 빛은 차단시키는 처리를 한 집광렌즈를 말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denser lens 26 may be an IR-coated condenser lens. Since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coming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ndenser lens 26, which is IR-coated so as to be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infrared wavelength band, Can be minimized. Here, the IR-coated condensing lens 26 refers to a condensing lens which is made to pass only light in the infrared wavelength band and cut off light in other wavelength range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들(20a, 20b)의 각각은 집광렌즈(26)와 수광 센서(24)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8)는 적외선 영역의 광만은 통과시키는 적외선 용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집광렌즈(26)의 IR 코팅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ach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28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lens 26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as shown in FIG. 3B. The filter 28 may be an infrared filter for passing only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In this case, the IR coating process of the condenser lens 26 may be omitted.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광부들(20a, 20b)은 평면적으로 개구부(55)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수광부들(20a, 20b)이 개구부(55)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됨에 따라, 산란광들(L2a, L2b)의 산란 거리의 차이에 따른 광량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먼지 농도 측정 값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부(10) 또한 수광부들(20a, 20b)과 개구부(55)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 상에 위치할 수 있다.1 and 2,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55 in a plan view. As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55, the deviation of the light amount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scattering distances of the scattered lights L2a and L2b is minimized, Can be improved. Alternatively,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may also be located on the sam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20b and the opening portion 55. [

신호처리부들(30a, 30b)은 제1 수광부(20a)에 결합된 제1 신호처리부(30a) 및 제2 수광부(20b)에 결합된 제2 신호처리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들(30a, 30b)은 각각 제1 및 제2 수광부들(20a, 20b)의 수광 센서(24)에서 발생된 광 전류를 신호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이를 증폭시켜 펄스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may include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30a coupled to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20a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30b coupled to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20b.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convert the photocurrent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ceiving units 20a and 20b to a signal voltage and remove the noise component It can be amplified and output in pulse for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들(30a, 30b)의 각각은 노이즈 제거부(32) 및 증폭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32)는 광 전류로부터 변환된 신호 전압의 노이즈 성분(예컨대, 가시광선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34)는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신호 전압을 증폭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증폭부(34)가 먼저 배치되어 신호 전압을 증폭하고, 뒤에 배치된 노이즈 제거부(32)가 증폭된 신호 전압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may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32 and an amplifying unit 34. [ The noise eliminator 32 is for removing a noise component (for example, a visible light region) of the signal voltage converted from the photocurr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ow pass filter (LPF). The amplifying unit 34 may include an amplifying circuit and may amplify the signal voltage from which the noise component is remo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amplifying part 34 is arranged in advance to amplify the signal voltage, and the noise removing part 32 arranged behind it may remove the noise component from the amplified signal voltage have.

