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21A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21A
KR20190083721A KR1020180001508A KR20180001508A KR20190083721A KR 20190083721 A KR20190083721 A KR 20190083721A KR 1020180001508 A KR1020180001508 A KR 1020180001508A KR 20180001508 A KR20180001508 A KR 20180001508A KR 20190083721 A KR20190083721 A KR 2019008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uel tank
holder
seat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9658B1 (en
Inventor
예준섭
조선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5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by increasing working efficiency of an occupant through arrangement of a holder unit (300)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comprises: a seat unit (100) on which an occupant sits; a fuel tank (200) placed in the rear of the seat unit; and a holder unit (300) placed in the rear of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seat unit (100), and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to face the front of the seat unit (100).

Description

농업용작업차량{AGRICULTURAL WORKING VEHICLE}{AGRICULTURAL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컵홀더의 배치를 통해 탑승자의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생산 단가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vity of a passenger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 occupant through arrangement of a cup holder.

농업용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gricultural working vehicles are used to cultivate the crops needed for human life by using land. For example, Combine, Tractor and so on correspond to agricultural working vehicles. The combine can perform the work of threshing by tak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The tractor can perform the work necessary to grow the crop using the pulling force.

이러한 농업용작업차량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음료가 담긴 병, 컵이나 텀블러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농업용작업차량은 도 1과 같이 홈이 구비된 컵홀더(1)를 운전시트(2)의 좌우측에 위치한 펜더(3)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cup holder for fixing a bottle, a cup, a tumbler, or the like containing a drink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In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s shown in Fig. 1,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cup holder 1 with the groove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ender 3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operation sheet 2. [

하지만, 컵홀더(1)를 위와 같이 농업용작업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선 펜더(3)에 별도의 고정 홈이 요구되어 펜더(3)의 생산 난이도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fix the cup holder 1 to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fixing groove is required for the fender 3, which increases the production difficulty of the fender 3,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또한, 펜더(3)의 중앙에 설치되는 컵홀더(1)로 인하여 컵홀더(1)가 설치되는 펜더(3)에는 탑승자의 승차를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cup holder 1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ender 3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a handle for assisting the riding of the passenger in the fender 3 where the cup holder 1 is install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63465Korea public utility model 1998-063465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컵이나 병을 고정하는 컵홀더를 펜더가 아닌 연료탱크에 설치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난이도를 줄이고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for fixing a cup or a bottle to a fuel tank instead of a fender, There is a purpose in.

또한, 본 발명은 펜더에 설치되는 컵홀더를 다른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펜더 상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펜더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the fender by securing a free space above the fender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by changing the cup holder provided on the fender to another posi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료탱크(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홀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use (10) including a seat portion (100) for occupying a passenger, a fuel tank (200) located behind the seat portion, And a holder 300 positioned at the left rear or right rear of the seat 100 and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toward the front of the seat 100.

상기 연료탱크(200)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301)는 상기 홀더부(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될 수 있다.The fuel tank 200 includes a bolt fastening portion 201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202 for fastening the bolt 301. The bolt 301 penetrates a hole formed in the holder 300, And can be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201.

상기 홀더부(300)는 접촉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10)는 볼트(30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에 대면되는 면을 포함하는 접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300 includes a contact part 310. The contact part 31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301 is passed and a bolt fastening hole 202 for fastening the bolt 301 is formed And a contact portion 310 including a surface facing 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상기 볼트(301)는 상기 볼트체결공(202)을 통해 상기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는 실링부재(302)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202)이 실링될 수 있다.The bolt 301 penetrates through the bolt fastening part 201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202 and is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202 by a sealing member 302 fastened to the bolt 301, Can be sealed.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볼트(301)와 체결되기 위한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The bolt fastening part 201 may include a nut 303 for fastening with the bolt 301.

상기 연료탱크(200)의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연료탱크(2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of the fuel tank 200 may be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fuel tank 200.

