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385A -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 Google Patents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385A
KR20190084385A KR1020180002073A KR20180002073A KR20190084385A KR 20190084385 A KR20190084385 A KR 20190084385A KR 1020180002073 A KR1020180002073 A KR 1020180002073A KR 20180002073 A KR20180002073 A KR 20180002073A KR 20190084385 A KR20190084385 A KR 2019008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stirring
truck
fermentation
ag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374B1 (ko
Inventor
박용대
박용수
Original Assignee
형제영농조합법인
박용대
(주)애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영농조합법인, 박용대, (주)애니시스템 filed Critical 형제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00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5F17/02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40Mixers with rotor-rotor system, e.g. with intermeshing teeth
    • B01F7/0085
    • B01F7/00975
    • C05F17/027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가 서로 다른 2축에 교반회전차를 각각 설치하여 2차에 걸쳐 교반해 줌으로써 교반효율을 높임은 물론 교반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해 퇴비입자 사이에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어 호기성 발효조건을 조성하여 발효기간을 단축하고 퇴비의 퇴적을 높게 할 수 있으며, 교반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한 파쇄기능 향상으로 퇴비덩어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하여 발효장 전체의 교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전자동으로 교반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Compost agitator using multiaxial rotator}
본 발명은 퇴비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가 서로 다른 2축에 교반회전차를 각각 설치하여 2차에 걸쳐 퇴비를 교반해 줌으로써 뒤집기와 급기를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퇴비생산 효율을 높이고 퇴비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육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축산농가의 규모가 기업형으로 변하면서 가축분뇨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고, 식품제조 및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2012년부터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법으로 금지됨에 따라 현재 축산분뇨는 대부분 퇴비화 처리하여 퇴비로 활용되고 있는데, 퇴비원료인 가축분뇨 및 유기성 슬러지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어서 퇴비생산 시설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으나, 가축분뇨나 유기성 슬러지는 함수율이 높고 악취가 심하기 때문에 퇴비화 시설에 대한 님비현상 등으로 인하여 시설의 확산 및 증설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가축분뇨나 유기성 슬러지 처리가 점점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퇴비화 시설의 고효율화를 도모해야 하는데, 고효율화를 위해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할 수 있어야 하고, 퇴비의 품질은 향상되어야 하며, 시설 작동을 위한 동력과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자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퇴비화 시설인 퇴비발효기는 크게 밀폐형인 원통형 교반발효기(특허등록 제10-1582908호)와 개방형 교반발효기(특허등록 제10-819778호, 제10-1542884호)로 구분되는데, 밀폐형 발효기는 소규모농가의 가축분뇨 퇴비화에 주로 이용되고,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대단위농가, 가축분뇨 공동처리장 및 전문퇴비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교반(뒤집기) 기능으로 통기성이 확보되어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게 되어 퇴비의 균질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와 로터리 교반발효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는 첫째, 발효장을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레인(lane)으로 구획하고 1레인씩 순차적으로 교반하는 시스템으로 교반회전차가 매 레인을 주행하면서 교반한 후 무부하 상태로 복귀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단일의 블레이드로 교반하기 때문에 교반기능이 부족하며, 교반 발효기의 이송속도가 늦어서 발효장 전체를 교반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단일 블레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길이가 길고 넓어야 하므로, 넓은 블레이드에 의한 스크래핑으로 동력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체인과 스크래퍼의 자중 및 운반해야 하는 퇴비의 무게 등 많은 기구의 마찰로 인해 동력손실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체인과 같은 기구의 많은 부분이 퇴비와 접촉하게 되므로 마찰부분이 많아서 부식과 마모에 의해 기계수명이 짧고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하며, 특히 중장비용 무한궤도 체인을 적용하여 퇴비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체인이 이완되었을 때 체인의 장력 조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퇴비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레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1레인을 교반작업한 후에 무부하 상태로 교반발효기가 시작점으로 복귀하는 싸이클이 길어지고 레인 사이에 이랑(골)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 레인 별로 발효상태가 균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반 레인 결정을 운전자가 그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해 주어야 하므로 