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79A -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 Google Patents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79A
KR20190083879A KR1020180001852A KR20180001852A KR20190083879A KR 20190083879 A KR20190083879 A KR 20190083879A KR 1020180001852 A KR1020180001852 A KR 1020180001852A KR 20180001852 A KR20180001852 A KR 20180001852A KR 20190083879 A KR20190083879 A KR 2019008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gion
magnetic body
work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5570B1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0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70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ing coil assembly may include an inner coil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a working coil assembly, an outer coil position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coi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coil through a switching means, a first magnetic material group locat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aterial for enhancing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nd a second magnetic material group position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material for enhancing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outer coil. It is possible to provide uniform heating environment.

Description

듀얼 코일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0001]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WITH DUAL COIL [0002]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듀얼코일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working coil assembly, and in particular to a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s.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 또는 살균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온 반면,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냄비, 프라이팬, 찜솥 또는 주전자와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Various types of heating devic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cooking or sterilization, in homes and restaurants.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gas ranges using gas as a fuel have been widely used and used. Recently, however, heating devices for heating materials to be heated such as pots, frying pans, steam cookers, or kettle using electricity have been spreading.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자속 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The electric heating method includes a resistance heating method and an induction heating method. The resistance heating method is a method of heating an object by directly transmitting heat generated by flowing a current to a non-metallic heating element such as metal resistance wire or silicon carbide to the heating object through radiation or con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object to be heated is heated by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in a heating target by using a change in magnetic field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around a working coil when a high 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피가열체의 크기는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피가열체의 크기는 피가열체의 가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크기가 발열체 또는 워킹 코일보다 작은 경우, 가열 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에 비해 피가열체에 열로서 전달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가열 방식을 달리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 size of the object to be hea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heated.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heated may affect the heating of the object to be heated.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eating element or the working coil, the energy efficiency transmitted as heat to the heating target may be lower than the power consumed by the heating device. Therefore, a method of varying the heating metho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heated is requir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의 인덕턴스를 적절한 값으로 제공하고, 균일한 가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uctance of an inner coil and an outer coil at appropriate values in a working coil assembly and providing a uniform heating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고, 내측 코일과 일단이 연결되고, 내측 코일의 나머지 일단과 나머지 일단이 스위칭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외측 코일,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고,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 및 외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고, 외측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orking coil assem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inner coil located in an inner region of a working coil assembly, a coil located at an out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An outer coi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coi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rough switching means, at least one of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which is located over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regions and which strengthens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including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locat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and enhanc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outer coil.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의하면, 듀얼 코일을 병렬 연결함으로써 외측 코일에 연결된 스위칭 수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외측 코일이 포함된 외측 영역에만 배치되는 제2 자성체군을 포함함으로써 외측 코일의 인덕턴스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워킹 코일 어셈블리가 포함된 가열 장치는 균일한 가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ing 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rrent flowing in the switching means connected to the outer coil can be reduced by connecting the dual coils in parallel,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To provide the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through which th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working coil assembly can provide a uniform heating environment.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 코일 구동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1 shows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shows a working coil assembly, a coil driver, and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and 3B illustrate a working coil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shows a working coil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 working coi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shows a working coi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s 7A and 7B illustrate a working coi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00)를 나타낸다.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제3 화구(1300) 및 사용자 조작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가열 장치(1000)가 3개의 화구들(1100, 1200, 130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지만, 화구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0)는 하나의 화구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화구들(1100, 1200, 1300)의 배치가 도 1에 개시된 배치에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및 제3 화구(13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외의 임의의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및 제3 화구(1300)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및 제3 화구(1300)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Figure 1 shows a hea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first fire wall 1100, a second fire wall 1200, a third fire wall 1300, and a user operating part 1400. 1 illustrates that the heating apparatus 1000 includes three coves 1100, 1200, and 1300, but the number of cove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larger number of coves or a smaller number of coves Lt; / RTI > For example,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only one crater. Also, the arrangement of the culverts 1100, 1200, 1300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disclosed in Fig. For example, the first fire wall 1100, the second fire wall 1200, and the third fire wall 1300 may be arranged in a line, or may be arranged in any other structure. 1 illustrates that the first fire wall 1100, the second fire wall 1200, and the third fire wall 1300 have the same siz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fire wall 1100, the second fire wall 1200 and third fireplace 1300 may have different sizes.

