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697A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3697A KR20190083697A KR1020180001447A KR20180001447A KR20190083697A KR 20190083697 A KR20190083697 A KR 20190083697A KR 1020180001447 A KR1020180001447 A KR 1020180001447A KR 20180001447 A KR20180001447 A KR 20180001447A KR 20190083697 A KR20190083697 A KR 20190083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vertical support
- fixed frame
- length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 시, 고소(高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포스트, 상기 두 포스트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두 지지체의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단부가 볼트 결합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다수의 볼트공을 갖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캐스터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볼트공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복수 개의 대응볼트공을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각각 볼트결합 되는 두 세로지지대와, 상기 두 세로지지대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공 및 대응볼트공에 결합 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 세로지지대의 대응볼트공은 상기 포스트 수직지지대의 볼트공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포스트, 상기 두 포스트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두 지지체의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단부가 볼트 결합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다수의 볼트공을 갖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캐스터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볼트공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복수 개의 대응볼트공을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각각 볼트결합 되는 두 세로지지대와, 상기 두 세로지지대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공 및 대응볼트공에 결합 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 세로지지대의 대응볼트공은 상기 포스트 수직지지대의 볼트공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 시, 고소(高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다양한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다양한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배관작업, 도장작업 및 각종 설치작업 시, 용이한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주로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자가 디디고 올라서는 발판의 높이가 일률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다양한 신장에 부합하지 못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으로 기립(起立) 설치되면서 발판을 받치는 기둥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을 이용해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볼트공의 수를 과다(過多)하게 천공하게 되면 기둥프레임의 지지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인접한 두 볼트공의 간격은 일정 간격 이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결국, 인접한 두 볼트공 간격 미만의 작은 높이 조절은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작업자의 신장이나 다양한 작업 대상체의 높이에 부합하도록 상기 발판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함에 제한이 발생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군다나 발판의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종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면, 비용이 상승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특히 다양한 작업자의 신장이나 다양한 작업 대상체의 높이에 따라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식 작업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포스트, 상기 두 포스트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두 지지체의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단부가 볼트 결합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다수의 볼트공을 갖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캐스터가 구비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볼트공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복수 개의 대응볼트공을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각각 볼트결합 되는 두 세로지지대와, 상기 두 세로지지대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공 및 대응볼트공에 결합 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 세로지지대의 대응볼트공은 상기 포스트 수직지지대의 볼트공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큰 높이 조절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수평지지대(112)의 방향을 하방, 발판 부재(2)의 방향을 상방, 도면상 좌측을 좌방, 도면상 우측을 우방이라 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체(1) 및 발판부재(2)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체(1)는, 상기 발판부재(2)를 지면에서 이격시켜 고정 및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포스트(11), 상기 두 포스트(11)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발판부재(2)의 길이만큼 상기 두 지지체(1)가 이격 설치되는 것이다.
포스트(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양측단부가 볼트 결합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다수의 볼트공(1111)을 갖고 기립(起立)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11)와,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수직지지대(111)와 직각(直角)으로 연결되며 하부에 이동용 캐스터(1121)가 구비된 수평지지대(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11)와 수평지지대(112)는 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내부가 비어있고 사각의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트공(1111)은 수직지지대(111)의 지지력(支持力)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포스트(11)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중량(重量)을 최소화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는 물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1)의 수평지지대(1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1121)는 수평지지대(112)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는, 일단부가 브래킷(1131)에 의해 수직지지대(111)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보강지지대(1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직지지대(111)가 비전도(非顚倒)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수직지지대(111)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힌지부(1132)가 형성된 브래킷(1131)이 볼트 결합 되어 있고, 상기 보강지지대(113)의 일단부가 상기 힌지부(1132)에 결합되며, 보강지지대(113)의 타단부는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때 보강지지대(113)의 타단부에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부(1133)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대(113)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비(非)사용 시에는 상방을 향해 회전하여 수직지지대(111)에 밀착하여 보관이 가능하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하단부에 수평지지대(112)가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지지대(111)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상기 보강지지대(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포스트(11)는 본 발명이 결합 되기 전 기립된 상태를 각각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명의 작업자로도 충분히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성이므로, 시간 및 인건비를 절약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고정프레임(12)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포스트(11)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볼트공(1111)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복수 개의 대응볼트공(1121)을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111)에 각각 볼트결합 되는 두 세로지지대(121)와, 상기 두 세로지지대(121)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지지대(1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2)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프레임(12)의 가로지지대(122)와 세로지지대(121)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도 2 및 도 3 참조)
부연하면, 상기 가로지지대(122) 전단부의 전면은 전방에 위치한 상기 세로지지대(121) 상단부의 후면에 결합 되고, 가로지지대(122) 후단부의 후면은 후방에 위치한 세로지지대(121) 상단부의 전면에 결합 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결합이 완료된 후, 발판부재(2) 위에서 작업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상기 두 지지체(1)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세로지지대(121)와 가로지지대(122)가 상호 뒤틀리는 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세로지지대(121)와 가로지지대(122)는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해 상호 용접 결합 된다.