자동운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터리 교반발효기는 퇴비발효장 폭 전체를 한꺼번에 교반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에 비해 퇴비 적재높이를 낮게 유지해야 하므로 처리량이 작을 뿐만 아니라 많은 블레이드가 회전하기 때문에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서로 다른 2축에 교반회전차를 각각 설치하여 2차에 걸쳐 교반해 줌으로써 교반효율을 높임은 물론 교반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해 퇴비입자 사이에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어 호기성 발효조건을 조성하여 발효기간을 단축하고 퇴비의 퇴적을 높게 할 수 있으며, 교반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한 파쇄기능 향상으로 퇴비덩어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하여 발효장 전체의 교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전자동으로 교반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의 가축분뇨를 퇴비에 살포해줌으로써 퇴비의 속건성으로 수분부족에 의한 건조화 현상을 방지하고, 가축분뇨의 영양성분을 퇴비에 첨가하여 퇴비의 유효성분을 높여 퇴비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는, 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하부대차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게 되는 하부대차; 하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대차 주행레일 상에서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부대차; 상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프레임; 구동부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모터; 1차 및 2차교반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단부(端部)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회전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대차 및 상부대차는 하부에 각각 4개씩의 바퀴를 구비하며, 각 대차에 설치된 하부대차 구동모터 및 상부대차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장의 길이방향 일측 측벽에는 가축분뇨 저장탱크가 더 설치되고, 하부대차의 일단(一端)에는 가축분뇨 살포펌프가 설치되어, 하부대차의 타단에 설치된 가축분뇨 분사노즐을 통해 교반시킨 퇴비의 상부에 액상의 가축분뇨를 살포해 주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프레임은 일단(一端)이 상부프레임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리프팅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프레임의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교반회전차가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회전축의 길이는 제2회전축의 길이보다 짧아서, 1차교반회전차가 설치된 높이가 2차교반회전차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며, 1차 및 2차교반회전차는 제1 및 제2회전축 양측으로 각각 한 쌍씩의 회전차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회전하면서 퇴비를 교반하게 되는 레인(lane)이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설정되고,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한 후에 하부대차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다음,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교반하면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발효장 전체를 1싸이클(cycle)로 교반하게 되며, 발효장의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할 때 1차교반회전차가 1차로 교반한 퇴비를,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교반할 때는 1차교반회전차가 교반했던 퇴비를 2차교반회전차가 더 깊은 깊이까지 교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는, 높이가 서로 다른 2축에 교반회전차를 각각 설치하여 2차에 걸쳐 교반해 주기 때문에 각 교반회전차에 걸리는 부하가 고르게 안배되어 기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고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교반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퇴비입자 사이에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게 되므로 호기성 발효조건이 더욱 유익하게 조성되어 발효기간이 단축되고, 교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어서 퇴비의 퇴적 높이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교반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한 파쇄기능이 상승되기 때문에 퇴비덩어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반작업을 하기 때문에 교반회전차의 복귀에 따른 불필요한 무부하 동선이 없어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했을 때 1레인 교반작업 후 무부하 상태로 교반회전차가 원점으로 복귀하는 시간이 배제되므로 발효장 전체의 교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전자동으로 교반작업이 가능하다.
또, 퇴비를 교반시킨 후 액상의 가축분뇨를 퇴비에 살포해 주기 때문에 퇴비의 속건성으로 수분부족에 의한 건조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축분뇨의 영양성분이 퇴비에 첨가되어 퇴비의 유효성분을 높여 퇴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퇴비교반기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퇴비교반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퇴비교반기가 교반작업을 끝내고 원점으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효장에서 퇴비교반기의 주행궤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1개의 교반모터를 사용한 퇴비교반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의 기술적 특징은, 높낮이가 서로 다른 2축에 교반회전차를 각각 설치하여 2차에 걸쳐 교반해 줌으로써 교반회전차에 걸리는 부하를 안배하고 교반능력을 향상시켜 발효기간을 단축시키며 퇴적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하여 교반회전차의 복귀시간을 없앰으로써 발효장 전체의 교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는 점과, 액상의 가축분뇨를 퇴비에 살포해줌으로써 퇴비의 건조화 현상을 방지하고 퇴비의 유효성분을 높였다는 점이다.