화구들(1100, 1200, 130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표되는 제1 화구(1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화구(1100)는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제1 화구(1100)에 놓여지는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하부에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물체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워킹 코일, 직접 발열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금속판 또는 열선이 분포된 세라믹 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전기를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및 제3 화구(1300) 하부에 모두 같은 유형의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다른 종류의 가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및 제2 화구(1200) 하부에 워킹 코일을 포함하고, 제3 화구(1300) 하부에 발열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가열 장치일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culverts 1100, 1200, and 1300, a representative first culter 110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fire wall 1100 can use the electric energy as an energy source to heat the object to be heated placed on the first fire wall 1100. To this end,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an object under the first fire wall 1100 using an electric principle. The heating unit may include a working coil for heating the special container through an induction action by the magnetic body, a metal plate for heating the heating target by directly heating the ceramic plate, or a ceramic plate having a distributed heat line. In addition, various heating elements As shown in FIG.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the heating unit of the same type under the first furnace 1100, the second furnace 1200 and the third furnace 1300, and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other type of heating unit . For example,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be a hybrid heating apparatus including a working coil below the first fire wall 1100 and the second fire wall 1200, and a heating element below the third fire wall 1300.

사용자 조작부(1400)는 가열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든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1400)는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능과 조작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1400)는 터치 패널, 회전 버튼, 푸시 버튼, 트랙볼, 포인트 스틱 및 스캐너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anipulation part 1400 may represent all parts that the user operates to control the heating device 1000. [ The user operation unit 1400 can support both the display function and the operation function in some cases. The user operation unit 1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panel, a rotary button, a push button, a track ball, a point stick, and a scanner.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다른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제2 화구(1200) 및 제3 화구(13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가열 장치(1000)가 제1 화구(1100) 하부에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하부에 워킹 코일 및 워킹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화 밀도를 높여주는 자성체들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The hea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working coil below at least one of the first fire wall 1100, the second fire wall 1200 and the third fire wall 13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heat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working coil under the first furnace 1100. At this time,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and a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magnetic materials for increasing the magnetization density formed under the first furnace 1100. The working coil assembly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figures.

가열 장치(1000)의 제1 화구(1100)에는 피가열체가 놓여질 수 있다. 피가열체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피가열체의 크기가 제1 화구(1100)의 크기에 따라 제1 화구(1100)에서 가열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1000)는 피가열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그 크기를 고려하여 피가열체의 크기가 큰 경우와는 다르게 가열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하부에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을 포함하는 듀얼 코일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1000)는 제1 화구(1100) 상에 놓여진 피가열체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작은 경우, 가열 장치(1000)는 내측 코일만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큰 경우, 가열 장치(1000)는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 모두를 구동할 수 있다.A heating furnace can be placed in the first furnace 1100 of the heating apparatus 1000. The material to be heated may have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kind thereof.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first furnace 1100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st furnace 1100. [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is small,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heating operation differently from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is larg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To this end, the heat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working coil assembly including a dual coil including an inner coil and an outer coil under the first furnace 1100. The heating apparatus 1000 can sense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placed on the first fire wall 1100 and can drive the inner and outer coi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ted target.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is smaller than the critical size, the heating apparatus 1000 can drive only the inner coil.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heating target is larger than the critical size, the heating apparatus 1000 can drive both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의하면,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이 병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측 코일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코일의 인덕턴스 값은 외측 코일의 인덕턴스 값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외측 코일의 인덕턴스 값 보다 큰 값을 가짐에 따라 내측 코일에는 외측 코일 보다 작은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 코일 부근에 발생하는 국부 가열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코일이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만 걸쳐 위치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외측 코일의 권선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인덕턴스 값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ing co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switching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outer coil can be reduced by connecting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in parallel. In additio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inner coil may be larger tha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As the inductance value of the inner coil has a value larger tha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a current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coil can flow to the inner coil,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heating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coil. Further, by including the second magnetic body located only in the outer region where the outer coil is located, an appropriate inductance value can be formed despite the small number of windings of the outer coil.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 코일 구동부(400) 및 제어부(500)를 나타낸다.2 shows a working coil assembly 100, a coil driver 400 and a controller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듀얼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내측 영역(120)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및 외측 영역(140)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영역(120) 및 외측 영역(140)은 제1 점(C)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일 수 있다. 도넛형 영역이란, 동심원 형태의 두 원 사이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고, 동심원 형태의 두 원 중 작은 원이 없는 경우 도넛형 영역은 원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측 영역(120)과 외측 영역(140) 사이에는 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의 영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영역(120)과 외측 영역(140) 사이에는 간극(130)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may include a dual coil.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may include an inner coil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120 and an outer coil positioned in the outer region 140. The inner region 120 and the outer region 140 may be a donut region having the first point C as a common center. The donut region can represent a region between two concentric circles, and the donut region can include a circle reg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small circle among the concentric circles. Referring to FIG. 2, a gap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region 120 and the outer region 140. However, the area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p 130 may not exist between the inner region 120 and the outer region 140.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코일의 제1 노드(Nd1)는 외측 코일의 제3 노드(Nd1)와 연결될 수 있고, 내측 코일의 제2 노드(Nd2)는 외측 코일의 제4 노드(Nd4)와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이 병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측 코일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수단(SW1)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감소할 수 있다.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For example, the first node Nd1 of the inner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d1 of the outer coil, the second node Nd2 of the inner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node Nd4 of the outer coil, And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means SW1.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ing means SW1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outer coil can be reduced by connecting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in parallel.