본 발명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컵이나 병을 고정하는 컵홀더를 펜더가 아닌 연료탱크에 설치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난이도를 줄이고 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difficulty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by installing the cup holder for fixing the cup or the bottle in the fuel tank instead of the fender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또한, 본 발명은 펜더에 설치되는 컵홀더를 다른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펜더 상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펜더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cup holder provided on the fender to another pos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free space on the upper part of the fender of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n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the fender.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에서 사용되는 컵홀더(1)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의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cup holder 1 used i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at portion 100,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portion 300 of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eat portion 100,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portion 300 illustrated in Fig.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eat portion 100,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portion 300.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2,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at portion 100, a fuel tank 200, and a holder portion 300.

시트부(100)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 및 상기 시트 위치 또는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농업용작업차량(10)의 탑승자는 시트부(100)에 착석하고, 시트부(100)의 근처에 위치한 각종 제어기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농업용작업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트제어부는 시트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탑승자는 시트제어부에 연결된 레버 또는 스위치를 통해 시트의 위치 또는 시트가 젖혀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eat portion 100 may include a seat for occupants to seat and a seat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seat position or shape. The occupant of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0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through various control devices (not shown) located near the seat portion 100 . The seat control portion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the occupan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or the degree to which the seat is turned through the lever or the switch connected to the seat control portion.

연료탱크(200)는 시트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며, 농업용작업차량(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위한 연료가 주입되어 적재될 수 있다. 연료탱크(200)에는 연료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탱크(200)의 크기는 농업용작업차량(10)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연료탱크(200)는 한 쌍의 펜더(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료탱크의 일부 영역에는 홀더부(300)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uel tank 200 is located behind the seat portion 100 and fuel for power supplied from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can be injected and loaded. The size of the fuel tank 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The size of the fuel tank 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The fuel tank 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fenders 400. [ At least two bolt holes 202 for fixing the holder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fuel tank.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연료탱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홀더부(300)는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면에 적어도 2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관통하는 2개의 볼트(301)를 이용하여 연료탱크(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lder 300 may be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such that the holder 300 is located on the left rear or right rear of the seat 100 and faces forward of the seat 100.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300 includes at least two holes formed in a surface thereof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and is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using two bolts 301 passing through the holes. .

홀더부(300)는 음료의 휴대를 위한 컵, 병, 또는 텀블러와 같은 용기를 지지하여 외부로 낙하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음료 용기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The holder portion 300 may have a shape that supports a container such as a cup, a bottle, or a tumbler for carrying a beverage and encloses a sid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not fall out or shake out. Some areas may be open.

도 2 내지 도 4에서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홀더부(300)는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에 위치할 수 도 있고, 필요에 따라 양측 후방 모두에 위치할 수 도 있다.2 to 4, the holder 300 is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seat 100. However, the holder 300 may be locat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seat 100, And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펜더(400)는 시트부(100)의 양측에 위치하며, 하부주행체(도시되지 않음)의 구성 중 구동륜(도시되지 않음)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펜더(400)는 각각의 펜더(40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41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enders 400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00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for covering a driving wheel (not shown) of a structure of a lower traveling body (not shown). The pair of fenders 400 may be combined with the grips 410 fixed to the respective fenders 400.

여기서 하부주행체는 농업용작업차량(10)의 주행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업용작업차량(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륜의 특성상, 펜더(400)는 시트부(100)가 위치한 높이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펜더(4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410)를 통해 탑승자의 탑승과 하차가 용이해질 수 있다. Here, the lower traveling body is for driving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and may include a structure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engine (not shown) and moving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The fenders 400 can be disposed up to a height at which the seat portion 100 is located and the passengers can be easily boarded and unload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410 coupled to the fenders 4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홀더부(300)가 펜더(400)상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한 쌍의 펜더(400)의 상면에 대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펜더(400)의 여유 공간에 손잡이부(410)를 고정시킴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the holder 300 on the fender 400 and thus can secure a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enders 400. [ The handle 410 can be fixed to the clearance space of the fender 400,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연료탱크(200) 및 홀더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eat portion 100,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portion 300 illustrated in Fig.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eat portion 100,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portion 300. FIG.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300)가 시트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시트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연료탱크(200)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3 and 4, the holder 300 is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at 100 and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uel tank 200 toward the front of the seat 100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300 can be known in more detail.

