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6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63A
KR20190084563A KR1020180002471A KR20180002471A KR20190084563A KR 20190084563 A KR20190084563 A KR 20190084563A KR 1020180002471 A KR1020180002471 A KR 1020180002471A KR 20180002471 A KR20180002471 A KR 20180002471A KR 20190084563 A KR20190084563 A KR 2019008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garment
disposed
clothes
treatmen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993B1 (ko
Inventor
김기혁
배재일
정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0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99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242,494 priority patent/US11001960B2/en
Priority to JP2019001220A priority patent/JP6772304B2/ja
Priority to EP19150711.0A priority patent/EP3508649B1/en
Priority to CN201910016185.8A priority patent/CN110016775B/zh
Priority to PCT/KR2019/000257 priority patent/WO2019135663A1/ko
Priority to EP20208330.9A priority patent/EP3812504A1/en
Priority to CN202210271914.6A priority patent/CN114635273B/zh
Publication of KR2019008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63A/ko
Priority to JP2020164494A priority patent/JP2020203183A/ja
Priority to US17/316,283 priority patent/US11512422B2/en
Priority to US17/316,274 priority patent/US11624148B2/en
Priority to KR1020220160533A priority patent/KR102595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993B1/ko
Priority to KR1020230142822A priority patent/KR20230152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스팀이나 공기순환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제1의류처리실 일측에 배치되며, 의류에 압력을 가하여 의류에 주름을 제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류처리실 또는 상기 제2의류처리실로 스팀을 분사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계실; 및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구획하여 닫거나,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열리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측에 2개의 의류처리실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 (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공개특허 10-2014-0184457는 스티머와 리스레셔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공기순환이나 스팀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챔버와, 처리챔버 내측에서 의류를 가압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별도의 주름제거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주름제거모듈은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주름제거하려는 의류와 스팀이나 공기순환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가 하나의 공간에서 의류처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스 내부를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별도의 공간에서 의류의 주름제거를 진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구획판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 내부의 구획판의 배치가 변경될 때에도,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더라도, 의류를 가압하는 영역에 거치되는 의류가 용이하게 거치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이 개방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스팀이나 공기순환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제1의류처리실 일측에 배치되며, 의류에 압력을 가하여 의류에 주름을 제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류처리실 또는 상기 제2의류처리실로 스팀을 분사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계실; 및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구획하여 닫거나,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열리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을 구획하고, 제2의류처리실에 거치되는 의류를 구획판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구획하여 닫을 때, 상기 제2의류처리실에 배치되는 의류를 가압하여, 구획판을 이용하여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을 구획하면서, 배치되는 의류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부에 배치된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이 배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사이에 배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판이 배치되어, 제2의류처리실 내부에서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처리실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진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부재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구획판이 제2의류처리실의 일측을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구획판을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1회전가이드; 상기 구획판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전방면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1회전가이드와 상기 제2회전가이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진이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획판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의 이동부재가 상기 직진이동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과 일정 경사각을 유지하여, 구획판이 이동하더라도, 구획판에 거치된 의류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직진이동가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배치되어, 구획판은 제1의류처리실의 공간을 어느정도 확보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에는, 상기 구획판이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배치되어, 구획판의 내측면이 전방으로 향하게 되어 구획판의 내측면에 의류거치가 용이해진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직진이동가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배치되어, 구획판에 거치된 의류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구획판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구획판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돌출부; 및 상기 구획판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판과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획판이 이동부재 가이드를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이동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거나, 특정배치에서 직진이동가능한 형태를 가져, 구획판이 이동부재 가이드를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연통하게 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제1의류처리실을 유동하는 공기 또는 스팀이 제2의류처리실로 이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기 또는 스팀순환에 의한 의류처리실과 가압에 의한 의류처리실이 구획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의류를 가압하는 의류처리실을 개폐하는 구획판이 이동하더라도, 제1의류처리실 또는 제2의류처리실 내에 배치되는 의류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구획판이 개방될 때, 전방으로 이동하여 내측면이 전면을 향하므로, 제2의류처리실에 거치되는 의류의 거치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 챔버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이클 챔버의 결합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의 회전 및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 내지 도 7d와 같이, 구획판이 회전 및 이동할 때, 이동부재의 회전 및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처리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의류처리장치 전체구성 간단>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 챔버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이클 챔버의 결합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가 중공이고 전명이 개방된 케이스(10),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는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여 스팀이나 공기순환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제1의류처리실(20), 의류에 압력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제2의류처리실(30) 및 제1의류처리실 또는 제2의류처리실로 스팀을 분사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4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49)에는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로 공기나 스팀을 보내는 사이클챔버(50)와, 사이클챔버(50)에 물을 공급하거나 사이클챔버(5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탱크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챔버(50)에는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52)과,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에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유닛(58)과,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의 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히트펌프유닛(60)과, 송풍유닛(52), 스팀유닛(58) 및 히트펌프유닛(60)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2)이 설치된다.
