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398A -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 Google Patents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398A
KR20190084398A KR1020180002106A KR20180002106A KR20190084398A KR 20190084398 A KR20190084398 A KR 20190084398A KR 1020180002106 A KR1020180002106 A KR 1020180002106A KR 20180002106 A KR20180002106 A KR 20180002106A KR 20190084398 A KR20190084398 A KR 20190084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wind
discharge
discharge ring
mov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540B1 (ko
Inventor
정인호
장성운
이희용
안승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8000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전면에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상기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바람이 토출되는 유로를 공유하면서도,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진 및 측면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Air-Conditioner having dual outlet}
본 발명은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을 전면 또는 측면으로 이원화하여, 필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진 및 측면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이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온도가 저하된 찬 공기를 실내로 재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방 및 제습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에어컨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벽에 부착시키는 벽부착형과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과 실내의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써 설치되는 스탠드형 에어컨 등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종래 본 출원인이 출원한 스탠드형 에어컨이 등록특허공보 제10-0820882호( '스탠드형 에어컨')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탠드형 에어컨은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어, 본체의 전면으로만 바람이 토출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바람의 방향은 토출구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에 의해서만 제어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바람이 직접 인체에 닿는 것을 싫어하는 사용자에게는 큰 불편함으로 초래하며, 다양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에어컨의 토출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유로를 공유하면서도,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진 및 측면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에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상기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그릴이 형성된 측면 토출링; 상기 토출유로 내에 배치되는 무빙커버; 상기 무빙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직진풍 구동부; 상기 측면 토출링을 회전시켜 상기 그릴을 개폐하는 측면풍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직진풍 구동부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어 직진풍이 토출되고, 상기 측면풍 구동부에 의해 상기 측면 토출링이 회전하면, 상기 그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람이 토출되는 유로를 공유하면서도,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진 및 측면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측면풍이 토출될 때에는 무빙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모든 바람이 토출구의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측면을 통해 찬공기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의 적용이 가능한 에어컨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측면풍 가이드 홈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본체 내부의 주요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전면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 및 도 6의 무빙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마운팅 무빙커버와 커버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5 및 도 6의 직진풍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5 및 도 6의 무빙커버 내에 고정링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회전 링크와 링크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무빙커버와 직진풍 구동부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5 및 도 6의 측면 토출링과 제1그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측면 토출링과 제1그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고정 토출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도 16의 고정 토출링의 외측에 회전 토출링이 조립된 상태의 상시도 및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회전 토출링의 회전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5 및 도 6의 전면패널과 팬가드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제1그릴부와 제2그릴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제1그릴부와 제2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한 전면패널에 측면풍 구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에 적용 가능한 에어컨의 외관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에어컨은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는 스탠드형 에어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에어컨의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에 적용 가능한 에어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0)과 무빙커버(200)와 직진풍 구동부(300)와 측면 토출링(400)과 측면풍 구동부(500)와 그릴부(600)를 포함한다.
전면패널(100)에 대한 설명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100)을 도 7에 도시하였다.
전면패널(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0) 상측의 전면을 이루는 패널이며, 전면패널(100)의 양측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전면패널(100)의 양측은 곡면을 이룬다.
이러한 전면패널(10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110)는 전면패널(100)에 상, 하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빙커버(200)와 직진풍 구동부(300)와 측면 토출링(400)과 그릴부(600) 등은 전면패널(100)에 각각 상, 하에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하기에서는 상, 하에 마련된 두 개의 부품 중 하나의 부품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110)는 전, 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특히, 토출구(110)는 전면패널(1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는 돌출되지 않으며, 전면패널(10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면패널(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끝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제1림(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림(151)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제2림(15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림(151)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가 노출되는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의 양측에는 각각 제1체결보스(15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림(152)에는,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림(152)로부터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리브(15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림(152)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볼록부(152a)에 의해 리브(152b)의 내측이 지지되어 있다. 즉, 볼록부(152a)의 외면에 리브(152b)가 고정되어 있으며, 리브(152b)의 끝단은 볼록부(152a)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측면풍 구동부(500)가 180도 간격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 리브(152b) 등은 두 개로 구성되어 180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토출구(110)의 일측에는 토출구(110)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풍 가이드 홈(1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0)가 형성된 전면패널(100) 상에 형성되어 있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은 본체(1000)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103)에서 보아도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보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본체(1000)의 측면으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7과 같이 전면패널(100)의 양측은 절곡되어 본체(1000)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어 있고, 측면풍 가이드 홈(130)은 전면패널(100)의 곡면을 이루는 부분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본체(1000)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103)에서 보아도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풍 가이드 홈(13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131)과 제2면(132)과 제3면(1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면(131)은, 토출구(110)의 어느 지점의 내벽면으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곡면을 이룬다.
제2면(132)은, 제1면(13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면(131)과 간격을 둔 토출구(110)의 내벽면으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곡면을 이루고, 제1면(131)과 대칭을 이룬다.
