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46B1 - 퇴비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퇴비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46B1
KR102311746B1 KR1020210051059A KR20210051059A KR102311746B1 KR 102311746 B1 KR102311746 B1 KR 102311746B1 KR 1020210051059 A KR1020210051059 A KR 1020210051059A KR 20210051059 A KR20210051059 A KR 20210051059A KR 102311746 B1 KR102311746 B1 KR 10231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ompost
unit
stirring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한
Original Assignee
김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한 filed Critical 김수한
Priority to KR102021005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21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horizont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39Means for mixing or moving with predetermined or fixed paths, e.g. rails or cables
    • B01F15/00435
    • B01F15/0202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B01F2215/0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비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교반부를 각각 제어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하여 급기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퇴비의 뒤집기와 급기를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퇴비생산 효율을 높이고 퇴비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이동용 대차에 악취제거제 분사부를 설치하여 퇴비 교반시 악취제거제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축용 분뇨를 퇴비로 만드는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악취제거제 분사부 일측에 세척부를 더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악취제거제 분사부의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가 막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퇴비용 교반장치{Compost stirring device}
본 발명은 퇴비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교반부를 각각 제어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하여 급기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퇴비의 뒤집기와 급기를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퇴비생산 효율을 높이고 퇴비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퇴비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의 가축분뇨는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이 대개 수만ppm을 나타내므로 환경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특히 환경에 지대한 오염을 유발하는 질소, 인의 농도가 높아 이를 하천등의 생활환경에 배출시에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가축분뇨는 퇴비화, 액비(액체비료)화를 통한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을 이용하여 처리되고 있으며, 액비화의 방법은 혼합된 분뇨를 고액분리 후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뇨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안전한 물질로 전환시켜 악취가 나지 않는 액비를 생산하여 토지 및 경작농가에 살포하여 좋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화학비료 대체비료로 가축분뇨를 이용한 액비,퇴비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축산 농가의 환경오염 발생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익사업이 가능한 축분뇨 자원화 장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으며, 여기에 축분뇨의 퇴비화, 즉 유기질 비료로의 전환 생산 및 판매로 인한 수익으로 인해 축산농가에 경제적으로 커다란 이익창출을 가져오고, 가축분뇨 처리 문제까지 원활히 해결할 수 있으므로써 환경과 토양오염 문제의 해소까지 여러 가지 효과로 인해 가축분뇨 퇴비화시설의 수요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퇴비화 시설의 고효율화를 도모해야 하는데, 고효율화를 위해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할 수 있어야 하고, 퇴비의 품질은 향상되어야 하며, 시설 작동을 위한 동력과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자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퇴비화 시설인 퇴비발효기는 크게 밀폐형인 원통형 교반발효기와 개방형 교반발효기로 구분되는데, 밀폐형 발효기는 소규모농가의 가축분뇨 퇴비화에 주로 이용되고,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대단위농가, 가축분뇨 공동처리장 및 전문퇴비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교반(뒤집기) 기능으로 통기성이 확보되어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게 되어 퇴비의 균질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와 로터리 교반발효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는 첫째, 발효장을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레인(lane)으로 구획하고 1레인씩 순차적으로 교반하는 시스템으로 교반회전차가 매 레인을 주행하면서 교반한 후 무부하 상태로 복귀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단일의 블레이드로 교반하기 때문에 교반기능이 부족하며, 교반 발효기의 이송속도가 늦어서 발효장 전체를 교반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단일 블레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길이가 길고 넓어야 하므로, 넓은 블레이드에 의한 스크래핑으로 동력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체인과 스크래퍼의 자중 및 운반해야 하는 퇴비의 무게 등 많은 기구의 마찰로 인해 동력손실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체인과 같은 기구의 많은 부분이 퇴비와 접촉하게 되므로 마찰부분이 많아서 부식과 마모에 의해 기계수명이 짧고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하며, 특히 중장비용 무한궤도 체인을 적용하여 퇴비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체인이 이완되었을 때 체인의 장력 조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퇴비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레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1레인을 교반작업한 후에 무부하 상태로 교반발효기가 시작점으로 복귀하는 싸이클이 길어지고 레인 사이에 이랑(골)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 레인 별로 발효상태가 균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반 레인 결정을 운전자가 그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해 주어야 하므로 자동운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터리 교반발효기는 퇴비발효장 폭 전체를 한꺼번에 교반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 교반발효기에 비해 퇴비 적재높이를 낮게 유지해야 하므로 처리량이 작을 뿐만 아니라 많은 블레이드가 회전하기 때문에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8-0002073호에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공급배관에 형성된 급기노즐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바닥 상부에 퇴적된 퇴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개방형 퇴비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퇴비교반기는, 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하부대차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게 되는 하부대차와, 상기 하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대차 주행레일 상에서 발효장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부대차와, 상기 상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프레임과, 상기 구동부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모터와, 상기 1차 및 2차교반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단부(端部)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된 1차 및 2차교반회전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프레임은 일단(一端)이 상부프레임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리프팅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프레임의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차 및 2차교반회전차가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급기를 발효장 바닥면에 설치된 공기공급배관의 급기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송풍기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 퇴비가 급기노즐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급기노즐이 막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8-0002073호, 출원일; 2018년01월08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교반부를 각각 제어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하여 급기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퇴비의 뒤집기와 급기를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퇴비생산 효율을 높이고 퇴비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퇴비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이동용 대차에 악취제거제 분사부를 설치하여 퇴비 교반시 악취제거제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축용 분뇨를 퇴비로 만드는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악취제거제 분사부 일측에 세척부를 더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악취제거제 분사부의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가 막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퇴비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퇴비용 교반장치는, 축산용 퇴비가 투입된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주행용 레일(110)과,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일단과 타단이 안착되어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주행용 레일(110)을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용 대차(120)와,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를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용 대차(13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산용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교반날(146a)이 각각 