코일 구동부(400)는 내측 코일 및/또는 외측 코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구동부(400)는 제어부(5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 신호(CTRL_2)에 기초해 내측 코일 및/또는 외측 코일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코일 구동부(400)는 가열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뒤, 제2 제어 신호(CTRL_2)에 기초해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고주파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측 코일 및/또는 외측 코일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il driver 400 may supply power to the inner coil and / or the outer coil. For example, the coil driver 400 may supply AC power to the inner coil and / or the outer coil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CTRL_2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500. [ The coil driving unit 400 converts the commercial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heating apparatus to DC power and then converts the DC power converted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CTRL_2 into the high frequency AC power to generate the inner coil and / As shown in FIG.

제어부(500)는 가열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제어 신호(CTRL_1)를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또는 턴-오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화구에 올려진 피가열체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피가열체의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제어 신호(CTRL_1)를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시킴으로써 외측 코일의 제4 노드(Nd4)를 코일 구동부(4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감지된 피가열체의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제어 신호(CTRL_1)를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시킴으로써 외측 코일의 제4 노드(Nd4)를 코일 구동부(400)로부터 연결 해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configurations in the heating apparatus as a whole. The control unit 5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processor,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microcontroller unit (MCU), a microcomputer, . The controller 500 may turn on or turn off the first switching means SW1 through the first control signal CTRL_1.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tha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heated is greater than the critical size, the control unit 500 may detec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he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CTRL_1, The fourth node Nd4 of the outer coil can be connected to the coil driver 400 by turning on the switching means SW1.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size of the sensed heating target is smaller than the critical size, the control unit 500 turns on the first switching unit SW1 through the first control signal CTRL_1, The fourth node Nd4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coil driver 400.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 코일 구동부(400) 및 제어부(500)에 따르면, 감지된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외측 코일을 코일 구동부(4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the coil driving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uter coil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il driv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detected size of the heating target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a, 100b)를 나타낸다. 특히, 도 3a 및 도 3b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a, 100b)를 상면 또는 하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다.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a, 100b)에 관한 입체적인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Figures 3A and 3B illustrate working coil assemblies 100a, 100b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articularly, Figs. 3A and 3B show cross sections of the working coil assemblies 100a and 100b a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ies 100a and 100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a를 참조하면,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a)는 내측 영역(120a)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외측 영역(140a)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 내측 영역(120a) 및 외측 영역(140a)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160a) 및 외측 영역(140a)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180a)을 포함할 수 있다.3A,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a includes an inner coil located in the inner region 120a, an outer coil located in the outer region 140a,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120a and the outer region 140a And a second magnetic body group 180a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140a.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a includes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a, .

