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58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58A
KR20190084558A KR1020180002458A KR20180002458A KR20190084558A KR 20190084558 A KR20190084558 A KR 20190084558A KR 1020180002458 A KR1020180002458 A KR 1020180002458A KR 20180002458 A KR20180002458 A KR 20180002458A KR 20190084558 A KR20190084558 A KR 2019008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layer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149B1 (ko
Inventor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2/06
    • H01M2/021
    • H01M2/0275
    • H01M2/08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의 영역 중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의 단부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수분 차단 기능이 향상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파우치 전지는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된 얇은 연성(flexible)의 파우치를 구비한다. 이때 파우치는 가장자리부의 접합에 의해 구비된 내측 공간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케이스는 파우치 본체와 파우치 커버 또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가 접합되는 부분 끝단에 수분이 침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분 침투에 의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의 영역 중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의 단부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에 상기 전극탭을 감싸는 절연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필름의 외측 단부에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테라스 영역의 양측 날개부의 단부에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수성층은 플라즈마 코팅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수성층은 상기 테라스 영역의 단부에 대해 He, CH4, C4F8 를 포함하는 초소수성 성분의 가스를 이용하여 초소성화 작업을 수행하여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층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의 영역 중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영역의 단부에 대해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소수성층은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영역의 단부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파우치의 실링 끝단 단부에 플라즈마 초소수성층을 형성하여 수분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파우치 전지를 다른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의 단부에 형성된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의 벌어진 단부에 형성된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테라스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전극탭의 절연 필름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파우치의 양측 날개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a와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의 파우치 전지를 다른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와 파우치 케이스(120)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는 전극 조립체(110)가 수용되는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본체(121)에 결합된 파우치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a는 파우치 케이스(120)의 파우치 본체(121)방향에서 본 파우치 전지(100)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파우치 본체(121)에서 본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파우치 케이스(120)의 파우치 커버(122)방향에서 본 파우치 전지(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도 1b를 참조하여 파우치 전지(10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1전극판(111), 제2전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1전극판(111)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전극판(112)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파우치 케이스(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1전극판(1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foil)로 형성된 제1전극 집전판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1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극판(1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극판(112)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전극 집전판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2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전극판(1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제1전극판(111)과 제2전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전이 금속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제1전극판(111)과 제2전극판(112)은 각각 제1전극 탭(114) 및 제2전극 탭(1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실질적으로 전해액과 함께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에 수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탭(114)은 전극 조립체(110)의 제1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전극 탭(114)은 파우치 케이스(120)에 구비된 평탄부(124)를 통해 외부로 연장 및 돌출된다. 상기 평탄부(124)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 탭(114)은 제1전극 탭(114)을 감싸도록 평탄부(124)의 내측에 구비된 제1절연 테이프(114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 테이프(114a)는 파우치 케이스(120)의 금속층과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전극 탭(114)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재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전극 탭(115)은 전극 조립체(110)의 제2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2전극 탭(115)은 파우치 케이스(120)에 구비된 평탄부(124)를 통해 외부로 연장 및 돌출된다. 상기 제2전극 탭(115)은, 제2전극 탭(115)을 감싸도록 상기 평탄부(124)의 내측에 구비된 제2절연 테이프(115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절연 테이프(115a)는 파우치 케이스(120)의 금속층과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극 탭(114)과 제2전극 탭(115)은 평판 형태로, 파우치 케이스(120)의 전방에 형성된 평탄부(124)를 통해서 파우치 케이스(120)의 외부로 돌출 및 연장되며, 상호간 나란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된 제1전극 탭(114)과 제2전극 탭(115)은 파우치 전지(100)의 안전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회로 소자 및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는 일반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직방형 파우치 막을 한 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접철된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는 일체형이 아닌,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의 접철 부분이 분리된 별도의 파우치 막일 수도 있다.