도 5를 참조하면, 연료탱크(200)는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되는 볼트체결부(201)를 통해 홀더부(300)와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300)는 볼트체결부(201)에 대면하는 면과 적어도 2개의 볼트(301)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접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fuel tank 200 contacts the holder 300 through the bolt fastening part 201 where the bolt fastening hole 202 is formed. The holder portion 30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310 having a surface fac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201 and a hole through which at least two bolts 301 pass.

연료탱크(200)는 볼트(301)의 체결을 위하여 연료탱크(200)의 다른 영역보다 내벽의 두께가 두꺼운 볼트체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체결부(201)에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공(202)의 내면은 볼트(301)가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30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체결공(202)은 사출을 통해 볼트체결부(201)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fuel tank 200 may include a bolt fastening portion 201 having a thicker inner wall than other regions of the fuel tank 200 for fastening the bolt 301. At least two bolt fastening holes 202 for fastening the bolts 301 may be formed on the bolt fastening part 201. [ The inner surface of the bolt fastening hole 202 may be formed with a threa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301 in order to keep the bolt 301 fastened and fastened. The bolt fastening hole 202 may be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olt fastening part 201 through injection.

홀더부(300)는 음료의 휴대를 위한 컵, 병, 또는 텀블러와 같은 용기를 농업용작업차량(10)의 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하면서 연료탱크(200)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접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unit 300 includes a contact portion 310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fuel tank 200 while fix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 bottle, or a tumbler for carrying the bever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

접촉부(310)에는 볼트체결부(201)와 대면하기 위한 면이 형성되며 볼트체결부(201)와 대면하기 위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홀을 통해 적어도 2개의 볼트(301)가 관통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310 is formed with a surface fac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201 and at least two bolts 301 can be inserted through at least two holes formed in a surface fac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201 .

홀더부(300)와 연료탱크(200)는 접촉부(310)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홀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된 적어도 2개의 볼트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홀더부(300)가 보다 음료 용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holder 300 and the fuel tank 200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through at least two bolt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310 and through at least two bolts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300 can more safely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6의 구성 중 도 5와 중복되는 구성 또는 효과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300 can be seen in more detail.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r effect overlapping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5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달리 볼트(301)가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는 실링부재(302)에 의해 볼트체결공(202)이 실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와 달리 볼트(301)가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여 연료탱크(200) 내부의 연료가 적재되는 영역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302)가 볼트(301)에 체결됨으로써 볼트체결공(202)을 실링할 수 있게 된다.6, the bolt 301 is passed through the bolt fastening part 201 and the bolt fastening hole 202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302 to which the bolt 301 is fastened, . 5, the bolt 301 may protrude through the bolt fastening part 201 to the area where the fuel in the fuel tank 200 is loaded. Therefore, the sealing member 302 for preventing leakage of fuel is fastened to the bolt 301, so that the bolt fastening hole 202 can be seal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7의 구성 중 도 5 및 도 6과 중복되는 구성 또는 효과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300 can be seen in more detail.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r effect overlapping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5 and Fig. 6 of the configuration of Fig. 7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도 5와 달리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된 적어도 2개의 볼트(301)에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너트(303)가 볼트체결부(2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 at least two nuts 303 to be fastened to at least two bolts 301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201 are located inside the bolt fastening part 201 Able to know.

너트(303)는 볼트(301)의 외면 중 일부 영역을 둘러 쌀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303)의 홀의 내면은 볼트(301)가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301) 외면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303)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에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부(201)는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하여 사출되는 인서트 사출의 방식으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The nut 303 may be formed with a hol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30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of the nut 303 may be bolted to the bolt 301 A threa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outer surface can be formed. 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is formed by a method of insert injection in which the nut 303 is injected so as to be able to form a bolt fastening hole 202 in an area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303 Can be pro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1개의 볼트만 사용하여 연료탱크(200)와 홀더부(300)를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bolts are used to couple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unit 300, but the fuel tank 200 and the holder unit 300 It will be obvious that they can be comb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농업용작업차량 100: 시트부
200: 연료탱크 300: 홀더부
400: 펜더
10: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0: seat portion
200: fuel tank 300: holder part
400: Fender