내측 영역(120a) 및 외측 영역(140a)은 제1 점(C)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은 원형으로 감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영역(120a) 및 외측 영역(140a) 사이에는 간극(130a)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a와 달리 간극(130a)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영역(120a)의 면적은 외측 영역(140a)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inner region 120a and the outer region 140a may be a donut region having the first point C as a common center. Accordingly,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may have a circular wound form. The gap 130a may exist between the inner region 120a and the outer region 14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p 130a may not exist unlike the case of FIG. The area of the inner region 120a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region 140a.

제1 자성체군(160a)은 내측 영역(120a) 및 외측 영역(140a)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고,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페리 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서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Si-Fe, Co-Fe, Ni-Fe 및 페라이트(ferrite) 등과 같은 고투자율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성체군(160a)은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자성체군(160a)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a includes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that is locat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120a and the outer region 140a and strengthens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 Th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aterial may be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ateri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high permeability materials such as Si-Fe, Co-Fe, Ni-Fe, and ferrite.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a can enhance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included in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a may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first point C as a center.

제2 자성체군(180a)은 외측 영역(140a)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페리 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서 투자율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Si-Fe, Co-Fe, Ni-Fe 및 페라이트 등과 같은 고투자율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자성체군(180a)은 외측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함으로써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자성체군(180a)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 영역(140a)의 내측 원주로부터 외측 원주까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영역(140a)은 내측 영역(120a)과 비교할 때 외측 영역이기 때문에, 외측 영역(140a)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에는 충분한 권선수가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외측 코일의 작은 권선수에도 불구하고, 제2 자성체군(180a)이 외측 영역(140a)에 배치됨으로써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은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는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180a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locat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140a.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may be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materi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high permeability materials such as Si-Fe, Co-Fe, Ni-Fe, and ferrite.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group 180a can increase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by enhanc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the outer coil.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included in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180a may b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first point C and may be disposed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region 140a . Since the outer region 140a is an outer region as compared with the inner region 120a,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turns in the outer coil located in the outer region 140a.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can have an appropriate value by disposing the second magnetic group 180a in the outer region 140a despite the small turns of the outer coil. The equivalent inductance of the inner coil may be larger than the equivalent inductance of the outer coil.

도 3b를 참조하면,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b)는 내측 영역(120b)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외측 영역(140b)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 내측 영역(120b) 및 외측 영역(140b) 각각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160b) 및 외측 영역(140b)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180b)을 포함할 수 있다.3B,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b includes an inner coil located in the inner region 120b, an outer coil located in the outer region 140b,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120b and the outer region 140b And a second magnetic group 180b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140b.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b includes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b, can do.

도 3a와 달리, 제1 자성체군(160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내측 영역(120b)의 일부 및 외측 영역(140b)의 일부에 걸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자성체군(180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외측 영역(140b)의 일부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3A,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included in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b may be located over a part of the inner region 120b and a part of the outer region 140b,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180b May be located over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140b.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를 나타낸다.Figure 4 illustrates a working coil assembly 100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외측 영역(140)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140) 각각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160) 및 외측 영역(140)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관한 도 3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includes an inner coil located in the inner region, an outer coil located in the outer region 140,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140 And a second group of magnetic bodies 180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 and the outer region 140.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3A relating to Fig. 4 will be omitted.

내측 영역은 제1 내측 영역(122) 및 제2 내측 영역(124)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코일은 제1 내측 영역(122)에 위치하는 제1 내측 코일 및 제2 내측 영역(124)에 위치하는 제2 내측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코일은 제1 내측 영역(122)에 위치하는 제1 내측 코일 및 제2 내측 영역(124)에 위치하는 제2 내측 코일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영역 및 내측 코일이 2단으로 설계됨에 따라 내측 코일 부근에서 국부 가열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region may include a first inner region 122 and a second inner region 124. The inner coil may include a first inner coil located in the first inner region 122 and a second inner coil located in the second inner region 124. [ For example, the inner coil may be in the form of a first inner coil positioned in the first inner region 122 and a second inner coil positioned in the second inner region 124 in series. Since the inner region and the inner coil are designed in two stag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local heating from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coil, and to appropriately form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Figure 5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 working coil assembly 100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은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Coil_in),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Coil_out), 제1 자성체군(160), 제2 자성체군(180), 차폐 부재(150)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includes an inner coil Coil_in located in an inn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an outer coil Coil_out located in an out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100, a first magnetic body group 160, A second magnetic body group 180, a shielding member 150, and at least one adhesive member 170.