제어부(40)는 각각의 신호처리부들(30a, 30b)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는 각각의 신호처리부들(30a, 30b)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단위 시간당 펄스 신호의 비율로 산출하여 설정된 비율 값에 비교를 통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양과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40)는 발광부(10), 수광부들(20a, 20b) 및/또는 신호처리부들(30a, 3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제어 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회로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들(30a, 30b), 제어부(40) 및/또는 발광부(10) 및 수광부들(20a, 20b)을 수용한 챔버(50)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and the size of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using the pulse signals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 calculates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as a ratio of pulse signals per unit time, and detects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the light receiving units 20a and 20b, and / or the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microcontroller unit (MCU). Although not shown,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not shown),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s 30a and 30b, the control unit 40, and / or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may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 범위의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각각 수광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수광부들과 이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신호처리부들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입자 크기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값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두 개의 수광부-신호처리부를 이용할 경우, 입사광(L1)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작은 각도 범위에 위치한 일 수광부-신호처리부에서는 PM10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입사광(L1)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각도 범위에 위치한 다른 수광부-신호처리부에서는 PM2.5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경우, 단일의 수광부-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PM10 및 PM2.5의 미세먼지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류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PM10 및 PM25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값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PM10 및 PM25의 구분이 중요한 실외형 간이 미세먼지 센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provided to receiv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particles of different particle size ranges and a plurality of signal processing uni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s, By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reliability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using two light-receiving unit-signal processing units a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the PM10 in a light-receiving unit-signal processing unit located in a small angular range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incident light L1 And data that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PM2.5 can be obtained in another light-receiving section-signal processing section located in a relatively large angular range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incident light L1.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measurement errors that may occur when measuring fine dusts of PM10 and PM2.5 using a single light-receiving unit-signal processing unit, The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an outdoor type simple fine dust sensor in which classification of PM10 and PM25 is important.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 도 2에 대응되는 평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의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들은 수광부의 배치 또는 수광부들의 개수 차이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와 동일, 유사할 수 있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중복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modifications of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 2. FIG. The optical fine dust sensors of FIGS. 7A and 7B may be similar to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r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수광부(20a)는 입사광(L1)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수광부(20b)는 상기 일 측에 대향하는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산란광(L2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산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2 산란광(L2b)을 수광하기 위한 제2 수광부(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광부(20a)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의 설계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7A,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20a is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L1,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is disposed on one side And can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facing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may have a scattering form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second light-receiving portion 20b for receiving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is formed by the first light- 20a. ≪ / RTI > Thus,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can be increased.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광부들(20a, 20b, 20c)은 제1 수광부(20a), 제2 수광부(20b) 및 제3 수광부(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광부들(20a, 20b)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수광부(20c)는 PM2.5의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된 제3 산란광(L2c)을 수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수광부(20b)와 미러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제2 수광부(20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3 산란광(L2c)의 최대 산란각(θc)은 제2 산란광(L2b)의 최대 산란각(θ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는 제3 수광부(20c)와 결합하는 제3 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수광부(20b)와 제3 수광부(20c)는 제2 신호처리부(30b, 도 1 참조)를 공유할 수도 있다.7B,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20a, 20b, and 20c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20a,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and a third light receiving portion 20c. The first and second light-receiving portions 20a and 20b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hird light receiving portion 20c is for receiving the third scattered light L2c scattered by the fine dust of PM2.5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20b.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C of the third scattered light L2c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maximum scattered angle? B of the second scattered light L2b. Although not shown, the optical fine dust sen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coupled with the third light receiving unit 20c. Alternatively, the second light receiving section 20b and the third light receiving section 20c may share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section 30b (see FIG. 1).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Claims (6)

먼지의 유출입 통로로 이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챔버;
상기 개구부로 입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제1 입자 크기 범위의 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1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 및
제2 입자 크기 범위의 먼지에 의해 산란된 제2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사광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일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수광부는 제1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수광부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배치되는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A chamber having an opening used as an inflow and outflow passage of dust;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irradiating incident light to the opening portion;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first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dust in a first particle size range; And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second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dust in a second particle size range,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Wherei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at a first angl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0°보다 크되, 10°이하이고,
상기 제2 각도는 10°보다 크되, 30°이하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but less than 10 degrees,
Wherein the second angle is greater than 10 degrees but not greater than 3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8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an LED or a laser diode for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800 nm to 12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부와 결합하는 제1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 수광부와 결합하는 제2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신호처리부들의 각각은 노이즈 제거부 및 증폭부를 포함하는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And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s includes a noise removing unit and an amplify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평면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하는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in a pla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 크기 범위는 PM10이고,
상기 제2 입자 크기 범위는 PM2.5인 광학식 미세먼지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rticle size range is PM10,
And the second particle size range is PM2.5.
KR1020180002745A 2018-01-09 2018-01-09 Optical fine dust sensor KR102153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45A KR102153640B1 (en) 2018-01-09 2018-01-09 Optical fine dus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45A KR102153640B1 (en) 2018-01-09 2018-01-09 Optical fine dust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91A true KR20190084691A (en) 2019-07-17
KR102153640B1 KR102153640B1 (en) 2020-09-08