상기 파우치 본체(121)는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할 홈인 수용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23)는 직방형 파우치막에, 상기 수용부(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금형틀이 압력을 가하는 프레스(press)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3)는 평판인 바닥부(123a)와, 바닥부(123a)의 네 모서리로부터 바닥부(123a)와 수직이 되도록 일정 높이로 연장된 일체형 측부(123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용부(123)는 대략 육면체 형상에서 바닥부(123a)와 대면하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파우치 본체(121)는 측부(123b)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바닥부(123a)와 평행하도록 수용부(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부(124)를 더 포함한다.
파우치 케이스(120)는 파우치 본체(121)의 평탄부(124)와 파우치 커버(122)의 가장자리부가 융착되어 실링된다. 이때 상기 파우치 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전해액이 존재한다. 또한 전극 조립체(110)의 제1전극 탭(114)과 제2전극 탭(115)은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는 평탄부(124)를 통해, 파우치 케이스(120)의 외부로 연장 및 돌출된다.
여기서 평탄부(124)는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가 상호간 융착된 부분이며, 일정길이 평탄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또한 파우치 본체(121)의 수용부(123) 내측 꼭지점 부분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제(125)는 전극 조립체(110)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 본체(121)는 금속 박막과, 금속 박막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된 절연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박막이다. 상기 파우치 커버(122) 역시 상술한 파우치 본체(121)와 동일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100)는 프레스 공정시 크랙 발생률이 가장 높은 파우치 본체(121)의 내측 꼭지점을 덮도록 도포된 자외선 경화제(125)에 의해, 파우치 본체(121)의 내측 꼭지점에 크랙이 발생되어도 파우치 케이스(120) 내부를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 끝단에 형성된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의 벌어진 단부에 형성된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의 파우치 케이스(200)에서 파우치 본체(121)의 평탄부(124)와 파우치 커버(122)의 가장자리부가 융착되어 실링되는 부분(도 1a의 점선 표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는 평탄부(124)에서 실링되고, 그 단면에는 초소수성층(200)이 형성된다. 파우치 본체(121)는 외곽의 알루미늄층(121a)과 그 내측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CPP; 121b)를 포함하며, 파우치 커버(122)도 역시 외곽의 알루미늄층(122a)과 그 내측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CPP; 122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링되는 단부에는 도 2의 상측으로부터 파우치 커버의 알루미늄층(122a), 파우치 커버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122b), 파우치 본체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121b), 파우치 본체의 알루미늄층(121a)으로 층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부의 측면에 대해 초소수성층(20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초소수성층(200)은 플라즈마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소수성층(200)은 상기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단부에 대해, 통해 He, CH4, C4F8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초소수 성분의 가스를 주입하여 표면에 대해 초소성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코팅 처리를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초소수성층(200)은 파우치 케이스 실링부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테라스 영역을 표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전극탭의 절연 필름 영역을 표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파우치의 양측 날개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의 벌어진 단부에 형성된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의 이차전지의 구조는 도 2a의 구조와 유사하나, 실제 제품에서는 도 2b와 같이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가 결합된 단부가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벌어진 단부, 특히 알루미늄층(121a', 122a')의 내측에 위치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121b', 122b')의 사이가 벌어져서, 사이의 공간(s)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s)을 통해 수분이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러한 공간(s)을 메우도록 초소수성층(2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제품에서 파우치의 결합된 단부가 벌어지더라도, 초소수성층(200')으로 인해,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의 영역 중 전극탭(114, 115)이 파우치 케이스(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테라스 영역(A)에서는 실링이 다른 영역보다 불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전극탭(114, 115)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A)의 끝 단부나 전극탭을 감싸는 절연 필름의 외측 단부에 초소수성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실링부 중에서 테라스의 양측 날개부의 단부에도 초소수성층(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우치 본체(121)와 파우치 커버(122)가 실링되는 영역 전체, 즉, 테라스 영역이나 테라스 영역의 양 측면 날개부 모두 그리고 전극탭이 돌출되는 영역의 단면에 모두 초소수성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200)은 플라즈마 처리에 초소수성 성분의 가스를 추가하여 실링 단면의 표면을 초소성화 작업을 하여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처리기를 통해 He, CH4, C4F8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초소수 성분의 가스를 주입하여 파우치 실링부 단면의 표면에 대해 초소성화 작업을 수행하면, 코팅 처리되는 영역의 성분이 변화되지 않으면서, 초소수성 코팅층(200)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형성되는 초소수성 코팅층(200)의 두께는 1㎛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즈마 처리기는 160W의 전력으로 120초 동안 실링부 단면을 플라즈마에 노출시킴으로써 초소수성층(200)을 형성한다.