제3면(133)은, 제1면(131)과 제2면(132)을 수직하게 잇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3면(133)과, 제1면(131)의 일단에서 타단을 잇는 면이 이루는 각은 120° 이상인 것이 측면풍의 직진성 및 최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3면(133)과, 제2면(132)의 일단에서 타단을 잇는 면이 이루는 각은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의 형상을, 제3면(133)과 제1면(131) 또는 제3면과 제2면(132)이 이루는 각이 120°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풍향의 직진성 및 최대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측면풍 가이드 홈(130)의 깊이는, 측면 토출링(400)이 전면패널(100)의 전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면풍 가이드 홈(130)의 깊이는, 도 4와 같이 측면 토출링(400) 중 외측에 배치되는 회전 토출링(450)의 제2그릴(451)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에 의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면풍 가이드 홈(130)은 원형의 토출구(110) 양측에 각각 토출구(110)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0)의 전면에서 봤을 때 각 측면풍 가이드 홈(130)의 크기는, 토출구(110)의 크기의 약 1/10 ~ 1/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0)의 측면에서 봤을 때 측면풍 가이드 홈(130)의 깊이는, 본체(1000) 측면(103) 전체 가로 길이의 1/6 ~ 1/8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토출구(110)를 통하여 바람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본체(1000)의 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직진풍을 구현할 수 있고, 측면풍 가이드 홈(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람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본체(1000)의 측면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측면풍을 구현할 수 있다.
무빙커버(200)에 대한 설명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커버(200)를 도 8에 도시하였다.
토출구(110) 내에 배치되는 무빙커버(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10)와 커버본체(220)와 마운팅 무빙커버(230)를 포함한다.
덮개(2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에 디스플레이부(219)가 안착되어 있다.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덮개(210)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홀을 통하여 덮개(210) 후면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부(219)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210)는 원판 형상이다.
이러한 덮개(210)의 후면에는 다수 개의 후크(212)와 다수 개의 걸림부(21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210)의 후면 가장자리 내측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장부(211)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후크(212)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212)는 연장부(211)에 홈(212a)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212a)의 일측은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2d)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홈(212a)의 타측에는 돌기(212b, 212c)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12b, 212c)는 홈(212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1돌기(212b)와, 제1돌기(212b)로부터 연장되며 홈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돌기(212c)를 포함하여, '기역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크(212)는 연장부(211)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곱 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후크(212)가 배치되는 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다. 즉, 각각의 후크(212)에 형성된 경사면(212d)과 돌기(212b, 212c)가 배치되는 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다.
또한, 덮개(210)의 후면에는 연장부(211)와 인접하게 제2체결용 보스(213)가 마련되어 있다. 제2체결용 보스(213)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체결용 보스(227)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용 보스(213)는 덮개(2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스본체(213a)와, 보스본체(213a)와 연장부(211)를 연결하는 보강리브(213b)를 포함한다.
보스본체(213a)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수단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보스본체(213a)가 배치된 측의 연장부(211)에는 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장부(211)에 형성된 홈(211a)을 통하여 연장부(211)의 외측에서 보스본체(213a)의 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후크(212)의 내측으로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다수 개의 걸림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214)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2결속부(237)가 걸릴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다.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걸림부(214)는, 각각 개방된 면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212)의 경사면이 형성된 방향과, 걸림부(214)의 개방된 면이 형성된 방향이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212)의 경사면이 형성된 방향과, 걸림부(214)의 개방된 면이 형성된 방향은 반시계방향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14)는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본체(2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면패널(100)의 토출구(110) 내에 배치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0) 내에 배치되는 고정 토출링(410)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본체(2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무빙커버 몸체부(221)와, 전, 후면이 개방된 나팔 형상의 무빙커버 둘레부(223)를 포함한다.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개방된 전, 후면 중 후면이 무빙커버 몸체부(221)에 끼워진 형태이며, 이로써 무빙커버 몸체부(221)는 일부분이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본체(220)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결속부(226)가 마련되어 있다.
제1결속부(226)는,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212)가 일곱 개이므로 제1결속부(226)도 일곱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결속부(226)는 후크(212)에 잘 걸릴 수 있도록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내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다가 어느 일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기역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다수 개의 제1결속부(226)가 배치되는 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며, 특히 후크(212)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다.
또한, 커버본체(220)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제1체결용 보스(22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용 보스(227)는 무빙커버 둘레부(223) 내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빙커버 덮개 장착구조를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덮개(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크(212)에 제1결속부(226)가 걸림으로써, 덮개(210)와 커버본체(220)가 가결합된다. 이때, 덮개(210)의 걸림부(214)에는 마운팅 무빙커버(230)의 제2결속부(237)가 걸리는데,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마련되는 제2결속부(237)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1체결용 보스(227)와 제2체결용 보스(213)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덮개(210)와 커버본체(220)가 완전히 결합된다.
한편,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내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222)는 지지부(222a)와 돌기부(222b)를 포함한다.
지지부(222a)는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내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2b)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22a)에 지지되어 있다.
하나의 돌기부(222b)는 서로 간격을 둔 두 개의 지지부(222a)에 의해 지지되며, 이렇게 돌기부(222b)가 지지부(222a)에 지지됨으로써,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내면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22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마운팅 무빙커버(23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220) 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운팅 무빙커버(2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와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를 포함한다.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는 원통형이며, 후면이 개방되어 있다.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전면에는 전선 등이 삽입되는 홀(231a)이 형성되어 있다.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개방된 후면 둘레에는 링크 힌지(370)가 안착되는 링크힌지 안착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힌지 안착부(232)는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후면 둘레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링크힌지 안착부(232)는 제1안착홈(232a)과 제2안착홈(232b)과 삽입돌기(232c)를 포함한다.