Family

ID=6751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45A KR102153640B1 (en) 2018-01-09 2018-01-09 Optical fine dus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4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88A (en) * 2019-08-28 2021-03-10 최수성 Water injection device, road sweeper having the water injection device and fixing struction
WO2021187953A1 (en)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파이퀀트 Hazardous material measurement apparatus and hazardous material analysis system using same
WO2021210844A1 (en) * 2020-04-17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nsor
KR102442327B1 (en) * 2021-04-30 2022-09-13 (유) 한빛글로벌 Dust-proof and Insect Repellent Frame
KR102554794B1 (en) 2023-04-27 2023-07-13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generation method for estimating aerosol horizontal 2-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and method for estimating aerosol horizontal 2-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using the same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142A (en) * 1985-09-03 1987-03-09 Fujitsu Ltd Dust measuring instrument
JP2863874B2 (en) * 1990-12-30 1999-03-03 株式会社堀場製作所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JP2004125602A (en) * 2002-10-02 2004-04-22 Shinei Kk Pollen sensor
JP3552389B2 (en) * 1996-03-05 2004-08-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Suspended dust measurement device
KR200363865Y1 (en) * 2004-07-12 2004-10-11 (주)니즈 A particle sensor which distinguishes the size and kind of the particles.
JP2007527997A (en) * 2004-03-06 2007-10-04 マイケル トレイナー,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rticle size and shape
JP2011095022A (en) * 2009-10-28 2011-05-12 Koa Corp Particle sensor
KR101264075B1 (en) * 2011-04-26 2013-05-13 김제원 Optical Apparatus for Measuring Particles
JP2016170024A (en) * 2015-03-12 2016-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Particle detection device
KR101679041B1 (en) * 2015-05-29 2016-11-24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a Fine dust monitoring devices
KR101679042B1 (en) * 2015-06-30 2016-11-24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a Fine dust monitoring devices that improves detection performance
KR20170036719A (en) * 2014-10-31 2017-04-03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article detection sensor
JP6154812B2 (en) * 2011-09-14 2017-06-28 マルバー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light scattering
KR20170142078A (en) * 2016-06-16 201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ust
KR20180046729A (en)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Dust sensor based on the light scattering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142A (en) * 1985-09-03 1987-03-09 Fujitsu Ltd Dust measuring instrument
JP2863874B2 (en) * 1990-12-30 1999-03-03 株式会社堀場製作所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JP3552389B2 (en) * 1996-03-05 2004-08-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Suspended dust measurement device
JP2004125602A (en) * 2002-10-02 2004-04-22 Shinei Kk Pollen sensor
JP2007527997A (en) * 2004-03-06 2007-10-04 マイケル トレイナー,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rticle size and shape
KR200363865Y1 (en) * 2004-07-12 2004-10-11 (주)니즈 A particle sensor which distinguishes the size and kind of the particles.
JP2011095022A (en) * 2009-10-28 2011-05-12 Koa Corp Particle sensor
KR101264075B1 (en) * 2011-04-26 2013-05-13 김제원 Optical Apparatus for Measuring Particles
JP6154812B2 (en) * 2011-09-14 2017-06-28 マルバー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light scattering
KR20170036719A (en) * 2014-10-31 2017-04-03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article detection sensor
JP2016170024A (en) * 2015-03-12 2016-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Particle detection device
KR101679041B1 (en) * 2015-05-29 2016-11-24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a Fine dust monitoring devices
KR101679042B1 (en) * 2015-06-30 2016-11-24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a Fine dust monitoring devices that improves detection performance
KR20170142078A (en) * 2016-06-16 201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ust
KR20180046729A (en)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Dust sensor based on the light scatter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88A (en) * 2019-08-28 2021-03-10 최수성 Water injection device, road sweeper having the water injection device and fixing struction
WO2021187953A1 (en)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파이퀀트 Hazardous material measurement apparatus and hazardous material analysis system using same
WO2021210844A1 (en) * 2020-04-17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sensor
KR102442327B1 (en) * 2021-04-30 2022-09-13 (유) 한빛글로벌 Dust-proof and Insect Repellent Frame
KR102554794B1 (en) 2023-04-27 2023-07-13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generation method for estimating aerosol horizontal 2-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and method for estimating aerosol horizontal 2-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40B1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691A (en) Optical fine dust sensor
TWI430209B (en) Smoke detector
EP2336993B1 (en) Smoke detector
KR101905275B1 (en) Particle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5952614B2 (en) smoke detector
US7119900B2 (en) Pollen sensor and method
WO2017090134A1 (en) Particle sensor
KR102598425B1 (en) Sensor assembly for particulate matter
US11255787B2 (en) Laminated fluorescent sensor comprising a sealable sensor housing and an optical sensing system
TWI625517B (en) Smoke detector
JP2011203892A (en) Smoke detector
KR200363865Y1 (en) A particle sensor which distinguishes the size and kind of the particles.
JP2011203889A (en) Smoke detector
CN111788469A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US11035777B2 (en) Light sensing device and particle sensing device
JP2007278858A (en) Fog particle sensor and fog sensor
JP5333944B2 (en) smoke detector
JPH08271423A (en) Microparticle sensor
KR102344462B1 (en) Apparatus for sensing particle
JPH0196532A (en) Fine particle detector by light scattering system
KR102380173B1 (en) Apparatus for sensing particle
JPH1144642A (en) Dust sensor
CN112858128A (en) Light scattering dust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and dust concentration detection method
JP3780701B2 (en) Smoke detector
JPH04160697A (en) Light scattering type particle detecting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