송풍유닛(52), 스팀유닛(58), 히트펌프유닛(60), 제어유닛(62) 등과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각 행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들의 조립체를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클어셈블리로 정의한다.
송풍유닛(52)은 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히트펌프유닛(60)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54)과, 송풍팬(54)의 흡입 측에 설치되고,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송풍팬(54)으로 안내하는 인릿덕트(56)를 포함한다.
스팀유닛(58)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급수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로 변환시킨다. 스팀은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로 토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히트펌프유닛(60)을 통해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로 유동되게 유로가 구성된다.
히트펌프유닛(60)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되고, 작동모드에 따라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 내부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히트펌프유닛(60)은 송풍유닛(52)에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할 수 있다.
사이클챔버(50)의 전방에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49)에는, 인릿덕트(56) 전방 측에 탱크모듈이 설치되는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탱크모듈은 스팀유닛(58)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미도시)와,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는 스팀유닛(58)과 연결되고, 스팀유닛(58)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드레인탱크는 히트펌프유닛(60)과 연결되고, 히트펌프유닛(6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 물도 드레인탱크로 안내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어(64)는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패널(66)과, 도어패널(66) 및 케이스(10)를 힌지 연결시키는 힌지부(68)와, 도어패널(66)에 배치되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도어(64) 및 케이스(10)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어개스킷(69)과, 도어패널(66)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의류처리실(20) 또는 제2의류처리실(3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분리판(24)으로 안내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66)을 둘러싸게 도어개스킷(69)이 설치되고, 도어개스킷(69)을 통해 상기 도어(64) 및 케이스(10)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케이스 내부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제1의류처리실과 제2의류처리실의 구조 및 배치를 설명한다.
케이스(10) 내부는 분리판(24)을 기준으로 제1의류처리실(20)과 기계실(49)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분리판(24) 상측에는 의류처리실(20, 30)이 배치되고, 분리판(24) 하측에는 기계실(49)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는 구획판(32)을 기준으로 제1의류처리실(20)과 제2의류처리실(30)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실(20)은 의류를 거치하고, 스팀 또는 공기 순환 등을 통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냄새를 탈취한다.
제2의류처리실(30)은 제1의류처리실(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의류처리실(30)은 케이스(10) 내부 일측면(14)에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는 양측면 중 일면(14)에 제2의류처리실(30)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2의류처리실(30)이 형성되는 케이스(10)의 내부 일측면(14)은 도어(64)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힌지부(68)가 배치된 면과 대향하는 면 일 수 있다. 제2의류처리실(30)은 전방과 제1의류처리실(20)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구획판(3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구획판(32)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기능을 한다.
제2의류처리실(30)은 내부에 배치되는 의류에 압력을 가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한다.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구획판(32)의 내측면(33) 사이에 의류가 배치된다.
제2의류처리실(30)에는 의류를 고정하여 하측으로 늘어뜨리는 의류고정부(34), 내부에 배치된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16), 상기 베이스판(16)에 밀착되어 사이에 배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판(36)이 배치된다.
베이스판(16)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16)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판(16)은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체결부재에 의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판(16)은 제2의류처리실(30)에 고정되는 베이스고정판(18)과, 베이스고정판(18)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베이스고정판(18)에 비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더 이격되게 형성되며, 의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베이스탄성판(19a, 19b)을 포함한다.
베이스고정판(18)은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체결부재에 의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탄성판(19a, 19b)은 베이스고정판(18)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제1베이스탄성판(19a)과 제2베이스탄성판(19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베이스탄성판(19a)과 제2베이스탄성판(19b)은 재질의 탄성에 의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판(16)이 프레스판(36)에 의해 가압될 때, 베이스판(16)의 베이스탄성판(19a, 19b)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 방향으로 이격되어 프레스판(36)과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의류고정부(34)와 프레스판(36)은 구획판(32)의 내측면(33)에 설치된다. 의류고정부(34)는 프레스판(36)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고정부(34)는 구획판(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집게 형태로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의류고정부(34)는 본 실시예와 달리 구획판(32)의 상측에 의류를 걸이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하여, 걸이부재를 걸도록 형성된 의류걸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스판(36)은 구획판(32)의 내측면(33)에 배치된다. 프레스판(36)은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될 때, 베이스판(16)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될 때, 베이스판(16)과 프레스판(36)이 밀착되어, 베이스판(16)과 프레스판(36)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를 가압한다.