내측 코일(Coil_in) 및 외측 코일(Coil_out)은 접착 부재(170)를 이용하여 차폐 부재(150)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1 자성체군(160) 및 제2 자성체군(180)은 차폐 부재(150)의 하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inner coil Coil_in and the outer coil Coil_out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150 by using the adhesive member 170 and may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body groups 160 and 180,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150).

차폐 부재(150)는 내측 코일(Coil_in) 및/또는 외측 코일(Coil_out)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하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차폐 부재(150)는 마이카 시트(Mica Sheet) 등과 같은 다양한 차폐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150 may shiel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ner coil Coil_in and / or the outer coil Coil_out from flowing downward. The shielding member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shielding materials such as a mica sheet and the like.

접착 부재(170)는 접착제,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접착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170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variety of adhesive materials such as adhesives, tapes, and the like.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200)를 나타낸다.FIG. 6 shows a working coil assembly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워킹 코일 어셈블리(200)는 내측 영역(220)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외측 영역(240)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260) 및 외측 영역(240)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28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orking coil assembly 200 includes an inner coil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220, an outer coil positioned in the outer region 240, at least one coil position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And a second magnetic group 280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240.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260 includes a first magnetic body of the first magnetic body 260,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은 제1 점(C)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은 다각형의 형태로 감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 모두 제1 점(C)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 모두 제1 점(C)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육각형 영역일 수도 있으며, 내측 영역(220)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이고, 외측 영역(240)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육각형일 수도 있다.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 사이에는 간극(230)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6과 달리 간극(230)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may be a polygonal region having the first point C as a common center. Accordingly,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may have a coiled shape in the form of a polyg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oth 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are described as a rectangular region having the first point C as a common cen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may be a hexagonal region having the first point C as a common center, the inner region 220 is a square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The region 240 may be a hexagon centered at the first point (C). The gap 230 may exist between 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but the gap 2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unlike FIG. 6, the gap 230 may not exist.

제1 자성체군(260)은 내측 영역(220) 및 외측 영역(240)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페리 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서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Si-Fe, Co-Fe, Ni-Fe 및 페라이트(ferrite) 등과 같은 고투자율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성체군(260)은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자성체군(2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position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region 220 and the outer region 240. Th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aterial may be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ateri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high permeability materials such as Si-Fe, Co-Fe, Ni-Fe, and ferrite. The first magnetic group 260 can enhance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included in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260 may be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first point C as a center.

제2 자성체군(280)은 외측 영역(240)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페리 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서 투자율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Si-Fe, Co-Fe, Ni-Fe 및 페라이트 등과 같은 고투자율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자성체군(180a)은 외측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함으로써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자성체군(28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 영역(240)의 내측 원주로부터 외측 원주까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영역(240)은 내측 영역(220)과 비교할 때 외측 영역이기 때문에, 외측 영역(240)에 위치하는 외측 코일에는 충분한 권선수가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외측 코일의 작은 권선수에도 불구하고, 제2 자성체군(280)이 외측 영역(240)에 배치됨으로써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은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28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locate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region 240.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may be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material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high permeability materials such as Si-Fe, Co-Fe, Ni-Fe, and ferrite.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group 180a can increase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by enhanc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the outer coil.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included in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280 may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first point C and may be disposed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region 240 . Since the outer region 240 is an outer region as compared with the inner region 220, it is difficult for the outer coil 240 located in the outer region 240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windings.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can have an appropriate value by disposing the second group of magnetic bodies 280 in the outer region 240 despite the small turns of the outer coil.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300a, 300b)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내측 영역(320a, 320b) 및 외측 영역(340a,340b) 중 하나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관해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의 형태에 관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3a 및 도 3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7A and 7B show working coil assemblies 300a and 300b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S. 7A and 7B, one of the inner regions 320a and 320b and the outer regions 340a and 340b may be a polygonal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C). ≪ / RTI > 7A and 7B,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S. 3A and 3B will be omitted, except for the portions related to the shapes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도 7a를 참조하면, 내측 영역(320a)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일 수 있고, 외측 영역(340a)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영역(340a)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inner region 320a may be a toroidal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and the outer region 340a may be a polygonal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 For example, the outer region 340a may be a rectangular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