Claims (6)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료탱크(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부(10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200)에 결합되는 홀더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A seat portion (100) for the passenger to sit on;
A fuel tank (200) located behind the seat portion; And
A holder part 300 located at the left rear or right rear side of the seat part 100 and coupled to the fuel tank 200 toward the front of the seat part 100; (10). ≪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200)는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301)는 상기 홀더부(3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부(20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el tank 200 includes a bolt fastening portion 201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202 for fastening the bolt 301,
Wherein the bolt (301) is fastened to the bolt coupling part (201)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holder part (30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300)는 접촉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10)는 볼트(30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202)이 형성된 볼트체결부(201)에 대면되는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portion 300 includes a contact portion 310,
The contact portion 310 includes a surfac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301 passes and a surface fac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201 formed with the bolt coupling hole 202 for coupling the bolt 301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01)는 상기 볼트체결공(202)을 통해 상기 볼트체결부(201)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볼트(301)가 체결되는 실링부재(302)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202)이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lt (301) penetrates the bolt fastening part (201)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202)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202) is sealed by a sealing member (302) to which the bolt (301) is insert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볼트(301)와 체결되기 위한 너트(303)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And a nut (303) for engaging with the bolt (301) is contained inside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200)의 상기 볼트체결부(201)는
상기 연료탱크(2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The fuel tank (200)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lt fastening portion (201) of the fuel tank
Is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fuel tank (200).
KR1020180001508A 2018-01-05 2018-01-05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KR102519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en) 2018-01-05 2018-01-05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en) 2018-01-05 2018-01-05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21A true KR20190083721A (en) 2019-07-15
KR102519658B1 KR102519658B1 (en) 2023-04-07

Family

ID=6725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08A KR102519658B1 (en) 2018-01-05 2018-01-05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65A (en) 1996-12-23 1998-10-07 포만제프리엘 Apparatus for storing and accessing a plurality of access values and restoration method thereof
JP2003153627A (en) * 2001-11-19 2003-05-27 Kubota Corp Mowing machine
JP2003276494A (en) * 2002-03-22 2003-09-30 Kubota Corp Riding type work machine
KR20150145034A (en) * 2014-06-18 2015-12-29 대동공업주식회사 Agricultural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65A (en) 1996-12-23 1998-10-07 포만제프리엘 Apparatus for storing and accessing a plurality of access values and restoration method thereof
JP2003153627A (en) * 2001-11-19 2003-05-27 Kubota Corp Mowing machine
JP2003276494A (en) * 2002-03-22 2003-09-30 Kubota Corp Riding type work machine
KR20150145034A (en) * 2014-06-18 2015-12-29 대동공업주식회사 Agricultur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658B1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211B2 (en) Battery pack
US9475413B2 (en) Vehicle
US8651525B2 (en) Utility vehicle
US9016780B2 (en) Seat structur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US20160129783A1 (en) Work vehicle
US9045104B2 (en) Rough-terrain traveling vehicle
US8955909B2 (en) Vehicle
JP5479209B2 (en) Work vehicle
US10252761B2 (en) Two-wheeled vehicle
US9440681B2 (en) Cabin space structure for all terrain vehicle
KR20190083721A (e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JP6423336B2 (en) 4 wheel drive work vehicle
JP3497762B2 (en) Spare tire support structure for automobiles
US11981383B2 (en) Straddle-type seat
JPS6198655A (en) Seatbelt fixing structure for small car
PH12017000356A1 (en) A straddle type motorcycle
US20230382218A1 (en) Vehicle fuel tank structure
JPH0755188Y2 (en) Fender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tractors
KR19980021578U (en) Fixing structure of car seat belt
KR100309840B1 (en) Bed structure of mounting belt for truck cap
CN114450213A (en) Floor structure of vehicle
KR100448134B1 (en) Structure for mountung double seat for automobile
JP2024070661A (en) Work vehicle
JP2007283992A (en) Sub-frame mounting structure
KR200188441Y1 (e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