프레스판(36)에는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기 위해 개방된 개구부(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40)는 프레스판의 중앙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개구부(40)가 프레스판(36)의 중앙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판(36)은 구획판(32)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판(36)과 구획판(32) 사이에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32)은 제2의류처리실(30)을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32)은 제2의류처리실(30)을 제1의류처리실(20)과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32)은 제2의류처리실(30)에 배치되는 의류를 고정하는 의류고정부(34)가 배치된다. 또한, 구획판(32)은 의류고정부(34)의 하측에 의류의 주름을 펴도록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판(36)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32)은 구획판(32)을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으로부터 이격하고, 제2의류처리실(30)의 전면을 개폐하는 이격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32)은 구획판(32)을 제1의류처리실(20)과 제2의류처리실(30)을 구획하도록 배치하거나, 구획판(32)을 케이스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구획판(32)을 회전시키는 이동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는 구획판(3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는 구획판(32)의 내측면(31) 후방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는 구획판(3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동부재 가이드부(70)를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돌출부(44)와 돌출부(44)와 구획판(32)을 연결하는 연결부(46)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부(46)는 구획판(32)의 내측면(31) 후방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다. 연결부(46)는 돌출부(44)를 구획판(32)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판(32)의 내측면(33)으로 돌출된 반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범위에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44)는 제2의류처리실(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이동부재 가이드부(70)를 따라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44)는 이동가이드부(70)를 따라 회전하거나, 특정배치에서 직진이동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4)는 밑면이 직사각형인 사각기둥형태를 가진다. 돌출부(44)는 연결부(46) 및/또는 구획판(3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4)는 구획판(32)과 상측에서 바라볼 때, 경사각(θ)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구획판(32)과 돌출부(44)가 형성하는 경사각(θ)은 구획판(32)이 케이스(10)의 내부 일측면(14)에서 최대 열리는 각도만큼 형성된다. 구획판(32)과 돌출부(44)가 형성하는 경사각(θ)은 대략 10°내지 50°일 수 있다.
구획판(32)에는 제1의류처리실(20)과 제2의류처리실(30)을 연통하게 하는 연통홀(48)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48)은 제1의류처리실(20)을 유동하는 공기 또는 스팀이 제2의류처리실(30)로 유동하도록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의류처리실(20)을 유동하는 스팀 또는 공기는 연통홀(48)을 통해 제2의류처리실(30)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의류처리실(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구획판(32)의 이동부재(42)가 회전하거나, 이동하도록 이동부재 가이드부(70)가 형성된다. 이동부재 가이드부(70)는 구획판(32)을 케이스(10)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1회전가이드(72), 구획판(32)을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방면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드(76) 및 제1회전가이드(72)와 제2회전가이드(76)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진이동가이드(82)를 포함한다.
제1회전가이드(72)는 내부에서 이동부재(42)가 회전할 수 있는 원 형상으로된 홀이다.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을 닫은 상태에서,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제1회전가이드(72)에 배치된다. 돌출부(44)는 제1회전가이드(72) 내부에서 회전하여, 구획판(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부(44)는 제1회전가이드(72) 내부에서 회전하여, 제2의류처리실(30) 내부에 배치된 의류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제1회전가이드(72)에는 이동부재(4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74)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74)는 돌출부(44)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스토퍼(74)는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이루는 경사각이 돌출부(44)와 이루는 경사각과 같아지는 범위까지 회전하게 한다. 제1스토퍼(74)는 돌출부(44)가 직진이동가이드(82)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1스토퍼(74)는 직진이동가이드(82)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1스토퍼(74)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직진이동가이드(82)는 제1회전가이드(72)와 제2회전가이드(76)를 연결한다. 직진이동가이드(82)가 형성하는 가이드의 폭(D1)은 돌출부(44)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44)의 두께(D2)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직진이동가이드(82)는 케이스(10)에서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회전가이드(76)는 내부에서 이동부재(42)가 회전할 수 있는 원 형상으로 된 홀이다. 구획판(32)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제2회전가이드(76)에 배치된다. 돌출부(44)는 제2회전가이드(76) 내부에서 회전하여, 구획판(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부(44)는 제2회전가이드(76) 내부에서 회전하여, 구획판(32)의 내측면(31)이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가이드(76)에는 이동부재(42)의 일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78)와 이동부재(42)의 타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80)가 배치된다.