개방형 교반발효기가 설치된 발효장은 일반적으로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길이방향'이란 발효장의 길이가 긴 방향을 말하며, '폭방향'이란 길이가 짧은 방향을 지칭하고, 다축 회전차에서 '다축'이란 2축 이상의 회전축을 말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공급배관(13)에 형성된 급기노즐(131)을 통해 발효장(10)의 바닥 상부에 퇴적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개방형 퇴비교반기에 적용되며, 공기는 송풍기(11)로부터 급기관(12)을 거쳐 공기공급배관(13)에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퇴비교반기는 하부대차(25), 상부대차(24), 구동부프레임(23), 1차 및 2차교반모터(21, 22),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하게 된다.
하부대차(25)는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옹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하부대차 주행레일(252) 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하부대차(25)의 하부에는 4개의 바퀴(도면부호 미지정)를 구비하며, 하부대차(25)에 설치된 하부대차 구동모터(251)의 구동력에 의해 4륜 구동을 하게 된다. 하부대차 구동모터(251)로부터 4개의 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 기구는 보편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대차(24)는 하부대차(25)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대차 주행레일(242) 상에서 발효장(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부대차(24)의 하부에는 4개의 바퀴(도면부호 미지정)를 구비하며, 상부대차(24)에 설치된 상부대차 구동모터(241)의 구동력에 의해 4륜 구동을 하게 된다. 상부대차 구동모터(241)로부터 4개의 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 기구는 보편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프레임(23)은 상부대차(24)의 상부에 설치된 구성인데, 구동부프레임(23)의 일단(一端)이 상부프레임(24)과 힌지축(231)에 의해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리프팅실린더(232)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프레임(23)의 일측이 힌지축(2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가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며, 발효장(10) 전체를 교반작업 하고 난 다음 퇴비교반기(20)가 시작지점으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적재된 퇴비더미에 회전차가 닿지 않도록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를 들어올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1차 및 2차교반모터(21, 22)는 구동부프레임(23)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회전차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해 주는 구성이다. 1차 및 2차교반모터(21, 22)에는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이 각각 연결되며,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의 단부(端部)의 높이는 서로 다르도록 설치되고,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의 단부(端部)에는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가 각각 설치된다. 1차 및 2차교반모터(21, 22)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 제1 및 제2기어박스(212, 222)를 통해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에 전달하는 기어와 타이밍벨트 등을 사용한 동력전달장치에 대하여는 다양한 기계장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및 2차교반모터(21, 22)는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교반모터(3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교반모터(31)로부터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트레인만 변경하면 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며, 이와 같이 1개의 동력원(모터)으로부터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대하여도 다양한 기계장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회전축(211)의 길이는 제2회전축(221)의 길이보다 짧아서, 1차교반회전차(213)가 설치된 높이가 2차교반회전차(223)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며, 퇴비 교반을 위해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는 제1 및 제2회전축(211, 221) 양측으로 각각 한 쌍씩의 회전차가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회전차가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각 회전차의 원주 끝단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길이가 단일 블레이드를 사용할 때보다 짧아도 된다. 또한, 4개의 회전차의 원주 끝단에 결합된 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뒤집기를 수행하고, 4개 회전차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이때 발생한 풍력으로 퇴비가 부상되어 뒤쪽으로 날아가게 되며 퇴비 입자 사이에 공기가 강제 급기되므로 호기성 발효조건이 양호하게 조성되어 완숙퇴비 생산이 보장되고, 블레이드의 고속회전으로 퇴비덩어리를 파쇄하여 고운 입자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가 회전하면서 퇴비를 교반하게 되는 레인(lane)이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설정되고,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한 후에 하부대차(25)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다음, 1차 및 2차교반회전차(213, 223)가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교반하면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발효장(10) 