형성된 교반용 축(146)을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교반부(14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140)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교반부(140)의 교반용 축(146)을 통하여 축산용 퇴비측으로 공기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공급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이동용 대차(120)는,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저면 양단에는 제1로울러(1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로울러(121)의 외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1대차용 이동부(122)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로울러(1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와 치합되는 회전기어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의 상면 양단에 각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이격되되, 상면에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가 미끌림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랙기어(124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대차용 안내부(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이동용 대차(130)는,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면에 제2로울러(131)를 개재시켜 안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2이동용 프레임(132)과,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 일측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와,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134)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은 제2이동용 프레임(132)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바 상에는 제1이동용 대차(120)의 랙기어(124a)와 치합되어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13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바(1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에 따르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교반부를 각각 제어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하여 급기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퇴비의 뒤집기와 급기를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퇴비생산 효율을 높이고 퇴비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이동용 대차에 악취제거제 분사부를 설치하여 퇴비 교반시 악취제거제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축용 분뇨를 퇴비로 만드는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악취제거제 분사부 일측에 세척부를 더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악취제거제 분사부의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가 막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가 발효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축산용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100)는, 축산용 퇴비가 투입된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주행용 레일(110)과,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일단과 타단이 안착되어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주행용 레일(110)을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용 대차(120)와,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를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용 대차(13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산용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교반날(146a)이 각각 형성된 교반용 축(146)을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교반부(14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140)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교반부(140)의 교반용 축(146)을 통하여 축산용 퇴비측으로 공기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공급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140) 타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축산용 퇴비측으로 악취제거제를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통하여 분사시켜 악취를 제거가능하도록 악취제거제 분사부(16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악취제거제 분사부(160)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세척가능하도록 세척부(17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이동용 대차(130)와 상기 교반부(14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교반부(140)를 퇴비의 양에 맞게 각도 조절되게 회동시킴과 아울러, 퇴비의 교반 완료에 따른 상기 교반부(140)를 회동시 퇴비 반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교반부용 회동부(18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의 주행용 레일(110)은, 축산용 퇴비가 투입된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를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제1이동용 대차(120)는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일단과 타단이 안착되어 제1이동용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주행용 레일을 따라 상기 발효장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이동용 대차(120)는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저면 양단에는 제1로울러(1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로울러(121)의 외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1대차용 이동부(122)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로울러(1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와 치합되는 회전기어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의 상면 양단에 각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이격되되, 상면에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가 미끌림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랙기어(124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대차용 안내부(124)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2이동용 대차(130)는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이동용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제1대차용 안내부(124)를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2이동용 대차(130)는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제1대차용 안내부(124) 상면에 제2로울러(131)를 개재시켜 안착되어 상기 제1대차용 안내부(12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2이동용 프레임(132)과,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 일측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와,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134)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은 제2이동용 프레임(132)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바 상에는 상기 제1대차용 안내부(124)의 랙기어(124a)와 치합되어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을 제1대차용 안내부(12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13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바(135)로 구성된다.
상기한 교반부(14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의 제2이동용 프레임(1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산용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교반날이 각각 형성된 교반용 축을 갖추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교반부(14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41)에 양단이 베어링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되, 내부는 연통공(142a)이 형성된 격벽(142)에 의해 제1,2공간부가 형성되게 이분할되고,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150)와 압축공기공급호스를 매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14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용 하우징(143)과,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교반용 구동축이 교반용 감속기(144)를 통하여 감속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용 구동모터(145)와,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의 저면 양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감속기(14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교반용 구동모터(145)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하여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교반용 날(146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용 축(14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압축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교반부의 교반용 축을 통하여 축산용 퇴비측으로 공기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압축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외기를 송풍가능하도록 압축공기 송풍용 구동모터와 구동팬으로 구비된 압축공기발생부(151)와, 상기 압축공기발생부(1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부(140)의 교반용 하우징(143)에 형성된 연결구(143a)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 내측으로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공급호스(152)와,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내에 위치되는 교반용 축(146)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교반용 축(146)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153)와, 상기 교반용 축(146)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153)를 통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퇴비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구(154)로 구성된다.