제1안착홈(232a)은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둘레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안착홈(232b)은 제1안착홈(232a) 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안착홈(232a) 보다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삽입돌기(232c)는 제2안착홈(232b) 내에 돌출되어 있으며, 삽입돌기(232c)에는 체결수단의 체결수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돌기(232c)의 둘레를 따라 삽입돌기(232c)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232d)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는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전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에는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장착부(2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236)는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에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236)가 무빙커버 둘레부(223)의 내면에 장착된다.
또한, 장착부(236)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제2결속부(237)가 마련되어 있다. 제2결속부(237)는 걸림부(214)에 걸리는 부품이므로 걸림부(2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2결속부(237)는 걸림부(214)에 잘 걸릴 수 있도록 장착부(236)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다가 어느 일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기역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결속부(23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10)와 커버본체(220)의 결합시 덮개(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크(212)에 제1결속부(226)가 걸리고, 걸림부(214)에 제2결속부(237)가 걸림으로써, 덮개(210)와 커버본체(220)가 가결합된다. 이렇게 가결합된 상태에서, 제1체결용 보스(227)와 제2체결용 보스(213)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덮개(210)와 커버본체(220)가 완전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덮개(210)와 커버본체(220)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므로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덮개(2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부(219)의 A/S시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팅 무빙커버(23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무빙커버 둘레부(235)가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전면 외측에 끼워지고,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가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외면과 무빙커버 몸체부(221) 내면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외면과 무빙커버 몸체부(221) 내면 사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 링크(310)의 제1원통부(311)가 배치된다.
직진풍 구동부(300)에 대한 설명
직진풍 구동부(300)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였다.
직진풍 구동부(30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무빙커버(2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직진풍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진풍 구동부(300)는 고정 링크(310)와 회전 링크(330)와 회전수단(350)과 링크 힌지(370)를 포함한다.
고정 링크(310)는 직선 가이드 홈(312a)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링크(3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311)와 제2원통부(312)와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311)는 전,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제2원통부(312)는, 전,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제1원통부(311)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제1원통부(311)의 내면과 제2원통부(312)의 외면 사이에는 도 11과 같이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제1원통부(311)와 제2원통부(312) 사이의 공간은 무빙커버(200)의 마운팅 무빙커버(230)가 안착되는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가 된다.
제1원통부(311)와 제2원통부(312)는 도 10과 같이 후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311)의 후면 내측둘레와 제2원통부(312)의 후면 외측둘레가 연결면(3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제2원통부(312)에는 도 1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의 직선 가이드 홈(31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 가이드 홈(312a)은 제2원통부(312)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2원통부(312)에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홈(312a)은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직선 가이드 홈(312a)과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 일부분은 고정 링크(310)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직선 가이드 홈(312a)이 배치된 부분의 연결면(313)에는, 도 10과 같이 직선 가이드 홈(312a)과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 일부분이 후방으로 개방된 개방홀(3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311)의 전방측 외면 둘레를 따라 외면과 이격하도록 둘레면(315)이 마련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둘레면(315)은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둘레면(315)의 사이 사이가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가 되며,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는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가 배치된 제1원통부(311) 외면 둘레에는,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에 가이드돌기(222)가 삽입될 때 견고한 삽입을 위하여, 고정돌기(316)가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링크(310)의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에 도 8의 커버본체(220) 가이드돌기(222)가 삽입됨으로써, 커버본체(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22)가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 링크(310)는, 도 9와 같이 커버본체(220)와 마운팅 무빙커버(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본체(220)의 후방에서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돌기 삽입부(315a)에는 무빙커버 몸체부(221)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2)가 삽입된다.
이렇게, 커버본체(220)와 마운팅 무빙커버(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링크(310)가 커버본체(220)의 후방에서 삽입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커버 몸체부(221) 내면과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의 외면 사이에는 고정 링크(310)의 제1원통부(311)가 배치되고, 고정 링크(310)의 제1원통부(311) 내면과 제2원통부(312) 외면 사이의 공간인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에는 마운팅 무빙커버 몸체부(231)가 배치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가이드 홈(312a) 측에는 마운팅 무빙커버(230)의 링크힌지 안착부(232)가 배치되며, 링크힌지 안착부(232)는 연결면(313)에 형성된 개방홀(313a)에 의해 고정 링크(31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무빙커버(200) 내에 장착된 상태의 고정 링크(3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의 전방에 장착된다.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는 도 5에 도시함)
회전 링크(330)는 나선 가이드 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링크(3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링크(33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이고, 회전 링크(330)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의 나선 가이드 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가이드 홈(331)은, 회전 링크(330)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는 링크 힌지(370)가 회전 링크(33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링크(330)에는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기어(3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링크(330) 후방측의 내면 둘레를 따라 기어(333)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333)가 형성된 부분의 둘레(333a)는 내구성을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링크(330)의 내면에 기어(333)가 형성되어 있는 둘레면(333a)은 회전 링크(330)의 외면에서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 링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50)은 하기에서 설명할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 배치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 배치되는 회전수단(350)은, 회전링크 회전모터(351)와, 회전링크 회전모터(351)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1모터기어(3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수단(350)은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수단(350)이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 배치되는 구조는 하기의 제1그릴부(61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 힌지(370)는 회전 링크(33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나선 가이드 홈(3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직선 가이드 홈(312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고정 링크(3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체결수단 등으로 체결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 힌지(37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힌지 장착부(371)와 힌지축부(375)를 포함한다.