조임볼트(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1) 수직지지대(111)의 볼트공(1111) 및 상기 고정프레임(12) 세로지지대(121)의 대응볼트공(1211)에 결합 되어,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두 포스트(11)를 상호 고정 결합한다.
위에서 설명한 포스트(11), 고정프레임(12), 조임볼트(13) 및
발판부재(2)를
상호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된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된 볼트공(1111)과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전방에 배치된 세로지지대(121)에 형성된 대응볼트공(1211)을 일치시켜 조임볼트(13)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후방에 배치된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된 볼트공(1111)과 상기 고정프레임(12)의 후방에 배치된 세로지지대(121)에 형성된 대응볼트공(1211)을 일치시켜 조임볼트(13)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지지체(1)를 완성한다.
이때, 앞서 설명했듯이, 상기 각 포스트(11)의 수평지지대(112)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각 포스트(11)는 상기 고정프레임(1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지지체(1)는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하나의 지지체(1)를 완성하여 완성된 두 지지체(1)를 이격 배치한 후, 상기 두 고정프레임(12)의 각 상단부에 발판부재(2)의 양측단부가 얹혀지도록 결합하면 본 발명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처럼, 상기 고정프레임(12)을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볼트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 함으로써, 발판부재(2)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2) 세로지지대(121)의 대응볼트공(1211)은 상기 포스트(1) 수직지지대(111)의 볼트공(1111)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재(2)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합 되어 있는 고정프레임(12)을 상기 수직지지대(111)에서 분리한 후, 도면상 고정프레임(12)이 결합 되어있는 위치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볼트공(1111)에 분리된 고정프레임(12)을 재결합함으로써,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2)이 결합 되는 볼트공(111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조절 가능한 최소한의 높이는 도 4의 "D1"에 해당한다.
즉,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된 인접한 두 볼트공(1111)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해당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식 작업대는 상기 거리(D1) 미만의 미세한 높이 조절은 불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12)을 도면상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 되어있던 고정프레임(12)의 상하방향을 바꾸어 결합하면, 일측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된 상기 대응볼트공(1211)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상기 인접한 두 볼트공(1111)의 거리(D1) 미만으로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발판부재(2)가 설치 고정되는 높이를 "D2" 거리만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2)의 대응볼트공(1211)이 편향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D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되는 인접한 두 볼트공(1111)의 거리를 축소하여 상기 볼트공(111)을 형성할 경우, 수직지지대(111)의 지지력이 저하되므로,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되는 인접한 두 볼트공(111)의 간격은 일정간격 이하로는 축소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 대상체의 높이나 다양한 작업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발판부재(2)가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2)의 가로지지대(122)는,
내부에 수용로(1221)를 갖고 일측에 복 수개의 나사공(1225)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전방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전방지지대(1222)와;
내부에 수용로(1221)를 갖고 일측에 복 수개의 나사공(1225)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후방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후방지지대(1223)와;
상기 나사공(1225)과 대응하는 복 수개의 대응나사공(1226)이 구비되면서 전단부는 전방지지대(1222)의 수용로(1221)에 삽입되고, 후단부는 후방지지대(1223)의 수용로(1221)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대(1224)와;
상기 전방지지대(1222)의 나사공(1225)과 길이조절대(1224)의 대응나사공(1226) 및 상기 후방지지대(1123)의 나사공(1225)과 길이조절대(1224)의 대응나사공(1226)에 각각 결합 되는 조절나사(123);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각 나사공(1225) 및 대응나사공(1226)에 상기 조절나사(123)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로지지대(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결합 되는 발판부재(2)의 수를 전후 방향으로 증감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는,