전체를 1싸이클(cycle)로 교반하게 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발효장(10)의 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속 교반작업을 하기 때문에 교반회전차의 원점 복귀에 따른 불필요한 무부하 동선이 없어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레인을 설정했을 때 1레인 교반작업 후 무부하 상태로 교반회전차가 원점으로 복귀하는 시간이 완전히 배제되므로 발효장 전체의 교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약설정으로 원하는 시간에 전자동으로 교반작업이 가능한 무인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가 교반되는 깊이를 달리하여 퇴비를 2차에 걸쳐 교반해 준다는 점인데, 발효장(10)의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할 때는 1차교반회전차(213)가 1차로 교반한 후에,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교반할 때는 1차교반회전차(213)가 교반했던 퇴비를 2차교반회전차(223)가 더 깊은 깊이까지 교반해 주게 된다. 따라서 퇴비교반기의 교반량과 교반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된 1차 및 2차 교반회전차(213, 223)에 부하를 고르게 안배할 수 있어서 교반기의 수명연장은 물론 고장의 확률도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발효장(10)의 길이방향 일측 측벽(옹벽)에는 가축분뇨 저장탱크(14)가 더 설치되고, 하부대차(25)의 일단(一端)에는 가축분뇨 살포펌프(141)가 설치되어, 하부대차(25)의 타단에 설치된 가축분뇨 분사노즐(142)을 통해 교반시킨 퇴비의 상부에 액상의 가축분뇨를 살포해 주게 되며, 살포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교반시킨 퇴비에 액상의 가축분뇨를 퇴비에 살포해 주기 때문에 퇴비의 속건성으로 수분부족에 의한 건조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축분뇨의 영양성분이 퇴비에 첨가되어 퇴비의 유효성분을 높여 퇴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효장(10)의 길이방향 일측 측벽(옹벽) 하단에는 침출수 저장탱크(15)를 콘크리트 옹벽과 일체로 설치하여, 공기공급배관(13) 단부에 있는 마개(132)를 분리하여 퇴비발효장 바닥에 설치된 공기공급배관(13)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와 퇴비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및 퇴비발효장을 청소하면서 발생하는 청소수를 배출시켜 침출수 저장탱크(15)에 저장해뒀다가 탈착이 용이한 호스를 통하여 가축분뇨 살포펌프(141)로 흡입하여 퇴비에 살포해 줌으로써 공기공급배관(13)의 막힘을 방지하고 유지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발효장 11 : 송풍기
12 : 급기관 13 : 공기공급배관
131 : 급기노즐 132 : 마개
14 : 가축분뇨 저장탱크 141 : 가축분뇨 살포펌프
141 : 가축분뇨 분사노즐 15 : 침출수 저장탱크
20 : 퇴비교반기 21 : 1차교반모터
211 : 제1회전축 212 : 제1기어박스
213 : 1차교반회전차
22 : 2차교반모터 221 : 제2회전축
222 : 제2기어박스 223 : 2차교반회전차
23 : 구동부프레임 231 : 힌지축
232 : 리프팅실린더
24 : 상부대차 241 : 상부대차 구동모터
242 : 상부대차 주행레일
25 : 하부대차 251 : 하부대차 구동모터
252 : 하부대차 주행레일
31 : 교반모터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공급배관에 형성된 급기노즐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바닥 상부에 퇴적된 퇴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개방형 퇴비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퇴비교반기는,
    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하부대차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게 되는 하부대차;
    상기 하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대차 주행레일 상에서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부대차;
    상기 상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프레임;
    상기 구동부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모터;
    상기 1차 및 2차교반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단부(端部)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회전차;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2.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공급배관에 형성된 급기노즐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바닥 상부에 퇴적된 퇴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개방형 퇴비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퇴비교반기는,
    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하부대차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게 되는 하부대차;
    상기 하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대차 주행레일 상에서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부대차;
    상기 상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프레임;
    상기 구동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교반모터;
    상기 교반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단부(端部)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회전차;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대차 및 상부대차는 하부에 각각 4개씩의 바퀴를 구비하며, 각 대차에 설치된 하부대차 구동모터 및 상부대차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장의 길이방향 일측 측벽에는 가축분뇨 저장탱크와 침출수 저장탱크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대차의 일단(一端)에는 가축분뇨 살포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대차의 타단에 설치된 가축분뇨 분사노즐을 통해 교반시킨 퇴비의 상부에 액상의 가축분뇨를 살포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프레임은 일단(一端)이 상부프레임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리프팅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프레임의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는 제2회전축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기 1차교반회전차가 설치된 높이가 2차교반회전차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7. 제6항에 있어서,