도 7a와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차전지에서는 파우치 실링부 단면에 폴리프로필렌층(121b, 122b)들의 사이 또는 폴리프로필렌층(121b, 122b)과 알루미늄층(121a, 122a)의 사이를 통해 수분이 침투될 수 있었다.그러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플라즈마 초소수성 처리통해 초소수성층(200)이 파우치 실링부 단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층들(121b, 122b)의 사이 또는 폴리프로필렌층(121b, 122b)과 알루미늄층(121a, 122a)의 사이를 차단하여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파우치 전지 110; 전극 조립체
120; 파우치 케이스 121; 파우치 본체
122; 파우치 커버 200; 초소수성층

Claims (7)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의 영역 중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의 단부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테라스 영역에 상기 전극탭을 감싸는 절연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필름의 외측 단부에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테라스 영역의 양측 날개부의 단부에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수성층은 플라즈마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수성층은 상기 테라스 영역의 단부에 대해 He, CH4, C4F8 를 포함하는 초소수성 성분의 가스를 이용하여 초소성화 작업을 수행하여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의 영역 중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영역의 단부에 대해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초소수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수성층은 상기 전극탭이 인출되는 영역의 단부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80002458A 2018-01-08 2018-01-08 이차 전지 KR10254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58A KR102540149B1 (ko) 2018-01-08 2018-01-08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58A KR102540149B1 (ko) 2018-01-08 2018-01-08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58A true KR20190084558A (ko) 2019-07-17
KR102540149B1 KR102540149B1 (ko) 2023-06-07

Family

ID=6751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58A KR102540149B1 (ko) 2018-01-08 2018-01-08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91B1 (ko) * 2021-02-25 2021-10-07 (주)엔에스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KR20210138300A (ko)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9414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탭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14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2015004A (ja) * 2010-07-02 2012-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薄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39026A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노출 실링부를 구비한 파우치형 전지
KR20150075581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곡된 실링부 단부 상에 절연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셀의 제조방법
US20160336552A1 (en) * 2015-05-14 2016-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rrier layer coatings for battery pouch cell se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14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2015004A (ja) * 2010-07-02 2012-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薄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39026A (ko) * 2012-06-12 2013-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노출 실링부를 구비한 파우치형 전지
KR20150075581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곡된 실링부 단부 상에 절연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셀의 제조방법
US20160336552A1 (en) * 2015-05-14 2016-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rrier layer coatings for battery pouch cell se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300A (ko)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장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191B1 (ko) * 2021-02-25 2021-10-07 (주)엔에스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KR20220169414A (ko)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탭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49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9392B1 (en) Secondary battery
KR102201306B1 (ko) 이차 전지
EP2541650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mproved gasket and terminal structure
US8999568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collecting plate, a connecting part, and a terminal part
KR102578860B1 (ko) 이차 전지
KR101222232B1 (ko) 이차 전지
KR10257148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KR101726907B1 (ko) 제한된 전류 경로를 갖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9450217B2 (en) Pouch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63723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 collecting plate
US20120064387A1 (en)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EP3514858A1 (en) Secondary battery
US9257686B2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84558A (ko) 이차 전지
US9577229B2 (en) Secondary battery
KR100670438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73143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200006851A (ko) 이차전지 및 전지모듈
JP2014203822A (ja) 二次電池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50096288A (ko)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EP421327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087182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KR102669086B1 (ko) 이차 전지
KR20230101248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