내부에 수용로(1112)를 갖고 일측에 복수 개의 볼트공(1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상부지지대(1113)와;
내부에 수용로(1112)를 갖고 일측에 복수 개의 볼트공(1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1114)와;
상기 볼트공(1111)과 대응하는 복 수개의 결합공(1116)이 구비되면서 상단부는 상부지지대(1113)의 수용로(11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하부지지대(1114)의 수용로(1112)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대(1115)와;
상기 상부지지대(1113)의 볼트공(1111)과 높이조절대(1115)의 결합공(1116) 및 상기 하부지지대(1114)의 볼트공(1111)과 높이조절대(1115)의 결합공(1116)에 각각 결합 되는 조절나사(1117);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각 볼트공(1111) 및 결합공(1116)에 상기 조절나사(1117)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포스트(11) 수직지지대(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길이를 증감하여, 발판부재(2)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동식 작업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지체
11 ; 포스트
111 ; 수직지지대
1111 ; 볼트공
1112 ; 수용로
1113 ; 상부지지대
1114 ; 하부지지대
1115 ; 높이조절대
1116 ; 결합공
1117 ; 조절나사
112 ; 수평지지대
1121 ; 캐스터
113 ; 보강지지대
1131 ; 브래킷
1132 ; 힌지부
1133 ; 슬립방지부
12 ; 고정프레임
121 ; 세로지지대
1211 ; 대응볼트공
122 ; 가로지지대
1221 ; 수용로
1222 ; 전방지지대
1223 ; 후방지지대
1224 ; 길이조절대
1225 ; 나사공
1226 ; 대응나사공
123 ; 조절나사
13 ; 조임볼트
2 ; 발판부재
11 ; 포스트
111 ; 수직지지대
1111 ; 볼트공
1112 ; 수용로
1113 ; 상부지지대
1114 ; 하부지지대
1115 ; 높이조절대
1116 ; 결합공
1117 ; 조절나사
112 ; 수평지지대
1121 ; 캐스터
113 ; 보강지지대
1131 ; 브래킷
1132 ; 힌지부
1133 ; 슬립방지부
12 ; 고정프레임
121 ; 세로지지대
1211 ; 대응볼트공
122 ; 가로지지대
1221 ; 수용로
1222 ; 전방지지대
1223 ; 후방지지대
1224 ; 길이조절대
1225 ; 나사공
1226 ; 대응나사공
123 ; 조절나사
13 ; 조임볼트
2 ; 발판부재
Claims (7)
-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포스트(11), 상기 두 포스트(11)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1)와, 상기 두 지지체(1)의 고정프레임(12)을 상호 연결하는 발판부재(2)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11)는,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양측단부가 볼트 결합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다수의 볼트공(1111)을 갖는 수직지지대(111)와,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캐스터(1121)가 구비된 수평지지대(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2)은,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볼트공(1111)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관통된 복수 개의 대응볼트공(1211)을 갖고 상기 수직지지대(111)에 각각 볼트결합 되는 두 세로지지대(121)와, 상기 두 세로지지대(121)의 상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가로지지대(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공(1111) 및 대응볼트공(1211)에 결합 되는 조임볼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12)을 상기 수직지지대(111)의 상하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볼트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 세로지지대(111)의 대응볼트공(1211)은 상기 포스트(11) 수직지지대(111)의 볼트공(1111)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편향(偏向) 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는 높이를 미세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프레임(12)의 가로지지대(122)와 세로지지대(121)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의 가로지지대(122)는,
내부에 수용로(1221)를 갖고 일측에 복 수개의 나사공(1225)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전방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전방지지대(1222)와;
내부에 수용로(1221)를 갖고 일측에 복 수개의 나사공(1225)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후방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후방지지대(1223)와;
상기 나사공(1225)과 대응하는 복 수개의 대응나사공(1226)이 구비되면서 전단부는 전방지지대(1222)의 수용로(1221)에 삽입 되고, 후단부는 후방지지대(1223)의 수용로(1221)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대(1224)와;