링크힌지 장착부(371)는 회전 링크(330) 외측에 배치되고,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힌지 장착부(371)는 도 12와 같이 개방홀(313a)을 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마운팅 무빙커버(230)의 링크힌지 안착부(232)에 장착되며, 링크힌지 장착부(371)가 장착된 상태는 도 13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힌지 장착부(371)는 도 10과 같이 장착면(372)과 측면부(373a~373c)를 포함한다.
장착면(372)은 사각판 형상이고,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37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힌지(370)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측면부(373a~373c)는, 장착면(372)의 둘레를 따라 장착면(372)을 감싸며 마련되어 있고, 장착면(372)의 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착면(372)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측면부(373a~373c)는 네 개의 면을 가진다. 측면부(373a~373c)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한 쌍의 양측면(373a)은 일단면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부(373a~373c)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한 쌍의 양측면(373b, 373c)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진다.
이렇게, 측면부(373a~373c)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한 쌍의 양측면(373b, 373c) 중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면(373b)에는 힌지축부(375)가 면(373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축부(375)는 회전 링크(330)의 외측에서 나선 가이드 홈(331)으로 삽입 가능하다.
힌지축부(375)는 링크힌지 장착부(371)의 어느 일면(373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선 가이드 홈(331)과 직선 가이드 홈(312a)으로 동시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 가이드 홈(331)을 따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직선 가이드 홈(312a)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힌지축부(375)에는, 힌지축부(375)가 나선 가이드 홈(331)으로 삽입될 때 나선 가이드 홈(331) 내측으로 더이상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376)가 마련되어 있다. 즉, 간격유지부(376)는 힌지축부(375)가 돌출된 면(373b)과 가깝게 배치되되, 면(373b)과 완전히 맞닿지는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간격유지부(376)는 힌지축부(375)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부(37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면(373b)에는, 어느 일변에 홈(37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73d)은, 도 13과 같이 회전 링크(330)에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홈(312a)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링크 힌지(370)는, 도 12와 같이 고정 링크(310)의 후방에 형성된 개방홀(313a)을 통하여 마운팅 무빙커버 안착부(317) 내로 삽입된다. 이때, 힌지축부(375)는 도 13과 같이 직선 가이드 홈(312a)과 나선 가이드 홈(351)으로 차례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링크(310)의 개방홀(313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링크힌지 장착부(371)의 체결공(371a)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링크 힌지(370)가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힌지(370)는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어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링크 힌지(370)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링크 힌지(370)의 반복적인 운전에 의해 파손, 마모 등이 발생할 경우 고정 링크(310)의 개방홀(313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링크 힌지(370) 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가 용이하고,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무빙커버(200)의 작동에 대한 설명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덮개(210)와 커버본체(220)와 마운팅 무빙커버(230)을 포함하는 무빙커버(200)는 직진풍 구동부(300)에 의해 본체(10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그릴부(610)의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 장착된 회전수단(350)의 제1모터기어(353)는 회전 링크(330)의 내면에 형성된 기어(333)와 치합되어 있음에 따라, 회전수단(350)의 구동에 의해 회전 링크(330)가 고정 링크(310) 내에서 회전한다.
회전 링크(330)가 회전하면, 링크 힌지(370)는 일부가 나선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어 있어 나선 가이드 홈(331)을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일부가 직선 가이드 홈(312a)에 삽입되어 있어 직선 가이드 홈(3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링크(330)의 회전 운동이 나선 가이드 홈(331)과 직선 가이드 홈(312a)에 의해 링크 힌지(37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링크 힌지(370)는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링크 힌지(370)의 직선 운동은 마운팅 무빙커버(230)에 전달되며, 덮개(210)와 커버본체(220)와 마운팅 무빙커버(230)는 조립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무빙커버(200)를 직진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수단(350)의 구동에 의해 회전 링크(330)가 회전하면, 회전 링크(330)의 회전 운동이 나선 가이드 홈(331)과 직선 가이드 홈(312a)을 통하여 링크 힌지(37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무빙커버(200)를 본체(1000) 토출구(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직진풍 구동부(30)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도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빙커버(200)를 본체(1000)의 전후방향으로 쉽고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측면 토출링(400)에 대한 설명
측면 토출링(400)를 도 16에 도시하였다.