    퇴비 교반을 위해 상기 1차 및 2차교반회전차는 제1 및 제2회전축 양측으로 각각 한 쌍씩의 회전차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회전하면서 퇴비를 교반하게 되는 레인(lane)이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설정되고,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한 후에 하부대차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다음,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교반하면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발효장 전체를 1싸이클(cycle)로 교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장의 폭방향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교반할 때 상기 1차교반회전차가 1차로 교반한 퇴비를,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교반할 때는 1차교반회전차가 교반했던 퇴비를 2차교반회전차가 더 깊은 깊이까지 교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KR1020180002073A 2018-01-08 2018-01-08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KR10204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73A KR102049374B1 (ko) 2018-01-08 2018-01-08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73A KR102049374B1 (ko) 2018-01-08 2018-01-08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385A true KR20190084385A (ko) 2019-07-17
KR102049374B1 KR102049374B1 (ko) 2019-11-28

Family

ID=6751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73A KR102049374B1 (ko) 2018-01-08 2018-01-08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46B1 (ko) * 2021-04-20 2021-10-12 김수한 퇴비용 교반장치
CN115160037A (zh) * 2022-08-04 2022-10-11 舒鑫 一种微生物肥料制备方法
KR20230145732A (ko) * 2022-04-11 2023-10-18 (주)규원테크 교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5787A (zh) * 2019-12-06 2020-04-10 浙江理工大学 相变功能助剂混合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12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성인 퇴비 발효장치
KR101289663B1 (ko) * 2011-08-22 2013-07-26 유호종 유기물 혐/호기퇴비화를 위한 스크류 교반장치
KR20180006139A (ko)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더블 로터리 방식의 발효조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12Y1 (ko) * 1999-12-11 2000-05-15 주식회사성인 퇴비 발효장치
KR101289663B1 (ko) * 2011-08-22 2013-07-26 유호종 유기물 혐/호기퇴비화를 위한 스크류 교반장치
KR20180006139A (ko)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더블 로터리 방식의 발효조 교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46B1 (ko) * 2021-04-20 2021-10-12 김수한 퇴비용 교반장치
KR20230145732A (ko) * 2022-04-11 2023-10-18 (주)규원테크 교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160037A (zh) * 2022-08-04 2022-10-11 舒鑫 一种微生物肥料制备方法
CN115160037B (zh) * 2022-08-04 2023-08-25 鄂尔多斯市蒙康元生物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微生物肥料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374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385A (ko)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KR101924307B1 (ko)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CN1101797C (zh) 有机物料的生物处理方法和实施该方法的设备
JP2007283158A (ja) 発酵攪拌処理装置および堆肥の製造方法
KR100717718B1 (ko)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CN108440043B (zh) 一种翻斗装置
KR20180082046A (ko)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KR20160043313A (ko) 원통형 수평 교반 발효조
KR101142954B1 (ko) 하수슬러지 복토화 장치
CN208532632U (zh) 一种翻斗装置
KR10082598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교반차의 퇴비단 파괴장치
CN210124200U (zh) 一种发酵床翻耙机
CN207856839U (zh) 一种多向对流搅拌的渣水搅拌罐
KR200390273Y1 (ko) 쌍발 발효교반 장치 및 기익 구조
KR101574263B1 (ko) 축산 폐기물 교반기
KR200216624Y1 (ko) 발효조의 교반장치
KR102311746B1 (ko) 퇴비용 교반장치
KR100347313B1 (ko) 축분 교반기
KR200168723Y1 (ko) 축분 교반기
CN205223046U (zh) 一种新型发酵搅拌翻晒设备
JP2627481B2 (ja) 有機廃棄物の堆肥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82812Y1 (ko) 퇴비 발효장치
CN215828594U (zh) 一种污水处理厂初沉污泥生物发酵装置
KR20220010808A (ko) 트랙터 부착형 퇴비 교반장치
CN219449578U (zh) 一种畜禽粪便堆肥发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