제2스토퍼(78)는 구획판(32)의 내측면(31)이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도록 이동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스토퍼(78)는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이동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3스토퍼(80)는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이루는 경사각이 돌출부(44)와 이루는 경사각과 같아지는 범위까지 이동부재(42)를 회전하게 한다. 제3스토퍼(80)는 돌출부(44)가 직진이동가이드(82)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3스토퍼(80)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돌출부(44)는 제2회전가이드(76) 내부에서 회전하여, 구획판(32)의 내측면(33)을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방을 향하게 하거나, 구획판(32)이 직진이동가이드(82)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스토퍼(74)와 제3스토퍼(80)는 직진이동가이드(8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의 이동>
도 7a 내지 도 7d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의 회전 및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 내지 도 7d와 같이, 구획판이 회전 및 이동할 때, 이동부재의 회전 및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은 이동부재 가이드부(70)를 따라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에서의 구획판의 배치를 제1위치, 도 7b에서의 구획판의 배치를 제2위치, 도 7c에서의 구획판의 배치를 제3위치 및 도 7d에서의 구획판의 배치를 제4위치로 정하여 설명한다.
도 7a와 같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제2의류처리실(30)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의 내측면(33)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도 7a와 같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제2의류처리실(30)에 배치된 의류가 베이스판(16)과 프레스판(36)에 의해 가압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이동부재 가이드부(70)의 제1회전가이드(72)에 배치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의 이격부(38)가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에 맞닿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8a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1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아 직진이동가이드(82)로 이동할 수 없다.
구획판의 제1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토퍼(74)의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구획판의 제1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토퍼(74)의 위치까지 회전하면, 구획판(32)은 도 7b와 같은 제2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제2의류처리실(30)은 전방이 일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은 케이스(10)의 내측면(31)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이동부재 가이드부(70)의 제1회전가이드(72)에 배치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가 제1스토퍼(74)와 맞닿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8b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2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직진이동가이드(82)로 이동할 수 있다.
구획판의 제2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직진이동가이드(8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회전가이드(76)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획판의 제2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직진이동가이드(82)를 따라 이동하면, 구획판(32)은 도 7c와 같은 제3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32)은 직진이동가이드(82)를 따라 이동할 때,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일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이격되어 이동한다. 구획판(32)은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할 때, 구획판(32)이 제2의류처리실(30)의 내측면(31)과 일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이격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구획판(32)이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하더라도, 베이스판(16)과 프레스판(36) 사이에 배치된 의류가 손상되지 않는다.
도 7c와 같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제2의류처리실(30)은 제1의류처리실(20)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c와 같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은 케이스(10)의 내측면(31)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7c와 같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이동부재 가이드부(70)의 제2회전가이드(76)에 배치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가 제3스토퍼(80)와 맞닿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8c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3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직진이동가이드(82)로 이동할 수 있다.
구획판의 제3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제2회전가이드(76)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토퍼(78)와 맞닿을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구획판의 제3위치에서, 이동부재(42)가 제2회전가이드(76)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획판(32)은 도 7d와 같은 제4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d와 같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제2의류처리실(30)은 제1의류처리실(20)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d와 같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은 케이스(10)의 내측면(31)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7d와 같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구획판(32)의 내측면(31)은 케이스(1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이동부재 가이드부(70)의 제2회전가이드(76)에 배치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가 제2스토퍼(78)와 맞닿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8d를 참조하면, 구획판(32)이 제4위치로 배치될 때, 이동부재(42)의 돌출부(44)는 직진이동가이드(82)와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아 직진이동가이드(82)로 이동할 수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케이스 16 : 베이스판
20 : 제1의류처리실 22 : 의류걸이
24 : 상하분리판 30 : 제2의류처리실
32 : 구획판 34 : 의류고정부
36 : 프레스판 38 : 이격부
42 : 이동부재 44 : 돌출부
48 : 연통홀 49 : 기계실
50 : 사이클챔버 64 : 도어
70 : 이동부재 가이드부 72 : 제1회전가이드
74 : 제1스토퍼 76 : 제2회전가이드
78 : 제2스토퍼 80 : 제3스토퍼
82 : 직진이동가이드

Claims (13)

  1. 전면이 개방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스팀이나 공기순환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제1의류처리실 일측에 배치되며, 의류에 압력을 가하여 의류에 주름을 제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의류처리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류처리실 또는 상기 제2의류처리실로 스팀을 분사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계실; 및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구획하여 닫거나,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열리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구획하여 닫을 때, 상기 제2의류처리실에 배치되는 의류를 가압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부에 배치된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이 배치되고,