측면 토출링(400)은 본체(1000)에 마련되며, 측면 토출링(400)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면 토출링(400)에는 토출유로(410a)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그릴(416, 4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토출링(400)은 도 14와 같이 토출구(110) 내에 배치되되, 전면패널(100)의 전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전면패널(100)에는 측면 토출링(400)이 삽입되는 깊이만큼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 토출링(400)은 고정 토출링(410)과 회전 토출링(4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토출링(410)은 본체(1000)에 고정되고, 제1그릴(4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토출링(41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와, 전, 후면이 개방된 나팔 형상의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를 포함하며,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의 후단이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의 전단과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 토출링(410)의 개방된 전, 후면과 내부공간이 토출유로(410a)가 되며, 도 14와 같이 토출유로(410a) 내에는 무빙커버(200)가 배치된다.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의 외면에는 도 16과 같이 제2체결보스(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체결보스(412)는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체결보스(412)는 외면 둘레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에는, 도 16과 같이 전면패널(100)의 측면풍 가이드 홈(130) 측으로 배치되는 제1그릴(416)이 마련되어 있다. 즉, 고정 토출링(410)이 토출구(110) 내에 안착될 때 제1그릴(416)은 측면풍 가이드 홈(130) 측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1그릴(416)은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을 길게 형성되는 홀 다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그릴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제1그릴(416)은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의 전단 둘레를 따라 도 17과 같이 외측으로 절곡된 토출링 걸림부(417)가 형성되어 있는데, 토출링 걸림부(417)는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이 걸릴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와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가 연결된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부(414a, 4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부(414a, 414b)는, 도 18과 같이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도 18 상에서는 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높낮이가 다른 구간을 가진다. 즉, 고정 토출링(410)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구간의 단차부(414a)와, 고정 토출링(410)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구간의 단차부(414b)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 외면에 형성된 제2체결보스(412)를 기준으로 하여 제2체결보스(412)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414a, 414b)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와 같이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에 네 개의 제2체결보스(412)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차부(414a 또는 414b)의 높이가 서로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토출링(410)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구간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단차부(414a)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고정 토출링(410)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구간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단차부(414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 토출링(410)의 토출유로(410a) 내에 무빙커버(200)가 배치될 때 도 14와 같이 커버본체(220)의 전단 외측둘레는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 내측둘레와 맞닿는다. 즉, 무빙커버(200)의 전단 가장자리와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 가장자리가 밀착된 상태이다.
회전 토출링(450)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토출링(410)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그릴(4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토출링(450)이 고정 토출링(410)의 전측에 배치되고, 고정 토출링(410)의 후측은 제1그릴부(61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은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 토출링(450)의 후단은 제1그릴부(610)의 전단에 의해 지지된다. 즉,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은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에 형성된 토출링 걸림부(417) 내에 끼워지고, 회전 토출링(450)의 후단은 제1그릴부(610)의 전단에 형성된 토출링 안착부(618) 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될 때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과 후단은 토출링 걸림부(417)와 토출링 안착부(618)에 의해 각각 가이드 된다.
이러한 회전 토출링(450)에는, 도 16과 같이 고정 토출링(410) 외측에 배치될 때 고정 토출링(410)에 형성된 제1그릴(4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그릴(45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그릴(451)은 전후방향을 길게 형성되는 홀 다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그릴 형상을 이루며, 회전 토출링(4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 토출링(450)에는, 회전 토출링(450)을 회전시키기 위한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와 치합하는 기어부(45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어부(456)는 회전 토출링(4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파손, 마모가 잦은 기어부(456)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토출링(450)과는 별개의 부재(455)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어부(456)는 회전 토출링(450)의 후면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어부(456)는, 회전 토출링(450)의 회전각도와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개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토출링(450)의 양측에 형성된 제2그릴(451) 사이 사이에 기어부(45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회전 토출링(450)에는 단차부(414b)에 걸리는 스토퍼(457)가 형성된다.
스토퍼(457)는, 단차부(414b)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회전 토출링(450)의 후면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다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형태로 '기역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457)는, 회전 토출링(450)의 후면 둘레에서 기어부(45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토퍼(457)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토출링(410)에 형성된 단차부(414a, 414b)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구간의 단차부(414b)에 걸리게 되면,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이 토출링 걸림부(417)에 끼워진다.
이와 반대로, 스토퍼(457)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구간의 단차부(414a)에 걸리게 되면,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이 토출링 걸림부(417)에 끼워지지 않고 들뜨게 됨으로서, 고정 토출링(410)와 회전 토출링(45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할 때 스토퍼(457)가 제2체결보스(412)에 맞닿으면 회전 토출링(450)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회전 토출링(450)이 어느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457)가 제2체결보스(412)에 부딪혀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측면풍 구동부(500)의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모터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측면풍 구동부(500)에 대한 설명
측면풍 구동부(500)를 도 23에 도시하였다.
측면풍 구동부(500)는 측면 토출링(400)을 작동시켜 측면풍을 구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풍 구동부(500)는, 도 20과 같이 회전 토출링(450)의 제2그릴(451)과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이 선택적으로 일치되도록 회전 토출링(450)을 회전시켜, 제2그릴(451)이 제1그릴(416)과 맞닿거나 어긋나도록 한다.
측면풍 구동부(500)는 회전 토출링(450)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풍 구동부(500)는, 도 24와 같이 180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측면풍 구동부(500)가 배치되는 그릴 본체부(611)가 원형임에 따라, 두 개의 측면풍 구동부(500)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토출링(450)을 회전시키는 측면풍 구동부(500)가 회전 토출링(450)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되어 있어, 낮은 토크의 스텝모터로도 회전 토출링(45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재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풍 구동부(50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링 회전모터(531)와,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2모터기어(5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풍 구동부(500)를 본체(1000)의 전면패널(10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브라켓(550)은 제2모터기어(533)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회전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브라켓(550)은 브라켓 본체부(551)와 브라켓 장착부(555)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부(551)는, 내부에 제2모터기어(533)의 절반이 내장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 본체부(551)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모터기어(533)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면(551a, 551b)과, 한 쌍의 면(551a, 551b)을 잇는 연결면(551c)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면(551a, 551b)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면(551c)은 한 쌍의 면(551a, 551b)의 원주를 잇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부(551)의 일면에는,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회전축이 안착되는 회전축 안착홈(55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면(551a, 551b) 중 어느 하나의 제3면(551b)에 회전축 안착홈(5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551)의 연결면(551c) 상에는, 전면패널(100)의 리브(152b)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551d)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장착부(555)는 브라켓 본체부(55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릴 둘레부(615)에 형성된 제3체결보스(617)와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브라켓(550)의 브라켓 본체부(551) 내에는 제2모터기어(533)의 절반이 내장되고, 절반은 브라켓 본체부(551)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또한, 토출링 회전모터(531)는 브라켓 본체부(551)의 일면(551b) 외측으로 배치되며, 브라켓 본체부(551)의 일면(551b)에 장착된다. 이때,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회전축은 회전축 안착홈(552)에 안착된다.