상기 전방지지대(1222)의 나사공(1225)과 길이조절대(1224)의 대응나사공(1226) 및 상기 후방지지대(1223)의 나사공(1225)과 길이조절대(1224)의 대응나사공(1226)에 각각 결합 되는 조절나사(123);
로 이루어져,
상기 각 나사공(1225) 및 대응나사공(1226)에 상기 조절나사(123)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로지지대(122)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는,
내부에 수용로(1112)를 갖고 일측에 복수 개의 볼트공(1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상부지지대(1113)와;
내부에 수용로(1112)를 갖고 일측에 복수 개의 볼트공(1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1114)와;
상기 볼트공(1111)과 대응하는 복 수개의 결합공(1116)이 구비되면서 상단부는 상부지지대(1113)의 수용로(1112)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하부지지대(1114)의 수용로(1112)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대(1115)와;
상기 상부지지대(1113)의 볼트공(1111)과 높이조절대(1115)의 결합공(1116) 및 상기 하부지지대(1114)의 볼트공(1111)과 높이조절대(1115)의 결합공(1116)에 각각 결합 되는 조절나사(1117);
로 이루어져,
상기 각 볼트공(1111) 및 결합공(1116)에 상기 조절나사(1117)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포스트(11) 수직지지대(11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의 수평지지대(1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1121)는 수평지지대(122)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의 수직지지대(111)는, 일단부가 브래킷(1131)에 의해 수직지지대(111)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보강지지대(1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직지지대(111)가 비전도(非顚倒)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447A KR20190083697A (ko) | 2018-01-05 | 2018-01-05 | 이동식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447A KR20190083697A (ko) | 2018-01-05 | 2018-01-05 | 이동식 작업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697A true KR20190083697A (ko) | 2019-07-15 |
Family
ID=6725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1447A KR20190083697A (ko) | 2018-01-05 | 2018-01-05 | 이동식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369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87465A (zh) * | 2019-09-18 | 2019-11-22 | 中船动力研究院有限公司 | 柴油机扭矩测量系统的传感器支架组件 |
KR102232395B1 (ko) * | 2020-08-18 | 2021-03-25 | 신왕현 | 접이식 작업대 |
KR102352368B1 (ko) * | 2021-08-23 | 2022-01-18 | 주식회사 금창산업 |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작업대 |
-
2018
- 2018-01-05 KR KR1020180001447A patent/KR201900836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87465A (zh) * | 2019-09-18 | 2019-11-22 | 中船动力研究院有限公司 | 柴油机扭矩测量系统的传感器支架组件 |
KR102232395B1 (ko) * | 2020-08-18 | 2021-03-25 | 신왕현 | 접이식 작업대 |
KR102352368B1 (ko) * | 2021-08-23 | 2022-01-18 | 주식회사 금창산업 |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작업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3697A (ko) | 이동식 작업대 | |
US4860807A (en) | Portable workbench and power saw stand | |
US5865410A (en) | Universal staging bracket | |
KR101695796B1 (ko) | 스쿠터의 조립라인 | |
KR20200000858U (ko) |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 |
CN106041825B (zh) | 一种轿架调整工装 | |
JP2006183313A (ja) | スラブ型枠ユニット及び支持枠ユニット | |
KR101608957B1 (ko) | 각도고정설치가 용이한 전동식 조립테이블 | |
CN209741895U (zh) | 装配式电梯钢结构与基座的连接结构 | |
US20090179123A1 (en) | Single Column Pedestal for a Height-Adjustable Work Station | |
KR20170093498A (ko) | 보 거푸집 지지장치 | |
CN210396063U (zh) | 一种用于水工河道模型高处作业的可移动升降脚手架 | |
JP2002167933A (ja) | 斜路組立体 | |
CN209975981U (zh) | 一种土木工程建设用可调节安装位置的脚手架 | |
CN105782681A (zh) | 可调节式设备装架支承装置 | |
KR100481051B1 (ko) | 건축물 벽체 시공을 위한 유압 작동식 안전 발판 가대높낮이 조정 구조 | |
CN217353450U (zh) | 一种房建楼板混凝土浇筑作业台架 | |
CN218880596U (zh) | 框架式墩身施工平台 | |
CN216422495U (zh) | 一种用于建筑钢结构加工的工作台 | |
CN214996072U (zh) | 一种移动式压浆管固定操作平台 | |
CN220586223U (zh) | 一种光伏组件拆卸简便装置 | |
CN211850823U (zh) | 一种建筑支撑架及其支撑柱 | |
CN209837633U (zh) | 一种室内顶部装饰用移动平台 | |
CN221097951U (zh) | 一种机房安装底座调平结构 | |
CN213815121U (zh) | 一种教育用党建教学模板调节展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