도 7b를 참조하면, 내측 영역(320b)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일 수 있고, 외측 영역(340b)은 제1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영역(320b)은 제1점(C)을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일 수 있다.7B, the inner region 320b may be a polygonal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and the outer region 340b may be a donut region centered on the first point C . For example, the inner region 320b may be a rectangular region centered at the first point C.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specific te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have been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claims .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코일;
상기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코일과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코일의 나머지 일단과 나머지 일단이 스위칭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외측 코일;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코일 및 상기 외측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군; 및
상기 외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군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In a working coil assembly,
An inner coil positioned in an inn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An outer coil located in an outer region of the working coil assembly,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coi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coil through switching means;
A first magnetic body group disposed over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for enhancing a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nd
And a second group of magnetic bodies locat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for enhancing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in the outer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각각은 제1 점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이고,
상기 내측 코일 및 상기 외측 코일은 원형으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donut-shaped region having a first point as a common center,
Wherein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re wound in a circular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 각각은 상기 제1 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is radially disposed about the first poi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성체는 상기 외측 영역의 내측 원주에서 외측 원주까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body is radially disposed from an inner circumference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은 상기 외측 코일의 등가 인덕턴스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inner coil is greater than the equivalent inductance value of the outer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제1 내측 영역 및 제2 내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코일은,
상기 제1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내측 코일; 및
상기 제1 내측 코일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내측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내측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region comprises a first inner region and a second inner region,
Wherein the inner coil
A first inner coil positioned in the first inner region; And
And a second inner coil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inner coil and located in the second inner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각각은 제1 점을 공통의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polygonal region having a common center at a first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중 하나는 제1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도넛형 영역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점을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oroidal region about a first point and the other is a polygonal region about the first point.
KR1020180001852A 2018-01-05 2018-01-05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KR102165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52A KR102165570B1 (en) 2018-01-05 2018-01-05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52A KR102165570B1 (en) 2018-01-05 2018-01-05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79A true KR20190083879A (en) 2019-07-15
KR102165570B1 KR102165570B1 (en) 2020-10-14

Family

ID=6725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52A KR102165570B1 (en) 2018-01-05 2018-01-05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0917A1 (en) 2021-02-03 2022-08-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056A (en) *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16033889A (en) * 2014-07-31 2016-03-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6016951B2 (en) * 2013-02-06 2016-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il an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7188475A (en) * 2017-06-16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056A (en) *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JP6016951B2 (en) * 2013-02-06 2016-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il an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6033889A (en) * 2014-07-31 2016-03-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2017188475A (en) * 2017-06-16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0917A1 (en) 2021-02-03 2022-08-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570B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9297B (en) Induction heating device,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induction hob
TWI287949B (en) Heating cooker
KR101959390B1 (en) In particular, an inductor for magnetically coupled energy transfer and a method of operation of this type of inductor
EP204891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US20090084777A1 (en)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JP2010073384A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Sweeney et al. Induction cooking technology design and assessment
JP547421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4368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US20200163171A1 (en) Induction cooktop
CN204410586U (en) Electromagnetic coil disk and there is the electric cooking appliance of this electromagnetic coil disk
KR101949562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20190083879A (en) Working coil assembly comprising dual coil
JP2010198753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445081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203797730U (en) Induction cooker using metal wok and ceramic wok
WO2019239557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10232196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20210315067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for heating object by induction heating of thin film
JP4041069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EP2991446A1 (en) Induction heating arrangement and induction hob
JP502556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257542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213164B1 (en) Heating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near crater
JP2007287601A (en) Electromagnetic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