이렇게, 토출링 회전모터(531)의 회전축이 회전축 안착홈(552)에 안착될 때 회전축을 감싸는 보스(557)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링 회전모터(531)는 장착브라켓(550)의 일면(551b)으로부터 이격하게 장착됨으로써, 토출링 회전모터(53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브라켓(550)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장착부(555)가 전면패널(100) 제1림(151)의 후면에 장착되고, 브라켓 본체부(551)의 면(551a, 551b) 중 외측에 토출링 회전모터(53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551a)이 그릴 본체부(611)의 외면과 맞닿는다.
이때, 그릴 본체부(611)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착브라켓(550)의 그릴 본체부(611)와 맞닿는 면(551a)은, 그릴 본체부(611)의 원주를 따라 이에 대응하도록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브라켓(550)이 전면패널(100)의 후면에 장착될 때 장착브라켓(55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브라켓(550)에 의해 측면풍 구동부(500)가 전면패널(100)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가 회전 토출링(450)에 형성된 기어부(456)와 치합하는 구조는 하기의 제1그릴부(6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 토출링(400)의 작동에 대한 설명
도 24에 도시한 전면패널(100)의 제1림(151)에 장착된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토출링(450)의 기어부(456)는 제2모터기어(533)와 치합되어 있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7과 같이 회전 토출링(450)의 전단과 후단은 토출링 걸림부(417)와 토출링 안착부(618)에 의해 각각 가이드 되며 회전한다.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여 제2그릴(451)이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과 맞닿으면, 제1그릴(416) 및 제2그릴(451)을 통하여 바람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으로 토출된다.
이와 반대로, 회전 토출링(450)의 제2그릴(451)이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과 어긋나도록 배치되면, 고정 토출링(410)에 형성된 제1그릴(416)은 회전 토출링(450)의 내벽면에 의해 가로막혀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토출구(110)와 연통하지 않고 단절된다.
그릴부(600)에 대한 설명
그릴부(600)를 도 21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부(600)는 제1그릴부(610)와 제2그릴부(650)를 포함하고, 제1그릴부(610)는 제2그릴부(650)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그릴부(610)는 전면패널(100)의 토출구(110)에 장착되어 있고, 제2그릴부(650)는 전면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팬가드 프레임(67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그릴부(61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그릴 본체부(611)와, 그릴 본체부(611)의 전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전방으로 연장된 그릴 둘레부(615)를 포함한다.
그릴 둘레부(615)의 전단 둘레를 따라 회전 토출링(450)의 후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토출링 안착부(618)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릴 본체부(611)에는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보스(412)와 대응하도록 체결부(612)가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612)는 그릴 본체부(61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부(612) 내측에 제2체결보스(412)가 안착되고, 후방에서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고정 토출링(410)과 제1그릴부(610)가 조립된다.
그릴 본체부(611)의 후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1블레이드(613)로 이루어진 그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1블레이드(613)는 그릴 본체부(611) 중앙에 마련된 회전수단 안착부(614)로부터 그릴 본체부(611)의 내측면까지 연결되는데, 일방향으로 굴곡을 가지면서 연결되어 있다.
제1그릴부(610)를 이루는 제1블레이드(613)의 수직단면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그릴부(610)의 전후방향과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블레이드(613)는 그릴 본체부(611)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릴 본체부(611) 중앙에 마련된 회전수단 안착부(614)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는 회전 링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5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회전수단 안착부(614) 내에 배치되는 회전수단(350)이 전방에 배치되는 회전 링크(330)에 형성된 기어(333)와 치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수단 안착부(614)의 측면 둘레에 제1모터기어 노출홈(614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모터기어 노출홈(614a)은 두 개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1모터기어(353)는 각 제1모터기어 노출홈(614a)을 통하여 제1그릴부(610) 내측으로 일부분이 노출된다.
한편, 그릴 둘레부(615)에 장착되는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가, 회전 토출링(450)에 형성된 기어부(456)에 치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릴 둘레부(615)에는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릴 둘레부(615)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은 전면패널(100)의 제1림(151)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풍 구동부(500)는 그릴 둘레부(615)에 180도 간격으로 두 개가 마련됨에 따라, 그릴 둘레부(615)에 180도 간격으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의 양측에는, 측면풍 구동부(500)의 장착을 위한 제3체결보스(6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면패널(100)의 후면에 장착되는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는, 전면패널(100)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과 그릴 둘레부(615)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1그릴부(6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토출링(450)의 기어부(456)와 치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그릴부(61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0)의 전방에서 토출구(110) 내로 삽입되며, 이때 토출구(110)의 후면 둘레에 그릴 둘레부(615)의 전면 둘레가 안착된다. 따라서, 전면패널(100)에 장착된 상태의 제1그릴부(610)는 전면패널(100)의 후방으로 더 돌출된다.