상기한 악취제거제 분사부(16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140) 타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축산용 퇴비측으로 악취제거제를 분사노즐부를 통하여 분사시켜 악취를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악취제거제 분사부(16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어 악취제거제(제품명;오더킬 바이오)를 저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에 저장된 악취제거제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악취제거제 공급펌프(162)와, 상기 악취제거제 공급펌프(162)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악취제거제를 퇴비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가 형성되어 배관된 악취제거제 공급관(16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세척부(170)는, 상기 악취제거제 분사부(160)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세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세척부(17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척수 저장탱크(171)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171)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171)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펌프(172)와,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172)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측으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세척수 분사노즐부(173a)가 형성되어 배관된 세척수 공급관(173)으로 구성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악취제거제 분사부(160)의 악취제거제 공급관(163)에 형성된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에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막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퇴비용 교반장치를 축산용 분뇨가 투입된 발효장(10)에 설치하여 퇴비로 만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2이동용 대차(130)의 제2이동용 프레임(132)이 제1이동용 대차(120)의 제1대차용 안내부(124)를 따라 이동되도록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함과 동시에 투입된 분뇨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시키기기 위해 교반부(140)의 교반용 구동모터(145)와 압축공기공급부(150)의 압축공기발생부(151)가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분뇨 교반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악취제거제 분사부(160)의 악취제거제 공급펌프(162)도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교반부(140)의 교반용 구동모터(145) 구동과 압축공기공급부(150)의 압축공기발생부(151)의 구동으로 발효장(10)에 투입된 분뇨는 교반용 축(146)에 각각 형성된 교반용 날(146a)에 의해 교반되고, 상기 교반용 날(146a)에 의해 분뇨가 교반되는 중에 교반용 축(146)에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구(154)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뇨측으로 분사되므로 빠른 시간안에 분뇨를 퇴비로 만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교반부(140)를 통하여 분뇨를 교반하는 것과 동시에 악취제거제 분사부(160)의 악취제거제 공급관(16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통하여 악취제거제를 분사시키게 되므로, 상기 발효장(10)에 투입된 분뇨는 악취 발생 없이 빠른 시간안에 퇴비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발효장 100 ; 퇴비용 교반장치
110 ; 주행용 레일 120 ; 제1이동용 대차
130 ; 제2이동용 대차 140 ; 교반부
150 ; 압축공기공급부 160 ; 악취제거제 분사부
170 ; 세척부 180 ; 교반부용 회동부

Claims (5)

  1. 퇴비용 교반장치는,
    축산용 퇴비가 투입된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양 측벽 상단에 각각 설치된 주행용 레일(110)과,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일단과 타단이 안착되어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주행용 레일(110)을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용 대차(120)와,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를 따라 상기 발효장(1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용 대차(13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산용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교반날(146a)이 각각 형성된 교반용 축(146)을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교반부(140)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반부(140)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상기 교반부(140)의 교반용 축(146)을 통하여 축산용 퇴비측으로 공기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공급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는 상기 교반부(140) 타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축산용 퇴비측으로 악취제거제를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통하여 분사시켜 악취를 제거가능하도록 악취제거제 분사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악취제거제 분사부(160) 일측에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함에 따른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를 세척가능하도록 세척부(1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교반부(14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41)에 양단이 베어링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되, 내부는 연통공(142a)이 형성된 격벽(142)에 의해 제1,2공간부가 형성되게 이분할되고,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부(150)와 압축공기공급호스를 매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14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용 하우징(143)과,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의 상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교반용 구동축이 교반용 감속기(144)를 통하여 감속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용 구동모터(145)와,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의 저면 양측에 베어링을 매개로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감속기(14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교반용 구동모터(145)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하여 퇴비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교반용 날(146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교반용 축(146)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외기를 송풍가능하도록 압축공기 송풍용 구동모터와 구동팬으로 구비된 압축공기발생부(151)와, 상기 압축공기발생부(1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교반부(140)의 교반용 하우징(143)에 형성된 연결구(143a)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 내측으로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공기공급호스(152)와, 상기 교반용 하우징(143)내에 위치되는 교반용 축(146)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교반용 축(146)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153)와, 상기 교반용 축(146)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153)를 통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퇴비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구(154)로 구성되며,