    상기 구획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밀착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사이에 배치된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판이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을 회전시키거나, 직진이동 시키도록 상기 구획판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류처리실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 또는 직진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부재 가이드부가 형성된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구획판을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1회전가이드;
    상기 구획판을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에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1회전가이드와 상기 제2회전가이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진이동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이동부재가 상기 직진이동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과 일정 경사각을 유지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직진이동가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가이드에는,
    상기 구획판이 상기 제2의류처리실의 내측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배치된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직진이동가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구획판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돌출부; 및
    상기 구획판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판과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이동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거나, 특정배치에서 직진이동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의류처리실과 상기 제2의류처리실을 연통하게 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02471A 2018-01-08 2018-01-08 의류처리장치 KR10247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71A KR102472993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처리장치
CN202210271914.6A CN114635273B (zh) 2018-01-08 2019-01-08 衣物处理装置
EP19150711.0A EP3508649B1 (en) 2018-01-08 2019-01-0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910016185.8A CN110016775B (zh) 2018-01-08 2019-01-08 衣物处理装置
PCT/KR2019/000257 WO2019135663A1 (ko) 2018-01-08 2019-01-08 의류처리장치
EP20208330.9A EP3812504A1 (en) 2018-01-08 2019-01-0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6/242,494 US11001960B2 (en) 2018-01-08 2019-01-0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2019001220A JP6772304B2 (ja) 2018-01-08 2019-01-08 衣類処理装置
JP2020164494A JP2020203183A (ja) 2018-01-08 2020-09-30 衣類処理装置
US17/316,283 US11512422B2 (en) 2018-01-08 2021-05-10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7/316,274 US11624148B2 (en) 2018-01-08 2021-05-10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0220160533A KR102595132B1 (ko) 2018-01-08 2022-11-2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2822A KR20230152625A (ko) 2018-01-08 2023-10-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71A KR102472993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533A Division KR102595132B1 (ko) 2018-01-08 2022-11-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63A true KR20190084563A (ko) 2019-07-17
KR102472993B1 KR102472993B1 (ko) 2022-12-01

Family

ID=650105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71A KR102472993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60533A KR102595132B1 (ko) 2018-01-08 2022-11-2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2822A KR20230152625A (ko) 2018-01-08 2023-10-2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533A KR102595132B1 (ko) 2018-01-08 2022-11-2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2822A KR20230152625A (ko) 2018-01-08 2023-10-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001960B2 (ko)
EP (2) EP3812504A1 (ko)
JP (2) JP6772304B2 (ko)
KR (3) KR102472993B1 (ko)
CN (2) CN110016775B (ko)
WO (1) WO2019135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98A (ko)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8172A (ko) *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및 그 제어방법
JP1751000S (ja) * 2021-05-21 2023-08-17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49899S (ja) * 2021-05-21 2023-08-02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USD1013990S1 (en) * 2021-08-04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USD1025526S1 (en) * 2021-08-1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5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495U (ko) * 1979-09-18 1981-04-23
AU627707B2 (en) * 1988-01-13 1992-09-03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KR0184457B1 (ko) 1995-12-11 1999-04-15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 동기회로
US5815961A (en) *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KR20110048344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10048343A (ko)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099179B1 (ko) 2013-12-05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RU2683229C2 (ru) * 2014-09-12 2019-03-26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одеждой для суш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одежды
EP3034684B1 (en) 2014-12-19 2017-10-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306751B1 (ko) * 2014-12-19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5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50009718A (ko) * 2013-07-17 201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203183A (ja) 2020-12-24
US20190211497A1 (en) 2019-07-11
EP3812504A1 (en) 2021-04-28
CN114635273B (zh) 2024-01-30
US11624148B2 (en) 2023-04-11
EP3508649B1 (en) 2021-03-03
KR20230152625A (ko) 2023-11-03
US11512422B2 (en) 2022-11-29
US11001960B2 (en) 2021-05-11
WO2019135663A1 (ko) 2019-07-11
US20210262156A1 (en) 2021-08-26
KR20220166223A (ko) 2022-12-16
CN110016775B (zh) 2022-04-05
EP3508649A1 (en) 2019-07-10
JP2019118833A (ja) 2019-07-22
JP6772304B2 (ja) 2020-10-21
CN110016775A (zh) 2019-07-16
CN114635273A (zh) 2022-06-17
US20210262157A1 (en) 2021-08-26
KR102595132B1 (ko) 2023-10-27
KR102472993B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8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90084563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452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27649A (ko) 의류처리장치
JP2021180848A (ja) 衣類処理装置
KR10237814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64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