도 21과 같이 전면패널(100)에 제1그릴부(6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고정 토출링(410)가 전면패널(100)의 전방에서 토출구(110) 내로 삽입되며, 이때 도 17과 같이 고정 토출링 몸체부(411) 외면은 제1그릴부(610)의 그릴 둘레부(615) 내면에 밀착되고, 고정 토출링 둘레부(415)를 감싸며 배치되는 회전 토출링(450)의 외면은 토출구(110) 내벽면에 밀착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릴 본체부(611)의 체결부(612) 내측에는 고정 토출링(410)의 제2체결보스(412)가 안착되고, 제1그릴부(610)의 후방에서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고정 토출링(410)와 제1그릴부(610)가 결합된다.
또한, 전면패널(100)의 후면에 장착된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 일부분은, 도 21에 도시한 전면패널(100)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과, 도 23에 도시한 그릴 둘레부(615)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을 차례로 관통하여,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토출링(450)에 형성된 기어부(456)와 치합한다.
나아가, 전면패널(100)의 제2림(152)에 형성된 리브(152b)는, 도 24와 같이 장착브라켓(550)에 형성된 리브삽입홈(551d)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장착브라켓(550)은 제1그릴부(610)와 맞닿는 면이 제1그릴부(610)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1차로 장착브라켓(55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장착브라켓(550)의 리브 삽입홈(551d)에 전면패널(100)의 리브(152b)가 삽입됨으로써, 2차로 장착브라켓(55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그릴부(65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팬가드 프레임(670)에 장착되어 있다.
원형의 제2그릴부(650)에는 중앙에 모터 안착부(465)가 마련되어 있고, 모터 안착부(465)에 안착되는 모터의 회전축에는 도 6에 도시한 송풍팬(700)이 장착된다.
또한, 제2그릴부(650)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2블레이드(651)에 의해 그릴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제2블레이드(651)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 안착부(465)로부터 제2그릴부(650)의 둘레면까지 연결되어 있고, 일방향으로 굴곡을 가지면서 연결되어 있다.
제2그릴부(650)를 이루는 제2블레이드(651)의 수직단면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그릴부(650)의 전후방향에 대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블레이드(651)는 제2그릴부(650)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고,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데 곡률을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2블레이드(651)의 수직단면은 제2그릴부(6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곡률을 가진다.
이러한 제2그릴부(650)는 제1그릴부(610)의 후방에 배치되는데, 이때 제2블레이드(651)의 전면은 제1블레이드(613)의 후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613)와 제2블레이드(651)의 수직단면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은 제2블레이드(651)와 제1블레이드(61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토출구(110) 내의 그릴부(600)를 제1그릴부(610)와 제2그릴부(650)으로 이원화하여, 풍량 증대 및 풍향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토출구(110) 내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제2그릴부(650)를 이루는 제2블레이드(651)의 수직단면은, 제2그릴부(650)의 전후방향에 대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풍량 증대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토출구(110) 내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제1그릴부(610)를 이루는 제1블레이드(613)의 수직단면은, 제1그릴부(610)의 전후방향과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풍향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직진풍과 측면풍의 구현에 대한 설명
직진풍과 측면풍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는 도 1과 같으며, 무빙커버(200)가 토출구(110)의 내측에 위치하고, 덮개(210)가 전면패널(100)의 전면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한다.
본체(1000) 내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토출링(410) 내에는 무빙커버(200)가 배치되는데, 커버본체(220)의 전단 둘레는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 둘레와 맞닿아 밀착된 상태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토출링(410) 외측에 배치된 측면 토출링(400)의 제2그릴(451)은 측면풍 가이드 홈(130) 측으로 배치되지 않고, 제1그릴(416)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토출링(410)에 형성된 제1그릴(416)은 회전 토출링(450)의 내벽면에 의해 가로막혀 측면풍 가이드 홈(130)이 토출구(110)와 연통하지 않고 단절된다.
직진풍을 구현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커버(200)가 토출구(1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10)가 개방된다. 즉, 덮개(210)가 전면패널(100)의 전면에서 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무빙커버(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직진풍 구동부(300)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3에 도시한 제1그릴부(610)에 장착된 회전수단(350)의 제1모터기어(353)가, 도 16에 도시한 제1모터기어 노출홈(614a)을 통하여 도 10에 도시한 회전 링크(330)의 기어(333)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수단(350)이 구동함에 따라, 회전 링크(330)가 고정 링크(31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 링크(330)가 회전하면, 일부가 나선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어 있는 링크 힌지(370)가 나선 가이드 홈(331)을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일부가 직선 가이드 홈(312a) 내에 삽입되어 있는 링크 힌지(370)는 직선 가이드 홈(3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링크(330)의 회전 운동이 나선 가이드 홈(331)과 직선 가이드 홈(312a)에 의해 링크 힌지(37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링크 힌지(370)가 회전 링크(33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 링크(33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커버(200)가 토출구(110)의 전방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토출구(110)가 개방된다.
이렇게, 무빙커버(20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방된 토출구(110)를 통하여 바람이 직진풍으로 토출된다.