    상기 악취제거제 분사부(16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어 악취제거제를 저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악취제거제 저장탱크(161)에 저장된 악취제거제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악취제거제 공급펌프(162)와, 상기 악취제거제 공급펌프(162)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악취제거제를 퇴비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가 형성되어 배관된 악취제거제 공급관(16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세척부(170)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척수 저장탱크(171)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171) 일측에 위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171)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펌프(172)와, 상기 세척수 공급펌프(172)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에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악취제거제 분사노즐부(163a)측으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세척수 분사노즐부(173a)가 형성되어 배관된 세척수 공급관(17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용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는, 상기 주행용 레일(110) 상면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저면 양단에는 제1로울러(1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로울러(121)의 외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1대차용 이동부(122)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로울러(1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와 치합되는 회전기어부가 형성된 회전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이동용 구동모터(123)와, 상기 제1대차용 이동부(122)의 상면 양단에 각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이격되되, 상면에는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가 미끌림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랙기어(124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대차용 안내부(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용 교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용 대차(130)는, 상기 제1이동용 대차(120)의 상면에 제2로울러(131)를 개재시켜 안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2이동용 프레임(132)과,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 일측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와,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134)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은 제2이동용 프레임(132)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바 상에는 제1이동용 대차(120)의 랙기어(124a)와 치합되어 상기 제2이동용 구동모터(13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이동용 프레임(13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13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회전력전달바(1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용 교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1059A 2021-04-20 2021-04-20 퇴비용 교반장치 KR10231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59A KR102311746B1 (ko) 2021-04-20 2021-04-20 퇴비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59A KR102311746B1 (ko) 2021-04-20 2021-04-20 퇴비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746B1 true KR102311746B1 (ko) 2021-10-12

Family

ID=7807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059A KR102311746B1 (ko) 2021-04-20 2021-04-20 퇴비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561A (ko) * 2003-08-13 2005-02-23 가부시키가이샤 칸쿄테크노엔지니아링구 퇴비절단교반장치
KR200390273Y1 (ko) * 2005-04-15 2005-07-22 김익규 쌍발 발효교반 장치 및 기익 구조
KR100875890B1 (ko) * 2007-07-02 2008-12-24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교반기의 턴테이블 회전장치
KR20180002073A (ko) 2017-06-30 2018-01-05 주식회사 키디오 Nfc를 이용한 유아용 오디오 재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84385A (ko) * 2018-01-08 2019-07-17 형제영농조합법인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KR102204335B1 (ko) * 2020-08-31 2021-01-18 소병현 이동식 교반기능을 갖는 퇴비용 부숙 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561A (ko) * 2003-08-13 2005-02-23 가부시키가이샤 칸쿄테크노엔지니아링구 퇴비절단교반장치
KR200390273Y1 (ko) * 2005-04-15 2005-07-22 김익규 쌍발 발효교반 장치 및 기익 구조
KR100875890B1 (ko) * 2007-07-02 2008-12-24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교반기의 턴테이블 회전장치
KR20180002073A (ko) 2017-06-30 2018-01-05 주식회사 키디오 Nfc를 이용한 유아용 오디오 재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84385A (ko) * 2018-01-08 2019-07-17 형제영농조합법인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KR102204335B1 (ko) * 2020-08-31 2021-01-18 소병현 이동식 교반기능을 갖는 퇴비용 부숙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307B1 (ko)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KR101210185B1 (ko) 축분 발효장치
KR100717718B1 (ko)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KR102049374B1 (ko)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AU686301B2 (en) Aerobic fermentation promoting device of excrements, aerobic fermentation system using it and compost therefrom
KR20180082046A (ko)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CN112714757A (zh) 有机废弃物的发酵处理装置
CN106916730A (zh) 序批式微生物孵化器
US3294491A (en) Composting apparatus
KR102311746B1 (ko) 퇴비용 교반장치
CN205933674U (zh) 一种仓式滚筒堆肥翻堆机
CN206721190U (zh) 序批式微生物孵化器
KR102638724B1 (ko)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KR100495479B1 (ko)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의 발효처리장치
KR100707231B1 (ko) 순환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설비
CN217857990U (zh) 一种土壤淋洗修复系统
CN106316474B (zh) 餐厨垃圾沼渣堆肥处理进料系统
CN207243749U (zh) 具有防飞溅防腐大梁的鸡粪翻堆机
KR10087322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시스템의 발효장 어셈블리
KR200238100Y1 (ko) 가축분뇨발효건조기
CN217628170U (zh) 一种功能型酵素菌生物有机肥发酵池
JP2627481B2 (ja) 有機廃棄物の堆肥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209732333U (zh) 一种用于蚯蚓养殖的箱式布料机构
JP2007008747A (ja) 有機廃棄物堆肥化装置
CN211410289U (zh) 一种家禽养殖场用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