측면풍을 구현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커버(200)가 토출구(110)의 내측에 위치하고, 덮개(210)가 전면패널(100)의 전면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여 토출구(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측면풍 가이드 홈(130)에 의해 바람이 가이드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10)의 전방으로 이동한 무빙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무빙커버(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작동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회전수단(350)이 상기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구동하여, 회전 링크(330)가 역회전함으로써, 링크 힌지(370)가 회전 링크(33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 링크(33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빙커버(200)가 토출구(110)의 후방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토출구(110)의 전면이 폐쇄된다.
이렇게 무빙커버(200)의 덮개(210)에 의해 토출구(110)의 전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여, 도 20과 같이 회전 토출링(450)의 제2그릴(451)이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측면 토출링(400)의 회전 토출링(450) 회전은 측면풍 구동부(500)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4에 도시된 전면패널(100)의 후면에 장착된 측면풍 구동부(500)의 제2모터기어(533)는, 도 7에 도시된 전면패널(100)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151a)과, 도 23에 도시된 그릴 둘레부(615)에 형성된 제2모터기어 노출홈(616)을 차례로 관통하여, 도 16에 도시된 회전 토출링(450)의 기어부(456)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풍 구동부(500)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여 도 20과 같이 제2그릴(451)이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과 맞닿으면, 제1그릴(416) 및 제2그릴(451)을 통하여 바람이 배출되고, 측면풍 가이드 홈(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측면풍으로 토출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220)의 전단 둘레는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 둘레와 맞닿아 밀착된 상태이므로 토출구(110) 내의 모든 바람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빙커버(200)의 전단 가장자리와 고정 토출링(410)의 전단 가장자리가 밀착됨으로써, 모든 바람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어, 측면풍이 토출될 때에도 최대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은, 바람이 토출되는 유로를 공유하면서, 토출구(110)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토출구(1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풍 가이드 홈(130)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이원화된 토출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을 전면 또는 측면으로 이원화하여, 필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진 및 측면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측면풍이 토출될 때에는 무빙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모든 바람이 토출구(110)의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본체의 측면을 통해 찬공기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찬바람이 직접 닿는 것을 싫어하는 소비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풍 토출 시 토출구(110)가 폐쇄된 상태, 즉, 무빙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모든 바람이 측면풍 가이드 홈(130)을 통하여 토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토출구(110) 및 측면풍 가이드 홈(130)을 통하여 본체(1000)의 전면 및 측면으로 동시에 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무빙커버(20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토출구(110)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 토출링(450)이 회전하여 제2그릴(451)이 고정 토출링(410)의 제1그릴(416)과 맞닿도록 배치되면, 토출구(110)와 측면풍 가이드 홈(130)으로 동시에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본체 100 : 전면패널
110 : 토출구 130 : 측면풍 가이드 홈
200 : 무빙커버 210 : 덮개
220 : 커버본체 230 : 마운팅 무빙커버
300 : 직진풍 구동부 310 : 고정 링크
330 : 회전 링크 350 : 구동부
370 : 링크 힌지 400 : 측면 토출링
410 : 고정 토출링 450 : 회전 토출링
500 : 측면풍 구동부 600 : 그릴부
610 : 제1그릴부 650 : 제2그릴부
670 : 팬가드 프레임

Claims (2)

  1. 전면에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직진풍이 토출되거나,
    상기 토출구의 측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그릴이 형성된 측면 토출링;
    상기 토출유로 내에 배치되는 무빙커버;
    상기 무빙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직진풍 구동부;
    상기 측면 토출링을 회전시켜 상기 그릴을 개폐하는 측면풍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직진풍 구동부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어 직진풍이 토출되고,
    상기 측면풍 구동부에 의해 상기 측면 토출링이 회전하면, 상기 그릴을 통하여 측면풍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KR1020180002106A 2018-01-08 2018-01-08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KR10252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06A KR102529540B1 (ko) 2018-01-08 2018-01-08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06A KR102529540B1 (ko) 2018-01-08 2018-01-08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398A true KR20190084398A (ko) 2019-07-17
KR102529540B1 KR102529540B1 (ko) 2023-05-09

Family

ID=6751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06A KR102529540B1 (ko) 2018-01-08 2018-01-08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156A1 (en) 2019-07-12 2021-01-13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1223393A1 (zh) * 2020-07-16 2021-1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293A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293A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4156A1 (en) 2019-07-12 2021-01-13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1223393A1 (zh) * 2020-07-16 2021-1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40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833B2 (en) Air conditioner
KR101409532B1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듀얼 댐퍼 장치
JP6491874B2 (ja) 風向調整装置
KR20150041340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06022129A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2009058145A (ja) 空気調和機
KR20190084398A (ko)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64778A (ko) 공기청정기
KR20190083213A (ko) 에어컨의 측면풍 가이드 구조
KR20190084399A (ko) 측면풍 기능을 갖는 에어컨
KR20190084400A (ko) 에어컨
KR20190083210A (ko) 측면 토출링의 오조립 방지구조
KR20190083209A (ko) 토출구의 이중 그릴 구조
KR20190083212A (ko) 에어컨 무빙커버 덮개 장착 구조
KR20190083208A (ko) 에어컨 무빙커버용 링크 힌지 조립체
KR20190083211A (ko) 측면 구동부 구조
KR101529223B1 (ko)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093764B1 (ko)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KR10125013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747025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90041807A (ko) 공기조화기
CN211345758U (zh) 风道部件及具有其的空调器
WO2022193947A1 (zh) 一种风扇的头部结构及落地风扇
KR2007008027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